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923B1 -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923B1
KR101412923B1 KR1020097002413A KR20097002413A KR101412923B1 KR 101412923 B1 KR101412923 B1 KR 101412923B1 KR 1020097002413 A KR1020097002413 A KR 1020097002413A KR 20097002413 A KR20097002413 A KR 20097002413A KR 101412923 B1 KR101412923 B1 KR 10141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ms
polymer
same
differen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812A (ko
Inventor
아르네 뷔징
홀거 하일
오렐리 루데망
닐스 슐테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2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6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alogen
    • C07C49/69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26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 C07C17/263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by condensation reactions
    • C07C17/269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involv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n the skeleton by condensation reactions of only 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5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reactions not affecting the number of carbon or of halogen atoms in th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04Ortho- or peri-condensed ring systems
    • C07D221/18Ring systems of four or mor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07D311/80Dibenzopyrans; Hydrogenated dibenzopy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1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organic 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 C08G2261/324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 C08G2261/324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oxygen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benzofura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 C08G2261/3243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benzothiop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 C08G2261/324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densed containing only one kind of heteroatoms other than N, O, 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16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33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5Heterocyclic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58Heterocyclic containing sulfur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66Heterocyclic containing nitro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91Heterocyclic containing other combinations of hetero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적 단위를 함유하는 전계발광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특히 중합체성 유기 광 방사 다이오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개선된 효율 및 연장된 수명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7243245-pct00014
전계발광 중합체

Description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ELECTROLUMINESCENT POLYMER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구조적 단위를 함유하는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특히 중합체성 유기 광 방사 다이오드에서 사용시 개선된 효율 및 연장된 수명을 나타낸다.
중합체성 (유기) 광 방사 다이오드 (PLED) 기재의 디스플레이 및 조명 요소의 상품화로의 광범위한 연구가 10년 넘게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발달은 WO 90/13148 A1에 개시된 기본적 진전에 의해 유발되었다. 단순하기는 하나 최초인 생성물 (PHILIPS N.V.로부터의 면도기의 작은 디스플레이)이 또한 최근 시판되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서 우세한 액정 디스플레이 (LCD)에 대한 진정한 경쟁자인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물질에서의 큰 개선이 여전히 필요하다.
세 가지의 모든 방사색을 제조하기 위해, 특정 공단량체를 상응하는 중합체로 공중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WO 00/046321 A1, WO 03/020790 A2 및 WO 02/077060 A1을 참조). 이러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청색 방사 기본 중합체 ("주쇄")에서 출발하여, 두 개의 다른 1차 색인 적색 및 녹색을 제조할 수 있 다.
총천연색 디스플레이 요소를 위해 이미 제안되고 개발된 중합체는 다양한 집단의 물질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폴리플루오렌 유도체 및 폴리스피로바이플루오렌, 폴리디하이드로페난트렌 및 폴리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 모두가 적합하다. 상기 구조적 요소의 조합을 함유하는 중합체가 또한 이미 제안되었다. 또한, 구조적 요소로서 폴리-파라-페닐렌 (PPP)을 함유하는 중합체가 사용된다.
일부 경우에서 당업계에 따른 중합체는 이미 PLED에서 사용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미 획득된 향상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중합체는 이를 고품질 적용을 위해 제조하는 요구 사항에는 부응하지 못한다.
특히, 녹색 특히 청색 방사 중합체의 수명은 많은 적용에 대해 여전히 불충분하다. 이는 적색 방사 중합체의 효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놀랍게도, 상기 언급한 당업계에서보다 뛰어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갖는 신규한 집단의 중합체가 이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중합체 및 PLED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신규한 구조적 단위는 특히 중합체 주쇄로서 적합하나, 치환 패턴에 따라 또한 정공 도체, 전자 도체 및/또는 방사체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1
[식 중,
R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각각은 R1 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1, -O-, -S-, -O-CO-O-, -CO-O-, -CR1=CR1-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Cl, Br, I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 또는 2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시스템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 여기서 두 개의 라디칼 R은 또한 서로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단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R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모두가 H는 아니고;
R1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2, -O-, -S-, -O-CO-O-, -CO-O-, -CR2=CR2-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Cl, Br, I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옥시 또는 헤테로아릴옥시기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둘 이상의 라디칼 R1은 또한 서로 및/또는 R과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 또는 F, Cl, Br, I, CN, N(R2)2, Si(R2)3 또는 B(R2)2이고;
R2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또는 1 내지 20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B, C, N, O, P, S, Se, P=O, S=O 또는 SO2 이고;
n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1, 2 또는 3이고;
m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1 또는 2이고;
화학식 (1) 및 다른 모든 화학식에서의 점선 결합은 중합체에서의 연결을 나타냄 (이는 여기서 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음)].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a)의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a)]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2
[식 중,
R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각각은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1, -O-, -S-, -O-CO-O-, -CO-O-, -CR1=CR1-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Cl, Br, I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 또는 2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시스템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 여기서 두 개의 라디칼 R은 또한 서로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단 바람직하게는 라디칼 R 중 하나 이상 또는 둘 모두가 H는 아니고;
R1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2, -O-, -S-, -O-CO-O-, -CO-O-, -CR2=CR2-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Cl, Br, I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옥시 또는 헤테로아릴옥시기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라디칼 R1 중 둘 이상은 또한 서로 및/또는 R과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 또는 F, Cl, Br, I, CN, N(R2)2, Si(R2)3 또는 B(R2)2이고;
R2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또는 1 내지 20개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B, C, N, O, P, S, Se, P=O, S=O 또는 SO2이고;
G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며, 1군, 2군, 3군, 4군, 5군, 6군, 7군 또는 1군 내지 7군 중 복수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2가 단위를 나타내고;
n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1, 2 또는 3이고;
m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1 또는 2이고;
p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또는 1이고;
화학식 (1a) 및 다른 모든 화학식에서의 점선 결합은 중합체에서의 연결을 나타냄 (이는 여기서 메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음)].
