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231B1 -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231B1
KR101410231B1 KR1020120040337A KR20120040337A KR101410231B1 KR 101410231 B1 KR101410231 B1 KR 101410231B1 KR 1020120040337 A KR1020120040337 A KR 1020120040337A KR 20120040337 A KR20120040337 A KR 20120040337A KR 101410231 B1 KR101410231 B1 KR 10141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sidual chlorine
ethylene
permeable membrane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515A (ko
Inventor
서인호
최연규
박규성
이동권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23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1Half-cells with permeable membranes, e.g. semi-porous or perm-selectiv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Water specific anions in wat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석 대상 물질에 대한 감응이 우수하고, 전기화학적인 성질이 우수한 3-전극계 방식의 잔류염소센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리잔류 염소만을 투과시키고 액상성분은 투과시키지 않는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을 투과한 잔류염소의 양에 따라 전류변화를 일으키는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부; 및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이 장착되는 셀몸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은 3-전극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셀몸통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75 내지 95 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 내지 50 중량%인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25 중량%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는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ELECTROCHEMICAL GAS PERMEABLE MEMBRANE TYPE FREE RESIDUAL CHLORINE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시료수 속에 들어있는 총 유리 잔류염소(Cl2, HOCl, OCl-)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잔류염소를 투과시키고 액상성분은 투과시키지 않는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과 상기 투과막을 투과한 잔류염소의 양에 따라 전류변화를 일으키는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이 셀몸통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센서로 조립되는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지시료에 포함된 다양한 화학물질의 종류 및 구조를 밝히고 그 물질들의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 분석하고자 하는 특정 화학물질에 대한 감응이 우수하고 극미량의 시료로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공정의 자동화, 품질관리, 의학적 분석, 환경시료의 분석 등을 위해 짧은 시간 안에 시료를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물질을 간편하게 분석하는 방법 및 장비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용액상에서 전극반응에 의한 전위차, 전기량, 전도도값의 변화 등 물질과 전기와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이 전기화학이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물질의 화학분석에 이용하는 방법들을 전기화학분석법이라 한다. 전해질을 포함한 시료 용액에 적당한 전극을 담그어 전기화학전지를 만들고 전극 전위를 측정하여 물질을 정량하는 방법을 전위차법 (potentiometry), 전극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전도도법 (conductometry), 전극을 통하여 흐르는 전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전기량법 (coulometry), 전류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전류법 (amperometry)이라 한다. 이밖에 두 가지 전기적 성질을 동시에 측정하여 분석하는 방법도 있는데,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측정하는 방법은 전류-전압법 (voltammetry)이고, 이 방법의 한 가지가 폴라로그래피 (polarography)이다.
전류-전압법은 작동전극과 보조전극 간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 시료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는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의 일종으로 1920년대 초 체코의 화학자 Heyrovsky에 의해 폴라로그래피라는 이름으로 발명되었다.
그 후 기기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폴라로그래피는 0.5 mg/L이하의 농도까지의 미량 금속 및 유기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최근 몇 년간 그 전성기를 맞고 있다.
특히, 화학물질의 분석에는 주로 전기 화학적인 방법이 사용되는데, 그 중 전류-전압법은 작동전극과 보조전극사이에 공급되는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측정, 분석시료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는 분석방법이다. 전류-전압법은 분석 대상 물질에 대한 감응이 우수하고 감응시간이 빨라 분석이 용이하며, 타 분광학적 분석 방법과는 달리 시료의 탁도나 색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시료의 전처리 단계가 필요 없으며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전류-전압법은 비교적 저가이면서도 정확성과 재현성이 뛰어나 분석화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폭넓게 응용할 수 있으며, 이런 응용은 특히 물 분석(폐수, 음용수, 하천수), 공업분석에서뿐만 아니라 혈액, 뇨 등의 생체액 분석, 발효 공정에서의 식품 화학, 공업 화학 분야에서의 공정 조절 및 환경 분석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현재 국내 정수장의 대부분이 염소를 이용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상수 원수의 수질은 계절과 강우량에 따라 변화하며, 이에 대하여 각 정수장에서는 상수원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각 처리 공정을 조절하고 있다.
