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906B1 -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906B1
KR101406906B1 KR1020130024558A KR20130024558A KR101406906B1 KR 101406906 B1 KR101406906 B1 KR 101406906B1 KR 1020130024558 A KR1020130024558 A KR 1020130024558A KR 20130024558 A KR20130024558 A KR 20130024558A KR 101406906 B1 KR101406906 B1 KR 10140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content
event
ev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춘근
백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백범진
송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백범진, 송춘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브투래빗
Priority to KR102013002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65Advertising in food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친밀한 자동판매기 형태를 구비하면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체험적인 상품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는, 거리나 복도의 개방된 공간에 설치되고 자동판매기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고 장치로서, 하우징에 근접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는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와,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사용자 반응 평가부와,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는 상품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BENDING MACHINE TYPE ADVERTISING APPARATUS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친밀한 자동판매기 형태를 구비하면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체험적인 상품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통상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상품 대금 지불에 따라 저장된 상품을 제공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자동판매기는 사용자 편리성 등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마을과 도시의 거리나 상점에서는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를 이용한 광고 장치의 일례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906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의 자동판매기의 광고 시스템은, 위성 수신 수단, 비디오 처리 수단, 오디오 처리 수단,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랜카드, 자체 저장수단, 방송 스케줄러를 구비한 자동판매기의 광고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 패널을 자동판매기의 도어 내측에 내장하고 실시간 위성 방송을 LCD 패널을 통해 출력하거나 LAN을 통해 연결된 광고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종류가 변경되는 광고를 LCD 패널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자동판매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자동판매기를 이용한 광고 장치는 자동판매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식이므로, 광고 장치 주변의 사용자의 반응에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게 되고, 그에 의해 광고 또는 홍보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9069호(2005.01.24)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친밀한 자동판매기 형태를 구비하면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체험적인 상품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는, 거리나 복도의 개방된 공간에 설치되고 자동판매기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고 장치로서, 하우징에 근접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는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사용자 반응 평가부; 및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는 상품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가이드하는 안내 콘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특정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반응 평가부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출력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사람 이미지의 머리, 몸, 손, 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이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에 중첩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유도 콘텐츠 및 사용자가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는, 하우징에 설치되며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이벤트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인식부; 및 카메라 또는 모션인식부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부에 제공하고,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모션인식부로부터 받고,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식부는, 카메라와 제어부의 조합 또는 모션인식부와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모션인식부, 메모리 및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사용자 반응 평가부는, 모션인식부, 메모리 및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제공부는, 하우징에 상기 상품을 저장하는 상품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품저장부에 저장된 상품을 이동시켜 하우징의 방출구를 통해 방출하는 상품 방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제공부 또는 상품 방출부는,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가 투척될 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품 이미지의 투척 동작에 동기화하여,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방출구를 통해 상품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은,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에서 광고 장치에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사용자에 대하여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는 제 2 단계;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제 3 단계; 및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단계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가이드하는 안내 콘텐츠를 출력 장치로 출력하고,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특정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단계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미리 정해진 순서로 혹은 랜덤으로 추출된 특정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단계는,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내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단계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이벤트 콘텐츠 상에 사용자 모션이 중첩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벤트 콘텐츠는 출력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사람 이미지의 머리, 몸, 손, 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4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실제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를 투척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대응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방출구를 통해 실제 상품을 배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은, 제1 단계 후에,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유도 콘텐츠를 재생하여 광고 장치의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제 1-1 단계 등)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은, 제 1 단계 후에, 사용자가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제 1-2 단계 등)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친밀한 자동판매기 형태를 구비하면서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체험적인 상품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판매기 타입의 광고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도 4의 광고 방법의 이벤트 콘텐츠 실행 과정에 대한 순서도.
도 6은 도 4의 광고 방법의 사용자 반응 평가 과정에 대한 순서도.
도 7은 도 4의 광고 방법의 상품 제공 과정에 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의 순서도.
도 9a 내지 도 9o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방법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자동판매기 타입의 광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10)는, 특정 상품이나 회사를 홍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한 자동판매기 형태의 구조물과 이 구조물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션 인식 장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이벤트를 통해 광고 홍보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효과적인 광고 홍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우징(101), 카메라(111), 모션 인식부(112), 제어부(113), 메모리(114), 디스플레이부(115), 스피커(116), 상품 저장부(117), 상품 방출부(118) 및 통신부(119)를 구비한다.
