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71B1 -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971B1
KR101408971B1 KR1020120156913A KR20120156913A KR101408971B1 KR 101408971 B1 KR101408971 B1 KR 101408971B1 KR 1020120156913 A KR1020120156913 A KR 1020120156913A KR 20120156913 A KR20120156913 A KR 20120156913A KR 101408971 B1 KR101408971 B1 KR 10140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utton
cam
ho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15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2Locks mounted on the "frame" cooperating with means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프레임(10)의 표면에 핸들의 샤프트홀(13) 타공시 격벽(12)에 베이스삽입홈부(11)와 통하는 캠장착용 홀이 함께 형성되어 베이스삽입홈부(11) 쪽에서 타공을 하지 않는 무타공으로 설치되는 도어록 본체(100)와; 문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에 설치되며 훅걸림부(210)가 구비된 키퍼(200);로 창호용 도어록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도어록 본체(100)를,
훅출입구와 버튼출입공(112)이 구비된 함체(111) 내부에 훅설치 공간과 버튼이동공간부(114) 및 캠축공(116)이 구비된 캠장착부(115)와 훅받침부(117)가 구비되는 록보디(110)와; 훅스프링(129)의 장력을 받으며, 길다란 캠돌기안내공(125)이 구비된 제2슬라이더(124)와 제1슬라이더(121) 사이에 버튼설치부(127)가 구비되도록 일측단이 연결부(126)로 연결되고, 제2슬라이더(124) 끝단에 키퍼(200)에 걸리는 훅부(128)가 형성되며, 제1슬라이더(121) 끝단에 훅스톱퍼(122)가 형성된 키퍼훅(120)과; 키퍼훅(120)의 캠돌기안내공(125)에 끼워지는 캠돌기(131)가 돌출되며, 캠장착부(115)의 캠축공(116)에 조립되는 오픈캠(130)과;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받으며, 버튼설치부(127)에서 버튼이동공간부(114)로 이동되는 플랜지부(141)가 누름부(142) 하단에 형성된 푸쉬버튼(140)과; 함체(111)의 개방부위를 덮어주는 보디커버(150);로 구성하여 동작성이 좋고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Door lock apparatus hole nothing punching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창호용 섀시 문에 도어록 본체를 설치하기 위한 홀을 타공하지 않고서(이하 '무타공'이라 칭함) 문프레임 정면에 핸들의 샤프트홀 만을 형성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창호는 목재로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의 섀시로 된 문틀과 섀시문이 주로 설치되며, 이러한 섀시문에는 대부분 핸들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도어록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섀시 창호를 이루는 상하의 문틀 가로부재에는 섀시문의 좌우 이동용 레일간이 형성되고, 양 측면의 문틀 세로부재에는 외부로부터의 소음과 바람을 차단하기 위한 레일베이스가 돌출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섀시문의 문프레임 상하에는 문틀의 레일간에 끼워지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섀시문이 레일간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하며, 문프레임의 선단에는 문틀 세로부재의 레일베이스가 삽입되는 베이스삽입홈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과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섀시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을 슬림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서 베이스삽입홈부를 통해 설치하는 타입은 베이스삽입홈부 내측의 격벽에 록설치용 홀을 형성하고, 문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록설치용 홀과 통하는 핸들의 샤프트홀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록설치용 홀과 핸들의 샤프트홀을 뚫는 작업을 각각 별도로 할 경우는 작업공정이 많고 시간이 오래 걸려 설치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여러 부품들이 조립되는 록바디를 상기와 같이 문프레임의 베이스삽입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슬림하게 얇은 폭 사이즈로 형성할 경우 키퍼훅과 오픈캠이 흔들림없이 동작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푸쉬버튼은 키퍼훅과 겹쳐진 상태로 록바디 내에 설치됨에 따라 키퍼훅의 살 두께만큼 푸쉬버튼의 중심은 록바디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약간 편심되게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문을 닫을 때마다 문틀의 세로부재에 설치되는 키퍼와 부딪힐 때 키퍼 중심과 편심된 상태로 계속 강한 충격을 받게 됨에 따라 푸쉬버튼이 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용 섀시문의 문프레임에 도어록 본체 후미로 돌출되는 오픈캠을 끼워 설치하기 위한 홀 타공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고서 