미생물의 번식률이 가장 높으며, 일 강우량의 변화가 가장 큰 여름의 경우에는 상수 원수의 시간별 변화에 각 처리공정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필요하며, 특히 수인성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의 소독은 적재 적기에 알맞은 양의 소독제를 투입하여 과다한 소독제의 사용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약품의 사용을 억제하여야 할 것이다.
과다한 염소의 주입은 발암성 물질인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THM))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어 적절한 염소의 주입과 이를 위한 공정 내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외에 염소를 이용한 소독은 공중위생의 측면에서 공공장소에서의 용수에 대한 수질관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외 수영장의 욕수와 같은 경우는 현재 염소 소독을 실시하고는 있으나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없어 정량 및 정성적인 약품투입과 이에 따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염소를 이용한 수인성 전염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급배수시에 일정량의 잔류 염소를 유지하여 주어야 하며, 계절별 및 시간별로 변화하는 상수원수에 대한 처리 공정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잔류 염소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잔류 염소 측정법인 SNORT법 (Stabilized Neutral Orthotolidine Method)은 중성 pH에서의 결합잔류염소 및 철, 아질산염과 같은 방해물질과 오르쏘톨리딘과의 느린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유리잔류염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성 오르쏘톨리딘 용액에 pH를 6.7 ~ 7.5로 유지시켜 주는 완충제-안정화제 용액과 시료를 같이 넣어 측정하며, 비색법을 이용한 DPD법 (N, N-diethyl-p-phenylenediamine)은 SNORT법과 측정원리는 유사하며, DPD 시약을 유리잔류염소가 포함되어 있는 시료에 첨가하면, 즉시 반응이 일어나 붉은색이 나타난다. 이는 pH 6.2 ~ 6.5의 중성에서 발색되는 붉은 색의 색도를 측정하면 유리잔류염소의 농도를 결정 할 수 있으나, 상기 두가지 방법 모두 측정시간이 길며(약 180초) 실시간 모니터링이 어렵고, 자동 연속측정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시약 사용과 폐액처리 등의 문제가 있으며, 기기 조작에 대한 상당한 숙련을 요하며, 시약 사용이 아닌 전류법을 사용하는 측정기의 경우에도 고가의 수입비용이 소요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현재 시중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각 정수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여러 가지의 잔류염소센서가 시판되고 있다. 시료 용액에서 전극전위를 측정하려면,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두 점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여야 한다. 측정하는 전극을 작동전극이라 하며, 여기에 따른 하나의 전극을 연결하여 전위차를 측정하여야 한다. 셀전압 V가 기전력 E와 같게 하기 위해선 전류 i=0의 조건(평형)이 성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상대되는 전극은 전위가 안정한 전극을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이를 기준전극이라 한다. 작동전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실제 전류를 무시 할 수 있는 평형상태에서 전위차를 측정하여야 한다.
