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304B1 -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304B1
KR101412304B1 KR1020130027374A KR20130027374A KR101412304B1 KR 101412304 B1 KR101412304 B1 KR 101412304B1 KR 1020130027374 A KR1020130027374 A KR 1020130027374A KR 20130027374 A KR20130027374 A KR 20130027374A KR 101412304 B1 KR101412304 B1 KR 10141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ployee
tag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대
신상도
Original Assignee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7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arrangements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further interrogation devices, e.g. such that at least two interrogation devices may function and cooperate in a network of suc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0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visu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차량의 출입문, 주유구, 시동 등의 차량 상태나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 또는 수화물 등의 상태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며, 직원의 개인식별정보를 포함한 직원태그를 인식하는 직원태그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직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의 동작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에 따른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외부의 RFID 리더기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RFID 태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SYSTEM OF MANAGING TRANSPORT VEHICLES}
본 발명은 운송업체 등에서 운용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출입문, 주유구, 시동 등의 차량 상태나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 또는 수화물 등의 상태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 버스, 시외 버스, 고속 버스 및 화물 트럭과 같은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을 운용하는 운송업체에서는 다수의 차량을 관리하게 된다. 종래에는 운송업체에서 다수의 차량을 관리하기 위해 차량의 운전자, 청소직원 또는 정비자 등을 관리 직원을 통해 배정하고 그 내용을 수기로 장부 등에 기록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다수의 차량을 한번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버스 또는 트럭과 같은 특정 차량에서는 차량 주유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별도의 주유구 키를 이용한 주유구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또한 차량 출입문이 차량 시동키 이외의 별도 키를 통해 외부에서 승강구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특정 차량에서는 시건 장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의 불편으로 인해 실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연료탱크 주유구에 대한 시건 방안의 무방비로 이어져 연료 도난이나, 화재, 불순물 투입 등과 같은 각종 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 주유구의 키 복사 및 분실 등에 대한 보안의 대안이 없을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 등으로 쉽게 주유구가 개방될 수 있어 시건장치의 설치 효용성이 떨어지며, 차량 시동키 이외에도 별도 키를 마련함에 따른 사용 및 관리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출원번호 10-2009-0086932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인 “RFID를 이용한 차량 시건 시스템”을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차량 시건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문 및 주유구에 대한 시건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 것으로, 차량 도난 또는 차량의 연료 도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그 이외에 차량의 상태나 차량의 이용에 대한 이력정보를 확인하거나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이나 수화물 등의 정보까지 편리하게 확인하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86932호
본 발명은, 시내 버스, 시외 버스, 고속 버스 및 화물 트럭 등과 같은 운송 차량을 운용하는 운송 업체에서 차량 및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 또는 수화물 등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며, 직원의 개인식별정보를 포함한 직원태그를 인식하는 직원태그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직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의 동작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에 따른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외부의 RFID 리더기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RFID 태그부
를 포함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직원에 의한 차량의 주유구 개폐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직원의 직능군 별로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직능군은, 차량 운전 기사, 차량 청소 직원, 차량 정비 직원, 차량 관리 내근 직원, 당직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전 기사에게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및 상기 주유구 개폐 가능의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차량 청소 직원에게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상기 차량의 시동 불가능 및 상기 차량의 주유구 개폐 불가능의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차량 정비 직원에게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및 상기 차량의 엔진룸 개폐 가능의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차량 관리 내근 직원 및 상기 당직자에게는 경우에 따라 변경되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는,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직원태그의 소지자의 신원 정보, 상기 직원태그의 인식 시각,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시각 및 상기 차량의 시동 개시/종료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는,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직원태그의 소지자의 신원 정보, 상기 직원태그의 인식 시각,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시각, 상기 차량의 시동 개시/종료 시각 및 상기 주유구의 개폐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 또는 수화물에 포함되어 상기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기록한 화물 태그를 인식하는 화물 태그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는, 상기 화물 태그 인식부에서 상기 화물 태그가 인식된 시각, 상기 화물 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화물 태그에 기록된 상기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RFID 태그부는,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칩; 상기 RFID 칩에 저장된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제공받도록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RFID칩에 