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90B1 - 와인 마개 - Google Patents

와인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90B1
KR101413090B1 KR1020120122790A KR20120122790A KR101413090B1 KR 101413090 B1 KR101413090 B1 KR 101413090B1 KR 1020120122790 A KR1020120122790 A KR 1020120122790A KR 20120122790 A KR20120122790 A KR 20120122790A KR 101413090 B1 KR101413090 B1 KR 101413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wine
outer circumferential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646A (ko
Inventor
김금화
Original Assignee
쥬피터디자인 주식회사
주식회사 공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피터디자인 주식회사, 주식회사 공지 filed Critical 쥬피터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 마개에 관한 것으로,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메인바디와 동일형상으로 하향연장된 걸림턱부;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끼워진 다음 상기 걸림턱부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외주면을 유지하는 신축성있는 밀폐부재;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를 미려하게 하여 외관 품위를 향상시키고, 재밀폐시 긴밀하고 완벽한 밀폐력을 제공하여 와인의 산화를 막아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하며, 재개봉시에는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고 빠르면서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인 마개{WINE STOPPER}
본 발명은 와인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된 와인병의 입구를 긴밀하게 밀폐하여 와인의 산화를 막아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밀폐와 개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와인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Wine)은 유리로 된 와인병에 담긴 상태에서 입구를 코르크로 된 마개로 막아 밀봉한 상태로 포장되어 유통된다.
이때, 마개를 코르크로 사용하는 이유는 와인이 발효주(Fermented)이기 때문에 숨을 쉴 수 있도록 하여 숙성시키기 위한 것인 바, 알려진 바로는 코르크의 공극은 한 달간 보관시 약 0.01㎖의 산소가 와인 속으로 침투되기 때문에 숙성에 알맞으며, 만약 과량의 산소가 침투되면 숙성이 아니라 산화되어 음용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코르크 마개는 탁월한 신축성과 내구성을 갖고 있어 거의 2배 가까이 압축될 수 있고, 또 압축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되어도 탄력이 그대로 유지되는데 거의 30년에 가까운 수명을 가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코르크 마개는 와인병의 입구에 깊숙이 삽입되어 쉽게 취출되지 않기 때문에 코르크 마개를 와인병에서 취출하기 위해서는 와인오프너를 사용해야 하며, 보통 와인오프너는 나선형의 스크류를 갖는 손잡이로 되어 있고, 손잡이를 돌리면 그와 연결된 스크류가 와인병에 삽입된 코르크 마개 내로 진입된 후 고정되며, 그 상태에서 손잡이에 강한 힘을 가해 와인병 외부로 코르크 마개를 빼내게 된다.
때문에, 코르크 마개를 취출하는 과정에서 코르크 마개가 부서지거나 손상되기 쉽고, 손상된 코르크 마개를 다시 사용할 경우 부서진 코르크 잔류 물질이 와인 속으로 떨어져 음용시, 또는 미관상 불쾌감을 주거나 밀폐력이 떨어져 산화를 촉진하게 되어 장기간 보관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과산화된 와인은 향이나 맛에 있어 품질을 현저히 떨어뜨리기 때문에 개봉된 와인병의 입구를 긴밀하게 재밀봉하는 것은 와인 유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공개실용 제2009-0001439호, 등록특허 제0960617호, 공개특허 제2010-0039107호 등 개봉된 와인병을 긴밀히 밀봉하여 산화를 방지하도록 한 기술들이 다수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들이 밀봉력에 있어 긴밀성을 높인 것은 사실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여 실생활 속에서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 것도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밀봉력이 너무 뛰어나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해야만 개봉할 수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따랐다.
덧붙여, 와인은 단순한 주류로서의 역할도 있지만, 와인병과 함께 외적 미감을 주는 장식미도 제공하기 때문에 밀봉용 마개의 디자인을 통한 심미감 제공도 상당한 관심거리이다.
그러나, 개시된 기술들은 마개의 미감이 떨어져 품위가 격하되는 단점이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개봉된 와인병의 입구를 긴밀하고 쉽게 밀폐하여 산화를 방지하면서 재개봉하기도 쉽고, 디자인성이 가미되어 외적 미감도 증대시킴으로써 장식미도 갖출 수 있도록 한 와인 마개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메인바디와 동일형상으로 하향연장된 걸림턱부;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끼워진 다음 상기 걸림턱부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외주면을 유지하는 신축성있는 밀폐부재;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마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원형링의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에는 띠형 장식이 끼워져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원형링 사이를 구별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원형돌기가 둘레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돌기가 끼워지는 원형돌기결합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호 긴밀히 조립고정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돌기는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을 이룬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원형링에는 장식구가 조립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를 미려하게 하여 외관 품위를 향상시키고, 재밀폐시 긴밀하고 완벽한 밀폐력을 제공하여 와인의 산화를 막아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하며, 재개봉시에는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고 빠르면서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의 밀폐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는 한 번 개봉된 후 