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815B1 -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 Google Patents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815B1
KR101412815B1 KR1020120105759A KR20120105759A KR101412815B1 KR 101412815 B1 KR101412815 B1 KR 101412815B1 KR 1020120105759 A KR1020120105759 A KR 1020120105759A KR 20120105759 A KR20120105759 A KR 20120105759A KR 101412815 B1 KR101412815 B1 KR 10141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response message
area
portable terminal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542A (ko
Inventor
기언관
Original Assignee
기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언관 filed Critical 기언관
Priority to KR102012010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8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는, 전화 수신중에 터치패널에 표시되어 응답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을 구비하여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은, 수신전화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화의 수락 또는 거절,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 의 전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선택영역과,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세부 항목을 활성화하는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수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A 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response message}
본 발명은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전화 또는 휴대전화로부터 전화수신시에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 이에 대하여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자가 미리 저장해둔 문자 및 음성을 전송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화 수신 중에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즉시 작성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전화를 하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 하여 플레이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통화 기기의 영역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는 표시부(이하 "터치 패널"라 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의 종류로는 정전용량(capacitive overlay) 방식, 저항막(resistive overlay) 방식, 표면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방식,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방식 및 적외선(infrared beam)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여러 방식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이 주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1745호에는 외부로부터 전화를 수신시에 수신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통신단말기에서의 응답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상기 종래 기술의 도면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수신자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다양한 상황에 처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미리 저장해두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발신 번호가 휴대 전화번호가 아닌 일반 전화인 경우에는 문자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되어 있지 않은 발신번호(예컨대 서로 연락하고 지내던 사이지만 연락처가 바뀐 상대의 번호) 경우 통화 가능한 상태라 하더라도 보이스 피싱이 의심되어 수신을 거절하게 되면 오해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전화 또는 휴대전화로부터 전화수신시에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 이에 대하여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자가 미리 저장해둔 문자 및 음성을 전송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화 수신 중에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즉시 작성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는, 전화 수신중에 터치패널에 표시되어 응답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을 구비하여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은, 수신전화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화의 수락 또는 거절,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 의 전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선택영역과,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세부 항목을 활성화하는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수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기능수행영역은 기능선택영역에서 선택된 기능을 드래그 인 또는 드래그 아웃하여 선택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선택영역은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기능수행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수행영역은 기능선택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선택영역에서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 기능을 선택하여 기능활성화영역으로 드레그 아웃(drag out)하여 기능활성창이 활성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활성창은, 미리 저장된 문자 및 음성을 문자로 표시하는 표시부와,문자 및 음성을 작성 또는 녹음하기 위한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선전화 또는 휴대전화로부터 전화수신시에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 이에 대하여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신자가 미리 저장해둔 문자 및 음성을 전송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화 수신 중에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즉시 작성하여 전송 가능하다.
따라서, 수신자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신 번호가 휴대 전화번호가 아닌 일반 전화인 경우에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즉시 녹음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되어 있지 않은 발신번호(예컨대 서로 연락하고 지내던 사이지만 연락처가 바뀐 상대의 번호) 경우 보이스 피싱이 의심되더라도, 발신자의 신분을 묻는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여 오해의 소지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이 표시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수신 전화를 받거나 거절하는 경우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수발신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휴대전화번호인 경우 문자를 발송하기 위한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기능활성창의 조작법을 나타낸 개요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선택 후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의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음성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기능활성창의 조작법을 나타낸 개요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음성 메시지 선택 후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의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기능활성창에서 선택된 음성이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에 표시된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기능활성창을 열지 않고 바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조작법을 나타낸 개요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기능선택영역 중 응답메시지의 다른 실시예의 그림.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이 표시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수신 전화를 받거나 거절하는 경우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수발신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휴대전화번호인 경우 문자를 발송하기 위한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택된 휴대용단말기는 터치패널(50)을 구비하여 접촉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카메라(10), 스피커(20), 버튼(30), 마이크(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일반적인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 표시된 "●"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한 지점을 나타내며, 화살표는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drag) 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휴대용단말기에는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100)이 구비된다.
상기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10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전화 수신시에 이에 대응하여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로부터 수신시에 사용자는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터치 및 드레그 인하여 전화를 받거나 거절할 수 있으며,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되어 있지 않은 번호(발신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번호)가 발신번호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보이스 피싱 등의 불필요한 전화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수신을 거절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 번호가 수신번호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지역번호를 포함한 일반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문자메시지 전송이 불가하므로 음성메시지를 강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전화 수신시에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100)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100)은 수신전화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화의 수락 또는 거절,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의 전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선택영역(120)과, 상기 기능선택영역(120) 중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세부 항목을 활성화하는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과, 상기 기능선택영역(120) 중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수행영역(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능선택영역(120)은 터치패널(50)의 가운데 부분에 일정 영역으로 구획되어 수신된 전화에 대하여 통화, 거절, 문자메시지 전송 또는 음성메시지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50)의 중앙부에 대략 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기능수행영역(160)을 구비하여 터치 후 드레그 인(drag in) 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수행영역(160)은 상기 기능선택영역(120)에서 선택된 기능이 드레그 인 되었을 때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영역이다.
