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334B1 - 암반용 브러시 장치 - Google Patents

암반용 브러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334B1
KR101411334B1 KR1020130004122A KR20130004122A KR101411334B1 KR 101411334 B1 KR101411334 B1 KR 101411334B1 KR 1020130004122 A KR1020130004122 A KR 1020130004122A KR 20130004122 A KR20130004122 A KR 20130004122A KR 101411334 B1 KR101411334 B1 KR 10141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unit
rotation angle
housing par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두
Original Assignee
조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두 filed Critical 조병두
Priority to KR102013000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2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 E01H1/05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 E01H1/056Brushing apparatus, e.g. with auxiliary instruments for mechanically loosening dirt with driven brushes having horizontal axes
    • B08B1/12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용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롤러(21)와 고정플레이트(22)와 가압플레이트(23)와 브러시(24) 및 체결부재(25)가 구비되는 회전브러시부(20); 하우징부(10)의 후방에 연통 설치되는 버킷부(30); 회전브러시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암반용 브러시 장치 {BRUSH APPARATUS FOR ROCK MASS}
본 발명은 암반용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에 존재하는 암반의 표면을 간편하게 정리할 수 있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암반의 불규칙한 면을 정리하거나 암반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각종 공사현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효율성이 우수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킷(1)의 선단부에 볼트(2) 체결되는 복수의 연결대(3); 연결대(3)에 결합되는 록 브러시(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연결대(3)는 버킷(1)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굴착용 발톱(5)에 체결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복수의 연결대(3)가 버킷(1)의 굴착용 발톱(5)에 개별적으로 체결됨으로 인해, 그 조립작업이 복잡할 뿐 아니라 연결대(3)를 교체 또는 수리할 경우에도 버킷(1)의 굴착용 발톱(5)으로부터 일일이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대(3)가 버킷(1)의 굴착용 발톱(5)에 각각 삽입되어 볼트(2)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은 물론이고 볼트(2)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그리고 연결대(3) 및 록 브러시(4)가 일체로 형성되어, 록 브러시(4)가 손상되거나 마모되었을 경우 록 브러시(4)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기능성 및 유지보수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굴삭기를 이용한 지하매설관 상부토사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굴삭기를 이용한 지하매설관 상부토사 제거장치는 굴삭기의 암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 지지대에 결합되는 브러시커버 및 브러시커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지하매설관 상부토사 제거장치는 브러시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암반의 불규칙한 면을 정리하거나 암반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는 적절하지 않으며, 브러시의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브러시만 개별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브러시를 통해 제거된 토사를 굴삭기의 버킷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굴삭기를 제외한 다른 장비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JP 1998-046536 A 1998. 02. 17. KR 2010-0037681 A 2010. 04. 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이 간편하면서 그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여러 장비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브러시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에 연통 설치되는 버킷부; 상기 회전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브러시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고정플레이트 각각에 대응 배치되는 복수의 가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브러시;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수직회전각 및 수평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회전각조절부 및 수평회전각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그 조립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조립성 및 내구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킷부가 하우징부와 연결됨으로 인해, 회전브러시부를 통해 제거된 암반잔여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장비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회전브러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회전브러시부의 브러시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회전브러시부의 브러시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버킷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수직회전각조절부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수평회전각조절부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반용 브러시 장치는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에 설치되는 회전브러시부(20); 하우징부(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버킷부(30); 회전브러시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 하우징부(10)의 수직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회전각조절부(50); 하우징부(10)의 수평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회전각조절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부(10)는 외부환경이나 외부충격으로부터 회전브러시부(20)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하우징부(10)는 양측에 회전브러시부(20)가 결합되는 본체(12) 및 본체(12)의 양측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보호플레이트(14)로 이루어진다.
본체(12)는 회전브러시부(2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그 전면과 저면 및 후면은 개방됨과 아울러 상면 및 측면은 패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본체(12)의 개방된 후면은 버킷부(30)의 개방된 전면과 연통되며, 본체(12)의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2)의 개방된 전면 양측에는 회전브러시부(20)의 양단이 결합되는 슬롯(slot) 형태의 결합홈(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호플레이트(14)는 회전브러시부(20)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돌출되어 측방향에서 가해지는 각종 충격으로부터 회전브러시부(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플레이트(14)는 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0)는 내구성 및 내식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부(10)의 형상은 회전브러시부(20)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회전브러시부(20)는 암반의 불규칙한 면을 정리하거나 암반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동부(4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회전브러시부(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0)에 결합되는 롤러(21); 롤러(2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2);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2)에 대응 설치되는 복수의 가압플레이트(23); 고정플레이트(22) 및 가압플레이트(23) 사이에 개재되는 브러시(24); 가압플렝이트(23)를 고정플레이트(22)에 체결하는 체결부재(25)로 이루어진다.
