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921B1 -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921B1
KR101405921B1 KR1020130127681A KR20130127681A KR101405921B1 KR 101405921 B1 KR101405921 B1 KR 101405921B1 KR 1020130127681 A KR1020130127681 A KR 1020130127681A KR 20130127681 A KR20130127681 A KR 20130127681A KR 101405921 B1 KR101405921 B1 KR 10140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condensate
storage chamber
air
condensat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엠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엠이씨
Priority to KR1020130127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설치용 콘크리트 베이스를 제거함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하중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설치비용 및 공기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트랩 구조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응축수의 배출을 도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4)의 하방에 설치되어 열교환기(4)로부터 비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받이(110); 상기 응축수받이(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응축수받이(11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실(130); 상기 응축수저장실(130)과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50); 및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른 정압을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는 급기배관(17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Exhauster for condensate of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설치용 콘크리트 베이스를 제거함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하중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설치비용 및 공기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트랩 구조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응축수의 배출을 도모할 수 있는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케이스(1)의 내부에 흡입 팬(2)과, 실내공기 급기 팬(5)의 사이에 공기 여과유닛(3) 및 열교환기(4) 등이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흡입 팬(2)의 송풍력에 의하여 흡입댐퍼를 통해 실내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실내공기 중 일부는 외부로 토출시키는 한편,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이렇게 혼합된 공기를 여과유닛(3)과 열교환기(4)를 차례로 통과시켜 공기 조화를 수행하고, 급기 팬(5)의 송풍력에 의하여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냉방 시 열교환기(4) 부근에서 열교환 과정에서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장치(10)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2는 이러한 종래 응축수 배출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종래 응축수 배출장치(10)는, 열교환기(4)의 하방에는 열교환기(4)로부터 비산되는 응축수를 포집하게 경사 구조를 이루는 응축수받이(11)가 설치 구성되며, 상기 응축수받이(11)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이 설치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12)에는 응축수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U자형 절곡 구조를 이루는 트랩(13)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응축수 배출장치(10)는 배출관(12)의 높이를 고려하여 소정 높이의 콘크리트 베이스(1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를 설치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그에 따른 설치비용 및 공기가 증가하게 되며, 콘크리트 베이스(15)의 무게 가중으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설치하중이 증대되는 등의 공기조화기의 설치제약이 많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배출관(12)에 구비되는 트랩(13)의 작용을 부가 설명하면, 급기 팬(5)이 가동하게 되면 트랩(13)과 연결된 응축수받이(11)에는 부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처럼 부압(-) 발생에도 불구하고 응축수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트랩(13)내부에 봉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트랩(13)의 높이는 외부로부터 수압 및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한 응축수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봉수의 높이보다 높은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흔히 봉수 높이의 1,2배 이상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급기 팬(5)의 압력이 100mmAq인 경우 봉수의 높이는 100mm가 되며 트랩(13)의 높이는 12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급기 팬(5)이 가동되면 공기조화기 내부에 -100mmAq 해당하는 부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트랩(13)내 봉수가 100mm 상승되기 때문에, 트랩(13)의 높이는 120mm 이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 트랩(13)이 구비되는 배출관(12)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급기 팬(5)의 압력발생 정도에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트랩(13)의 설계에 따라 콘크리트 베이스(15)의 타설 높이도 변경되어야 하는 등의 많은 설계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배출장치(10)는 절곡 구조를 이루는 트랩(13)으로 인해 압력 손실이 발생하고, 응축수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배출장치(10)는 절곡 구조를 이루는 트랩(13)이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립공수가 증가되고 유지보수 관리에도 불편함이 있다.