곧바로 문프레임의 베이스삽입홈부를 통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창호용 도어록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록 본체를 이루는 록바디를 문프레임의 베이스삽입홈부에 곧바로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슬림한 폭으로 형성하되 그 내부에 조립 설치되는 키퍼훅과 오픈캠이 과다한 흔들림 없이 동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하게 동작될 수 있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푸쉬버튼과 키퍼훅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록바디 내에 설치되더라도 푸쉬버튼의 중심이 문틀 세로부재의 베이스 중심과 일치되게 하여 문을 닫을 때마다 베이스와 푸쉬버튼이 동일 중심 선상에서 부딪게 함으로서 푸쉬버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문프레임의 표면에서 핸들의 샤프트홀만을 타공할 뿐 문프레임의 베이스삽입홈부쪽에서 내부의 격벽에 타공을 하지 않는 무타공 공법으로 설치하는 도어록 본체와; 문틀 세로부재의 베이스에 설치되며 훅걸림부가 구비된 키퍼;로 창호용 도어록 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도어록 본체를, 반쪽의 버튼출입공이 표면 중앙에 형성된 함체 내부에는 훅설치 공간부 아래쪽에 일정 높이의 버튼이동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 캠축공이 구비된 캠장착부 및 훅받침부가 형성된 록보디와; 상기 록보디 내에서 훅스프링의 장력을 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캠돌기안내공이 형성된 제2슬라이더와 제1슬라이더 사이에 버튼설치부가 구비되도록 연결부로 연결되고, 제2슬라이더 끝단에는 훅부가 형성되며, 제1슬라이더 끝단에 훅스톱퍼가 형성된 키퍼훅과; 외주면 일단에는 캠돌기안내공에 끼워지는 캠돌기가 돌출되며, 핸들의 샤프트공이 중앙에 구비된 캠축이 양단에 돌출되어 캠장착부에 조립되는 오픈캠과; 스프링 장력을 받으면서 하부에는 버튼설치부와 버튼이동공간부 사이를 이동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튼출입공을 통해 출몰되는 누름부가 형성된 푸쉬버튼과; 함체 일측면의 개방부위를 덮어주며, 캠장착부와 대응된 부위에 캠축공이 구비된 캠커버부가 형성되어 오픈캠을 눌러주는 보디커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훅부 표면은 일정 높이 돌출되게 후육부로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시키고, 함체의 표면부와 보디커버의 커버표면부에는 상기 훅부의 후육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훅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푸쉬버튼은 누름부와 문틀 세로부재의 베이스 중심과 서로 동일 선상에서 부딪히도록 누름부의 일측에 처마부를 형성하여 누름부의 중심을 이동시키고, 함체와 보디커버의 내면 일측벽에는 푸쉬버튼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안내돌기와 안내돌부를 형성하여 푸쉬버튼이 버튼이동공간부에서 부드럽고 정확하게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문프레임에 핸들의 샤프트홀을 형성할 때 문프레임 내부의 격벽에 함께 형성되는 홀을 통해 베이스삽입홈부에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이 신속 간편한 것으로서, 록보디의 함체 내에 설치되는 키퍼훅, 오픈캠, 푸쉬버튼의 부품들이 전후좌우로의 흔들림 없이 직선운동을 보다 명쾌하게 할 수 있어 동작이 부드럽고 정확하게 되는 효과가 있어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록보디의 함체에서 편심되어 돌출되는 푸쉬버튼의 누름부에 처마부를 형성하여 문을 닫을 때마다 푸쉬버튼과 문틀 세로부재의 베이스 중심이 서로 일치된 상태로 부딪히게 하였기 때문에 푸쉬버튼을 포함한 부품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록보디의 캠장착부에 설치된 오픈캠을 보디커버의 캠커버부로 눌러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므로 오픈캠의 조립상태가 양호하고 회전 동작이 원활하면서도 명료하게 되며,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에서 문프레임에 샤프트홀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b 는 본 발명의 문프레임 샤프트홀에 도어록 본체를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도어록 본체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도어록 본체 구성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도어록 본체에서 바디커버만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a 내지 5c 는 본 발명의 도어록 장치가 설치된 도어가 여닫힐 때 도어록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디커버 내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a는 푸쉬버튼의 중심이 록바디 중심과 일치되지 않아 부쉬버튼이 문틀의 베이스 중심과 편심된 상태로 부딪게 되는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푸쉬버튼 중심을 록바디의 중심 및 문틀 세로부재의 베이스 중심과 일치된 상태로 동작됨을 보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와 1b 는 본 발명에서 문프레임에 샤프트홀을 형성하고 도어록 ㅂㄴ체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프레임(10)의 표면에 핸들의 샤프트홀(13)을 타공할 때 내부의 격벽(12) 부위에 걸쳐지도록 샤프트홀(13)을 