이것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하더라도, 화학식 (1) 및 (1a)의 구조적 단위가 비대칭적으로 치환 (즉, 상이한 치환기 R 또는 R1이 단일 단위에 존재할 수 있음)될 수 있다는 것이 여기서 다시 명백하게 지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시스템은 각각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기만을 반드시 함유할 필요는 없고, 그 대신 복수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기가 또한 짧은 비방향족 단위 (H 이외의 원자 중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H 이외의 원자 중 5% 미만), 예컨대 sp3-혼성화된 C, O, N 등에 의해 방해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하도록 취해지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9,9'-스피로바이플루오렌, 9,9-디아릴플루오렌, 트리아릴아민 등과 같은 시스템이 또한 본원에서의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의미하도록 취해지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통상 5 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mol% 이상 및 특히 50 mol% 이상의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를 함유한다. 화학식 (1) 또는 (1a)의 상이한 단위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화학식 (1) 및 (1a)의 모든 단위의 합은 상기 언급한 범위에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학식 (1) 및 (1a)의 개별적 단위의 함량은 또한 5 mol% 미만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공액 또는 부분 공액 중합체이다.
본원의 목적을 위해, 공액 중합체는 주쇄에 주로 sp2-혼성화된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데, 이는 또한 상응하는 헤테로원자로 대체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 이는 주쇄에서의 이중 및 단일 결합이 교대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공액 간섭을 야기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결점이 "공액 중합체"라는 용어를 평가 절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액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아릴아민 단위 및/또는 특정 헤테로사이클 (즉 N, O 또는 S 원자를 통한 공액) 및/또는 유기금속성 착물 (즉 금속 원자를 통한 공액)이 주쇄에 위치하는 경우 본원의 본문에서 사용된다.
반대로, 예를 들어 단순 알킬 브릿지, (티오)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이미드 연결과 같은 단위는 비공액 부분으로서 분명하게 정의된다. 부분 공액 중합체는, 주쇄에서의 연장된 공액 구획이 비공액 구획에 의해 간섭되거나 또는 주쇄에서 비공액인 중합체의 측쇄에서의 연장된 공액 구획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의미하도록 취해지는 것으로 의도된다.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그 중에서도, WO 02/077060 A1 및 DE 10337346 A1에 개시되며 광범위하게 나열된다. 이는 참고 문헌으로써 본원의 일부로 간주된다. 다른 구조적 단위는, 예를 들어 하기의 집단에서 유래할 수 있다:
1군: 중합체의 정공-주사 및/또는 -수송 특성을 강화시키는 단위;
2군: 중합체의 전자-주사 및/또는 -수송 특성을 강화시키는 단위;
3군: 1군 및 2군의 개별적 단위의 조합을 갖는 단위;
4군: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이 수득될 수 있는 정도로 방사 특성을 개질시키는 단위;
5군: 소위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를 개선시키는 단위;
6군: 생성된 중합체의 형태 및/또는 방사색에 영향을 미치는 단위;
7군: 주쇄로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단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구조적 요소가 전하-수송 특성을 갖는 (즉 1군 및/또는 2군의 단위를 함유함) 것이다.
정공-수송 특성을 갖는 1군의 구조적 요소는, 예를 들어 트리아릴아민, 벤지딘, 테트라아릴-파라-페닐렌디아민, 트리아릴포스핀,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디하이드로페나진, 티안트렌, 디벤조-파라-디옥신, 페녹사티인, 카르바졸, 아줄렌, 티오펜, 피롤 및 푸란 유도체 및 추가적으로, 높은 HOMO (HOMO = 최고 점유 분자 궤도)를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이다. 이러한 아릴아민 및 헤테로사이클은 바람직하게는, -5.8 eV 초과 (진공 수준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eV 초과의 중합체에서의 HOMO를 야기한다.
전자-수송 특성을 갖는 2군의 구조적 요소는, 예를 들어 피리딘, 피리미딘, 피리다진, 피라진, 옥사디아졸, 퀴놀린, 퀴녹살린 및 페나진 유도체 뿐 아니라 트리아릴보란 및 추가적으로, 낮은 LUMO (LUMO = 최저 비점유 분자 궤도)를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이다. 중합체에서의 이러한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2.7 eV 미만 (진공 수준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eV 미만의 LUMO를 야기한다.
