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897A -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897A
KR20160032897A KR1020140123611A KR20140123611A KR20160032897A KR 20160032897 A KR20160032897 A KR 20160032897A KR 1020140123611 A KR1020140123611 A KR 1020140123611A KR 20140123611 A KR20140123611 A KR 20140123611A KR 20160032897 A KR20160032897 A KR 20160032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creen
call
pop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길
박경수
임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2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2897A/ko
Publication of KR2016003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전화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통화 수신을 인지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METHOD FOR DISPLAYING POP-UP DISPLAY OF RECEIVING CALL, MOBILE PHO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발신자 번호 표시(CID, 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 단말에 표시하여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 때, 수신 단말의 주소록에 발신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 단말은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발신자 정보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해 수신자는 통화가 연결되기 전,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치 않는 전화는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6-0067235호에는 WCDMA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발신자 이름 정보표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화와 더불어 스팸 전화 또한 증가하고 있다. 스팸 전화란 광고를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발신을 하는 것을 말하며, 수신자는 스팸 전화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로 스팸 전화가 걸려왔을 때, 수신 단말에 표시된 발신자 번호가 스팸 전화인지 또는 수신자에게 필요한 전화인지 수신자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성 높은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도중 호를 수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시키면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통화 수신 팝업을 표시함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발신자 정보를 통화 수신 팝업에 표시하고, 써드 파티(3rd Party) 스팸 정보 표시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발신자의 스팸 신고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 중인 경우, 멀티태스킹의 이용 의도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을 제어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통화 수신 전, 사용자가 이용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볼륨 설정을 미리 지정함으로써, 통화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통화 수신을 인지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전화를 착신하는 착신부 및 디스플레이부 및 착신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통화 수신을 인지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고,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전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휴대 전화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통화 수신을 인지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고,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도중 호를 수신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시키면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통화 수신 팝업을 표시함으로써,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정보를 통화 수신 팝업에 표시하고, 써드 파티(3rd Party) 스팸 정보 표시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발신자의 스팸 신고 내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 중인 경우, 멀티태스킹의 이용 의도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을 제어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수신 전, 사용자가 이용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볼륨 설정을 미리 지정함으로써, 통화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수신 팝업 화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에서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에서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표시 정보를 통화 수신 팝업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를 수락한 경우의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수신 팝업 화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 수신 팝업 화면 시스템(1)은 발신 단말(110), 서버(120) 및 휴대 전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발신 단말(110), 서버(120) 및 휴대 전화(130)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통화 수신 팝업 화면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발신 단말(110) 또는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발신 단말(110)은 휴대 전화(130)로 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 때, 발신 단말(110)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유선 전화, 인터넷 전화 등과 같이 호를 발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서버(120)는 휴대 전화(130)의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구성하는 '올레 팝업 콜'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써드 파티(3rd Party)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스팸 정보 표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10)이 휴대 전화(130)의 주소록에 저장된 번호가 아닌 경우, 서버(120)는 해당 발신자 번호가 다른 휴대 전화의 사용자들로부터 스팸 신고된 내역이 존재하는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해당 발신자 번호가 스팸 번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버(12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발신자 번호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휴대 전화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구성하는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의 스팸 정보를 조회하고, 표시할 수 있는 써드 파티(3rd Party)의 스팸 정보 표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자체 UI 팝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자체 UI 팝업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 전화(130)는 텔레포니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통하여 발신 단말(110)로부터 걸려온 통화 수신을 감지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제 3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등)이 멀티태스킹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휴대 전화(130)는 통화 수신 이벤트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수신 번호에 대한 수신 거부 이력, 스팸 번호 등록 이력, 주소록 저장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전화(130)가 사용자로부터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수락 버튼을 입력받으면,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 2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130)는 발신 단말(110)과의 통화가 일정 시간 경과하면, 팝업 통화 연결 중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킬 수도 있다.