재밀폐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와인병(100)의 상단에 마련된 입구(110)를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와인병(100)의 입구(110)는 보통 도시와 같이, 동일한 직경을 일정길이 유지하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입구(110)를 밀폐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는 도 1과 같이, 메인바디(2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바디(200)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인병(100)의 입구(110)에 삽입하기 쉽게 구성되며,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메인바디(200)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탄성변형력을 가지고 있으며, 더구나 내부 중공형이기 때문에 탄성변형력은 배가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200)는 도 2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이분할된 한 쌍, 즉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가 상호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성형하기도 쉽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바디(20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띠형상의 원형돌기(230)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형돌기(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고리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선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원형돌기(230)가 직접 밀폐력을 제공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후술되는 밀폐부재(300)를 긴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200)의 하단에는 걸림턱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부(240)는 상기 메인바디(200)의 하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300)가 끼워졌을 때 밀폐부재(300)와 걸림턱부(240)의 외경이 일치되게 하여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와인병(100)의 입구(110)에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턱부(240)도 상기 메인바디(200)와 같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메인바디(200)의 상단에는 원형링(250)이 형성된다.
상기 원형링(250)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당기기 쉽도록 하여 마개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링(250)은 내경의 폭 중앙에 리브(252)가 내경을 따라 원형상으로 더 돌출되고, 리브(252)의 내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54)가 돌출되도록 하여 장식구(400)를 통해 상기 원형링(250)을 마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식구(400)에는 상기 돌기(254)가 끼워지도록 홈(41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장식구(400)는 두께방향으로 이분할되어 상기 리브(25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끼워져 맞물린 상태로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리브(252)를 지지체로 하여 그 양측에서 상기 리브(252)를 개재시킨 채 분할된 한 쌍의 장식구(400)가 서로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장식구(400)는 예시된 바와 같은 삼족오 문양을 비롯하여, 단순한 링(400'), 탈(400")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식구(400)는 심미감을 제공하여 장식미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원형링(250)의 하측인 메인바디(200)의 상측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고정턱(26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60)에는 띠형 장식(270)이 메인바디(200)의 외주면에 끼워진 채로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띠형 장식(270)도 앞서 설명한 장식구(400)와 같이 와인 마개의 외관 품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띠형 장식(270)과 상기 걸림턱부(240) 사이에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내부 중공형 밀폐부재(300)가 끼워진다.
상기 밀폐부재(30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서, 고무 또는 실리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밀폐부재(300)의 내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원형돌기(2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한 번 개봉된 와인병(100)의 입구(110)를 막기 위해, 메인바디(200)의 상단부, 즉 원형링(250) 쪽을 파지한 상태에서 메인바디(200)의 하단을 입구(110)에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상기 원형링(250)의 상단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 주면, 입구(110)의 내주면과 면접촉하는 밀폐부재(300)가 도 1의 도시와 같이 탄성변형되면서 입구(110) 속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0)에 가해진 압력은 내부 중공형 메인바디(200)에도 전달되게 되며, 가장 강한 힘을 받는 접촉부 하방측은 반대로 약간 부풀어 오르는 변형이 유발되기 때문에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강한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메인바디(200)에 원형돌기(230)와 결합홈(310)간 결합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거의 일체를 유지하므로 밀폐부재(300)가 단독으로 아이들하게 유동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밀폐부재(300)의 밀폐력은 증진되고, 반대로 재개봉시에는 약간의 힘만 상방향으로 가하게 되면 마개의 형상이 원뿔대로서 상승 반력이 크기 때문에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밀폐부재(300)와 메인바디(200)의 탄성변형에 의한 걸림작용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마개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제조하기 쉽고, 비용도 저렴하며, 외관 품위도 뛰어나 인테리어를 겸한 밀봉용으로 활용하기에 매우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와인병 110: 입구
200: 메인바디 210: 제1바디
220: 제2바디 230: 원형돌기
240: 걸림턱부 250: 원형링
260: 고정턱 270: 띠형 장식
300: 밀폐부재 310: 결합홈
400: 장식구 410: 홈

