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660B1 -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 Google Patents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660B1
KR101407660B1 KR1020130064567A KR20130064567A KR101407660B1 KR 101407660 B1 KR101407660 B1 KR 101407660B1 KR 1020130064567 A KR1020130064567 A KR 1020130064567A KR 20130064567 A KR20130064567 A KR 20130064567A KR 101407660 B1 KR101407660 B1 KR 101407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exchanger
adsorption
shap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경
차동안
배경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6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7/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 F25B17/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solid, e.g. sa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5/00Boiler-absorbers, i.e. boilers usable for absorption or adsorption
    • F25B35/04Boiler-absorbers, i.e. boilers usable for absorption or adsorption using a solid as sorb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에 관한 것으로,
전방과 후방에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가 마련되고, 내부 전방과 내부 후방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부판의 내부와 하부판의 내부에 상기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가 마련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삽입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하여
냉각수(온수)의 열교환효율 및 냉매의 흡,탈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흡착식 냉동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 ADSORPTION BED HAVING PLATE HEAT EXCHANGER SHAPE }
본 발명은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판체 사이에 냉각수(온수)통로가 마련되는 직교류형 열교환 방식의 판형의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흡착식 냉동기는 흡착제와 냉매의 가역반응(reversible reaction)에 따르는 발열, 흡열현상을 이용하고 배열을 열원으로 하여 냉열을 발생시키는 냉동 열기관이다.
흡착식 냉동기는 버려지는 폐열을 구동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를 유효하게 재활용(Energy cascading)할 수 있으며, 냉매로 물을 사용함으로써 오존층 파괴와 관계없는 친환경적인 시스템이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흡착식 냉동기에서 흡착제로는 주로 실리카겔(Silica gel)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가 사용되고, 냉매로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흡착식 냉동기는 흡수식 냉동기와 유사한 사이클로 운전되며, 다만 흡수기 대신 흡착탑에서 냉매를 흡착한다는 점이 다르다.
흡수식 냉동기의 경우 흡수용액이 냉매를 흡수하여 시스템 내를 같이 순환하지만 흡착식 냉동기의 경우 흡착탑에 고정되어 있는 고체 상태의 흡착제에 냉매가 흡, 탈착되어 시스템 내에서는 냉매만 순환된다.
특히 흡착제로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흡착식 냉동기는 기존의 흡수식 냉동기보다도 저온의 구동열원으로 운전이 가능하므로 열의 다단계 이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흡착식 냉동기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흡착식 냉동기는 증발기, 2개의 흡착탑, 응축기, 물측 밸브 유닛을 구비한다.
도 1과 같이 흡착식 냉동기는 냉열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2개의 흡착탑을 구비하고, 각각의 흡착탑은 흡착공정과 탈착공정을 번갈아 가면서 수행한다.
흡착공정은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과정으로 흡착시 발생되는 열은 흡착성능을 감소시킴에 따라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한다.
탈착공정은 흡착제로부터 냉매를 탈착시키는 과정으로 흡착제로부터 냉매를 탈착시키기 위해 열을 가해주어야 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흡착식 냉동기의 폐열 재활용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의 일반적인 흡착식 냉동기의 작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의 비특허문헌 1의 흡착식 냉동기 기술 개발 동향에는 흡착식 냉동기의 기술 개발 동향, 구조와 냉동사이클, 성능과 특징, 효율 향상 방안 및 적용사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흡착식 냉동기에서 흡착탑은 전체 부피 중 50% 이상을 차지할 뿐 아니라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부품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흡착식 냉동기에서 사용되는 흡착탑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핀-튜브(FIN-TUBE) 방식의 열교환기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의 열교환기는 열-물질 전달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 및 공급해주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열교환기가 요구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판형 열교환기를 적용한 흡착탑이 제안되었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흡착식 냉동기용 마이크로 채널의 흡착탑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흡착식 냉동기의 흡착탑으로 사용되고 있는 열교환기의 형상으로 셀-튜브 방식(Shell and tube type), 플랫-파이프 방식(Flat-pipe type), 플레이트-핀 방식(Plate-fin type), 스파이럴 플레이트 방식(Spiral plate type)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7570호(2008년 5월 7일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91528호(2005년 10월 20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7407호(2007년 6월 13일 공개)