하우징(101)은 자동판매기 형태를 구비하며, 카메라(111), 모션 인식부(112), 제어부(113), 메모리(114), 디스플레이부(115), 스피커(116), 상품 저장부(117), 상품 방출부(118) 및 통신부(119)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거나 그 내부 공간에 수납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 형태의 하우징(101)의 외관은 사용자에게 친숙하므로, 건물 외부의 거리나 건물 실내의 복도 등에 설치되어 있을 때, 통상 사용자는 아무런 거부감이 없이 하우징(101) 앞이나 옆을 지날 수 있다.
카메라(111)는 하우징(101) 측에서 하우징(101) 정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카메라(111)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113)로 전달되고, 구현에 따라서,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대한 영상 속에 사용자가 들어가 있는 증강현실 화면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11)는 하우징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제어부(113)로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카메라(111)는 하우징(10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구현에 따라서,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101)의 렌즈 구멍을 통해 하우징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션 인식부(112)는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를 제어부(113)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션 인식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동작과 사용자의 동작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등장한 사람이 스피커(116)에서 나오는 리듬 박자에 맞추어 오른손을 들어올려 공중을 치면, 사용자도 거의 동일한 타이밍에 오른손을 들어올려 공중을 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인식부(112)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네트(KINECT) 등과 같이 색상과 동작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 렌즈, 목소리 입력을 위한 마이크 어레이 등을 갖춘 센서부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관절 꺾임을 인식하는 시스템(관절 추적 시스템 등)을 구비하는 동작 인식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와 스피커(116)는 하우징에 설치되고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기저장된 이벤트 콘텐츠를 출력한다. 이벤트 콘텐츠는 디스플레이부(115)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와, 스피커(116)에서 출력되는 소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콘텐츠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의 설치 장소나 설치 환경에 따라 영상 데이터와 소리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 및 스피커(116)는 이벤트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에 대응한다.
제어부(113)는 카메라(111) 또는 모션인식부(112)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메모리(114)에 기저장된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며,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 인식 정보를 모션인식부(112)로부터 받고,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한다. 제어부(113)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우징(101)에 설치되거나 하우징(101)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메모리(114)는 제어부(11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13)에 연결되는 별도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로는 하우징에 설치되거나 수납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서, 롬,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 드라이버나 관리자 서버 등에 구비된 저장 장치, 관리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저장부(117)는 하우징(101) 내부에 상품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1) 내부의 소정 공간과 이 공간에 상품을 소정 구조와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구비한다. 일례로, 상품 저장부(117)는 상품으로서 코카콜라가 담긴 페트병을 저장할 수 있다.
상품 방출부(118)는 제어부(11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품 저장부(117)에 저장된 상품을 하우징(101) 외부로 방출한다. 상품 방출부(118)는 상품 저장부(117)에 결합된 상품 운반부(미도시), 상품 운반부에 의해 운반되는 상품의 이동을 특정 목적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 및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한 상품이 도착하는 방출구(118a)를 구비한다. 상품 운반부와 가이드부와 방출구는 기존의 자동판매기에서 사용자의 대금 지불에 따라 해당 상품을 외부와 연결된 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외부의 사용자가 상품을 꺼내갈 수 있도록 하는 구성부와 유사하게 다양한 형태로 임의 설계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10)는 상품을 판매하는 기존의 자동판매기가 아니라 자동판매기의 외관을 가지고 특정 상품이나 회사를 홍보하는 광고 장치로서, 광고나 홍보를 위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술한 상품 저장부(117) 및 상품 방출부(118)를 생략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10)는 소정의 광고 이벤트를 실시한 후에 기존의 자동판매기와 유사하게 하우징(101)에서 나오는 상품을 경품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상품 제공부 또는 상품 방출부(118)는,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에서 이벤트 콘텐츠(동영상 콘텐츠 등)를 통해 상품에 대한 이미지(상품 이미지)가 투척될 때, 제어부(113)의 제어에 따라 상품 이미지의 투척 동작에 동기화하여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방출구(118a)를 통해 상품을 방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출구(118a)는 기존의 자동판매기에서의 형태와 유사하게 하우징(101)의 전면 중앙 하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상품 이미지와 동기화하여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면, 디스플레이부(115)의 왼쪽 측면이나 오른쪽 측면의 중앙부 등에 방출구(118a)가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9)는 외부에서 광고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과, 이벤트 콘텐츠의 송수신과, 기타 광고 장치의 운용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119)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공중전화망, 무선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위성 통신망,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인식부(11),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 사용자 반응 평가부(13) 및 상품 제공부(14)를 구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11)는 거리나 복도 등의 개방된 공간에 자동판매기 형태로 설치되는 하우징에서 이 하우징에 근접한 사용자를 인식한다. 사용자 인식부(11)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카메라(111)와 제어부(113)의 조합이나 모션 인식부(112)와 제어부(11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한다.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가이드하는 안내 콘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특정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안내 콘텐츠는 1인용 및 2인용이나 초급, 중급 및 고급 등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벤트 콘텐츠의 메뉴나 레벨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지칭한다.