기록하도록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유에이알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통신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RFID 칩과 에스피아이(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RFID 칩은, RFID 코드 인코딩에 관련된 ISO/EIC 표준에 따라 구분되는 BANK 0 내지 BANK 3의 영역 중, BANK1의 UII(Unique Item Identifier) 영역 또는 BANK 3의 사용자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검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외부의 사업자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식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제공하고, 상기 RFID 태그부에 기록된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접근할 수 있는 직원의 직능군 별로 차량 접근 권한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직원의 직능에 적합한 부분에 대해서만 차량 조작이 가능하므로, 차량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가능한 RFID 태그부를 적용하여, 차량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시각과 함께 기록하고 이를 외부의 RFID 리더기로 간편하게 판독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차량 관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부는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이나 수화물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유지 등에서 차량의 트렁크나 적재함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량 외부에서 간단히 휴대용 RFID 리더기를 통해 수화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제어부 및 시스템 제어부와 연결된 RFID 태그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RFID 칩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10)은, 크게 직원태그 인식부(131)와, 시스템 제어부(12) 및 RFID 태그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원태그 인식부(131)는 차량(11)에 설치되어 차량(11)에 접근하는 직원이 소지한 직원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요소로서, RFID 방식을 이용한 직원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나, 바코드 등을 이용한 직원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더 리더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직원태그 인식부(131)는 직원태그에 저장된 개인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직원태그에 저장된 개인식별정보는 해당 직원태그를 소유한 직원의 소속부서, 사원번호, 성명, 직능군 등이 될 수 있다. 직원태그는 직장 내에서 출입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사원증이 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2)는 차량(11)에 설치되어 직원태그 인식부(131)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개인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직원태그 소지자의 차량 접근 권한을 결정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2)는 개인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직원태그 소지자의 직능을 판단하고, 판단된 직능에 따라 차량 접근에 관련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부(12)는, 사전에 직원에 대한 개인식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직원의 사원 번호와 해당 사원번호를 갖는 직원의 직능군이 저장될 수 있다. 이 사원 번호는 직능군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체계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능군은, 차량 운전 기사, 차량 청소 직원, 차량 정비 직원, 차량 관리 내근 직원, 당직자를 포함하는 체계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2)는, 인식된 직원태그 내 개인식별정보를 분석한 결과 해당 직원태그 소지자가 차량 운전 기사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직원태그 소자가 차량(11)의 출입문 개폐 가능, 차량(11)의 시동 가능 및 차량의 주유구 개폐 가능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2)는, 인식된 직원태그 내 개인식별정보를 분석한 결과 해당 직원태그의 소지자가 차량 청소 직원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차량의 시동 불가능 및 주유구 개폐 불가능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2)는, 인식된 직원태그 내 개인식별정보를 분석한 결과 해당 직원태그 소지자가 차량 정비 직원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차량의 시동 가능, 주유구 개폐 가능 및 차량의 엔진룸 개폐 가능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2)는, 인식된 직원태그 내 개인식별정보를 분석한 결과 해당 직원태그 소지자가 차량 관리 내근 직원 및 당직자에게는 경우에 따라 변경되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부(12)는, 관리 내근 직원에게 한시적으로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권한을 부여하여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의 내부로 출입하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2)는 당직자에게 비상 시 차량의 출입문 개폐 및 차량 시동 가능의 권한을 부여하여 차량을 대피 시킬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관리 내근 직원이나 당직자에게 부여되는 권한은 시스템 제어부(12)의 업데이트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2)에 의한 권한 부여를 위해, 차량(11)에는 시스템 제어부(12)에 의해 동작하는 출입문 시건부(151), 주유구 시건부(153), 엔진룸 시건부(155) 및 차량 시동부(1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입문 시건부(151), 주유구 시건부(153), 엔진룸 시건부(155) 및 차량 시동부(16)는 직원태그 인식부(131)에서 직원태그 내의 개인식별정보가 인식되고 시스템 제어부(12)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의 분석에 따른 권한 부여가 이루어진 경우에 동작하도록 설정된 장치들로서, 각각 차량의 출입문, 주유구, 엔진룸, 차량 키박스에 구비되어 시스템 제어부(12)의 권한 부여 정보를 제공받아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시건부(151), 주유구 시건부(153), 엔진룸 시건부(155) 및 차량 시동부(16)는 그 동작에 대한 정보를 다시 시스템 제어부(12)로 제공하여 시스템 제어부(12)가 해당 동작이 발생한 시각 등의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RFID 태그부(17)는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요소들의 동작에 대한 정보인 차량 관리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부(17)는 직원태그 인식부(131)에 의해 직원태그의 개인식별정보가 인식된 경우, 이를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식별정보가 인식된 시각 및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포함된 직원 신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시건부(151), 주유구 시건부(153), 엔진룸 시건부(155) 및 차량 시동부(16)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제공받아 출입문이 개폐된 시각, 주유구가 개폐된 시각, 엔진룸이 개폐된 시각 및 차량의 시동이 개시/종료된 시각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즉, RFID 태그부(17)에 저장되는 차량 관리 정보는,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른 직원태그의 소지자의 신원 정보, 직원태그의 인식 시각, 차량의 출입문 개폐 시각, 주유구의 개폐 시각, 엔진룸의 개폐 시각 및 차량의 시동 개시/종료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ID 태그부(17)에 저장된 정보는 외부의 RFID 리더기로 전송되어 저장된 정보를 외부에서 판독할 수 있다.