롤러(21)는 하우징부(10)의 본체(12)에 결합되어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며, 그 양단은 하우징부(10)의 본체(12)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에 삽입된다. 이러한 롤러(21)는 내구성 및 내강도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롤러(21)는 일체형 구조 또는 그 크기 및 중량을 고려하여 조립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2)는 롤러(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진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롤러(21)의 길이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즉, 고정플레이트(22)는 롤러(21)의 축방향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복수 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플레이트(22)는 롤러(21)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그 결합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플레이트(22)는 롤러(21)와 마찬가지로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나 폭 또는 두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2)는 그 선단부가 롤러(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 각도 절곡 형성되어, 암반 정리작업시 브러시(24)가 고정플레이트(22)와 지속적으로 접촉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브러시(24)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21) 및 고정플레이트(22)의 연결부위에는 고정플레이트(22)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부(27)의 형성방법으로는 보강대를 용접 등에 의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부위에 추가적인 용접을 실시하는 등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며, 보강부(27)의 보강영역은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2)에는 브러시(24)의 일측이 삽입 수용되는 복수의 가이드바(26)가 구비되어 브러시(24)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가이드바(26)는 브러시(24) 각각을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브러시(24)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이드바(26)를 구비한 것 외에도 너트의 배치형태를 이용하거나 고정플레이트(22)에 브러시(24)가 수용되는 브러시수용홈을 형성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23)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2) 각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대응 배치되어 고정플레이트(22)와 대응 결합됨으로써 브러시(24)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플레이트(23)는 고정플레이트(22)와 마찬가지로 물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압플레이트(23)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가압플레이트(23)는 브러시(24) 또는 가이드바(26)의 부분적인 손상시 복수의 가압플레이트(23) 중 손상된 브러시(24)와 대응되는 가압플레이트(23)만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24) 또는 가이드바(26)의 유지보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가이드바(26)는 고정플레이트(22)가 아닌 가압플레이트(23)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26)의 개수 및 배치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브러시(24)는 고정플레이트(22) 및 가압플레이트(23) 사이에 밀착 개재되며, 암반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암반의 불규칙한 면을 정리하거나 암반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러시(24)는 고정플레이트(22) 및 가압플레이트(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손상시 부분적인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브러시(24)로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로프 형태의 강선을 비롯하여 내구성, 내마모성 및 탄력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브러시(24)의 길이, 형상, 개수 및 재질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시(24)의 외주면 일측에는 암반의 정리작업에 의해 브러시(24)의 꼬임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립(28)이 구비되며, 이러한 클립(28)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외부 힘에 의해 브러시(24)에 압착 설치된다.
클립(28)으로는 원터치 클립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재(25)는 그 체결력을 통해 고정플레이트(22)가 브러시(24)를 가압 고정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재(25)로는 볼트가 사용되며, 이때 고정플레이트(22)의 양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복수 개의 너트(29)가 설치된다. 물론 너트(29)를 설치하지 않고 고정플레이트(22) 자체에 체결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버킷부(30)는 회전브러시부(20)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암반잔여물을 유입·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킷부(3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0)에 힌지 결합되는 몸체(32); 몸체(32)의 후면에 설치되는 배출도어(34); 몸체(32)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는 역류방지경사판(36)으로 이루어진다.
몸체(32)는 전방이 개방되어 하우징부(10)과 연통되며, 그 내부에는 배출도어(34)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3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도어(34)의 개폐동작은 스토퍼(33)를 설치하는 것 외에도 몸체(32)에 배출도어(34)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제어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배출도어(34)는 몸체(32)와 힌지 결합되어 몸체(32)의 이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된다.
역류방지경사판(36)은 몸체(32)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역류방지경사판(36)은 회전브러시부(20)를 통해 제거된 암반잔여물이 몸체(32)의 내부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함과 아울러 몸체(32)의 내부로 유입된 암반잔여물 등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40)는 회전브러시부(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42); 모터(42)의 구동력을 회전브러시부(20)에 전달하는 한 쌍의 기어(44) 및 체인(4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부(40)는 모터(42), 한 쌍의 기어(44) 및 체인(46)을 외부환경 또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커버(4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부(40)로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도 회전브러시부(2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수직회전각조절부(50)는 암반의 형태 등에 따라 버킷부(30)에 대한 하우징부(10)의 수직회전각을 조절하여 하우징부(10)를 일정 각도로 수직이동시켜 회전브러시부(20)의 위치상태를 상하로 적절하게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수직회전각조절부(50)는 버킷부(30)의 측면에 설치되는 바형의 볼트(52); 하우징부(10)에 설치되며, 볼트(52)가 관통되는 장홀(53)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54); 볼트(52)에 체결되어 지지편(54)에 견고하게 밀착 지지되는 너트(56)로 이루어진다.