이벤트 콘텐츠(멀티미디어 콘텐츠 등)는 출력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리듬이나 박자에 맞추어 소정의 이미지(사람 이미지, 아바타 이미지 등)의 머리, 몸, 손, 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이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스틸 영상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에 중첩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를 인식할 때, 해당 신체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특정 부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는,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유도 콘텐츠 및 사용자가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참여 유도 콘텐츠는 사용자가 이벤트성 게임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명인의 안내 멘트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고, 증강현실 콘텐츠는 카메라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미리 준비된 배경 이미지(연예인이나 명소 등)와 중첩하여 사용자가 유명인과 함께 있거나 명소에 있는 것처럼 만들어진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는, 도 1 및 도 2의 모션인식부(112), 이벤트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114) 및 메모리(114)에 저장된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여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113)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12)는 이벤트 콘텐츠 실행 시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인식부(112)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반응 평가부(13)는,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평가한다. 즉, 사용자 반응 평가부(13)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반응 평가부(13)는, 음악이나 리듬을 따라 춤을 추는 영상 속 이미지의 움직임에 맞추어 사용자가 움직이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반응 평가부(13)는, 도 1 및 도 2에서의 모션 인식부(112)와, 기설정된 기준치를 저장하고 사용자 참여 동작을 기준치를 토대로 소정의 점수나 레벨로 평가하는 평가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14)와, 메모리에 저장된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참여 동작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부를 구비하는 제어부(113)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품 제공부(14)는,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에 대한 평가 결과(사용자 참여 동작에 대한 평가 결과 등)에 따라 상품을 제공한다. 상품 제공부(14)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상품 저장부(117)와 상품 방출부(118)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상품 제공부(14)는 이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하는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서 하드웨어적으로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출구(118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제공부(14)는,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이벤트 콘텐츠를 통해 상품을 홍보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광고 방법의 이벤트 콘텐츠 실행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광고 방법의 사용자 반응 평가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광고 방법의 상품 제공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은, 먼저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에서 광고 장치에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한다(S11).
다음으로,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한다(S12).
본 단계(S12)에서, 광고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가이드하는 안내 콘텐츠를 출력 장치로 출력하고(S121),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특정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S122), 감지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S123).
또한, 광고 장치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이벤트 콘텐츠 상에 사용자 모션이 중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콘텐츠는 출력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사람 이미지의 머리, 몸, 손, 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다.
한편, 광고 장치는 구현에 따라서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미리 정해진 순서로 혹은 랜덤으로 추출된 특정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 결과 또는 수행 결과를 평가한다(S13).
본 단계(S13)에서, 광고 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이벤트 콘텐츠(동영상 콘텐츠 등) 내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인식하고(S131), 인식된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다(S132).
다음으로,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품을 제공한다(S14).