타공하면 격벽(12)에는 베이스삽입홈부(11)와 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그 격벽(12)의 홀을 통해 도어록 본체(100)의 일부위를 삽입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타공을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문틀의 세로부재(20)에 구비된 베이스(21)에는 도어록 본체(100)의 훅걸림부(210)가 구비된 키퍼(200)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록 본체(100)와 함께 창호용 도어록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의 도어록 본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도어록 본체 구성부품들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어록 본체(100)는, 문프레임(10)의 격벽(12)표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함체(111)의 상부와 하부에 체결공(100-2)이 있는 체결부(110-1a)(110-1b)가 구비된 록보디(110)와; 상기 록보디(110)의 함체(111) 내에 조립 설치되는 키퍼훅(120), 오픈캠(130), 푸쉬버튼(140), 훅스프링(129), 버튼스프링(144)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 상기 록보디(110)의 함체(111) 일측면 개방부위를 덮어주는 보디커버(150)로 구성된다.
상기 록보디(110)는 문프레임(10)의 베이스삽입홈부(11)에 그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림한 폭으로 형성하되, 함체(111) 하단부에는 개구된 훅출입구가 구비되고, 함체(111)의 반쪽 형태인 표면부(111a) 중앙에는 버튼출입공(112)을 형성하며, 함체(111)의 버튼출입공(112)과 대응된 이면부(111b) 내면에는 양쪽 버튼안내돌기(113a) 사이에 버튼이동공간부(114)를 형성하고, 버튼이동공간부(114)의 일측에는 캠축공(116)이 구비된 홈부 형태의 캠장착부(115)가 이면부(111b) 뒤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111)의 표면부(111a)를 첨부 도면에서는 부품들의 조립성 편의를 위해 함체(111)의 전체 표면 폭 중에서 반쪽(1/2)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표면부(111a)의 폭은 필요에 따라 더 넓게 하거나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면부(111b) 내면에서 돌출되는 버튼안내돌기(113a)는 표면부(111a)와의 사이에 훅설치 및 이동 공간이 확보되도록 일정 높이로만 돌출 형성되어 키퍼훅(120)을 받쳐주는 역할을 겸한다.
그리고, 함체(111)의 캠장착부(115) 일측에는 이면부(111b) 내면에서 훅받침부(117)를 돌출 형성하여 표면부(111a)와 훅받침부(117) 사이의 훅안내 공간을 키퍼훅(120)이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함체(111)의 훅설치 및 이동 공간에 설치되는 키퍼훅(120)은, 일측 버튼안내돌기(113a) 위에 얹혀 이동되는 제1슬라이더(121)와; 훅받침부(117)에 얹혀져 이동되도록 제1슬라이더(121)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캠돌기안내공(125)이 길게 형성된 제2슬라이더(124) 및; 상기 제1슬라이더(121)와 제2슬라이더(124) 사이의 연결부(126) 일측에 오목하게 구비된 버튼설치부(127);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더(124)의 하부 끝단에는 훅부(128)가 체결부(110-1b) 바닥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문을 닫을 때마다 록보디(110)의 일측 체결부(110-1b) 내에 진입하는 문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에 설치된 키퍼(200)의 훅걸림부(210)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제1슬라이더(121)의 끝단에는 버튼안내돌기(113a)에 걸리도록 훅스톱퍼(122)가 절곡 형성되어 훅스프링(129)의 장력을 받아 외부로 출입되는 상기 훅부(128)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체결부(110-1b) 바닥과 이격되기 때문에 훅부(128)는 제2슬라이더(124)의 두께 범위내에서 형성되면 두께가 얇아 강성이 약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훅부(128)의 표면을 제2슬라이더(124) 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살을 두텁게 하여 강성을 보강시켰으며, 이러한 훅부(128)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함체(111)의 표면부(111a)에는 훅부(128)의 훅삽입부(118)를 형성하여 훅부(128)의 두터운 부분이 함체(111)의 표면부(111a)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더(121)의 상면에는 스프링삽입홈(123)이 형성되어 훅스프링(129)의 일단이 안정적으로 끼워져 훅스프링(129)이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오픈캠(130)은, 외주면 일단에 캠돌기(131)가 돌출되어 있으며, 문프레임(10) 표면에 설치되는 핸들의 샤프트 일단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샤프트공(133)이 구비된 캠축(132)이 양단에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캠돌기(131)를 키퍼훅(120)의 캠돌기안내공(125)에 끼운 상태에서 일측의 캠축(132)을 캠장착부(115)의 캠축공(116)에 끼워지도록 함께 설치하면 되며, 타측의 캠축(132)은 캠장착부(115)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놓이도록 조립된다.