정공 이동성 및 전자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즉 1군 내지 2군의 단위) 구조인 3군의 단위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서로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단위의 일부는 방사체로서 역할하고 방사색을 녹색, 황색 또는 적색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의 용도는, 예를 들어 본래의 청색 방사 중합체로부터 다른 방사색을 제조하기 위해 적합하다.
4군의 구조적 요소는, 심지어 실온에서조차도 높은 효율로 삼중항 상태로부터 광을 방사할 수 있다 (즉,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종 에너지 효율에서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것은, 36 초과의 원자 번호를 갖는 중원자를 함유하는 최초의 화합물이다. 상기 언급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d 또는 f 전이 금속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여기서, 8족 내지 10족의 원자 (Ru, Os, Rh, Ir, Pd, Pt)를 함유하는 상응하는 구조적 단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위해 적합한 구조적 단위는, 예를 들어 WO 02/068435 A1, DE 10116962 A1, EP 1239526 A2 및 DE 10238903 A1에 기재된 것과 같은 다양한 착물이다. 상응하는 단량체가 WO 02/068435 A1 및 DE 10350606 A1에 기재된다.
5군의 구조적 요소는,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를 개선시키고, 4군의 구조적 요소를 지지하는데 사용되어 이러한 구조적 요소의 인광 특성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것은, 특히 DE 10304819 A1 및 DE 10328627 A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카르바졸 및 브릿지된 카르바졸 이량체 단위이다. 또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것은, DE 10349033 A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케톤, 포스핀 산화물, 설폭시드 및 유사 화합물이다.
상기 언급한 것들 외에도, 중합체의 형태 및/또는 방사색에 영향을 미치는 6군의 구조적 요소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방향족 또는 다른 공액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언급한 군 (즉 전하-운반체 이동성에 단지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군)에 해당되지 않고, 유기금속성 착물이 아니거나 또는 단일항-삼중항 전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적 요소는 생성된 중합체의 형태 및/또는 방사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위에 따라, 이는 따라서 방사체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6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구조, 또는 톨란, 스틸벤 또는 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 (각각은 하나 이상의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가 바람직하다. 특히, 1,4-페닐렌, 1,4-나프틸렌, 1,4- 또는 9,10-안트릴렌, 1,6-, 2,7- 또는 4,9-피레닐렌, 3,9- 또는 3,10-퍼릴레닐렌, 4,4'-바이페니릴렌, 4,4''-터페니릴렌, 4,4'-바이-1,1'-나프티릴렌, 4,4'-톨라닐렌, 4,4'-스틸베닐렌 또는 4,4''-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의 혼입이 바람직하다.
7군의 구조적 요소는, 6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구조를 함유하는 단위이며, 이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주쇄로서 사용된다. 이는, 예를 들어 4,5-디하이드로피렌 유도체, 4,5,9,10-테트라하이드로피렌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9,9'-스피로바이플루오렌 유도체, 9,10-디하이드로페난트렌 유도체, 5,7-디하이드로디벤조옥세핀 유도체 및 시스- 및 트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이다. 그러나,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의 비율이 특히 50 mol% 이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7군의 구조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주요 중합체 주쇄로서 사용되지 않고, 기껏해야 작은 비율로 존재하는 주쇄로서 사용된다.
화학식 (1) 또는 (1a)의 구조적 단위 외에도 또한 동시에 추가적으로 1 내지 7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동시에 존재할 군으로부터의 하나 초과의 구조적 단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mol% 이상 및 특히 50 mol% 이상이다. 특히,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가 중합체 주쇄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다른 관능기의 경우, 다른 비율, 예를 들어 전계발광 중합체에서의 정공 도체 또는 방사체의 경우 약 5 내지 20 mol%의 비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적용, 예를 들어 유기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비율은 예를 들어 정공- 또는 전자-전도 단위의 경우 100 mol% 이하로 다시 상이해질 수 있다.
화학식 (1) 또는 (1a)의 구조적 단위 외에도, 또한 상기 언급한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단위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둘 이상의 구조적 단위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한 것 중 상이한 집단으로부터의 것이다.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구조적 요소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서 5 mol%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서 10 mol% 이상이다. 특히, 이러한 구조적 단위 중 하나는 정공-전도 단위의 군에서 선택되고 다른 군은 방사 단위인데, 여기서 이러한 두 관능 (정공 전도 및 방사)은 또한 동일한 단위에 의해 취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방사 단위 특히 녹색- 및 적색-방사 단위의 작은 비율이 또한 예를 들어 백색-방사 공중합체의 합성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백색-방사 공중합체를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은 DE 10343606 A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0 및 특히 50 내지 2000 반복 단위를 갖는다.
중합체의 필수 용해도는, 무엇보다도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 상, 및 임의로는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단위 상 치환기 R 및 R1에 의해 보장된다. 추가적인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는 또한 용해도에 기여할 수 있다.
충분한 용해도를 보장하기 위해, 반복 단위 당 평균 2개 이상의 비방향족 C 원자가 치환기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4개 이상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C 원자가 바람직하다. 이의 개별적 C 원자는 또한 O 또는 S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반복 단위의 특정 비율이 임의 추가적인 비방향족 치환기를 갖지 않음을 의미하도록 하는 것이 완전히 가능하다.
