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09B1 -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09B1
KR101409909B1 KR1020120021352A KR20120021352A KR101409909B1 KR 101409909 B1 KR101409909 B1 KR 101409909B1 KR 1020120021352 A KR1020120021352 A KR 1020120021352A KR 20120021352 A KR20120021352 A KR 20120021352A KR 101409909 B1 KR101409909 B1 KR 10140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ste
drying
fuse
temperature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669A (ko
Inventor
박원형
김지훈
임재현
김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2002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09B1/ko
Priority to PCT/KR2013/001662 priority patent/WO2013129880A1/ko
Publication of KR2013009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01H69/022Manufacture of fuses of printed circuit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6Fuses formed as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2Miniature fus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4Surface mounted fu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전기적 접촉을 목적으로 형성된 퓨즈기판(1)에 은(Ag)전도성 페이스트{플레이크 형태의 은(Ag)분말수지+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용제(2-(2-에톡시에톡시)에틸 이세테이트)} 가용체(3)의 건조 조건을 변화시켜 100℃~300℃이하에서 견디는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메탈마스크 위에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납과 석면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으며,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과는 차별화된 기법으로 와이어(Wire)가 아닌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3)(Fuse-Element)를 이용함으로써 설비비용의 최소화, 가용체(3)(Fuse-Element)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규격화할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과 대량생산이 용이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LOW TEMPERATURE DRYABLE CONDUCTIVE PASTE AND METHOD FOR SUBMINIATURE SURFACE-MOUNT DEVICES F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전기적 접촉을 목적으로 형성 된 퓨즈기판에 은(Ag)전도성 페이스트(플레이크 형태의 은(Ag)분말수지+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용제(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Fuse-Element)를 건조 조건을 변화하여 100℃~300℃ 이하에서 견디는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를 규격화하여 소형화, 경량화, 대량생산이 가능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페이스트는 전도성 금속분말과 바인더 고분자수지, 용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이 구성된 복합재료이다.
최근 전도성 페이스트는 전자제품의 고밀도화에 따라 휴대용 회로인 칩(Chip)부품과 한 기판 위에 부품에서 배선까지를 일관해서 제조한 것으로 회로 자신이 집약된 하나의 부품 즉, 회로 집적도 IC을 이용한 반도체, TV, 라디오, 카메라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 내부의 가용체(Fuse-Element)는 외부회로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과다한 납 사용으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가 심각하여 유럽연합(EU)에서는 특정위험물질 사용제한지침 (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과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REACH -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Restriction of Chemicals)를 요구하고 있어 요즘에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적용하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용체(Fuse-Element)의 크기가 제한적이라 규격화와 제조하는데 자동시스템의 한계가 있어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시장 요구에 부응하는 재료기술이 필요하며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늘어가는 추세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 및 보전하는 차원에서 친환경 에코재료가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1] KR 10-0772937 B1 2007/10/29 “시간지연 마이크로퓨즈 제조방법과 그로부터 제조 된 마이크로퓨즈” [문헌2] KR 10-2011-0037374 A 2011/04/13 “마이크로 퓨즈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생산자동화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울러,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열, 압력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이 좋은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잉크(Ink)를 도포함으로써 슬림화 및 단순화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기존의 방식인 와이어 본딩(Wire Bonding)방법과는 다른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를 메탈마스크 위에 인쇄기법을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의 제조방법은, 전도성 금속+바인더 수지 및 용제를 혼합한 후 NIR 건조기에서 1차 건조시킨 후 다시 Reflow 건조기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 기판에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를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잉크(Ink)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D(Surface 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던 주석필름에칭(Tin film etching) 방법 및 와이어 본딩(Wire Bonding)방법과 다른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용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가용체로 사용함으로써 고가장비가 불필요하여 투자비용이 적게 들며 제품의 크기에 따른 재료비 증가비율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원하는 규격의 제품제조가 가능하여 품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친환경적인 재료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용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를 사용하여 특정위험물질 사용제한지침(RoHS -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과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REACH - 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 Restriction of Chemicals)을 만족하여 유럽 수출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조방법이 어렵지 않아 생산성과 작업성 향상의 효과와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전기적 특성을 가진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의 건조조건으로 제조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평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 순서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 일례로서, 비록 단정적, 제한적 표현이 있더라도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와 모양들은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의 용어들도 발명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의 전기적 접촉을 목적으로 형성된 퓨즈기판, 시판되는 은(Ag)전도성 페이스트, 외부로부터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성 및 전기 절연성이 좋은 열경화성 에폭시 잉크(Ink)를 완비한다.