상기 푸쉬버튼(140)은, 키퍼훅(120)의 버튼설치부(127)에 놓였다가 록보디(110)의 양쪽 버튼안내돌기(113a)를 따라 버튼이동공간부(114)로 눌려 이동되는 플랜지부(141)와; 버튼출입공(112)에서 출입되도록 플랜지부(141)에서 돌출되는 누름부(142);로 형성되며, 플랜지부(141) 밑면에는 버튼스프링(144)의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삽입홈(143)을 형성하여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양호하게 받아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디커버(150)는, 표면부(111a)가 반쪽 형태로 구비된 함체(111) 일측면의 개방부위 형태를 따라 그 부위를 모두 덮어주도록 반쪽의 커버표면부(151)가 일측에 구비되어 단면이 "ㄱ"자인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반쪽의 커버표면부(151) 일측 끝단에는 록보디(110)의 훅삽입부(118)와 대응되는 반쪽의 훅삽입부(155)가 형성되고, 캠장착부(115)와 대응된 부위에는 오픈캠(130)의 캠축(132)이 끼워지는 캠축공(154)이 구비된 캠커버부(153)가 일체로 형성되어 오픈캠(130)의 캠축(132) 테두리 외부를 눌러주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록보디(110)의 함체(111) 테두리와 보디커버(150)의 테두리에는 서로간의 견고한 조립성을 위해 조립홈부(119a)(157a)와 조립돌부(119b)(157b) 및 가이드공(119c)과 가이드돌기(157c)가 서로 대응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9-1)는 록보디(110)에 형성된 커버체결부이고, (156-1)은 상기 커버체결부(119-1)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보디커버(150)에 형성된 체결공 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도어록은, 창호용 섀시문의 문프레임(10)에 도어록 본체(100) 후미로 돌출되는 캠장착부(115)를 끼우기 위한 홀 타공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된다.
즉, 문프레임(10)의 표면에 핸들의 샤프트를 끼우기 위한 샤프트홀(13)을 타공할 때 도 1a 와 같이 문프레임(10) 내부의 격벽(12)에 샤프트홀(13)의 일단이 걸쳐지도록 타공하면 격벽(12)에는 자연스럽게 문프레임(10)의 베이스삽입홈부(11)를 통해 삽입되는 록보디(110) 후미의 캠장착부(115)가 끼워질 수 있는 홀이 함께 형성된다.
격벽(12)에 형성된 홀을 통해 록보디(110) 후미의 캠장착부(115)를 끼우고 상하 체결부(110-1a)(110-1b)를 문프레임(10) 내부의 격벽(12)에 체결하면 록보디(110)는 문프레임(10)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가 되므로 문프레임(10)에 캠장착부(115)를 끼우기 위한 홀 타공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작업성이 매우 신속 간편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록은 도 5a 와 같이 문이 열린 상태일 때 키퍼훅(120)은 훅스프링(129)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되어 버튼설치부(127)가 푸쉬버튼(140) 부위에 놓인 상태이다. 그러면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받는 푸쉬버튼(140)의 플랜지부(141)가 키퍼훅(120)의 버튼설치부(127)에 삽입되어 제1슬라이더(121)를 막아주므로 키퍼훅(120)은 위로 이동되지 않는 상태이며, 누름부(142)는 록보디(110)와 보디커버(150)의 합쳐진 버튼출입공(112)(15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이다.