지지편(54)의 장홀(53)은 볼트(52)에 간섭되지 않고 하우징부(10)의 회전각을 원활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장홀(53)이 길이에 따라 하우징부(10)의 회전각이 제한된다.
그리고 너트(56)는 하우징부(10)의 위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지지편(54)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예컨대, 하우징부(10)의 암반에 대한 위치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회전각조절부(50)의 회전각 조절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시켜 버킷부(3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부(1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수직회전각조절부(50)의 볼트(52)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56)를 이동시켜 지지편(54)에 견고하게 밀착시키면 된다.
한편, 수직회전각조절부(50)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도 버킷부(30)에 복수의 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하우징부(10)에는 회전각 조절에 따라 버킷부(30)의 복수의 홀에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하나의 홀을 형성하여, 체결바를 서로 대응되는 홀에 체결시키는 등 하우징부(10)의 위치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수평회전각조절부(60)는 하우징부(10)의 수평회전각을 조절하여 하우징부(10)를 일정 각도로 수평이동시켜 회전브러시부(20)의 위치상태를 좌우로 적절하게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평회전각조절부(60)를 통해 암반의 불규칙한 면을 정리하거나 암반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 제거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회전각조절부(60)는 회전체(62); 회전체(62)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체(64); 고정체(64)에 결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형 액추에이터(66a, 66b)로 이루어진다.
회전체(62)는 하우징부(10)의 상면에 결합되며, 그 회전동작에 의해 하우징부(10)가 연동된다.
고정체(64)는 회전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체(6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수단으로는 홈과 돌기 등을 비롯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실린더형 액추에이터(66a, 66b)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각각의 전·후진 동작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회전체(62)를 일정 각도로 수평회전시켜 하우징부(1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실린더형 액추에이터(66a, 66b)의 일단은 고정체(64)의 양측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하우징부(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실린더형 액추에이터(66a, 66b)는 고정체(64)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구동원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이 사용된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68은 포크레인 등과 같은 장비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암반용 브러시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 1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회전각조절부(50)를 이용하여 버킷부(3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부(10)를 원하는 각도로 수직회전시켜 회전브러시부(20)의 위치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포크레인(100)에 수평회전각조절부(60)를 장착시켜 필요에 따라 하우징부(10)를 이동 및 수평회전시키면서 회전브러시부(20)를 통해 암반(200)의 불규칙한 면을 정리하거나 또는 암반(200)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회전브러시부(20)에 의해 제거된 암반잔여물은 버킷부(30)로 유입·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10: 하우징부 11: 결합홈
12: 본체 14: 보호플레이트
20: 회전브러시부 21: 롤러
22: 고정플레이트 23: 가압플레이트
24: 브러시 25: 체결부재
26: 가이드바 27: 보강부
28: 클립 30: 버킷부
36: 역류방지경사판 40: 구동부
50: 수직회전각조절부 52: 볼트
53: 장홀 54: 지지편
56: 너트 60: 수평회전각조절부
62: 회전체 64: 고정체
66a, 66b: 실린더형 액추에이터

Claims (10)

  1. 하우징부(10);
    상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브러시부(20);
    상기 하우징부(10)의 후방에 연통 설치되는 버킷부(30) 및
    상기 회전브러시부(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브러시부(20)는 상기 하우징부(1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21); 상기 롤러(21)의 길이방향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2); 상기 복수의 고정플레이트(22) 각각에 대응 배치되는 복수의 가압플레이트(23); 상기 고정플레이트(22)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23) 사이에 개재되는 브러시(24)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23)를 상기 고정플레이트(22)에 체결하는 체결부재(25)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부(10)는 양측에 상기 롤러(21)가 결합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는 본체(12); 상기 본체(12)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호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2) 또는 상기 가압플레이트(23)에 상기 브러시(24)의 일측이 삽입 수용되는 복수의 가이드바(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2)는 그 선단에 절곡부(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21)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2)의 연결부위에 보강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24)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로프 형태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24)의 외주면에는 클립(28)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버킷부(30)는 힌지 결합되고,
    상기 버킷부(30)에 대한 상기 하우징부(10)의 수직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회전각조절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회전각조절부(50)는 상기 버킷부(30)의 측면에 설치되는 볼트(52); 상기 하우징부(10)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52)가 관통되는 장홀(53)이 형성되는 지지편(54); 상기 볼트(52)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편(54)을 지지하는 너트(5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수평회전각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회전각조절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각조절부(6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에 결합되는 회전체(62); 상기 회전체(62)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체(64); 일단은 상기 고정체(64)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1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실린더형 액추에이터(66a, 66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용 브러시 장치.
