KR101413628B1 - 흡입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628B1
KR101413628B1 KR1020140052203A KR20140052203A KR101413628B1 KR 101413628 B1 KR101413628 B1 KR 101413628B1 KR 1020140052203 A KR1020140052203 A KR 1020140052203A KR 20140052203 A KR20140052203 A KR 20140052203A KR 101413628 B1 KR101413628 B1 KR 10141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blower
suction pipe
pipe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덕
이병선
윤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벨
경기순환자원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벨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벨, 경기순환자원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벨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벨
Priority to KR102014005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8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6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using 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처리대상물을 흡입하도록 배치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상단에 연결된 선별본체; 상기 선별본체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에서 배출되는 처리대상물을 선별하는 타공망; 상기 선별본체 일측에 고정되어 타공망을 향해 주기적으로 에어펄스를 발사하는 에어펄스유닛; 상기 선별본체의 일측에 배관된 제1송풍관 상에 설치된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의 단부가 연결되고, 상단 중앙에는 분리흡입관의 일단이 삽입설치된 제1싸이클론; 상기 분리흡입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의 출구측에 연결된 미분공급관; 상기 미분공급관의 단부가 연결된 제2싸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분까지 분리할 수 있으면서 망막힘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입 선별장치{SUCCTION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흡입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분까지 분리할 수 있으면서 망막힘 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흡입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매립장(위생, 비위생)은 쓰레기의 운반효율을 감안하여 대개 대도시 인근에 위치하는데, 특히 비위생 쓰레기매립장의 경우 무작위로 쓰레기가 매립되는 관계로 토사 및 불연물의 활용 또는 가연물의 소각을 위해 그 처리를 위한 종류별 선별작업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다.
특히, 굴착된 쓰레기는 토사 및 콘크리트 덩어리, 벽돌, 돌덩이와 같이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태우기 어려운 불연물과 함께, 비닐천이나 나무토막과 같이 재활용이 곤란하여 소각 처리해야 하는 가연물도 함께 섞여 있는 관계로, 매립 쓰레기 전체를 종류별로 정확하게 선별작업하기 위한 선별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오랫동안의 경험을 통한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매립쓰레기 선별과 관련된 다수의 특허를 출원, 등록한 바 있고, 특히 가연물 선별과 관련해서는 등록특허 제0528129호를 비롯한 등록특허 제0900797호 등을 개시한 바 있다.
이 중에서, 컨베이어 혹은 디스크 스크린 상부로 부상되어 이송되는 40mm 이상의 폐기물들을 흡입하여 가연물과 비가연물 혹은 가연물과 불연물로 비중차에 의해 선별하는 선별장치로서, 일명 토네이도 선별기로 불리우는 싸이클론형 선별장치가 있다.
그런데, 종래 싸이클론형 선별장치는 미분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선별기능을 하는 타공망이 쉽게 막혀 흡입압이 떨어짐으로 인해 선별 효율이 극히 낮았다.
또한, 선회식으로 낙하되면서 미분 분리가 일어나야할 내부에서 흡입압 저해 때문에 수직 낙하하면서 미분 분리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미분에 의해 망 막힘 현상이 발생되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설비를 세워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는 단점도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백 필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은 유지 관리, 보수가 어렵고 힘들 뿐만 아니라, 관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1회 싸이클론 방식으로 처리하다 보니 이또한 미분 분리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 국내 공개특허 제2009-0027436호(2009.03.17) 2. 국내 등록특허 제1075585호(2011.10.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주기적인 플러싱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타공망을 회전시키고, 나아가 2개의 싸이크론 구조를 갖춤으로써 백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분까지 분리할 수 있으면서 망막힘 현상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흡입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처리대상물을 흡입하도록 배치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상단에 연결된 선별본체; 상기 선별본체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에서 배출되는 처리대상물을 선별하는 타공망; 상기 선별본체 일측에 고정되어 타공망을 향해 주기적으로 에어펄스를 발사하는 에어펄스유닛; 상기 선별본체의 일측에 배관된 제1송풍관 상에 설치된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의 단부가 연결되고, 상단 중앙에는 분리흡입관의 일단이 삽입설치된 제1싸이클론; 상기 분리흡입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의 출구측에 연결된 미분공급관; 상기 미분공급관의 단부가 연결된 제2싸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타공망은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선별본체의 하단에는 로터리밸브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분까지 분리할 수 있으면서 망막힘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선별장치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선별장치는 선별유닛(100), 제1싸이클론(200) 및 제2싸이클론(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별유닛(100)은 처리대상물을 흡입하여 스크린 방식으로 1차 선별하는 장치로서, 흡입관(11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관(11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단은 컨베이어 혹은 디스크 스크린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110)의 상단은 원통형상의 선별본체(120) 상단에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선별본체(120)의 내부에는 원통형상의 타공망(130)이 구비되는데, 상기 타공망(130)은 상기 선별본체(120)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이중관 형태로 내장된다.