본 단계(S14)에서, 광고 장치는, 출력 장치 중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를 투척하고(S141),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대응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방출구를 통해 실제 상품을 배출할 수 있다(S142).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은, 먼저 사용자를 인식하고(S21), 인식한 사용자에 대하여 참여 유도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S22), 이벤트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S23),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 대하여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고(S24),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참여 동작 등)을 평가하고(S25), 구현에 따라서 이벤트에 참여한 사용자나 사용자의 참여 동작 평가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한다(S26).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은, 참여 유도 콘텐츠 출력 단계(S22)와 사용자 증강 현실 콘텐츠 출력 단계(S23)를 제외하고, 각 단계들(S21, S24, S25, S26)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광고 방법의 대응 단계들(S11, S12, S13, S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참여 유도 콘텐츠 출력 단계(S22)는,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유도 콘텐츠를 재생하여 광고 장치의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참여 유도 콘텐츠는 유명인의 초대 멘트, 효과음(축전, 의식 등을 위한 팡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증강 현실 콘텐츠 출력 단계(S23)는, 광고 장치 주변에 접근한 사용자나 이벤트에 참여하여 방금 이벤트를 시작한 사용자가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는 이벤트 콘텐츠에서 기설정된 동작(춤 동작 등)을 수행하는 연예인 속에 사용자가 포함된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o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방법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방법이 구현되는 자동판매기 타입의 광고 장치는 이벤트 콘텐츠가 실행되지 않을 때, 대기 모드로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되는 특정 상품(코카콜라 캔과 코카콜라 병)이 나열된 영상(31)을 출력한다. 가급적 광고 장치는 사람의 왕래가 있는 시내 거리, 광장, 건물 로비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본 실시예의 광고 장치를 코카콜라를 판매하는 자동자판기 정도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하우징의 외관을 적절한 도색 등을 통해 장식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대기 화면을 실행하는 중에 광고 장치 앞에 사람이 있음을 인식하고, 광고 장치 앞에 있는 사람을 인식함에 따라 대기 화면에서 진열된 다수의 상품 배열을 터트리는 이벤트 개시 영상(32)을 통해 이벤트 콘텐츠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앞서 인식한 사람(사용자)에 대하여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동영상(33)을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한다.
다음으로,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남자)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남자 연예인들이 있는 영상과 합성하여 사용자(34a)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속에서 남자 연예인들과 함께 있는 증강현실 영상(34)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사용자가 1인용으로 이벤트에 참여할지 또는 2인용으로 이벤트에 참여할지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콘텐츠(35)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안내 콘텐츠에는 1인용(1P), 2인용(2P) 등의 선택 메뉴(35a)와 카메라로 인식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손(35b)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투영된 사용자 손(35b)은 선택 신호의 일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장치는 사용자 손(35b)이 선택 메뉴(35a)에 일정 부분 이상 중첩되거나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한 경우에 해당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또 다른 형태의 안내 콘텐츠(36)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광고 장치는 예를 들어 초급, 중급, 고급 레벨들에 대한 메뉴(36a) 중에서 사용자 손(36b)이 선택하는 특정 레벨의 메뉴에 해당하는 이벤트 콘텐츠를 메모리에서 추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잘 알려진 가수나 배우가 동작 따라하기 등의 이벤트 콘텐츠를 소개하고 이벤트 콘텐츠의 시작을 알리는 영상(37)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9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기설정된 음악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음악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동작의 일부를 미리 볼 수 있도록 따라하기 연습 영상(38)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9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따라하기 이벤트 영상을 시작을 알리는 이벤트 시작 영상(39)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시작 메뉴(39a) 상에 사용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광고 장치는 미리 정해진 따라하기 동작이 포함된 따라하기 이벤트 영상(40)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9k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따라하기 이벤트 영상(41)에 사용자의 참여 동작의 완성도에 따라 잘함(PERFECT), 보통(GOOD), 못함(BAD) 등의 격려 콘텐츠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9l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따라하기 이벤트 영상의 실행이 완료되면, 광고 장치는 임무 완수(MISSION SUCCESS) 등의 완료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처음에 등장했던 남자 연예인들이 수고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완료 콘텐츠 영상(42)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9m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벤트 콘텐츠의 실행 완료 후에, 광고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등장한 연예인이 상품을 소정 방향(y 방향)으로 투척하고, 투척된 화면상의 상품이 착지하거나 떨어지는 지점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방출구(도 1의 118a 참조)에서 실제 상품(화면상의 상품과 동일한 상품 등)이 방출되도록 동작한다. 물론, 상품은 다른 방향(x 방향)으로 투척될 수 있고, 그 경우 방출구는 화면의 우측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n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이벤트 참여 중에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계정이나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업로드하기 위한 공유 콘텐츠 영상(44)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한다. 공유 콘텐츠 영상(44)에는 사용자의 계정이나 이메일 연결을 위한 공유 메뉴(44a)가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o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장치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호감도를 극대화시킨 상태에서 이벤트 콘텐츠 종료 영상(45)을 통해 광고 또는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의 이미지(45a)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품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치환, 수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경, 치환, 수정 등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자동판매기 형태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고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에 근접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는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