또한 키퍼훅(120)의 캠돌기안내공(125)도 하강된 상태이고, 도어 오픈 후 스프링 장력을 받아 아래로 원위치되는 핸들을 따라 오픈캠(130)도 원위치로 회전된 상태이므로 캠돌기(131)는 키퍼훅(120)의 캠돌기안내공(125) 내면 위쪽과 근접되어 키퍼훅(120)은 동작을 위한 준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b 와 같이 문을 닫아 문프레임(10)에 설치된 록보디(110)의 튀어나온 푸쉬버튼(140)이 문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에 닿으면 푸쉬버튼(140)은 버튼스프링(144)을 압축하여 버튼이동공간부(114)로 들어가면서 제1슬라이더(121)를 놓아주므로 키퍼훅(120)은 훅스프링(129)의 장력을 받아 위로 신속하게 상승된다.
이와 같이 키퍼훅(120)이 상승되면 제1슬라이더(121)는 버튼이동공간부(114)로 들어간 푸쉬버튼(140)의 플랜지부(141) 표면을 막아주므로 푸쉬버튼(140)은 버튼스프링(144)을 압축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캠돌기안내공(125)의 내면 아래쪽이 캠돌기(131)의 누름부(142)에 근접된 상태가 된다.
이때, 키퍼훅(120)의 훅부(128)는 도 5b 와 같이 록보디(110)의 함체(111)와 보디커버(150)에 형성된 훅삽입부(118)(155)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키퍼(200)의 훅걸림부(210)에 걸려 괘정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도 5c 와 같이 도어를 열기 위해 핸들을 밀면 핸들의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오픈캠(130)의 캠돌기(131)가 키퍼훅(120)을 아래로 하강시킴에 따라 훅부(128)가 키퍼(200)의 훅걸림부(210)에서 빠지므로 도어는 열리게 되며, 하강되는 키퍼훅(120)의 제1슬라이더(121)는 푸쉬버튼(140)의 플랜지부(141)를 놓아주므로 푸쉬버튼(140)은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받아 신속하게 상승되어 플랜지부(141)는 키퍼훅(120)의 버튼설치부(127) 내로 진입됨에 따라 키퍼훅(120)의 상승됨을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받는 푸쉬버튼(140)의 플랜지부(141)는 키퍼훅(120)의 버튼설치부(127)에 놓여 키퍼훅(120)이 이동되지 못하게 하고, 누름부(142)는 버튼출입공(112)(15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면서 새시문은 열리게 된다.
그 후 새시문을 원하는 위치까지 열은 후 핸들을 놓아주면 핸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복귀스프링의 장력을 받아 손잡이가 아래를 향하도록 원위치되고, 오픈캠(130)의 캠돌기(131)는 캠돌기안내공(125)의 내면 위쪽과 근접되면서 키퍼훅(120)으로 하여금 동작 준비상태에 놓이게 한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문을 닫으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함체(111)의 훅설치 공간에 키퍼훅(120)이 조립될 때 제1슬라이더(121) 부위는 이면부(111b) 바닥의 버튼안내돌기(113a)에 받쳐지고, 제2슬라이더(124) 부위는 훅받침부(117)에 받쳐진 상태에서 훅설치 공간 내에 전후좌우의 유격이 별로 없이 조립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키퍼훅(120)은 전후좌우로의 흔들림 없이 상하로의 수직 운동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다.
또한, 푸쉬버튼(140)은 플랜지부(141) 상하단이 상하 버튼안내돌기(113a)에 접촉 안내되어 버튼이동공간부(114)로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좌우로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함체(111)의 이면부(111b) 일측에 보조안내돌기(113b)를 형성하고 보디커버(150)의 내면에 안내돌부(156)를 돌출 형성하여 푸쉬버튼(140)이 버튼이동공간부(114)에서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동작될 때 좌우 유동이 방지되면서 직선 운동이 보다 명쾌하게 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더(121)와 제2슬라이더(1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26)로 인해 버튼설치부(127)에 플랜지부(141)가 놓이는 푸쉬버튼(140)은 플랜지부(141)의 폭 범위내에서 그대로 누름부(142)를 형성하면 그 누름부(142)는 도 7a 와 같이 록보디(110)의 중심(x1)과 편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문프레임의 베이스삽입홈부(11)에 삽입되는 문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는 그 중심(x3)이 베이스삽입홈부(11)에 설치된 록보디(110)의 중심(x1)과 동일선상에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누름부(142)의 중심이 록보디(110)의 중심(x1)과 편심되면 누름부(142)는 문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의 중심(x3)과도 편심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와 같이 편심된 상태에서 계속 누름부(142)가 베이스(21)에 부딪히게 되면 편심된 충격하중을 연속 받음으로 인해 푸쉬버튼(140)은 그 수명이 매우 짧아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푸쉬버튼(140)은 도 7b 와 같이 연결부(126)를 향하고 있는 누름부(142)의 일측에 처마부(145)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처마부(145)는 누름부(142)의 중심(x2)을 록보디(110)의 중심(x1)과 일치되게 함은 물론 믄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의 중심(x3)과도 일치되게 하여 서로 동일 선상에서 부딪히게 하여 주므로 푸쉬버튼(14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보디커버(150)를 록보디(110)에 조립하면 록보디(110)의 캠장착부(115)에 조립된 오픈캠(130)의 일측 캠축(132) 부위가 보디커버(150)의 캠축공(154)에 끼워지면서 캠커버부(153)가 오픈캠(130)을 눌러주면서 가려주기 때문에 조립된 도어록의 외관이 보다 미려하게 되며, 캠커버부(153)에 눌린 오픈캠(130)은 동작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될 때 회전운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어 동작이 보다 명료한 것이다.