필름의 형태를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선형 사슬에서 12개 초과의 C 원자를 갖는 긴 사슬 치환기를 갖지 않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개 초과의, 특히 6개 초과의 C 원자를 갖는 긴 사슬 치환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방향족 C 원자는, 예를 들어 화학식 (1) 또는 (1a)의 R 및 R1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응하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알콕시 사슬로 존재한다.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R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1 내지 25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5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5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1, -O-, -S-, -O-CO-O-, -CO-O-, -CH=CH-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2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 또는 2 내지 20개 C 원자를 갖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시스템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 여기서 두 라디칼 R은 또한 서로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2, -O-, -S-, -O-CO-O-, -CO-O-, -CH=CH-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옥시 또는 헤테로아릴옥시기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라디칼 R1 중 둘 이상은 또한 서로 및/또는 R과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 또는 F, Cl, Br, I, CN, N(R2)2, Si(R2)3 또는 B(R2)2이고;
X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B, C, N, O, P, S, P=O, S=O 또는 SO2이다.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R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4 내지 20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분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 사슬,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지형 알킬 사슬이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1, -O-, -S-, -O-CO-O-, -CO-O-, -CH=CH-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여기서 두 라디칼 R은 또한 서로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X는 각각의 경우 C이고;
p는 숫자 0을 나타낸다.
지방족 라디칼 R에 대한 바람직함은 생성된 중합체의 보다 더 우수한 용해도 및 더 우수한 합성 접근용이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치환 패턴에 따라,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는 중합체에서의 다양한 기능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전자-전도) 중합체 주쇄, 정공 도체 또는 방사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7,7'-위치에서 대칭적으로 치환되는,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함은 단량체의 더 우수한 합성 접근용이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에서의 모든 R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동일하게 치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1) 또는 (1a)의 바람직한 단위의 예는, 각각의 경우 중합체의 연결이, 점선 결합에 의해 나타내는 것과 같이 3,9-위치를 통해 일어나는 하기의 구조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가능한 치환기는 일반적으로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모든 곳에 나타내지 않았다. R에 대해 기재한 것과 같이, 여기서 알킬은 일반적으로 지방족 알킬기를 나타내고, 아릴은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시스템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3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4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1) 또는 (1a)의 하나 이상의 구조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구조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1군 내지 7군으로부터의 구조)를 잠재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무작위한, 교체 또는 블럭성 구조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한 교대 배열에서 복수의 이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블럭성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은, 예를 들어 DE 10337077 A1에 자세히 기재된다. 이러한 공개 명세서는 참고 문헌으로써 본원의 일부이다.
용해도, 고체상 형태, 색, 전하-주사 및 -수송 특성, 온도 안정성, 전자광학 특징 등과 같은 특성은, 복수의 상이한 구조적 요소의 사용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의 유형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단량체는 중합체에서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를 야기한다. 상응하는 많은 중합 반응이 기본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C-C 또는 C-N 연결을 야기하는 하기의 일부 유형이 여기서 특히 성공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A) 스즈키 중합;
(B) 야마모토 중합;
(C) 스틸레 중합;
(D) 하르트위그-부흐발트 (HARTWIG-BUCHWALD) 중합.
중합이 이러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방법 및, 중합체가 반응 매질로부터 분리 및 정제될 수 있는 방법은, 예를 들어 DE 10249723 A1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중합체에서 화학식 (1)의 구조적 단위를 야기하는 단량체는, 3,9-위치에 적합한 관능기를 가지며 이러한 단량체 단위가 중합체로 혼입되도록 하는 유도체이다. 또 다른 연결이 필요한 경우, 관능기는 상응하게 개질되어야 한다.
중합체에서 화학식 (1) 또는 (1a)의 단위를 야기하는 단량체는 신규하며,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의 소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동일 또는 상이하게, 두 관능기 A가 C-C 또는 C-N 연결 반응의 조건 하 공중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2a)의 이관능적 단량체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5
[화학식 (2a)]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6
[여기서, 다른 기호 및 지수는 화학식 (1) 또는 (1a)에 관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짐].
A는 바람직하게는 Cl, Br, I, O-토실레이트, O-트리플레이트, O-SO2R2, B(OR2)2 Sn(R2)3, 특히 바람직하게는 Br, I 및 B(OR2)2에서 선택되며, R2는 상기 언급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둘 이상의 라디칼 R2는 또한 서로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C-C 연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스즈키 커플링, 야마모토 커플링 및 스틸레 커플링의 군에서 선택되고; C-N 연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하르트위그-부흐발트 커플링이다.