Claims (5)

  1.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메인바디(200);
    상기 메인바디(200)의 하단에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메인바디(200)와 동일형상으로 하향연장된 걸림턱부(240);
    상기 메인바디(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끼워진 다음 상기 걸림턱부(240)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외주면을 유지하는 신축성있는 밀폐부재(300);
    상기 메인바디(200)의 상단에 형성된 원형링(250);을 포함하고,
    상기 원형링(250)의 하단에는 둘레방향으로 고정턱(26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60)에는 띠형 장식이 끼워져 상기 밀폐부재(300)와 상기 원형링(250) 사이를 구별하며,
    상기 메인바디(2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원형돌기(230)가 둘레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폐부재(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형돌기(230)가 끼워지는 원형돌기 결합홈(310)이 요입 형성되어 상호 긴밀히 조립고정되고,
    상기 원형링(250)은 내경의 폭 중앙에 리브(252)가 내경을 따라 원형상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리브(252)의 내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54)가 돌출되어 분할된 한 쌍의 장식구(400)가 결합되되, 상기 장식구(400)에는 상기 돌기(254)가 끼워지도록 홈(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22790A 2012-11-01 2012-11-01 와인 마개 KR10141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90A KR101413090B1 (ko) 2012-11-01 2012-11-01 와인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790A KR101413090B1 (ko) 2012-11-01 2012-11-01 와인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46A KR20140055646A (ko) 2014-05-09
KR101413090B1 true KR101413090B1 (ko) 2014-07-01

Family

ID=5088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790A KR101413090B1 (ko) 2012-11-01 2012-11-01 와인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254A (ko) 2020-12-30 2022-07-07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인병 마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910U (ja) * 1997-01-24 1997-08-05 四男美 笹山 組み立て栓抜き
KR200365730Y1 (ko) * 2004-07-20 2004-10-22 김승준 병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910U (ja) * 1997-01-24 1997-08-05 四男美 笹山 組み立て栓抜き
KR200365730Y1 (ko) * 2004-07-20 2004-10-22 김승준 병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254A (ko) 2020-12-30 2022-07-07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인병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646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KR101431423B1 (ko)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PL2361844T3 (pl) Zespół zamknięcia z zaworem i sposób jego wytwarzania
WO2009064333A3 (en) Two-piece expandable sealing plug
CA2805141A1 (en) Closure for a container
RU2009109099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бутылок, включающее две сцепленные друг с другом детали, надетые одна на другую
KR101268157B1 (ko)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EP1934106A4 (en) CLOSURE ASSEMBLY FOR CONTAINERS
US7229229B2 (en) Liquid dispenser
KR101413090B1 (ko) 와인 마개
WO2007137016A3 (en) Beverage bottle closure having cap, cover, and confection
CN210455770U (zh) 一种带弹簧内盖的瓶口螺旋盖结构
KR200487836Y1 (ko) 밀폐력이 향상된 콤팩트용기
KR20100007307U (ko)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KR200455368Y1 (ko) 화장품 용기용 숄더
KR20046575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EP1650136A2 (en) Closure for bottles in general and particularly for nails polish bottles
KR101849550B1 (ko) 안전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3127378U (ja) ボトルの栓
CN220077220U (zh) 储物瓶盖及包装瓶
ITPD20130205A1 (it) Borraccia sportiva e particolarmente per il ciclismo
CN206172146U (zh) 一种带卡扣的瓶子
CN114671389B (zh) 一种用于取液的通断结构和取液组件
KR200477182Y1 (ko) 밀폐날개가 형성된 패킹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17261837U (zh) 一种瓶口封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