휴대 전화(130)는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130)가 사용자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을 통해 스피커폰 모드 또는 미디어 볼륨의 설정을 입력받으면, 휴대 전화(130)가 제 3 애플리케이션인 뮤직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도중 발신 단말(110)로부터 통화를 수신한 경우, 휴대 전화(130)는 스피커폰 모드 및 미디어 볼륨을 입력받은 설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전화(130)가 제 3 애플리케이션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도중 발신 단말(110)로부터 통화를 수신한 경우, 휴대 전화(130)의 사용자는 휴대 전화(130)를 손으로 잡고 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휴대 전화(130)는 통화 모드를 스피커폰 모드로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알림의 볼륨을 작게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130)의 일 예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130)의 일 예는 스마트 패드(smart pad), 타블랫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130)는 디스플레이부(210), 착신부(220) 및 프로세싱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30)은 디스플레이부(210) 및 착신부(22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단말(110)로부터 통화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행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위에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30)의 주소록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발신자 정보를 통화 수신 팝업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은 예를 들어, 통화 수락, 통화 거절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신자의 성명 및 사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통화 거절 아이콘을 입력받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SMS 아이콘의 표시를 통해 거절 메시지를 발신 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 전화(130)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전면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통화 수신 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팝업과 통화 수신 팝업이 동시에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팝업 화면의 겹침으로 인해 통화 수신이 힘들어 지므로, 디스플레이부(210)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팝업을 표시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간의 화면 겹침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 종료 아이콘, 스피커폰 전환 아이콘, 송화음 차단 아이콘, 통화 수신 팝업 설정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10)는 발신 단말(110)과 통화 연결중인 경우, 통화 연결 시간을 분, 초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통화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피커폰 통화 모드를 통화 발신 단말(110)과 통화를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프록시미티 센서(proximity sensor)를 비활성화시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화면이 꺼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시버 스피커 모드로 발신 단말(110)과 통화를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0)는 프록시미티 센서(proximity sensor)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휴대 전화(130)를 얼굴에 가까워지면 화면이 꺼지게 할 수 있다.
착신부(22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걸려온 음성 전화를 착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프로세싱 유닛(230)으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자체 UI 팝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발신 단말(110)로부터 걸려온 통화 수신을 인지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휴대 전화(130)의 운영체제(OS) 내의 텔레포니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110)로부터 걸려온 통화 수신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2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통화 수신 이벤트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수신 번호에 대한 수신 거부 이력, 스팸 번호 등록 이력, 주소록 저장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30)의 주소록에서 발신 단말(110)을 조회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팝업 통화 화면은 통화 수락 버튼, 통화 거절 버튼, 거절 메시지(SMS) 전송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 한 이후에,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인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팝업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 프로세싱 유닛(230)은 애플리케이션 간의 화면 겹침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제 1 애플리케이션>제 3 애플리케이션>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팝업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사이즈는 휴대 전화(130)의 디스플레이의 1/3 또는 6:4 비율과 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사용자로부터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받으면, 팝업 통화 화면을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으로 전환하고,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230)은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이 일정 시간 경과하면, 정사각형 모양의 최소화된 아이콘 형태인 제 2 사이즈로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휴대 전화(130)의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모드를 통해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에서 팝업 통화 연결중 아이콘으로 전환되는 시간을 설정하면, 프로세싱 유닛(230)은 입력된 시간에 기초하여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팝업 통화 연결중 아이콘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제 2 사이즈의 최소화된 통화 연결중 아이콘을 입력받으면, 프로세싱 유닛(230)은 통화 연결중 아이콘을 통화 연결중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한 임의의 영역에 제 2 사이즈의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의 위치를 입력받으면, 프로세싱 유닛(230)은 해당 영역에 제 2 사이즈의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위치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면,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모드를 통해 투명도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으면, 