이때 측정한 전위차는 두 전극사이의 기전력(EMF)에 해당되며, 이러한 조건 i=0 하에서는 전극사이의 내부 저항성분으로 인한 전압강하는 무시 할 수 있다. 전극사이에 외부전압이 걸리는 경우 전극사이에 저항전위강하(iR drop)가 생겨 기준전극전위가 평형값으로 벗어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분석 대상 물질에 대한 감응이 우수하고, 전기화학적인 성질이 우수한 3-전극계 방식의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 투과막과 작동전극, 보조전극 그리고 기준전극이 셀몸통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센서로 조립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산업 현장에서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초기 안정화 및 감응 시간이 빠르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며 우수한 전기 화학적 성질을 지닌 잔류염소센서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는, 유리잔류 염소만을 투과시키고 액상성분은 투과시키지 않는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을 투과한 잔류염소의 양에 따라 전류변화를 일으키는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부; 및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이 장착되는 셀몸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전극, 보조전극, 및 기준전극은 3-전극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셀몸통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75 내지 95 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 내지 50 중량%인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25 중량%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전극과 보조전극은 백금 디스크와 백금 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기준전극은 난용성 은/염화은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은 테플론 재질의 미세 다공성 막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전극은 팔라듐 약 5중량%가 포함된 은을 염화철 수용액에 침지시켜 난용성 금속층을 형성한 염화은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전극을 기준으로 작동전극에 400 mV의 인가전위를 인가하여 잔류염소량을 전기화학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 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비는 0.5 내지 2.5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230℃, 2.16kg 하중)는 1 내지 5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는, 초기 안정화 및 감응 시간이 빨라서 짧은 시간 안에 현장에서의 즉시 사용이 가능하며, 안정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 동안의 시료 용액 속 잔류염소 측정에도 안정하다. 더욱이, 종래의 상용화된 잔류염소센서에 비해서 재현성이 뛰어나며, 제조가 용이하여 시료 당 분석료가 저렴할 뿐 아니라, 센서의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시약 사용이 없어 2차 오염의 문제에 대해 안정적이며, 실시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공정제어에 유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0 ~ 1 mg/L 잔류염소농도 변화에 대한 감응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0 ~ 5 mg/L 잔류염소농도 변화에 대한 감응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및 상용화된 잔류염소센서의 0 ~ 3 mg/L 잔류염소농도 상관관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0 ~ 1 mg/L 잔류염소농도 변화에 대한 감응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0 ~ 5 mg/L 잔류염소농도 변화에 대한 감응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및 상용화된 잔류염소센서의 0 ~ 3 mg/L 잔류염소농도 상관관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는, 기체 투과막(110)과 작동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투과막(110)과 작동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이 셀몸통부(160)에 장착되어 하나의 센서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작동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이 3-전극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작동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을 전극부(150)라 통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는, 상기 작동전극(130)이 시료 용액 중에 존재하는 잔류염소 농도에 따라 전위가 변하게 되고, 기준전극(140)이 시료의 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위가 유지되도록 하여, 시료 용액 중 잔류염소 농도에 따른 작동전극(130)에서의 전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시료 용액 중 잔류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료 용액인 음용수의 정수처리나 방류수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는 염소이다. 이러한 염소는 수중에서 다음과 같이 대부분 가수분해된다.
Cl2 + H2O →HOCl + H+ + Cl- (pK1 = 4.6)
HOCl 은 물의 수소이온농도 (pH)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온화한다.
HOCl → H+ + OCl- (pK2 = 7.5)
본 발명에 의한 잔류염소의 측정은 차아염소산(HOCl)의 환원반응에 의해 흐르는 전자이동(전류)을 측정한 것으로, 차아염소산의 환원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약 400 mV의 정전압(applied potential)을 가한다.
이때, 전극 반응은 다음과 같다.
작동전극: HOCl + H+ + 2e- → Cl- + H2O
시료수: H2O → (1/2)O2 + 2H+ + 2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잔류염소센서를 산업 현장에서 직접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셀몸통부(160)는 기체 투과막(110)과 작동 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을 장착할 수 있어 그 내부에 시료가 계속적으로 흐르면서 전극을 통해 연속적으로 잔류염소를 측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몸통부(16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기체 투과막(110)은 오링(O-ring)(120)에 의하여 셀몸통부(160)에 탄성결합된다.