상기 기능선택영역(120) 외측에는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이 구비된다. 상기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은 터치패널(50)의 전체면적에서 기능선택영역(120)과 기능수행영역(16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전화 수신시에 "받기" 또는 "끊기"를 터치한 후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으로 드레그 인 또는 드레그 아웃하더라도 통화 및 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반면, 전화수신 중에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 표시된 "문자", "음성" 부분을 터치한 후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으로 드레그 아웃하여 도 6과 같이 기능활성창(18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화 수신 중 문자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기능활성창(180)의 조작법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선택 후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100)의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휴대용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휴대전화번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문자"를 터치하여 드레그 아웃(drag out) 했을 때 도 6과 같이 터치패널(50)에는 기능활성창(180)이 나타내게 된다.
상기 기능활성창(180)은 발신자가 불분명한 휴대전화번호에 대하여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창으로서, 사용자가 미리 작성하여 저장해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82)와, 새로운 문자를 작성하기 위한 작성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82)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작성되어 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죄송합니다. 누구신지 밝혀주세요."를 터치하였다.
이와 같이 표시부(182)에 나타난 여러 문자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도 7과 같이 상기 기능수행영역(160)에는 선택된 문자가 표시되며, 기능수행영역(160)을 다시 한번 터치함으로써 문자 전송이 완료된다.
한편, 휴대용단말기를 사용중에는 도 8과 같이 알 수 지역번호를 포함하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때는 문자의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도 8가 같이 "음성"을 터치한 후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으로 드레그 아웃(drag out)하여 도 9와 같이 기능활성창(180)을 활성화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미리 녹음해둔 내용을 알 수 있도록 문자로 저장해두어 도 9와 같이 표시된 표시부(182)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기능수행영역(160) 내부에는 기능활성창(180)에서 선택했던 "카드 발급이나 보험 관련 전화 거절용"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기능수행영역(160)을 터치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녹음 내용이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작성부(184)의 "새 음성 녹음"을 선택하게 되면 전화 수신 중에 바로 육성을 녹음 및 저장한 후 발신자에게 음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화수신 중에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도 3에 표시된 "문자", "음성" 부분을 터치한 후 선택기능활성화영역(140)으로 드레그 아웃하여 도 6과 같이 기능활성창(180)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도 11과 같이 "문자", "음성"을 터치하여 미리 설정된 대표 메시지를 기능선택영역(120)으로 표시하여 확인한 후 기능선택영역(120)을 다시 터치함으로써 바로 메시지 발송이 가능하도록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능선택영역 중 음성메시지는 마이크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12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설명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기능활성창을 열지 않고 바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조작법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서 기능선택영역 중 응답메시지의 다른 실시예의 그림이다.
10. 카메라 20. 스피커
30. 버튼 50. 터치패널
100.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 120. 기능선택영역
140. 선택기능활성화영역 160. 기능수행영역
180. 기능활성창 182. 표시부
184. 작성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전화 수신중에 터치패널에 표시되어 응답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을 구비하여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전송기능창은, 수신전화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화의 수락 또는 거절,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 의 전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선택영역과,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세부 항목을 활성화하는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상기 기능선택영역 중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수행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기능수행영역은 기능선택영역에서 선택된 기능을 드래그 인 또는 드래그 아웃하여 선택되며,
    상기 기능선택영역은 선택기능활성화영역과 기능수행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수행영역은 기능선택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영역에서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 기능을 선택하여 기능활성화영역으로 드레그 아웃(drag out)하여 기능활성창이 활성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활성창은,
    미리 저장된 문자 및 음성을 문자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문자 및 음성을 작성 또는 녹음하기 위한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KR1020120105759A 2012-09-24 2012-09-24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KR10141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59A KR101412815B1 (ko) 2012-09-24 2012-09-24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59A KR101412815B1 (ko) 2012-09-24 2012-09-24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42A KR20140043542A (ko) 2014-04-10
KR101412815B1 true KR101412815B1 (ko) 2014-06-27

Family

ID=5065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59A KR101412815B1 (ko) 2012-09-24 2012-09-24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8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911A (ko) *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KR20090098027A (ko) *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911A (ko) *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KR20090098027A (ko) *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42A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402B1 (ko)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 기기에서 PoC연결을 개설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애플리케이션 및 단말기기
CN104718709B (zh) 在移动终端上显示未接呼叫的方法和装置
ES265493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selección de canal de comunicación
KR10192001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8839129B2 (en) User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8918083B2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visual voice mail messages
US8731525B2 (en) Single button contact request and response
CN105704766B (zh) 双卡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KR1022722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중 어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681274B2 (en) Communication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all control method
KR101815391B1 (ko) 통화대기 중 안내 제공방법
US1079121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medium
KR101412815B1 (ko) 응답메시지 전송 기능을 가진 휴대용단말기
KR20090098027A (ko)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2292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된 이벤트의 처리 방법
JP201510383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10214834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부재중 통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7214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20160032897A (ko)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20074655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JP4475173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Sadun Placing Calls with i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