그리고, 록보디(110)에 키퍼훅(120)과 오픈캠(130)과 푸쉬버튼(140) 및 훅스프링(129)과 버튼스프링(144)을 조립한 후 보디커버(150)를 록보디(110)의 함체(111)에 조립할 때 보디커버(150)의 가이드돌기(157c)와 조립홈부(157a) 및 조립돌부(157b)가 록보디(110)의 가이드공(119c)과 조립돌부(119a) 및 조립홈부(119b)에 맞물려서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커버체결부(119-1)와 체결공(157-1)으로 조립되는 록보디(110)와 보디커버(150)의 체결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10 : 문프레임 11 : 베이스삽입홈부
12 : 격벽 13 : 샤프트홀
20 : 문틀 세로부재 21 : 베이스
100 : 도어록 본체 110 : 록보디
111 : 함체 112 : 버튼출입공
114 : 버튼안내공간 115 : 캠장착부
117 : 훅받침부 118 : 훅삽입부
120 : 키퍼훅 121 : 제1슬라이더
122 : 훅스톱퍼 124 : 제2슬라이더
125 : 캠돌기안내공 126 : 연결부
127 : 버튼설치부 128 : 훅부
130 : 오픈캠 131 : 캠돌기
140 : 푸쉬버튼 141 : 플랜지부
145 : 처마부 150 : 보디커버
153 : 캠커버부 155 : 훅삽입부
156 : 안내돌부 200 : 키퍼
210 : 훅걸림부 x1,x2,x3: 중심

Claims (5)

  1. 문프레임(10)의 표면에 핸들의 샤프트홀(13) 타공시 베이스삽입홈부(11)와 통하도록 내부의 격벽(12)에 캠장착용 홀이 함께 형성되어 베이스삽입홈부(11) 측에서 타공을 하지 않고 무타공으로 설치되는 도어록 본체(100)와; 문틀 세로부재(20)의 베이스(21)에 설치되며 훅걸림부(210)가 구비된 키퍼(200);로 창호용 도어록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도어록 본체(100)를,
    함체(111) 하단부에는 훅출입구가 구비되고, 함체(111)의 반쪽 형태인 표면부(111a) 중앙에는 버튼출입공(112)을 형성하며, 버튼출입공(112)과 대응된 이면부(111b) 내면에는 양쪽에 버튼안내돌기(113a)가 표면부(111a)와의 사이에 훅설치 공간이 확보되도록 돌출되어 버튼이동공간부(114)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 캠축공(116)이 구비된 캠장착부(115)가 이면부(111b) 뒤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그 일측에 훅받침부(117)가 돌출되어 구비된 록보디(110)와;
    상기 록보디(110)의 훅설치 공간에서 훅스프링(129)의 장력을 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캠돌기안내공(125)이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훅받침부(117)에 얹혀져 이동되는 제2슬라이더(124)와 일측 버튼안내돌기(113a) 위에 얹혀 이동되는 제1슬라이더(121) 사이에 버튼설치부(127)가 구비되도록 일측단이 연결부(126)로 연결되고, 제2슬라이더(124)의 끝단에는 키퍼(200)에 걸리도록 체결부(110-1b) 바닥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훅부(128)가 형성되며, 제1슬라이더(121) 끝단에는 버튼안내돌기(113a)에 걸려 훅부(128) 동작을 제어하는 훅스톱퍼(122)가 형성된 키퍼훅(120)과;
    외주면 일단에는 상기 키퍼훅(120)의 캠돌기안내공(125)에 끼워지는 캠돌기(131)가 돌출되며, 핸들 샤프트의 샤프트공(133)이 중앙에 구비된 캠축(132)이 양단에 돌출되어 캠장착부(115)의 캠축공(116)에 조립되는 오픈캠(130)과;
    버튼스프링(144)의 장력을 받으면서 하부에는 키퍼훅(120)의 버튼설치부(127)에서 버튼이동공간부(114)로 이동되는 플랜지부(14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튼출입공(112)(152)을 통해 출몰되는 누름부(142)가 형성된 푸쉬버튼(140)과;
    함체(111)의 개방부위를 덮어주며, 캠축공(154)이 구비된 캠커버부(153)가 형성되어 캠장착부(115)의 오픈캠(130)을 눌러주는 보디커버(150);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128)의 표면은 제2슬라이더(124)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게 후육부로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시키고,
    함체(111)의 표면부(111a)와 보디커버(150)의 커버표면부(151)에는 상기 훅부(128)의 돌출된 후육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훅삽입부(118)(15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140)은
    누름부(142)의 중심(x2)이 베이스(21)의 중심(x3)과 서로 일치되도록 연결부(126)를 향하는 일측에 처마부(145)를 형성하여