또한, 상기 셀몸통부(16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셀몸통부(160)에 대한 내충격성을 강화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75 내지 95 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 내지 50 중량%인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25 중량%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 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비는 0.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절대 점도비가 0.5 미만이면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연속상인 호모 폴리프로필렌 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2.5를 초과하면 성형후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상 크기가 증가해 낙구 충격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230℃, 2.16kg 하중)는 1 내지 50g/10분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지수가 1g/10분 미만이면 압출 가공 공정에서 수지 흐름 특성이 저하되며, 절대 점도비를 최적의 조건인 0.5~2.5으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50g/10분을 초과하면 최종 제품의 분자량이 낮아져 내충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구성성분들을 교반-혼합장치[예:Hens 혼합기, 슈퍼 혼합기 또는 텀블러 혼합기]에 충전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1~30분 동안 교반-혼합시켜 180~23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제조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 임의의 성형법으로 본 잔류염소센서의 셀몸통부(16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몸통부(160)는 그 외면에 도장 밀착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는 보호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코팅층은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및 (D)무기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C2 내지 C20(C3 제외)의 알파-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는 블록공중합체 또는 랜덤공중합체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중합단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공중합체 내에서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입체규칙성에 관련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펩타드 분율이 0.80~0.9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5~0.99일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MFI, 230℃, 2.16kg 하중)는 20~60g/10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50g/10분일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대해 44~57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44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장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7 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율 및 도장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중합단위 비율로 20~40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40중량%일 수 있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대해 9~21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함량이 9중량% 미만이면 도장밀착성이 열세하고 21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융지수(190℃, 2.16kg하중)는 5~250g/10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200g/10분일 수 있다.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도장 밀착성 및 내충격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이소플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및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일 수 있다.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7 ~ 21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8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의 함량이 7중량% 미만이면 도장밀착성이 저하되고, 21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및 도장밀착성 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충전제는 활석(Talc), 황산바륨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잔류염소센서의 셀몸통부(16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 임의의 성형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사이에 외부전압이 걸리는 경우 전극사이에 저항전위강하(iR drop)가 생겨 기준전극(140)의 전위가 평형값으로 벗어나게 되는바, 이러한 오차를 피하기 위해 전기화학측정에서는 3-전극계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작동전극(130)과 기준전극(140)사이의 전위차는 전극반응에 의해 흐르는 전류값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작동전극(130)의 전위는 기준전극(140)을 기준으로 하여 전위조절기 (potentiostat)로 조절되며, 사실상 전류는 기준전극(140)을 통하여 흐르지 않으며, 기준전극(140)의 전위는 일정(영전류 전위값)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전류는 작동전극(130)과 보조전극(135)사이에서 흐른다.