화학식 (1) 또는 (1a)의 구조적 단위에 대해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은 동일한 선호가 화학식 (2) 또는 (2a)의 이관능적 단량체성 화합물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순수 물질로서가 아니라, 그 대신에 임의의 원하는 추가적인 중합체성, 올리고머성, 수지상적 또는 저분자량 물질과 함께 혼합물 (배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자적 특성을 개선시키고,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그 자체로 단일항 상태 또는 삼중항 상태로부터 광을 방사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형성된 중합체 필름의 형태 또는 중합체 용액의 점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전자적 불활성 물질이 또한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배합물의 용액 및 제형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예를 들어 WO 02/072714 A1, WO 03/019694 A2 및 그에 인용된 문헌에 기재된다. 이러한 용액은, 예를 들어 표면 코팅법 (예를 들어 스핀 코팅) 또는 프린팅 방법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팅)으로 중합체 박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PLED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캐소드, 애노드, 방사 층 및 임의의 추가적인 층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정공-주사층 및 임의로는 정공-주사층 및 방사층 사이의 중간층을 포함한다. PLED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DE 10304819 A1에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자세히 기재되는데, 이는 개별적 경우에 대해 상응하여 적합하게 되어야 한다.
상기 기재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PLED 또는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디스플레이에서의 전계발광 물질로서 매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전계발광 물질은 PLED에서의 활성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도록 취해진다. 활성층은 전기장 (광 방사층)의 적용 상에서 광을 방사할 수 있고/있거나, 양전하 및/또는 음전하의 주사 및/또는 수송을 개선시키는 층 (전하-주사 또는 전하-수송층)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정공-주사층 및 방사층 사이의 중간층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PLED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특히 전계발광 물질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활성층을 갖는 PLED에 관한 것인데, 여기서 이러한 활성층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층은, 예를 들어 광 방사층 및/또는 수송층 및/또는 전하-주사층 및/또는 중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최근의 선행 기술로 일컬어지는 WO 03/020790 A2 및 WO 02/077060 A1에 기재된 폴리스피로바이플루오렌 및 폴리플루오렌을 넘어서는 하기의 놀라운 장점을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다른 경우 동일 또는 유사한 조성물)가 적용물에서 더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특히, 청색 방사를 나타내는 공중합체에 적용된다. 따라서 동일한 발광이 더 낮은 에너지 소비로 획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대단히 중요한데, 이는 특히 표준 또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에 의존하는 휴대기기 적용 (휴대폰, 호출기, PDA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에서 매우 중요하다. 반대로, 동일한 에너지 소비로 더 높은 발광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조명 적용을 위해 흥미로운 것일 수 있다.
(2) 또한 놀랍게도, 특히 녹색- 및 청색-방사 PLED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연장된 작동 수명을 갖는다는 것이 직접적인 비교에서 다시 발견되었다.
(3) 전자-전도 공단량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우수한 전자 도체이다. 선행 기술에 따른 많은 전자 전도체가 고품질 적용을 위해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제까지는 중합체에서의 전자-전도 특성이 획득되기가 어려웠다.
본원의 본문 및 또한 하기의 실시예는, PLED 및 상응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또는 배합물의 용도를 유도한다. 설명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적용만 언급한다면, 당업자가 추가적인 발명 단계없이 다른 전자 소자 {예를 들어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태양 전지 (O-SC) 또는 또한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laser)}에서의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출원은 또한, 상응하는 소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용도 및 이러한 소자 자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제적인 실시예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나,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9- 디브로모 -7,7-디메틸-7H- 벤조[데]안트라센의 제조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7
1.1. 3,9-디브로모벤조[데]안트라센-7-온의 제조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8
50 g (217 mmol)의 벤즈안트론을 800 ml의 니트로벤젠에 최초로 도입하고 90 ℃의 내부 온도로 만들었다. 100 ml의 니트로벤젠에 용해시킨 25 ml (490 mmol)의 브롬을 3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150℃의 내부 온도로 가열하였다. 2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00 ml의 EtOH를 적가하고, 황색 침전물을 흡입 여과하고, 다량의 EtOH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49.7 g (59%)의 디브롬화된 생성물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1.2. 3,9-디브로모-7H-벤조[데]안트라센의 제조
Figure 112009007243245-pct00009
37.17 g (81.7 mmol)의 디브로모벤즈안트론 및 10.9 g (81.7 mmol)의 AlCl3을 가열 건조된 장치 안의 330 ml의 건조 디에틸 에테르에 N2 하 최초로 도입하였다. 이후 400 ml의 에테르 중 3.1 g (81.7 mmol)의 LiAlH4를 (얼음 냉각 전 N2 하에 용해 또는 현탁되었음) 얼음 냉각하면서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었을 때, 혼합물을 추가적인 60분 동안 비등에서 가열하였다.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를 얼음 냉각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그 후 100 ml의 6M HCl을 조심스럽게 적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흡입 여과하고, 1M HCl 및 MeOH로 세척하고 흡입 건조시켜 25.6 g (84%)의 담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1.3. 3,9-디브로모-7,7-디메틸-7H-벤조[데]안트라센의 제조
Figure 112009007243245-pct00010
26 g (69 mmol)의 3,9-디브로모-7H-벤조[데]안트라센을 70℃에서 280 ml의 건조된 DMSO에 용해시키고, 40 g (416 mmol)의 NaOtBu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80℃의 내부 온도로 가열하였다. 25.9 ml (416 mmol)의 메틸 요디드를 이 온도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1시간, 90℃ 미만의 온도). 이후 내부 온도를 추가적인 1.5시간 동안 80 내지 90℃에서 고정시켰다. 냉각된 뱃치 (batch)를 1000 ml의 냉수에 붓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흡입 여과하고, 물 및 MeOH로 세척하고 톨루엔으로부터 6회 재결정화하여, 77% (21.4 g)의 수율로 99.9% 초과의 순도를 갖는 담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추가적인 단량체의 합성
하기 기재한 추가적인 단량체 M2 내지 M5의 합성은 WO 03/020790 및 그에 인용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9007243245-pct00011
실시예 3: 중합체의 합성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비교 중합체를 WO 03/048225에 기재한 것처럼 스즈키 커플링으로 합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중합체 P1 및 P2 및 비교 중합체 C1 및 C2의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중합체 C1 및 C2는 중합체에서의 화학식 (1)의 단위를 야기하는 단량체 M1과는 상이한 단량체를 갖는다.
