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66B1 -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 Google Patents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966B1
KR101408966B1 KR1020120148803A KR20120148803A KR101408966B1 KR 101408966 B1 KR101408966 B1 KR 101408966B1 KR 1020120148803 A KR1020120148803 A KR 1020120148803A KR 20120148803 A KR20120148803 A KR 20120148803A KR 101408966 B1 KR101408966 B1 KR 10140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pring
foot
strengthening
elastic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권
이진구
백미나
박준호
유솔희
남현진
정재옥
이진원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 부위에 착용하는 발목부위탄력벨트와 발등 부위에 착용하는 발등부위탄력벨트를 구성하고, 두 개의 탄력벨트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발을 당기면 힘이 들어가고, 당기지 않을 경우에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당긴 발이 원위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목의 인대와 근육 강화 및 재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목부위탄력벨트(100)와;
상기 발목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등부위탄력벨트(300)와;
상기 발등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와;
상기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 발목 부위에 착용하는 발목부위탄력벨트와 발등 부위에 착용하는 발등부위탄력벨트를 구성하고, 두 개의 탄력벨트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발을 당기면 힘이 들어가고, 당기지 않을 경우에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당긴 발이 원위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목의 인대와 근육 강화 및 재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발목에 부하를 주게 되며, 스프링을 강도가 다른 스프링이나 밴드로 교체하여 부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발목 재활 기구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하기도 편리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ankle Reinforcement and Rehabilitation device.}
본 발명은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목 부위에 착용하는 발목부위탄력벨트와 발등 부위에 착용하는 발등부위탄력벨트를 구성하고, 두 개의 탄력벨트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발을 당기면 힘이 들어가고, 당기지 않을 경우에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당긴 발이 원위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목의 인대와 근육 강화 및 재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 부상으로 발목 재활시 밴딩 밖에 활용할 수 없었다.
즉, 밴딩은 밴드를 기둥에 고정하여 발목 힘으로 당겼다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재활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기둥이 꼭 필요한 단점과 강도 조절은 불가능하였다.
결국, 휴대하기 간편하고 강도 조절이 가능한 발목 재활장치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목 부위에 착용하는 발목부위탄력벨트와 발등 부위에 착용하는 발등부위탄력벨트를 구성하고, 두 개의 탄력벨트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발을 당기면 힘이 들어가고, 당기지 않을 경우에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당긴 발이 원위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목의 인대와 근육 강화 및 재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발목에 부하를 주게 되며, 스프링을 강도가 다른 스프링이나 밴드로 교체하여 부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목부위탄력벨트(100)와;
상기 발목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등부위탄력벨트(300)와;
상기 발등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와;
상기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는,
발목 부위에 착용하는 발목부위탄력벨트와 발등 부위에 착용하는 발등부위탄력벨트를 구성하고, 두 개의 탄력벨트를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발을 당기면 힘이 들어가고, 당기지 않을 경우에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당긴 발이 원위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목의 인대와 근육 강화 및 재활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발목에 부하를 주게 되며, 스프링을 강도가 다른 스프링이나 밴드로 교체하여 부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발목 재활 기구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하기도 편리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목부위탄력벨트(100)와;
상기 발목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등부위탄력벨트(300)와;
상기 발등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와;
상기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 대신에,
탄력있는 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목부위탄력벨트(100)와;
상기 발목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등부위탄력벨트(300)와;
상기 발등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와;
상기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발목부위탄력벨트(100)는 발목 부위에 착용되는데, 착용되는 부위는 사람마다 둘레가 다르므로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을 형성하게 되어 착용시에 벨크로 테입을 결합시키고, 미착용시 벨크로 테입을 해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는 발목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게 되며, 내부에는 이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발목 형상에 부합되게 굴곡지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에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발등부위탄력벨트(300)는 발등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마찬가지로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는 마찬가지로 발등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00)은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를 발목 부위와 발등 부위에 각각 착용하고 발등부위탄력벨트(300)를 하측으로 힘을 가하여 발등을 이동시킬 경우에 스프링이 늘어지게 되며, 힘을 빼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발목 강화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재활 및 발목 강화를 위하여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강도가 다른 스프링 혹은 스프링 대신에 탄력있는 밴드를 사용하여 이들을 교체하여 적용하면 된다.
즉,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발목에 부하를 주게 되며, 스프링 혹은 탄력있는 밴드를 교체하여 부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발목 재활 기구는 기둥이 반드시 필요하여 장소에 구애를 받게 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하기도 편리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발목부위탄력벨트
200 :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
300 : 발등부위탄력벨트
400 :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
500 : 스프링
600, 610 : 벨크로 테입

Claims (2)

  1.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에 있어서,
    발목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목부위탄력벨트(100)와;
    상기 발목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 부위에 착용되며, 양단부에 암수의 벨크로 테입(600,610)이 형성되어 있는 발등부위탄력벨트(300)와;
    상기 발등부위탄력벨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스프링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와;
    상기 발목부위스프링연결부(200)와 발등부위스프링연결부(400)에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2. 삭제
KR1020120148803A 2012-12-18 2012-12-18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KR10140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03A KR101408966B1 (ko) 2012-12-18 2012-12-18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03A KR101408966B1 (ko) 2012-12-18 2012-12-18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966B1 true KR101408966B1 (ko) 2014-06-17

Family

ID=5113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803A KR101408966B1 (ko) 2012-12-18 2012-12-18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9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4011A (zh) * 2017-03-29 2017-07-07 辽宁科技大学 一种便携式踝关节康复医疗控制装置
KR20210106667A (ko) * 2020-02-21 2021-08-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의 관절운동 보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70Y1 (ko) * 2003-05-10 2003-10-10 이종화 발관절운동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570Y1 (ko) * 2003-05-10 2003-10-10 이종화 발관절운동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4011A (zh) * 2017-03-29 2017-07-07 辽宁科技大学 一种便携式踝关节康复医疗控制装置
KR20210106667A (ko) * 2020-02-21 2021-08-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의 관절운동 보조기
KR102359961B1 (ko) 2020-02-21 2022-02-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의 관절운동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01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ercising a limb of a user
JP6312908B1 (ja) 手指訓練用器具
WO2011149923A3 (en)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persons with injuries causing limited ranges of motion to one or more limbs
KR20100018599A (ko) 관절 보조기용 재활 운동기
KR101408966B1 (ko) 발목 강화 및 재활장치
KR20090124898A (ko) 조립 및 분리형 밴드 운동기구
US20160030222A1 (en) Ankle-Foot Flexion Device
JP7386316B2 (ja) 曲がった脚変形に対する下部体形及び歩行矯正用圧迫衣類
RU2704366C1 (ru) Носимый тренажер для рук, пригодны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ходьбе
WO2009110706A2 (ko) 운동화의 하체 근육강화 보조기구
US9254403B2 (en) Joint rehabilitation stra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49335B1 (ko) 발목관절 보조기
JP2020162925A (ja) 歩行姿勢矯正器具
CN104970908A (zh) 一种膝关节助伸矫形器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TWI466699B (zh) 肌群訓練裝置
JP3179944U (ja) 股関節サポータ
KR101457353B1 (ko) 근력운동기구
JP2020032163A (ja) ストレッチ器具
CN203915939U (zh) 便携式脚踝康复训练器
CA2850861C (en) Device and method for passive flexibility training
CN219439891U (zh) 一种踝关节康复用牵拉器具
KR102323812B1 (ko) 양 상,하지 관절 치료 및 이동 복지 용구
CN210991588U (zh) 一种偏瘫步行康复训练拮抗带
CN210302221U (zh) 一种膝关节辅助屈伸功能锻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