그리고 은(Ag)금속 분말을 이용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 가용체(Fuse-Element)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온도변화 즉, 건조 조건을 변화시켜 100℃~300℃이하에서 견딜 수 있는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건조조건의 최적화로 제조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다양화하여 규격화 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SMD (Surface Mount Devices)초소형-퓨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간단한 구조의 전기적 접촉을 목적으로 설계 된 퓨즈기판에 최적화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를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인쇄하고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열, 압력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이 좋은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잉크(Ink)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절단기를 이용하여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 순서도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 재료를 준비하여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프린팅하고 가용체(Fuse-Element)를 경화시킨 다음, 다시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잉크(Ink)를 도포하여 이 잉크를 경화시키고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용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에 적합한 전도성 금속분말, 바인더 고분자수지, 용제 즉 세 가지 요소를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기(Planetary Centrifugal Mixer)를 이용한다.
전도성 재료 중 다량으로 존재하는 상태(Bulk)에서 전도성은 Al, Ag, Au, Cu, Ni 등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으나 금속분말로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표면의 산화, 원가, 가공 상태 등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전기전도성 및 열전도성이 높고 접촉저항성이 낮으며 산화가 잘 되지 않고 또한 치수 안정성이 좋은 은(Ag)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를 제조한다.
즉,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된 원료를 Patterned 기판에 인쇄하여 NIR 건조기에서 1차 건조시킨 후 다시 Reflow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게 된다. 1차 건조시 건조온도는 100℃~200℃, 2차 건조시 건조 온도는 건조온도 200℃~300℃로 한다. 건조시간은 1차 건조시에는 30분~2시간, 2차 건조시에는 5 내지 30분이 바람직하다. 즉 1차 건조는 저온에서 장시간, 2차 건조는 고온에서 단시간 건조시킨다.
<실시예>
본 발명에 도시된 그림이나 도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페이스트의 건조조건을 나타낸 표로 전도성 페이스트의 건조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전도성 페이스트에 맞는 건조기, 건조온도, 건조시간을 설정하여 건조한 다음 전도성 페이스트의 건조 상태(퍼짐의 정도와 색상)를 표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표 1의 실시예 1은 NIR 건조기에서 건조온도 150℃로 1시간 반 동안 건조한 후, 다시 Reflow 건조기에서 건조온도 270℃에서 8분간 건조시켜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1, 2, 3, 4
표 1의 비교예 1~4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예 1은 건조기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 건조온도 150℃, 건조시간 30분으로 건조하였다. 비교예 2는 컨벡션 오븐, 건조온도 150℃, 건조시간 1hr으로, 비교예 3은 컨벡션 오븐, 건조온도 200℃, 건조시간 30분으로 , 비교예 4는 건조기 Reflow, 건조온도 270℃, 건조시간 8분으로 건조하였으나 건조 상태가 불량이었다.
실시 예-1 비교 예-1 비교 예-2 비교 예-3 비교 예-4
건조기 NIR→Reflow Convection Oven Convection Oven Convection Oven Reflow
건조 온도 150℃→200℃ 150℃ 150℃ 200℃ 200℃
건조 시간 1.5hr→8min 30min 1hr 30min 8min
건조 상태 양호 건조안됨 건조안됨 건조안됨 건조됨
기포발생
적합성 양호 불량 불량 불량 불량
표 2는 실시예 1의 정격전류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정격 전류
(A)
정격 전압
(V)
저항
(R)
Rate current Test Opening Time Test 표면 온도
(℃)
4 63V 14~16mΩ 적합 적합 적합
5 63V 12~14mΩ 적합 적합 적합
6 63V 10~12mΩ 적합 적합 적합
8 63V 5~7mΩ 적합 적합 적합
10 63V 5~6mΩ 적합 적합 적합
도 1은 최적의 건조조건으로 제조된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전기적 접촉을 목적으로 설계된 퓨즈기판(1)에 100℃~300℃ 이하에서 견딜 수 있는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플레이크 형태의 은(Ag)분말수지+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용제(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가용체(3)를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외부로부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열, 압력 등을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열성, 전기절연성이 좋으며 충전제를 넣어 압력에도 강한 성형물을 만들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 수지를 잉크(Ink)로 사용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4)을 사용한다.