실시예 4: PLED 의 제조
PLED에서의 사용을 위해 중합체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경우 PLED는 이중층 시스템, 즉 기판//ITO//PEDOT//중합체//캐소드였다. PEDOT은 폴리티오펜 유도체 (Baytron P, H.C. Starck, Goslar 사제)였다. 모든 경우에 사용된 캐소드는 Ba/Ag (Aldrich)였다. PLED를 제조하는 방법은 WO 04/037887 및 그에 인용되는 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5 내지 8: 소자 예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P1 및 P2의 PLED에서의 사용에서 수득한 결과를 또한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 중합체 C1 및 C2를 사용하여 수득한 전계발광 결과도 나타내었다.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효율은 비교 중합체의 효율보다 더 우수하였다. 방사색은 유사하고, 수명은 이를 고려할 때 상당히 개선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가 선행 기술에 따른 중합체보다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중합체 단량체 최대 효율/
cd/A
U@100
cd/m2 / V
CIE x/ya 수명b/시간
5 P1 10% M1
50% M2
20% M3
10% M4
10% M5
7.7 2.8 0.16/0.24 400
6 P2 2% M1
50% M2
46% M3
2% M5
6.02 3.3 0.15/0.19 1200
7 C1 50% M2
30% M3
10% M4
10% M5
4.66 3.9 0.17/0.30 180
8 C2 50% M2
46% M3
2% M4
2% M5
4.70 4.7 0.17/0.26 449
a CIE 좌표: 국제조명위원회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1931 의 색 좌표
b 수명: 휘도가 초기 휘도 400 cd/m2의 50%로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

Claims (22)

  1. 하기 화학식 (1)의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3097955025-pct00012
    [식 중,
    R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각각은 R1 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1, -O-, -S-, -O-CO-O-, -CO-O-, -CR1=CR1-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Cl, Br, I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 또는 2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시스템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 여기서 두 개의 라디칼 R은 또한 서로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2, -O-, -S-, -O-CO-O-, -CO-O-, -CR2=CR2-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Cl, Br, I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옥시 또는 헤테로아릴옥시기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라디칼 R1 중 둘 이상은 또한 서로, R과, 또는 서로 및 R과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 또는 F, Cl, Br, I, CN, N(R2)2, Si(R2)3 또는 B(R2)2이고;
    R2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또는 1 내지 20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B, C, N, O, P, S, Se, P=O, S=O 또는 SO2 이고;
    n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1, 2 또는 3이고;
    m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0, 1 또는 2이고;
    점선 결합은 중합체에서의 연결을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공액 또는 부분 공액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단위 외에도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정공-주사, 정공-수송, 또는 정공-주사 및 정공-수송 특성을 강화시키는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트리아릴아민, 벤지딘, 테트라아릴-파라-페닐렌디아민, 트리아릴포스핀, 페노티아진, 페녹사진, 디하이드로페나진, 티안트렌, 디벤조-파라-디옥신, 페녹사티인, 카르바졸, 아줄렌, 티오펜, 피롤 및 푸란 유도체 및 추가적으로, 높은 HOMO를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전자-주사, 전자-수송, 또는 전자-주사 및 전자-수송 특성을 강화시키는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피리딘, 피리미딘, 피리다진, 피라진, 옥사디아졸, 퀴놀린, 퀴녹살린 및 페나진 유도체 뿐 아니라 트리아릴보란 및 추가적으로, 낮은 LUMO를 갖는 O-, S- 또는 N-함유 헤테로사이클의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제 4 항 및 제 5 항에 따른 개별적 단위의 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전계형광 대신 전계인광이 수득될 수 있는 정도로 방사 특성을 개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항 상태에서 삼중항 상태로의 전이를 개선시키는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카르바졸 및 브릿지된 카르바졸 이량체 단위, 케톤, 포스핀 산화물, 설폭시드, 설폰 및 실란 유도체의 집단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9.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형태, 방사색, 또는 형태 및 방사색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1,4-페닐렌, 1,4-나프틸렌, 1,4- 또는 9,10-안트릴렌, 1,6-, 2,7- 또는 4,9-피레닐렌, 3,9- 또는 3,10-퍼릴레닐렌, 4,4'-바이페니릴렌, 4,4''-터페니릴렌, 4,4'-바이-1,1'-나프티릴렌, 4,4'-톨라닐렌, 4,4'-스틸베닐렌 및 4,4''-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의 집단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10.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주쇄로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구조적 요소가 4,5-디하이드로피렌 유도체, 4,5,9,10-테트라하이드로피렌 유도체, 플루오렌 유도체, 9,9'-스피로바이플루오렌 유도체, 9,10-디하이드로페난트렌 유도체, 5,7-디하이드로디벤조옥세핀 유도체 및 시스- 및 트랜스-인데노플루오렌 유도체의 집단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단위의 비율이 5 mo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단위가 3,9-연결을 통해 중합체에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에서,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R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1 내지 25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5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5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1, -O-, -S-, -O-CO-O-, -CO-O-, -CH=CH-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4 내지 20개 C 원자를 갖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기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음); 여기서 두 라디칼 R은 또한 서로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또는 지방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H, 1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 사슬,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 사슬 또는 3 내지 22개 C 원자를 갖는 고리형 알킬 사슬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비인접한 C 원자는 =N-R2, -O-, -S-, -O-CO-O-, -CO-O-, -CH=CH- 또는 -C≡C-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또한, 하나 이상의 H 원자는 F 또는 CN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 또는 5 내지 40개 C 원자를 갖는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옥시 또는 헤테로아릴옥시기이고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비방향족 라디칼 R1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라디칼 R1 중 둘 이상은 또한 서로, R과, 또는 서로 및 R과 추가적인 모노- 또는 폴리시클릭, 지방족 또는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 또는 F, Cl, Br, I, CN, N(R2)2, Si(R2)3 또는 B(R2)2이고;
    X는 각각의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하게, B, C, N, O, P, S, P=O, S=O 또는 SO2임.