    상기 이벤트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사용자 반응 평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의 평가 결과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되,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에서의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가 투척될 때, 상기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방출구를 통해 상기 상품을 방출하여 제공하는 상품 제공부;
    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가이드하는 안내 콘텐츠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특정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반응 평가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상기 출력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사람 이미지의 머리, 몸, 손, 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이는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영상에 중첩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유도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이벤트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인식부; 및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모션인식부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인식 정보를 상기 모션인식부로부터 받고, 상기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어부의 조합 또는 상기 모션인식부와 상기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이벤트 콘텐츠 실행부는, 상기 모션인식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사용자 반응 평가부는, 상기 모션인식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상품을 저장하는 상품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품저장부에 저장된 상품을 이동시켜 상기 하우징의 방출구를 통해 방출하는 상품 방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
  8. 삭제
  9.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에서 상기 광고 장치에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여 출력 장치에 표시하되, 상기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상기 이벤트 콘텐츠 상에 중첩되도록 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수행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가이드하는 안내 콘텐츠를 상기 출력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특정 이벤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복수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 중 미리 정해진 순서로 혹은 랜덤으로 추출된 특정 레벨의 이벤트 콘텐츠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 내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는 사용자의 참여 동작을 인식하고 인식된 참여 동작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토대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콘텐츠는 상기 출력 장치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추어 사람 이미지의 머리, 몸, 손, 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출력 장치 중 디스플레이부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이미지를 투척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상품 이미지의 착지 지점에 대응하도록 하드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서 연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방출구를 통해 실제 상품을 배출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 유도 콘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광고 장치의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제 1-1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16. 제 9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가 포함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제 1-2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KR1020130024558A 2013-03-07 2013-03-07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KR10140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58A KR101406906B1 (ko) 2013-03-07 2013-03-07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58A KR101406906B1 (ko) 2013-03-07 2013-03-07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906B1 true KR101406906B1 (ko) 2014-06-13

Family

ID=5113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558A KR101406906B1 (ko) 2013-03-07 2013-03-07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9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537A (ja) * 1998-02-17 1999-08-27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KR100302920B1 (ko) 1999-10-20 2001-11-02 이충전 광고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3914143B2 (ja) 2001-12-11 2007-05-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自動販売機システム
KR20080084000A (ko) * 2007-03-14 2008-09-19 장원순 광고 교체가 용이한 광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명령 자동처리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537A (ja) * 1998-02-17 1999-08-27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KR100302920B1 (ko) 1999-10-20 2001-11-02 이충전 광고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3914143B2 (ja) 2001-12-11 2007-05-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自動販売機システム
KR20080084000A (ko) * 2007-03-14 2008-09-19 장원순 광고 교체가 용이한 광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명령 자동처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49631B (zh) 显示控制系统及显示控制方法
US8594838B2 (en) Vending machine
US10067557B2 (en) Interactive objects for immersive environment
US20130014139A1 (en)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control program and transmission program for motion information
JP5859456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カメラ・ナビゲーション
US10086265B2 (en) Video teleconference object enable system
US20120150650A1 (en) Automatic advertisement generation based on user expressed marketing terms
CN106687183A (zh) 电子调解的反应游戏
US107138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657087A (zh) 身临其境式叙事环境
JP2018158046A (ja) 操作制御システム、キャラクタ上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13502A1 (en) Storage mediu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21029863A (ja) 遊技機
CN111752389B (zh) 交互系统、交互方法和机器可读存储介质
EP3769828A1 (en) Autonomous driving unit racing game providing method and racing device and system
EP3511058A1 (en) Interaction apparatus, intera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storing interaction program, and robot
JP2021168944A (ja) ダーツゲーム装置
JP6320674B2 (ja) 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システム
JP202311584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788327B (zh) 多屏互动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406906B1 (ko) 자동판매기 타입 광고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광고 방법
CN106113057B (zh) 基于机器人的音视频宣传方法和系统
KR102328741B1 (ko) 다목적 노래방 시스템
KR102371330B1 (ko) 스마트 미니 인터액티브 극장.
TW202248901A (zh) 瓶體的特效呈現方法、設備和電腦可讀儲存媒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