흡착식 냉동기 기술 개발 동향(대한설비공학회, 설비저널 2006년 9월호)
그러나 기존의 판형 열교환기는 흡착탑의 내부에서 증기가 흡착제로 흡탈착할 때 유로가 작아 증기가 판형 열교환기 전체에 퍼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가스켓 타입의 판형 열교환기는 진공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열교환기들은 냉동공조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착제와 열전달 튜브 핀 사이의 열저항이 대단히 크고, 냉매증기의 유로확보가 곤란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올리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각수(온수)와 열교환기 외부의 냉매 사이에 안정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각수(온수)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착탑의 내부에서 증기가 흡착제로 흡, 탈착할 때에 판형 열교환기 전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을 유지하기가 용이한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은 전방과 후방에 제1 출입구와 제2 출입구가 마련되고, 내부 전방과 내부 후방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부판의 내부와 하부판의 내부에 상기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가 마련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은 상기 삽입체의 양측면 전방과 후방이 본체의 제1 공간부 양측면 후방과 제2 공간부 양측면 전방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은 상기 본체의 상부판과 삽입체의 사이, 삽입체와 삽입체의 사이, 그리고 삽입체와 본체의 하부판 사이에 각각 냉매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은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 및 상기 삽입체의 외부 둘레에 흡착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착제는 실리카겔(Silica gel)과 제올라이트(Zeolite), MOF(Metal-organic framework) 중의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은 상기 본체의 상부판 및 하부판, 그리고 삽입체가 한 쌍의 판체를 접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판체는 대직경 원형 돌출부와 소직경 원형 요입부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반복되는 딤플(Dimple) 형태이거나 V 형의 돌출부와 V형의 요입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속된 쉐브론(Chevron)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판체의 각 소직경 원형 요입부를 서로 맞닿도록 한 후에 그 부위에 점 용접(spot welding)하여 상부 판체와 하부 판체의 사이에 냉각수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은 다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모듈화할 수 있으며, 이때 다수의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각 제1 출입구 및 각 제2 출입구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모듈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에 의하면 본체의 상부판 및 하부판, 그리고 삽입체에 냉각수(온수)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온수)와 열교환기 외부의 냉매와의 열교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에 의하면 본체 및 그와 일체로 구성되는 삽입체의 외부 표면의 넓은 면적에 흡착제가 코팅되기 때문에 냉매의 흡,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냉매의 흡, 탈착 효율이 좋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온수)의 열교환효율 및 냉매의 흡탈착 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흡착식 냉동기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에 의하면 본체 및 그와 일체로 구성되는 삽입체의 진공을 유지하기가 쉽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흡착식 냉동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본체의 상부판 및 하부판, 그리고 삽입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한 쌍의 판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도 6의 A-A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은 본체(110), 삽입체(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장방형으로, 전방과 후방에 제1 출입구(111)와 제2 출입구(112)가 마련된다.
본체(110)의 내부 전방에는 제1 출입구(111)와 연결되는 제1 공간부(113)가 마련되고, 본체(110)의 내부 후방에는 제2 출입구(112)와 연결되는 제2 공간부(114)가 마련된다.
본체(110)의 상부판(115) 및 하부판(116)은 한 쌍의 판체를 접합한 것이다.
본체(110)의 상부판(115) 및 하부판(116)은 양측이 밀폐되고, 내부에 제1 공간부(113) 및 제2 공간부(114)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117)가 마련된다.
삽입체(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는 본체(110)의 상부판(115)과 하부판(116)의 사이에 2개의 삽입체(120)가 같은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것이다.
삽입체(120)는 본체(110)의 상부판(115) 및 하부판(116)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판체를 접합한 것이다.
삽입체(120)는 본체(110)의 상부판(115) 및 하부판(116)과 마찬가지로 양측이 밀폐되고, 내부에 제1 공간부(113) 및 제2 공간부(114)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127)가 마련된다.
삽입체(120)의 양측면 전방과 후방은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3) 양측면 후방과 제2 공간부(114) 양측면 전방과 연결된다.
본체(110)의 상부판(115)과 삽입체(120)의 사이, 삽입체(120)와 삽입체(120)의 사이, 그리고 삽입체(120)와 본체(110)의 하부판(116) 사이에는 각각 냉매통로(131)가 형성된다.