RFID 태그부(17)는 통상의 카드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차량 외부의 관리 직원이 소지한 RFID 리더기로 저장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11)의 전방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시스템 제어부 및 시스템 제어부와 연결된 RFID 태그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RFID 태그부(17)는 시스템 제어부(12)와 연결 케이블(2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FID 태그부(17)는 시스템 제어부(12)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연결 케이블(21)을 통해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통상, RFID 태그는 사전에 RFID 라이터(writer) 등을 통해 사전에 인식 정보를 RFID 칩에 기록하고, 추후에 RFID 리더를 이용하여 RFID 칩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즉, 통상의 RFID 태그는 RFID 라이터에 의해 인식 정보가 RFID 칩에 기록된 이후에는 RFID 칩에 추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RFID 태그부(17)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장치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RFID 태그부(17) 내의 RFID 칩(171) 내부에 정보를 저장, 변경, 갱신할 수 있는 태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적용되는 RFID 태그부(17)를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RFID 태그부(17)는, 시스템 제어부(13)에서 제공된 차량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칩(171)과, RFID 칩(171)에 저장된 차량 관리 정보를 RFID 리더기로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172)와, 시스템 제어부(11)와 통신하기 위한 케이블을 결합하는 접속부(174) 및 접속부(174)으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관리 정보를 RFID 칩(171)에 기록하도록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ID 칩(171)은 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RFID 칩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RFID 칩(171)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는 RFID 칩(171)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172)는 RFID 칩(171)의 송신단자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신뢰도 높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방사 패턴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가 채용될 수 있다.
접속부(127)는 시스템 제어부(12)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케이블(21)이 결합되는 수단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소켓이 적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73)는 RFID 태그부(17) 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접속부(174)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제공받은 차량 관리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차량 관리 정보를 RFID 칩(171)에 기록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73)는 시스템 제어부(12)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유에이알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통신을 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RFID 칩(171)에 차량 관리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RFID 칩(171)과 에스피아이(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RFID 칩(171)은 RFID 코드 인코딩에 관련된 ISO/EIC 표준에 따라 구분되는 BANK 0 내지 BANK 3의 영역 중, BANK1의 UII(Unique Item Identifier) 영역 또는 BANK 4의 사용자 메모리 영역(USER)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제공되는 차량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RFID 칩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RFID 코드 인코딩에 관련된 ISO/EIC 표준에 따르면 RFID 칩은 BANK 0 내지 BANK 3으로 구분되는 네 개의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BANK 중, BANK1의 UII(Unique Item Identifier) 영역 또는 BANK 4의 사용자 메모리 영역(USER) 영역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12)로부터 제공된 차량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부(14), 화물태그 인식부(133) 및 무선 통신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는 차량(11)의 전면 윈도우에 설치되어 직원태그 인식부(131)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 발광소자를 이용한 전광판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 중 적어도 일부(사원번호, 직원 성명, 직능군 등)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물태그 인식부(133)는 차량(11)에 탑재되는 화물 또는 수화물에 포함되어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기록한 화물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화물 또는 수화물에 포함되는 화물태그에 기록된 정보는 발송지, 목적지 등이 될 수 있다. 화물태그 인식부(133)에서 인식된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와 화물태그의 인식 시각은 시스템 제어부로(12)로 전송되고, 시스템 제어부(12)는 전송 받은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RFID 태그부(17)에 차량 관리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외부의 관리직원은 차량의 트렁크나 화물칸의 화물 또는 수화물을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차량(11)에 설치된 RFID 태그부(17)에 저장된 정보를 휴대용 RFID 리더기로 읽어 들여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무선 통신부(18)는 차량(11) 외부의 사업자 서버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8)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차량의 특성을 감안하여 원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CDMA, WCDMA, LTE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부(18)는 외부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개인식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하여 시스템 제어부(12)로 제공할 수 있으며, RFID 태그부(17)에 기록된 차량 관리 정보를 시스템 제어부(12)를 통해 제공받아 사업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부(18)는 외부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차량별 스케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일 단위, 주 단위 또는 월 단위 등 일정 기간 별로 차량의 운전자, 당직자, 차량접근 권한 변경 대상 등을 미리 지정하여 시스템 제어부(12)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접근할 수 있는 직원의 직능군 별로 차량 접근 권한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직원의 직능에 적합한 부분에 대해서만 차량 조작이 가능하므로, 차량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은, 기록 가능한 RFID 태그부를 적용하여, 차량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시각과 함께 기록하고 이를 외부의 RFID 리더기로 간편하게 판독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며 편리하게 차량 관리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RFID 태그부에는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이나 수화물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경유지 등에서 차량의 트렁크나 적재함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차량 외부에서 간단히 휴대용 RFID 리더기를 통해 수화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11: 차량