KR1020130004122A 2013-01-14 2013-01-14 암반용 브러시 장치 KR10141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22A KR101411334B1 (ko) 2013-01-14 2013-01-14 암반용 브러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22A KR101411334B1 (ko) 2013-01-14 2013-01-14 암반용 브러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334B1 true KR101411334B1 (ko) 2014-06-25

Family

ID=5113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22A KR101411334B1 (ko) 2013-01-14 2013-01-14 암반용 브러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3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196A (zh) * 2019-04-03 2019-06-28 谢奔 一种建筑施工用废料收捡装置
KR20220139150A (ko) * 2021-04-07 2022-10-14 장승수 회전브러쉬가 결합된 포크레인 버킷
US11814799B2 (en) 2019-05-09 2023-11-14 Eddynet Inc. Fire hydrant sweeping machine
KR102624447B1 (ko) * 2023-05-10 2024-01-12 (주)상보 교반 어태치먼트 및 표층고화 교반장치와 이를 이용한표층고화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0072A2 (fr) * 1986-01-13 1987-07-29 "Procédés et Brevets Industriels" en abrégé "P.B.I." S.A. Dispositif et procédé de brossage
US20050102778A1 (en) * 2003-11-15 2005-05-19 Gregerson Dennis J. Rotary broom attachment for traction vehicles
KR101214960B1 (ko) * 2012-07-20 2012-12-24 이선혁 터널 배수공동구 및 중앙로의 잔토제거 및 암 청소용 어태치먼트의 브러시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KR101222065B1 (ko) * 2012-05-25 2013-01-14 효동개발 주식회사 터널 바닥 암 청소용 와이어 브러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0072A2 (fr) * 1986-01-13 1987-07-29 "Procédés et Brevets Industriels" en abrégé "P.B.I." S.A. Dispositif et procédé de brossage
US20050102778A1 (en) * 2003-11-15 2005-05-19 Gregerson Dennis J. Rotary broom attachment for traction vehicles
KR101222065B1 (ko) * 2012-05-25 2013-01-14 효동개발 주식회사 터널 바닥 암 청소용 와이어 브러쉬
KR101214960B1 (ko) * 2012-07-20 2012-12-24 이선혁 터널 배수공동구 및 중앙로의 잔토제거 및 암 청소용 어태치먼트의 브러시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196A (zh) * 2019-04-03 2019-06-28 谢奔 一种建筑施工用废料收捡装置
US11814799B2 (en) 2019-05-09 2023-11-14 Eddynet Inc. Fire hydrant sweeping machine
KR20220139150A (ko) * 2021-04-07 2022-10-14 장승수 회전브러쉬가 결합된 포크레인 버킷
KR102529743B1 (ko) * 2021-04-07 2023-05-04 장승수 회전브러쉬가 결합된 포크레인 버킷
KR102624447B1 (ko) * 2023-05-10 2024-01-12 (주)상보 교반 어태치먼트 및 표층고화 교반장치와 이를 이용한표층고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334B1 (ko) 암반용 브러시 장치
KR101284959B1 (ko) 암반용 브러시 장치
JP4584823B2 (ja) シリンダ装置
CN101230583B (zh) 土壤剥离设备
EP2347097B1 (en) Injecting device, drill rig and method of rock bolting
KR20130142003A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의 클램핑장치
JP5091077B2 (ja) カッタビット交換装置
US20140373400A1 (en) Wear pad assembly
KR101281358B1 (ko) 암반용 브러시 장치
CN105899739B (zh) 工具保持系统
CN107567549A (zh) 可拆卸地附接至紧固件头部的盖以及包括夹具和具有这种盖的楔形组件的工具保持系统
US6301809B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powered digging apparatus
AU2017201557C1 (en) Rope cam dipper
RU2526723C2 (ru) Узел привода и натяжения для скребкового цепного конвейера
CN206220154U (zh) 液压锤
CN211340943U (zh) 全回转式多用途挖掘机铲斗
JP2010059734A (ja) ローダ作業機
ITMI20130236U1 (it) Sistema di lavaggio di martello frantumatore
KR101606388B1 (ko) 이종의 청소장치를 이용한 터널 바닥면 청소방법
JP5789158B2 (ja) 建設機械のシリンダ装置
US20160244943A1 (en) Safety lifting system for a mechanical excavator
US20200290849A1 (en) Support system for hoist system
US11898325B2 (en) Device for conducting hydraulic fluid
KR200251572Y1 (ko)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US11208784B2 (en) Quick change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