프로세싱 유닛(230)은 설정된 투명도에 기초하여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230)은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이 일정 시간 경과하면,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투명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모드를 통해 점멸 주기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으면, 프로세싱 유닛(230)은 설정된 점멸 주기에 기초하여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 또는 팝업 통화 연결중 아이콘을 점멸시킬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통화 연결중 화면 또는 팝업 통화 연결중 아이콘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통화중임을 알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30)은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모드를 통해 스피커폰 통화 모드, 통화 볼륨 조절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 조절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으면, 프로세싱 유닛(230)은 설정된 볼륨에 기초하여 통화 볼륨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행중이던 애플리케이션 별로 볼륨을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3 애플리케이션으로 뮤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던 중 통화 팝업 수신 화면을 통해 발신 단말(110)과 통화가 연결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230)은 리시버 스피커 통화 모드를 활성화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3 애플리케이션으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던 중 통화 팝업 수신 화면을 통해 발신 단말(110)과 통화가 연결된 경우, 프로세싱 유닛(230)은 스피커폰 통화 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에 휴대 전화를 잡지 않고, 통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싱 유닛(230)은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 모드를 통해 팝업 화면의 동작 여부(ON/OFF), 통화 거절 SMS 편집/추가/삭제와 같은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안내, 공지사항, 애플리케이션 버전 정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휴대 전화(13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휴대 전화(130)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통화 수신을 인지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고,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130)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는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받고,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 2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에서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13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걸려온 통화 수신을 인지한다(S310).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S320),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해당 통화 수신을 일반 호수신 절차로 진행시킬 수 있다(S321).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S322), 휴대 전화(130)의 기능 중 멀티태스킹 음성 통화 환경을 제공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330), 멀티태스킹 음성 통화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S331), 해당 통화 수신을 일반 호수신 절차로 진행시킬 수 있다(S340). 휴대 전화(130)는 멀티태스킹 음성 통화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S332),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S350). 이 때,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후후와 같은 써드 파티(3rd Party)의 스팸 정보 표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휴대 전화(130)는 수신한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고(S360),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7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휴대 전화에서 통화 수신 팝업 화면 및 통화 종료 팝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130)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신 단말(110)로부터 통화를 수신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30)의 주소록을 조회하여 발신자의 성명과 사진을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통화 수신 팝업 화면(430)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30)의 주소록에 발신자 정보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 발신자의 번호(41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420)를 수신하여 통화 수신 팝업 화면(430)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수신 번호에 대한 수신 거부 이력, 스팸 번호 등록 이력, 주소록 저장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130)가 '010-xxx-xxxx'라는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번호로부터 통화를 수신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발신자 번호 정보가 다른 사용자로부터 스팸 신고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요청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발신자 번호 정보에 대해 스팸 신고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스팸 신고 정보를 수신하여 예를 들어, '스팸 신고 252회', '휴대폰 판매 24건'과 같이 통화 수신 팝업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통화 수신 팝업 화면(430)에 표시된 통화 버튼(431)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수락 이벤트를 휴대 전화(130)의 운영체제 내의 텔레포니 매니저(Telephony Manager)로의 전달을 통해 발신 단말(110)과의 통화를 수락할 수 있다.
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통화 수신 팝업 화면(430)에 표시된 거절 메시지 버튼(432)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전화(130) 내에 저장된 거절 메시지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거절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선택된 거절 메시지에 대한 전송 이벤트와 통화 거절 이벤트를 휴대 전화(130)의 운영체제 내의 텔레포니 매니저(Telephony Manager)로의 전달을 통해 발신 단말(110)과의 통화를 거절하고, 동시에 거절 메시지를 발신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통화 수신 팝업 화면(430)에 표시된 거절 버튼(433)을 입력받은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거절 이벤트를 휴대 전화(130)의 운영체제 내의 텔레포니 매니저(Telephony Manager)로의 전달을 통해 발신 단말(110)과의 통화를 거절할 수 있다.