1 : 퓨즈 기판
2 : 단자 패드
3 : 가용체
4 : 케이스

Claims (11)

  1. 은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금속,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바인더 수지 및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용제를 혼합한 후 저온 건조시키며,
    상기 저온건조는 100℃~300℃의 건조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1차 건조 후, 200℃~300℃의 건조온도에서 5 내지 30분 동안 2차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의 가용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퓨즈 기판에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Fuse-Element)를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잉크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 가용체는 은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금속,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바인더 수지 및 2-(2-에톡시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용제를 혼합한 후 저온 건조시키며,
    상기 저온건조는 100℃ 내지 300℃의 건조온도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1차 건조 후, 200℃ 내지 300℃의 건조온도에서 5 내지 30분 동안 2차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D(Surface Mount Devices)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21352A 2012-02-29 2012-02-29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KR10140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52A KR101409909B1 (ko) 2012-02-29 2012-02-29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PCT/KR2013/001662 WO2013129880A1 (ko) 2012-02-29 2013-02-28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52A KR101409909B1 (ko) 2012-02-29 2012-02-29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69A KR20130099669A (ko) 2013-09-06
KR101409909B1 true KR101409909B1 (ko) 2014-06-20

Family

ID=4908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52A KR101409909B1 (ko) 2012-02-29 2012-02-29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9909B1 (ko)
WO (1) WO20131298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139B1 (ko) 2021-01-15 2021-03-25 주식회사 인세코 고전류 보호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466B1 (ko) * 1992-02-28 1999-01-15 김리치 표면장착퓨즈
KR20110037374A (ko) * 2009-10-06 2011-04-1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퓨즈 및 그 제조방법
JP2011129335A (ja) * 2009-12-17 2011-06-3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加熱硬化型銀ペースト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導体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91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저온소성 가능한 전극 또는 배선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466B1 (ko) * 1992-02-28 1999-01-15 김리치 표면장착퓨즈
KR20110037374A (ko) * 2009-10-06 2011-04-1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퓨즈 및 그 제조방법
JP2011129335A (ja) * 2009-12-17 2011-06-3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加熱硬化型銀ペースト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導体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139B1 (ko) 2021-01-15 2021-03-25 주식회사 인세코 고전류 보호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69A (ko) 2013-09-06
WO2013129880A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1160B1 (en) Electroconductive paste
KR102302357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적층 세라믹 부품, 프린트 배선판 및 전자 장치
CN104637571A (zh) 一种陶瓷电容器用银浆料及其制备方法
US20150085462A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ateri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device, method for making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devi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ackage module and appliance
KR101409909B1 (ko) 저온·건조형 전도성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에스엠디 초소형-퓨즈의 제조방법
JP2009138155A (ja) 無溶剤型導電性接着剤
US20160322163A1 (en) Terminal electrode of electronic component
JP2011129335A (ja) 加熱硬化型銀ペーストおよび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導体膜
KR20110037374A (ko) 마이크로 퓨즈 및 그 제조방법
JP2009070650A (ja) 機能性導電塗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印刷配線基板
JP3284873B2 (ja) チップ型サーミスタの製造方法
JP2006202550A (ja) 導電性ペーストとそれを用いた配線基板と電子部品実装基板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電子機器
CN103059789A (zh) 一种高抗剥离、高耐浸焊的涂胶铜箔胶黏剂制备工艺
CN104464993B (zh) 一种低温固化静电抑制器功能浆料的制备方法
TW201630131A (zh) 電路模組封裝結構及其封裝方法
CN104725768A (zh) 一种导电导热新材料及其应用
JP4665920B2 (ja)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ンバータ装置
JP2008124162A (ja) 低背型チップ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
KR101501488B1 (ko) 후막 저항체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항체 제조방법
KR101342501B1 (ko) 표면실장형 초소형-퓨즈용 도체 패턴구조
JPS6348914B2 (ko)
JPH07312302A (ja) チップ状電子部品
CN103287012A (zh) 基于复合材料的介质基板及其制造方法
JP2008306031A (ja) 導電性塗料を用いた回路パターン設計方法及びプリント回路基板
KR101072158B1 (ko) 도전성 접촉단자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도전성 접촉단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