  14. 두 관능기 A가 동일 또는 상이하고, C-C 또는 C-N 연결 반응의 조건 하 공중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의 이관능적 단량체성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09007243245-pct00013
    [여기서, 다른 기호 및 지수는 제 1 항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A가 Cl, Br, I, O-토실레이트, O-트리플레이트, O-SO2R2, B(OR2)2 Sn(R2)3 (여기서 R2는 제 1 항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둘 이상의 라디칼 R2는 또한 서로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2)의 이관능적 단량체성 화합물.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C-C 연결 반응이 스즈키 커플링, 야마모토 커플링 및 스틸레 커플링의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C-N 연결 반응이 하르트위그-부흐발트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2)의 이관능적 단량체성 화합물.
  17. 중합체성 물질, 올리고머성 물질, 수지상적 물질 및 저분자량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물질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 (배합물).
  1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제 17 항에 따른 배합물의,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의 용액 및 제형.
  19. 삭제
  20. 활성층 중 하나 이상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중합체 또는 제 17 항에 따른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활성층을 갖는 유기 전자 성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광 방사 다이오드 (PLED), 유기 집적 회로 (O-IC),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OFET),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OTFT), 유기 태양 전지 (O-SC) 또는 유기 레이저 다이오드 (O-la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 성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광 방사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 성분.
KR1020097002413A 2006-07-11 2007-06-22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KR101412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1991A DE102006031991A1 (de) 2006-07-11 2006-07-11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und ihre Verwendung
DE102006031991.5 2006-07-11
PCT/EP2007/005500 WO2008006454A1 (de) 2006-07-11 2007-06-22 Elektrolumineszierende polymere und ihre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812A KR20090028812A (ko) 2009-03-19
KR101412923B1 true KR101412923B1 (ko) 2014-06-26

Family

ID=3847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413A KR101412923B1 (ko) 2006-07-11 2007-06-22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90057B2 (ko)
EP (1) EP2038241B1 (ko)
JP (1) JP5657250B2 (ko)
KR (1) KR101412923B1 (ko)
CN (1) CN101489961B (ko)
AT (1) ATE485254T1 (ko)
DE (2) DE102006031991A1 (ko)
TW (1) TW200819474A (ko)
WO (1) WO2008006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7150B2 (ja) * 2005-11-11 2014-11-05 住友化学株式会社 共役高分子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EP2443212A1 (en) * 2009-06-15 2012-04-25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Pyrene-based polymer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KR20110104765A (ko) * 2010-03-17 2011-09-23 다우어드밴스드디스플레이머티리얼 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RU2572414C2 (ru) * 2013-08-29 2016-0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химической физики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ПХФ РАН) Органическое люминесцентное вещество на основе производных пирена и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это вещество
KR101759238B1 (ko) 2013-09-05 2017-07-18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 광전자 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광전자 소자 및 상기 유기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20425B1 (ko) 2014-03-10 2021-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CN103992801B (zh) * 2014-05-23 2015-07-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7-氢苯并[de]蒽类液晶化合物及其液晶组合物
CN104017585B (zh) * 2014-05-29 2015-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化合物、液晶组合物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
CN104017586B (zh) * 2014-05-29 2015-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化合物、液晶组合物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
CN107615509B (zh) * 2015-05-29 2019-11-0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装置、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照明装置
KR102032023B1 (ko) 2016-09-09 2019-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CN106519733B (zh) * 2016-09-18 2018-01-09 大连理工大学 一类含3位取代基的苯绕蒽酮液晶染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108484656B (zh) * 2018-06-01 2020-05-05 华侨大学 一种四配位三芳基硼化合物的制备方法
CN111808125B (zh) * 2020-07-07 2023-03-0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化合物、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067A (ja) 2005-04-28 2006-11-09 Otis:Kk 携帯用局部洗浄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9011D0 (en) 1989-04-20 1989-06-07 Friend Richard H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1021397A4 (en) * 1997-03-05 2000-10-04 Trimeris Inc BENZOTHRONE COMPOUNDS AND ITS ANTIVIRAL USES
CA2360644A1 (en) 1999-02-04 2000-08-10 The Dow Chemical Company Fluorene copolymers and devices made therefrom