본체(110)의 외부 둘레 및 삽입체(120)의 외부 둘레에는 흡착제가 코팅되며, 이때 흡착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 MOF(Metal-organic framework)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본체의 상부판 및 하부판, 그리고 삽입체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한 쌍의 판체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한 쌍의 판체(10)는 대직경 원형 돌출부(11)와 소직경 원형 요입부(12)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반복되는 딤플(Dimple) 형태이다.
상기 딤플 형태의 한 쌍의 판체(10)의 각 소직경 원형 요입부(12)를 서로 맞닿도록 한 후에 그 부위에 점 용접(spot welding)하게 되면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부 판체(10)와 하부 판체(10)의 사이에 냉각수통로(17)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부 판체(10)와 하부 판체(10)를 점 용접으로 견고하게 접합하게 되면 진공 압력에 의해 냉각수통로(17)가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사시도이다.
도 8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a)은 V 형의 돌출부(21)와 V형의 요입부(22)가 전후방향으로 연속된 쉐브론(Chevron) 형태의 한 쌍의 판체(20)로 본체(110)의 상부판(115)과 하부판(116), 그리고 각 삽입체(120)를 구성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의 사시도이다.
도 9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b)은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을 다수개 연결하여 모듈화한 것이다.
도 9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b)과 같이 다수의 열교환기(100)의 각 제1 출입구(111)를 서로 연결하는 동시에 각 제2 출입구(112)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모듈화하게 되면 전체 용량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100a)(100b)에 있어서 냉매는 제1 출입구(111)로 통해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3)로 진입하게 되거나 제2 출입구(112)를 통해 본체(110)의 제2 공간부(114)로 진입하게 된다.
냉매가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3)로 진입하는 경우 냉매는 상부판(115)과 하부판(116)의 냉각수통로(117), 각 삽입체(120)의 냉각수통로(127)를 거쳐 제2 공간부(114)로 이동되고, 제2 출입구(112)를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된다.
냉매가 본체(110)의 제2 공간부(114)로 진입하는 경우 냉매는 상부판(115)과 하부판(116)의 냉각수통로(117), 각 삽입체(120)의 냉각수통로(127)를 거쳐 제1 공간부(113)로 이동되고, 제1 출입구(111)를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냉매가 본체(110) 및 삽입체(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본체(110)의 외부 둘레 및 삽입체(120)의 외부 둘레에 코팅된 흡착제에 의해 흡착 또는 탈착이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100a, 100b :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110 : 본체 111 : 제1 출입구
112 : 제2 출입구 113 : 제1 공간부
114 : 제2 공간부 115 : 상부판
116 : 하부판 117 : 냉각수통로
120 : 삽입체 127 : 냉각수통로

Claims (11)

  1. 전방과 후방에 제1 출입구(111)와 제2 출입구(112)가 마련되고, 내부 전방과 내부 후방에 제1 공간부(113)와 제2 공간부(114)가 마련되며, 상부판(115)의 내부와 하부판(116)의 내부에 상기 제1 공간부(113) 및 제2 공간부(114)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117)가 마련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상부판(115)과 하부판(116)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공간부(113) 및 제2 공간부(114)와 연결되는 냉각수통로(127)가 마련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삽입체(120);를 포함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120)의 양측면 전방과 후방은 본체(110)의 제1 공간부(113) 양측면 후방과 제2 공간부(114) 양측면 전방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판(115)과 삽입체(120)의 사이, 삽입체(120)와 삽입체(120)의 사이, 그리고 삽입체(120)와 본체(110)의 하부판(116) 사이에 각각 냉매통로(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외부 둘레 및 상기 삽입체(120)의 외부 둘레에 흡착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실리카겔(Silica gel)과 제올라이트(Zeolite), MOF(Metal-organic framework)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판(115) 및 하부판(116), 그리고 삽입체(120)는 한 쌍의 판체(10)(20)를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체(10)는 대직경 원형 돌출부(11)와 소직경 원형 요입부(12)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반복되는 딤플(Dimpl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체(10)의 각 소직경 원형 요입부(12)를 서로 맞닿도록 한 후에 그 부위에 점 용접(spot welding)하여 상부 판체(10)와 하부 판체(10)의 사이에 냉각수통로(1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체(20)는 V 형의 돌출부(21)와 V형의 요입부(22)가 전후방향으로 연속된 쉐브론(Chevron)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100a)을 다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모듈화한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
  11. 제10항에 있어서,