즉, 상기 선별본체(120)의 내경과, 상기 타공망(130)의 외경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흡입관(110)의 상단은 상기 타공망(130)의 내부로 흡이된 처리대상물을 쏟아 낼 수 있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타공망(130)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M)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망막힘 현상을 최소화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별본체(1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에어펄스유닛(140)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펄스유닛(140)은 다수의 에어분사노즐(미도시)을 포함하며, 각 에어분사노즐은 상기 타공망(130)에 형성된 구멍과 매치되도록 다수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주기적으로 에어펄스를 쏘아 줌으로써 타공망(130)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다시 타공망(130) 내부로 인입시켜 망막힘을 방지하는 플러싱 기능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선별본체(120)의 하단에는 로터리밸브(150)가 설치되어 선별 분리된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선별본체(1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에어펄스유닛(14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제1송풍관(160)이 연결되고, 상기 제1송풍관(160)에는 제1송풍기(17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송풍기(170)가 구동되면, 상기 제1송풍관(160)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는 선별본체(120)의 공간(S) 상에 음압을 형성시킨다.
때문에, 타공망(130) 내부로 투입된 처리대상물 중 비중이 가볍고 입도가 작은 것들, 즉 미분들은 이 타공망(130)을 통과하여 빨려 나가고, 입도가 큰 것들은 1차 선별되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송풍관(160)의 배출단에는 제1싸이클론(200)이 연결된다.
상기 제1싸이클론(200)은 상단 중심을 관통하여 분리흡입관(21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분리흡입관(210)은 상기 제1싸이클론(2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깊이까지 연장 배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흡입관(210)의 후단은 제2송풍기(220)의 흡입단과 연결된다.
때문에, 상기 제1송풍관(160)을 통해 배출된 미분입자는 상기 제1싸이클론(200)의 상단 내부로 진입된 후 반경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하강하고, 이 과정에서 무게가 무거운 입자들은 내벽면을 타고 낙하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가벼운 입자들은 중앙부에 구비된 분리흡입관(210) 쪽으로 빨려 들어 제2송풍기(220) 쪽으로 흡입된다.
따라서, 분리된 미분 입자 중 무거운 것들을 수거하기 위한 제1포집박스(230)가 상기 제1싸이클론(200)의 하단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송풍기(220)이 배출측에는 미분공급관(310)이 연결되어 가벼운 미분입자들을 제2싸이클론(300)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싸이클론(300)은 상기 제1싸이클론(200)고 평행하게 설치되고, 진입된 미분중 가벼운 것들이 반경방향으로 선회되면서 그 중에서 또 가벼운 것들과 미처 분리되지 못한 무거운 것들이 최종 분리된다.
아울러, 상기 제2싸이클론(300)의 하단에도 제2포집박스(320)가 상기 제1포집박스(230)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회에 걸쳐 선별, 포집하기 때문에 미분 분리 효율이 증대되며, 플러싱 기능은 물론 타공망 회전 기능을 갖추고 있어 망 막힘 현상도 생기지 않는다.