한편, 전해액 충진구(170)를 통하여 충진되는 전해용액에 녹여진 특정한 화학종의 산화-환원반응을 측정하는 경우, 어떤 작동전극과 보조전극을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가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으로는 사용하는 전극이 어떤 전위영역의 산화환원반응을 조사하기에 적당한가를 나타내는 전위창(potential window)이 있다. 이 전위창의 전극범위에서 전극은 거의 이상분극 전극으로 거동한다. 상기 전위창은 전극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용매나 지지전해질에 따라서도 변한다. 이 전위창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1)수소과전압(hydrogen overvoltage), (2)산소과전압(oxygen overvoltage), (3)전극의 용해전위, (4)지지전해질의 분해, (5)용매의 분해전위, 그리고 (6)불순물이 반응하는 전위 등이 있다. 이러한 전극범위는 수소이온농도에 따라 변하지만 수소발생의 환원전위는 전극재료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가 있다. 이것은 수소과전압으로 나타나는데 수소과전압의 값이 작은 전극재질로는 백금, 금 등이 있다. 또한 수용액에서는 산소발생전위에 따라 산화반응영역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백금이나 금은 산소발생에 대한 최소과전압(산소과전압)이 매우 크다. 이러한 연유로 백금(Pt)이나 금(Au)이 유기화합물이나 무기화합물의 전해산화에 작동전극과 보조전극으로 매우 유용한 전극 재질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백금 혹은 금을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작동전극(130)과 보조전극(135)의 금속 재질로 택하여 전기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최적, 최상의 잔류염소센서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기준전극(140)은 은 (Ag), 팔라듐 (Pd), 구리 (Cu) 및 백금(Pt) 등의 금속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은/염화은, 수은/산화수은 등과 같이 금속층/난용성 금속층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위의 재현성이 좋고 취급이 용이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은/염화은(Ag/AgCl) 전극을 사용하였다. 상기 은/염화은 전극은 온도에 대한 히스테리시스가 적고 고온까지 전위가 안정하므로, 고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전극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순수 은을 사용하는 대신 팔라듐 약 5 중량 %를 포함한 은을 사용하여 일정 농도의 염화철 수용액에 수 분에서 수십 분 동안 담가두어 은 금속층위에 염화은 층의 난용성 금속층을 형성시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이용하여 시료수 속에 들어있는 총 유리 잔류염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는 케이스를 규격화하여 CPU 보드, 출력/파워보드, 센서신호 변환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CPU 보드 및 출력/파워보드는 수질 측정기에서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표준화하며, 센서 변환회로는 측정범위와 센서 보정이 용이하도록 개발하고, 상기 CPU 보드는 LCD, 키 패드(Key pad), LED 인디케이터(indicator), 통신인터페이스, 변환기(ADC) 및 설정자료를 보관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출력/파워보드는 경보출력, 측정값 아나로그 출력, CPU용 파워, 변환회로용 파워, 출력회로용 파워를 포함하고 사용전원을 110, 220 V 겸용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측정된 잔류염소의 값에 의해 외부에 알람 등의 신호를 줄 수 있도록 릴레이 출력회로도 부가한다. 더욱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 5개 정도의 범용 고체상 릴레이(Solid-State Relay: SSR) 회로를 추가한다.
또한, 변환회로는 전위조절계를 구성하고 기준전극에서 측정된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부여하도록 회로를 구성하며, 이 부분은 다른 디지털회로와 전원을 분리하여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더불어 외부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회로와 온도 및 pH를 측정하는 회로를 포함시켜 최적의 측정조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잔류염소센서는 상기 잔류염소센서를 산업 현장에서 직접 용이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잔류염소센서는 광범위한 잔류염소농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료 조건에 대해 사용 할 수 있으며 전기 화학적 성질은 통상의 잔류염소센서와 동일 또는 보다 향상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잔류염소센서는 구조가 단순하여 대량 생산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함으로 산업 현장에서 잔류염소 농도 측정을 위한 잔류염소센서로서 종래의 잔류염소센서를 대체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기체투과형 잔류염소 센서의 제작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전기화학적 방식의 3-전극계 잔류염소센서는 일반적으로 잔류염소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기체 투과막은 테플론 재질의 미세 다공성 막을, 작동전극(working electrode)(130)으로 Pt(백금)이나 Au(금)을 사용하고, 보조전극(counter electrode)(135)으로는 Pt등의 귀금속을,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140)으로 난용성 은/염화은 전극(Ag/AgCl electrode)을 사용하여 도 1과 같이 셀몸통부를 구성한다.
시료수 용액에서 전극전위를 측정하려면,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두 점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여야 한다. 이때, 측정하는 전극을 작동전극(130)이라하며, 여기에 따른 하나의 전극을 연결하여 전위차를 측정하여야 한다. 또한, 셀전압 V가 기전력 E와 같게 하기 위해서는 전류 i=0의 조건(평형)이 성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상대되는 전극은 전위가 안정한 전극을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이를 기준전극(140)이라 한다. 따라서, 작업전극(130)과 기준전극(140) 사이의 실제전류를 무시할 수 있는 평형상태에서 전위차를 측정하여야 한다. 이때, 측정한 전위차는 두 전극 사이의 기전력(EMF)에 해당되며, 이러한 조건 i=0 하에서는 전극사이의 내부 저항성분으로 인한 전압강하는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사이에 외부전압이 걸리는 경우 전극 사이에 저항전위강하 (iR drop)가 생겨 기준전극(140) 전위가 평형값으로 벗어나게 되는바, 이러한 오차를 피하기 위해 전기화학 측정에서는 3-전극계 측정을 사용한다. 이때, 셀 전류가 작동전극(130)과 보조전극(135)사이에서 흐르고, 작동전극(130)과 기준전극(140)사이에서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상기 작동전극(130)과 기준전극(140)사이의 전위차는 전극반응에 의해 흐르는 전류값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산소과전압이 높기 때문에 산화반응용의 산화전극으로 백금 혹은 금 등의 귀금속을 잔류염소센서의 작동전극(130)과 보조전극(135)의 금속 재질로 택하여 전기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최적, 최상의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제작하였다.