도 4b는 통화 종료 팝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010-xxxx-xxxx'와 같은 발신자 정보(440)를 휴대 전화(130)의 주소록으로부터 조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종료 팝업 화면(460)을 통해서 해당 발신자 번호에 대한 스팸 정보를 신고할 수 있는 스팸 신고 버튼(451), 해당 발신자 번호에 대한 통화 차단을 설정할 수 있는 통화 차단 버튼(452), 해당 발신자 번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버튼(4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팸 신고 버튼(451), 차단 버튼(452), 공유 버튼(453)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제 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제 2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서버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종료 팝업 화면(460)은 해당 발신자 번호로의 재발신 버튼(461), 메시지(SMS) 전송 버튼(462), 연락처 저장 버튼(46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통화 수신 팝업 화면에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130)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510),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S520).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30),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팝업콜이 실행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S531),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자체 팝업 UI를 실행시킨다(S532).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팝업콜이 실행되었다는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S535),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표시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S540),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자체 팝업 UI를 실행시키지 않는다(S560).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정보를 팝업 통화 화면 내에 표시한다(S55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를 수락한 경우에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를 수락한 경우에 뮤직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3 애플리케이션으로 뮤직 애플리케이션(610)을 사용하던 도중,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 수락 버튼을 입력하면,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62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사전에 제 1 애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을 통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음량을 설정하면, 휴대 전화(130)는 설정된 음량 설정으로 통화 음량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직 애플리케이션(610)에 대해 '스피커폰 모드 오프(OFF)/미디어 볼륨 3'(630)으로 설정된 경우, 휴대 전화(130)는 스피커폰 모드를 실행하지 않고, 통화 볼륨을 3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를 수락한 경우에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650)의 볼륨을 조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3 애플리케이션으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650)을 사용하던 도중,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통해 통화 수락 버튼을 입력하면,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660)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65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발신 단말(110)과의 전화 통화를 위해 휴대 전화(130)를 손에 쥐고 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휴대 전화(130)는 '스피커폰 모드 온(ON)/미디어 볼륨 1'(670)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인 상황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의 알림 음향을 통화에 방해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130)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화 수신 팝업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수신 팝업 화면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130)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단계 S720에서 휴대 전화(130)는 통화 수신을 인지한다. 단계 S730에서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S740에서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한다. 이 때, 표시 정보는 수신 번호에 대한 수신 거부 이력, 스팸 번호 등록 이력, 주소록 저장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단계 S760에서 휴대 전화(130)는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한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받는 단계,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 2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화(130)는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화(1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전화(130)는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인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제 3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휴대 전화(130)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발신 단말
120: 서버
130: 휴대 전화
210: 디스플레이부
220: 착신부
230: 프로세싱 유닛

Claims (16)

  1. 휴대 전화에서 수행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통화 수신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받는 단계;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 2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수신 번호에 대한 수신 거부 이력, 스팸 번호 등록 이력, 주소록 저장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멀티태스킹 환경인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8.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표시하는 휴대 전화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음성 전화를 착신하는 착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착신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통화 수신을 인지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받고,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 2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의 투명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 한 이후에,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수신 번호에 대한 수신 거부 이력, 스팸 번호 등록 이력, 주소록 저장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멀티태스킹 환경인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휴대 전화.
  15. 휴대 전화에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휴대 전화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벤트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통화 수신을 인지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하여 팝업 통화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팝업 통화 화면을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제 1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의 볼륨을 조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팝업 통화 화면을 통해, 통화 버튼을 입력받고, 팝업 통화 연결중 화면을 상기 제 3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 2 사이즈로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0123611A 2014-09-17 2014-09-17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60032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11A KR20160032897A (ko) 2014-09-17 2014-09-17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611A KR20160032897A (ko) 2014-09-17 2014-09-17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897A true KR20160032897A (ko) 2016-03-25

Family

ID=5564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611A KR20160032897A (ko) 2014-09-17 2014-09-17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28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184B2 (en) 2019-07-10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184B2 (en) 2019-07-10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467B1 (en) Disruption blocking in mobile devices
EP3029889B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CN102450040B (zh) 通话中联系人信息显示
KR101776623B1 (ko) 클라우드 카드 송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8948787B2 (en) Configuration of telephony services for phone based on user location
CN103733185A (zh) 多数据类型通信系统
KR20140078608A (ko) 수신 및 발신 통화 중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중-포털 접속을 구비한 전화
JP2016530818A (ja) 通話方法、通話装置及び通話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8886732B (zh) 一种通信的方法、可穿戴设备、服务器及系统
KR20140023082A (ko) 수신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160021736A (ko) 일정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026770B2 (en) Context-sensitive user device control profile
EP299132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KR102052699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US10708414B2 (en) Method for providing guidance during a call waiting state
CN105704106A (zh) 一种可视化ivr实现方法及移动终端
CN107295167B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20160032897A (ko) 통화 수신 팝업 화면의 표시 방법, 휴대 전화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14268691A (zh) 通话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46283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devices
KR101823100B1 (ko) 수신 전용 전화번호를 갖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KR20130100422A (ko) 부재중 통화 연결 시스템
US10194021B2 (en) Method, medium for obtaining call records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KR10214834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부재중 통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43134B1 (ko) 통화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