100: 선별유닛 200: 제1싸이클론
300: 제2싸이클론

Claims (3)

  1. 처리대상물을 흡입하도록 배치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이 상단에 연결된 선별본체;
    상기 선별본체 내부에 이중관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흡입관에서 배출되는 처리대상물을 선별하는 타공망;
    상기 선별본체 일측에 고정되어 타공망을 향해 주기적으로 에어펄스를 발사하는 에어펄스유닛;
    상기 선별본체의 일측에 배관된 제1송풍관 상에 설치된 제1송풍기;
    상기 제1송풍기의 단부가 연결되고, 상단 중앙에는 분리흡입관의 일단이 삽입설치된 제1싸이클론;
    상기 분리흡입관의 타단에 연결된 제2송풍기;
    상기 제2송풍기의 출구측에 연결된 미분공급관;
    상기 미분공급관의 단부가 연결된 제2싸이클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은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선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본체의 하단에는 로터리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선별장치.
KR1020140052203A 2014-04-30 2014-04-30 흡입 선별장치 KR10141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03A KR101413628B1 (ko) 2014-04-30 2014-04-30 흡입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03A KR101413628B1 (ko) 2014-04-30 2014-04-30 흡입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628B1 true KR101413628B1 (ko) 2014-07-09

Family

ID=5174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03A KR101413628B1 (ko) 2014-04-30 2014-04-30 흡입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202A (zh) * 2018-11-08 2019-02-01 江苏科选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钢破碎料的风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656A (ko) * 1993-11-08 1995-06-15 하라다 아키시게 쇼트블라스트장치
KR20040088343A (ko) * 2003-04-10 2004-10-16 고려진공 주식회사 투스텝 싸이클론 챔버를 통한 분말의 분급 시스템
JP2005138491A (ja)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木材チップ処理装置および木材処理システム
KR100855250B1 (ko) 2008-05-14 2008-08-29 (주)동진엔지니어링 건식 분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656A (ko) * 1993-11-08 1995-06-15 하라다 아키시게 쇼트블라스트장치
KR20040088343A (ko) * 2003-04-10 2004-10-16 고려진공 주식회사 투스텝 싸이클론 챔버를 통한 분말의 분급 시스템
JP2005138491A (ja) 2003-11-07 2005-06-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木材チップ処理装置および木材処理システム
KR100855250B1 (ko) 2008-05-14 2008-08-29 (주)동진엔지니어링 건식 분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202A (zh) * 2018-11-08 2019-02-01 江苏科选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钢破碎料的风选装置
CN109290202B (zh) * 2018-11-08 2024-02-13 江苏科选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废钢破碎料的风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2232B2 (ja) 袋ゴミの袋破壊とゴミ選別装置
KR1008665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0986635B1 (ko) 풍력비중선별기
KR101888458B1 (ko) 에어펄스 백필터를 이용한 사이클론 다중 선별장치
CN103240157A (zh) 垃圾分类回收处理系统及垃圾分类回收方法
KR20140134829A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1653304B1 (ko)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CN108043700A (zh) 餐厨垃圾分选破碎筛分一体机
KR100876542B1 (ko) 공기 분사식 쓰레기 선별장치
KR101413628B1 (ko) 흡입 선별장치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CN104815795B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杂质分离设备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94464A (ko) 공기분사식 쓰레기 선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선별장치
CN203235535U (zh) 垃圾分类回收处理系统
KR101808383B1 (ko) 분진처리장치
KR101884797B1 (ko) 건식 미분 선별기의 미분 제거장치
KR100909894B1 (ko) 악취발생을 줄인 생활폐기물 전처리 장치와 그 방법
US8016115B2 (en) Waste separation apparatus
KR101473939B1 (ko) 폐비닐 선별장치
KR101799687B1 (ko) 불연성 감량화 정밀 선별장치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KR101659409B1 (ko) 복합 폐기물 분리장치
KR20140047286A (ko) 비닐 및 필름류쓰레기의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