AU1540001A (en) * 1999-12-09 2001-06-18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Fluorene-perylene copolymers and uses thereof
DE10109027A1 (de) 2001-02-24 2002-09-0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Rhodium- und Iridium-Komplexe
JP4438042B2 (ja) 2001-03-08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金属配位化合物、電界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EP1370619B1 (de) 2001-03-10 2006-06-21 MERCK PATENT GmbH Lösung und dispersionen organischer halbleiter
KR100888910B1 (ko) * 2001-03-24 2009-03-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스피로비플루오렌 단위와 플루오렌 단위를 함유하는 공액중합체 및 이의 용도
DE10116962A1 (de) 2001-04-05 2002-10-1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Rhodium- und Iridium-Komplexe
DE10141624A1 (de) 2001-08-24 2003-03-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Lösungen polymerer Halbleiter
DE10143353A1 (de) 2001-09-04 2003-03-2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Spirobifluoren-Einheiten und deren Verwendung
DE10159946A1 (de) 2001-12-06 2003-06-18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Prozess zur Herstellung von Aryl-Aryl gekoppelten Verbindungen
DE10238903A1 (de) 2002-08-24 2004-03-0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Rhodium- und Iridium-Komplexe
DE10249723A1 (de) 2002-10-25 2004-05-06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Arylamin-Einheiten enthaltende konjugierte 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04819A1 (de) 2003-02-06 2004-08-1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Carbazol-enthaltende konjugierte Polymere und Blends,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28627A1 (de) 2003-06-26 2005-02-17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DE10337346A1 (de) 2003-08-12 2005-03-31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Dihydrophenanthren-Einheiten und deren Verwendung
DE10337077A1 (de) 2003-08-12 2005-03-1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Konjugiert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43606A1 (de) 2003-09-20 2005-04-1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Weiß emittierende Copolymere, deren Darstellung und Verwendung
DE10349033A1 (de) 2003-10-22 2005-05-2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und deren Verwendung
WO2005040302A1 (de) 2003-10-22 2005-05-06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die elektrolumineszenz und deren verwendung
DE10350606A1 (de) 2003-10-30 2005-06-09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heteroleptischer, ortho-metallierter Organometall-Verbindungen
DE102005040411A1 (de) * 2005-08-26 2007-03-01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5617150B2 (ja) * 2005-11-11 2014-11-05 住友化学株式会社 共役高分子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GB2447172B (en) 2005-11-11 2011-07-13 Sumitomo Chemical Co Conjugated polymer compound and polymer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DE112006003090T5 (de) 2005-11-11 2008-09-25 Sumitomo Chemical Co. Ltd. Konjugierte Polymerverbindung und polymere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unter der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5067A (ja) 2005-04-28 2006-11-09 Otis:Kk 携帯用局部洗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6454A1 (de) 2008-01-17
EP2038241A1 (de) 2009-03-25
KR20090028812A (ko) 2009-03-19
JP5657250B2 (ja) 2015-01-21
EP2038241B1 (de) 2010-10-20
TW200819474A (en) 2008-05-01
DE102006031991A1 (de) 2008-01-17
US7790057B2 (en) 2010-09-07
US20090318625A1 (en) 2009-12-24
JP2009542868A (ja) 2009-12-03
DE502007005425D1 (de) 2010-12-02
CN101489961B (zh) 2014-05-14
CN101489961A (zh) 2009-07-22
ATE485254T1 (de) 201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923B1 (ko)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KR101318070B1 (ko)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JP4874792B2 (ja) 電界発光用新規材料
KR101206314B1 (ko) 평면 아릴아민 단위를 포함하는 전자발광 중합체, 그의 제조 및 용도
JP4566185B2 (ja) カルバゾールを含有する共役系ポリマー及びブレンド、その製造及びその使用
KR100895236B1 (ko) 스피로비플루오렌 단위를 함유하는 공액 중합체 및 이의용도
JP5500565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ポリマーおよびその使用
JP5398988B2 (ja) 部分共役ポリマー、その調製および使用
KR101002733B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JP5398989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ポリマーおよびその使用
KR101141465B1 (ko) 공액 중합체, 그의 제조 및 그의 용도
KR101030010B1 (ko) 청색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TWI460202B (zh) 啡系高分子化合物及使用該化合物之發光元件
KR100885519B1 (ko) 고분자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JP2009524710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材料及びその使用
JP5778030B2 (ja) 光電子的応用のためのフッ素で橋かけされた会合体
KR101350744B1 (ko) 벤조사이아디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전계발광고분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10090263A (ko) 공액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발광소자
JP6510801B2 (ja) 発光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