    다수의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100)(100a)의 각 제1 출입구(111)를 서로 연결하는 동시에 각 제2 출입구(112)를 서로 연결하여 모듈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KR1020130064567A 2013-06-05 2013-06-05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KR101407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567A KR101407660B1 (ko) 2013-06-05 2013-06-05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567A KR101407660B1 (ko) 2013-06-05 2013-06-05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660B1 true KR101407660B1 (ko) 2014-06-17

Family

ID=5113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567A KR101407660B1 (ko) 2013-06-05 2013-06-05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6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8768A1 (zh) * 2015-11-26 2017-06-01 四川捷元科技有限公司 吸收式制冷单元斜面导流冷凝器、制冷单元和制冷矩阵
KR20180043536A (ko) * 2016-10-20 2018-04-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착식 냉동기의 흡착제용 금속 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4432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대도 폐열 활용 기술을 이용한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190030118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대도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200050018A (ko) * 2018-10-30 2020-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전달 매체를 적용한 흡착식 냉동기용 흡착탑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26A (ko) * 1995-06-02 1997-01-21 신재인 가열공기로 teda 증기를 발생하여 유동층흡착탑에서 teda 첨착활성탄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120032835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흡착탑용 배가스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26A (ko) * 1995-06-02 1997-01-21 신재인 가열공기로 teda 증기를 발생하여 유동층흡착탑에서 teda 첨착활성탄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120032835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흡착탑용 배가스 처리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8768A1 (zh) * 2015-11-26 2017-06-01 四川捷元科技有限公司 吸收式制冷单元斜面导流冷凝器、制冷单元和制冷矩阵
CN106802031A (zh) * 2015-11-26 2017-06-06 四川捷元科技有限公司 吸收式制冷单元斜面导流冷凝器
CN106802031B (zh) * 2015-11-26 2018-12-25 四川捷元科技有限公司 吸收式制冷单元斜面导流冷凝器
KR20180043536A (ko) * 2016-10-20 2018-04-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착식 냉동기의 흡착제용 금속 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4000B1 (ko) * 2016-10-20 2019-01-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착식 냉동기의 흡착제용 금속 유기-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4432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대도 폐열 활용 기술을 이용한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102014506B1 (ko) 2017-04-10 2019-08-27 주식회사 대도 폐열 활용 기술을 이용한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190030118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대도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102058199B1 (ko) 2017-09-13 2020-01-22 정선희 과일과 채소의 저온 저장고 및 저장방법
KR20200050018A (ko) * 2018-10-30 2020-05-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전달 매체를 적용한 흡착식 냉동기용 흡착탑 열교환기
KR102155062B1 (ko) * 2018-10-30 2020-09-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전달 매체를 적용한 흡착식 냉동기용 흡착탑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660B1 (ko) 흡착식 냉동기용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을 가지는 흡착탑
Li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a continuous adsorption water chiller with novel design
EP3247948B1 (en) Split type adsorption air conditioning unit
JP2008207046A (ja) ハイブリッド型除湿装置
KR102155062B1 (ko) 열전달 매체를 적용한 흡착식 냉동기용 흡착탑 열교환기
JP3879762B2 (ja) 調湿装置
WO2011118270A1 (ja) 吸着式冷凍機用蒸気バルブおよび吸着式冷凍機
JP3831964B2 (ja) 吸着式冷凍機
KR100727407B1 (ko) 흡착식 냉동기용 마이크로 채널의 흡착탑
JP2007218504A (ja) 吸着器
US10386100B2 (en) Adsorption system heat exchanger
JP2005315463A (ja) 調湿装置
JP2007010175A (ja) 吸着式冷凍機用吸着器
KR100695821B1 (ko) 흡착식 냉동기용 적층형 흡착탑
CN208476048U (zh) 换热器及换热系统
JP4272450B2 (ja) 吸着式冷凍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313105A (ja) 吸着器
JP2758685B2 (ja) 吸着式冷凍装置
JP3831962B2 (ja) 吸着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8764B2 (ja) 調湿装置
JP4211737B2 (ja) 吸着式冷凍機用吸着器及びその吸着式冷凍機用吸着器の製造方法
JP4379881B2 (ja) プレートフィン式吸着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0308B1 (ko) 흡수식 냉동시스템의 흡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냉식 흡수식 냉동기
JPH11108499A (ja) 吸着器および吸着式冷凍装置
JP2502521Y2 (ja) 吸着式冷凍機の反応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