12: 시스템 제어부 131: 직원태그 인식부
133: 화물태그 인식부 14: 디스플레이부
151: 출입문 시건부 153: 주유구 시건부
155: 엔진룸 시건부 16: 엔진 시동부
17: RFID 태그부 18: 무선 통신부

Claims (14)

  1. 차량에 설치되며, 직원의 개인식별정보를 포함한 직원태그를 인식하는 직원태그 인식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직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 제어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화물 또는 수화물에 포함되어 상기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기록한 화물 태그를 인식하는 화물 태그 인식부;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 및 상기 화물 태그 인식부의 동작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동작에 따른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외부의 RFID 리더기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 RFID 태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관리 정보는,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직원태그의 소지자의 신원 정보, 상기 직원태그의 인식 시각,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시각 및 상기 차량의 시동 개시/종료 시각과, 상기 화물 태그 인식부에서 상기 화물 태그가 인식된 시각, 상기 화물 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화물 태그에 기록된 상기 화물 또는 수화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상기 직원에 의한 차량의 주유구 개폐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직원태그 인식부에서 인식된 개인식별정보에 따라 직원의 직능군 별로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능군은, 차량 운전 기사, 차량 청소 직원, 차량 정비 직원, 차량 관리 내근 직원, 당직자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전 기사에게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및 상기 주유구 개폐 가능의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차량 청소 직원에게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상기 차량의 시동 불가능 및 상기 차량의 주유구 개폐 불가능의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차량 정비 직원에게 상기 차량의 출입문 개폐 가능, 상기 차량의 시동 가능 및 상기 차량의 엔진룸 개폐 가능의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차량 관리 내근 직원 및 상기 당직자에게는 경우에 따라 변경되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관리 정보는, 상기 주유구의 개폐 시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부는,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RFID 칩;
    상기 RFID 칩에 저장된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RFID 리더기로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제공받도록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제공받은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RFID칩에 기록하도록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와 유에이알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통신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RFID 칩과 에스피아이(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칩은, RFID 코드 인코딩에 관련된 ISO/EIC 표준에 따라 구분되는 BANK 0 내지 BANK 3의 영역 중, BANK1의 UII(Unique Item Identifier) 영역 또는 BANK 3의 사용자 메모리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업자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외부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식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 제공하고, 상기 RFID 태그부에 기록된 차량 관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130027374A 2013-03-14 2013-03-14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KR10141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74A KR101412304B1 (ko) 2013-03-14 2013-03-14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74A KR101412304B1 (ko) 2013-03-14 2013-03-14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304B1 true KR101412304B1 (ko) 2014-06-25

Family

ID=5113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74A KR101412304B1 (ko) 2013-03-14 2013-03-14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3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865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Rfid를 이용하여 차량 장비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052332A (ko) * 2009-11-12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반차량 관리 서버 및 그것을 포함한 컨테이너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865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Rfid를 이용하여 차량 장비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052332A (ko) * 2009-11-12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반차량 관리 서버 및 그것을 포함한 컨테이너 운반차량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6857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baggage items
US8742919B2 (en) System for tracking containers and logistics using a biometric identity card and a CSD
EP3413276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light modulation
US20130082820A1 (en) Unattended fleet vehic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0900153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keyless entry for vehicle fleet management
KR20010041561A (ko) 모리터링 시스템
US20060117186A1 (en)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CN111028365A (zh)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园区非机动车管理系统
KR20130047915A (ko) 공유 차량 통합 운영 시스템 및 방법
EP1437690A1 (en) System comprising a digital tachograph and a data download key
CN104875715A (zh) 用于peps车辆的车队操作的存储器管理
KR20190113372A (ko) 무인 택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894618A (zh) 一种基于电子标签的多身份识别认证装置和方法
CN102750748B (zh) 一种停车场管理方法及系统
KR101412304B1 (ko) 운송 차량 관리 시스템
KR20140143287A (ko) 보안구역 출입 게이트 시스템에서의 보안구역 출입대상 인증 및 관리방법
KR101005346B1 (ko) 통합형 알에프 카드를 이용한 항만 보안 시스템
US20180374280A1 (en) Vehicular Remote-Data Transceiver
EP27133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vehicle
US7957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irplane boarding pass for a traveler returning a rental car
KR102101629B1 (ko) 통합 홈넷 관리 시스템
KR20100085758A (ko) 택시의 불법 운행 방지 시스템
KR20100051483A (ko) 전자태그 방식을 이용한 객실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영방법
JP7332434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US11312395B2 (en) Determination of authorizations when approaching locations with an autonomou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