< 실험예 1>
잔류염소센서의 감응성
실시예에서 제작된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의 잔류염소에 대한 감응성을 평가해 보았다.
제작된 잔류염소센서를 0 - 5 mg/L의 농도를 가진 잔류염소농도 변화에 따른 센서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잔류염소센서는 총 유리잔류염소 중에서 일반적 수질 pH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차아염소산(HOCl)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리잔류염소들은 pH에 따라 그 존재비율을 달리하므로, 차아염소산 측정을 통한 총 유리잔류염소의 농도 환산을 위해서는 센서신호에 pH에 따른 차아염소산의 존재비를 고려하여 환산해야 한다.
농도변화에 대한 총 유리잔류염소의 양으로 환산된 신호값을 도 2와 도3에 나타내었다.
도 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염소 농도변화에 따른 환산 센서 신호값이 매우 우수한 직선성과 감응성을 나타내었다. 즉, 0 - 1 mg/L 까지의 직선성은 0.9996이고 0 - 5 mg/L 까지의 직선성은 0.9998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잔류염소센서의 감응성 비교
본 발명에 의해 잔류염소센서에 대한 감응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기 위하여 DPD 발색법을 사용하는 자동측정기로 상용화된 잔류염소분석기(Hach사 CL17 기기)를 동일한 조건에서 시료의 잔류염소농도를 변화시켜 연속적으로 측정 비교하여 잔류염소 감응성 상관 관계를 구하였다.
여러 가지 다양한 잔류염소 농도를 가진 동일 시료를 대상으로 각각의 잔류염소센서를 사용하여 잔류염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산출된 두 잔류염소센서의 잔류염소에 대한 감응성의 상관 관계곡선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는 상용화된 잔류염소센서와의 상관관계가 일치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와 측정기기는 측정방법과 측정값이 일반적으로 널리 인정되는 상용화된 잔류염소분석기와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대등한 잔류염소 측정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보호캡 110: 기체 투과막
120: 오링 130: 작동전극
135: 보조전극 140: 기준전극
150: 전극부 160: 셀몸통부
170: 전해질 충진구

Claims (5)

  1. 테플론 재질의 미세 다공성 막으로 형성되어, 유리잔류 염소만을 투과시키고 액상성분은 투과시키지 않는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110);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110)을 투과한 잔류염소의 양에 따라 전류변화를 일으키도록, Pt(백금)이나 Au(금)으로 이루어진 작동전극(130), Pt(백금)으로 이루어진 보조전극(135), 난용성 은/염화은 전극(Ag/AgCl electrode)으로 이루어진 기준전극(140)을 포함하는 전극부(150); 및 상기 선택적 잔류염소 투과막(110), 작동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이 장착되는 셀몸통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전극(130), 보조전극(135) 및 기준전극(140)은 3-전극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셀몸통부(160)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75 내지 95 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 내지 50 중량%인 탄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25 중량%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각 구성 성분들을 교반-혼합장치에 충전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1~30분 동안 교반-혼합시켜 180~23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제조되며,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 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비는 0.5 내지 2.5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230℃, 2.16kg 하중)는 1 내지 50g/10분이며,
    상기 셀몸통부(160)는 그 외면에 보호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보호코팅층은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및 (D)무기충전제를 포함하고,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MFI, 230℃, 2.16kg 하중)는 20~50g/10분일 수 있고, 상기 보호 코팅층의 조성물에 대해 44~57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중합단위 비율로 25~40중량%일 수 있고,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상기 보호 코팅층의 조성물에 대해 9~21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융지수(190℃, 2.16kg하중)는 10~200g/10분일 수 있고,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및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일 수 있으며,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보호 코팅층의 조성물에 대해 10 ~ 18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충전제는 활석(Talc), 황산바륨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극(140)을 기준으로 작동전극(130)에 400 mV의 인가전위를 인가하여 잔류염소량을 전기화학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5. 삭제