    누름부(142)와 베이스(21)가 서로 동일 중심에서 부딪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함체(111)와 보디커버(150)의 내면 일측벽에는 푸쉬버튼(14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보조안내돌기(113b)와 안내돌부(156)를 형성하여
    푸쉬버튼(140)이 버튼이동공간부(114)에서 보다 부드럽고 명료하게 승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보디(110)의 함체(111) 테두리와 보디커버(150)의 테두리에는 서로간의 견고한 조립성을 위해 대응된 형태의 조립홈부(119a)(157a)와 조립돌부(119b)(157b) 및 가이드공(119c)과 가이드돌기(157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KR1020120156913A 2012-12-28 2012-12-28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KR10140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913A KR101408971B1 (ko) 2012-12-28 2012-12-28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913A KR101408971B1 (ko) 2012-12-28 2012-12-28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971B1 true KR101408971B1 (ko) 2014-06-19

Family

ID=5113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913A KR101408971B1 (ko) 2012-12-28 2012-12-28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9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853B2 (ja) 2002-04-23 2007-06-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引戸錠の戸の反発防止装置
KR100938505B1 (ko) 2009-03-13 2010-01-25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2011013854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20120090616A (ko) * 2011-02-08 2012-08-17 이병노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853B2 (ja) 2002-04-23 2007-06-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引戸錠の戸の反発防止装置
KR100938505B1 (ko) 2009-03-13 2010-01-25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KR20110138544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20120090616A (ko) * 2011-02-08 2012-08-17 이병노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7180B (zh) 直接作用的窗锁
US20080302017A1 (en) Window Latch
KR200433867Y1 (ko) 미닫이창문용 잠금장치
US20240117668A1 (en) Passive Door Bolt Assembly
KR101408971B1 (ko) 창호용 무타공 도어록 장치
CA2976794C (en) Astragal
CN212295983U (zh) 一种推拉门锁结构
KR20030090016A (ko) 로울러식 방충망용 망체손잡이의 잠금장치 설치구조
JP2008261131A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JP2016089546A (ja) 引戸用施錠装置
JP3947516B2 (ja) 戸当り
KR200470729Y1 (ko) 창문 자동 잠금 장치
CN114608082B (zh) 窗式空气管理装置的安装方法
KR102139294B1 (ko) 자동 잠금 시간 설정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JP3491785B2 (ja) 引戸錠用のストライカー
CN114608081B (zh) 窗式空气管理装置
CN114607252B (zh) 窗式空气管理装置
CN114608079B (zh) 窗式空气管理装置
JP3504987B2 (ja) 開閉体取付装置
JP2009062750A (ja) 扉用ピボットヒンジ及びこれを備えた扉
CN210768256U (zh) 一种自动开启插销
KR200478721Y1 (ko) 냉장 및 냉동고 도어용 도어록장치
KR20180002452A (ko) 도어 고정장치
CN114607253B (zh) 窗式空气管理装置的安装框架
KR10188542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