KR1020120040337A 2012-04-18 2012-04-18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KR10141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37A KR101410231B1 (ko) 2012-04-18 2012-04-18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37A KR101410231B1 (ko) 2012-04-18 2012-04-18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515A KR20130117515A (ko) 2013-10-28
KR101410231B1 true KR101410231B1 (ko) 2014-06-27

Family

ID=4963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37A KR101410231B1 (ko) 2012-04-18 2012-04-18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53A (ko) 2022-07-22 2024-01-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소계 소독제 살균력 확인을 위한 시각화 시험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9157A (zh) * 2017-11-01 2018-01-16 青岛科技大学 光致电化学传感器
CN108469458B (zh) * 2018-06-01 2023-12-29 苏州明柏仪器有限公司 一种易清洗集成化余氯传感器及余氯在线监测系统
KR102244024B1 (ko) * 2019-08-23 2021-04-23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멤브레인 구조를 기반으로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온 측정 시스템
CN114740065B (zh) * 2022-03-16 2024-05-03 杭州凯米斯物联传感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自来水的mems余氯电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730A (ja) * 1991-12-09 1993-06-25 Toshiba Corp 溶液成分センサ
KR200344894Y1 (ko) * 2003-12-22 2004-03-18 (주) 이스텍 기체 투과막형 전기화학식 잔류염소센서 및 이를 이용한측정장치
KR101133359B1 (ko) * 2007-07-13 2012-04-06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730A (ja) * 1991-12-09 1993-06-25 Toshiba Corp 溶液成分センサ
KR200344894Y1 (ko) * 2003-12-22 2004-03-18 (주) 이스텍 기체 투과막형 전기화학식 잔류염소센서 및 이를 이용한측정장치
KR101133359B1 (ko) * 2007-07-13 2012-04-06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453A (ko) 2022-07-22 2024-01-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소계 소독제 살균력 확인을 위한 시각화 시험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515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231B1 (ko) 전기화학식 기체투과형 잔류염소센서
Brett Electrochemical sensor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Strategy and examples
Briand et al. The use of oxygen microprobes to measure bacterial respiration for determining bacterioplankton growth efficiency
AU2006286395B2 (en) Electrochemical sensor
US20180224390A1 (en) Graphite based chlorine sensor
Wilson et al. Continuous chlorine detection in drinking water and a review of new detection methods
Hoque et al. Pencil-drawn chemiresistive sensor for free chlorine in water
JP6840368B2 (ja) 残留塩素測定方法及び残留塩素測定装置
CN104977263A (zh) 水质多参数监测仪及其监测方法
KR101077919B1 (ko) 카드형 멀티측정기
DE102017129979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mperometrischen Sensors, amperometr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Messfluids in einem Fluidleitungsnetz
Zhuiykov et al. Water quality assessment by an integrated multi-sensor based on semiconductor RuO2 nanostructures
Li et al. Chlorination in the pandemic times: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for monitoring chlorine residual in water and chlorine exposure in air
KR101507331B1 (ko) 잔류염소측정센서
KR101575008B1 (ko) 무격막 3전극 방식의 잔류염소센서
DE102011113941B4 (de) Elektrochemische Messkette
KR20040009344A (ko) 전기화학식 잔류염소센서 및 이를 이용한 측정장치
WO2006101290A1 (en) Sensor for measuring chloride concentration, sensor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814990B2 (ja) 残留塩素測定方法及び残留塩素測定装置
KR200344894Y1 (ko) 기체 투과막형 전기화학식 잔류염소센서 및 이를 이용한측정장치
Siddiqui et al. Biodegradable asparagine–graphene oxide free chlorine sensors fabricated using solution-based processing
KR200366821Y1 (ko) 잔류염소량 측정 센서 및 장치
Hsu et al. Stable and reusable electrochemical sensor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phosphate in water
Wu Development of a mobile sensor for potable water quality monitoring
KR100676306B1 (ko) 미생물 검출용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정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