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600090호(2006.07.13) 문헌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5293호(2005.02.2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간상의 제약이 뒤따르는 트랩 구조와 추가 동력을 필요로 하는 배수펌프의 구성을 배제하고,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압력 혹은 외기 압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응축수의 신속하고 원활한 배수를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저장되는 응축수의 용량에 따라 응축수의 배출시기를 간헐적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압력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4)의 하방에 설치되어 열교환기(4)로부터 비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받이(110);
상기 응축수받이(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응축수받이(11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실(130);
상기 응축수저장실(130)과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50); 및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가 배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는 급기배관(17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응축수받이(110)와 응축수저장실(130)을 연결하는 연결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120)의 출구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이보다 항상 낮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20)에는 개폐밸브(1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저류된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시 상기 급기배관(170)으로부터 정압을 유입시키는 수위조절밸브(190,1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위조절밸브(190)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중앙부가 힌지(192) 결합되는 회동바(191); 상기 회동바(191)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로우트부재(193); 및 상기 회동바(191)의 타단에 구비되어 회동바(191)와 연동하면서 상기 급기배관(170)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부재(19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수위조절밸브(190")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내 저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91"); 상기 급기배관(170)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1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위센서(191")로부터 감지된 수위 정보에 따라 급기배관(170)을 개폐시키는 전자밸브(193")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급기배관(170)의 타단은 공기조화기의 정압발생부와 연결되거나 혹은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의 내부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른 정압 상태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혹은 대기압 상태의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압력 혹은 외기의 대기압을 동력원으로 하여 응축수의 배수를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 일정 높이의 설계 조건을 만족해야하는 트랩 구조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베이스의 설계를 배제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설치하중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및 공기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된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압력 혹은 대기 압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응축수의 배수를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 배수펌프 등의 추가 동력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배수를 도모하는 것에 비하여 유지비 절감 등의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압력 혹은 외기의 대기압을 간헐적으로 이용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함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압력손실을 최소화 시켜, 보다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크기와 무관하게 응축수저장실의 다양한 용량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의 제약이 적고 특히 다양한 종류의 공기조화기에 대한 설치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공기조화기의 일예.
도 2는 종래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밸브의 구성을 보인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관의 체크밸브의 구성을 보인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출장치(100)는 응축수받이(110), 응축수저장실(130), 배출관(150), 및 급기배관(170)을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응축수받이(110)는 열교환기(4)의 하방에 설치되어 열교환 과정에서 열교환기(4)로부터 비산 낙하되는 응축수를 1차로 수집하는 것으로, 종래 경사진 바닥면 일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된 응축수받이와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응축수저장실(130)은 상기 응축수받이(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받이(11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2차로 저장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응축수저장실(130)은 기본적으로 밀폐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이때 응축수받이(110)와 응축수저장실(130)은 연결관(120)으로 연결 구성된다.
이렇게 연결관(120)이 설치 구성되는 경우, 연결관(120)의 입구는 상기 응축수받이(110)의 최저부에 위치하는 배출구와 연결되고, 연결관(120)의 출구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연장되도록 한다. 결국, 연결관(120)의 출구는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이보다 항상 낮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연결관(120)의 출구 끝단이 응축수저장실(13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연장된 상태에서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이보다 항상 낮은 위치를 유지함으로서,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응축수받이(110)의 상부영역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응축수저장실(130)의 응축수가 연결관(120)을 통해 상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연결관(120)이 설치 구성되는 경우, 연결관(120)에는 개폐밸브(12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121)는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응축수받이(110)의 상부영역에 강한 부압(-)이 발생하여 응축수저장실(130)의 응축수가 연결관(120)을 통해 역류하게 되더라도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밸브(121)로 인해 이동이 차단된다. 상기 개폐밸브(121)는 공지의 전자식 개폐밸브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권장한다.
뿐만 아니라 연결관(120)에 개폐밸브(121)를 구성함으로서, 예컨대 응축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동절기에는 개폐밸브(121)를 개방하여 응축수받이(110)에 잔존하는 응축수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잔존하는 응축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응축수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응축수받이(110)에 대한 청소 등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응축수저장실(130)의 일측에는 공기빼기출구(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응축수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빼기출구(125)에도 개폐밸브(126)가 설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125) 역시 공지의 전자식 개폐밸브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응축수저장실(130)의 일측에는 배출관(150)이 설치 구성되며,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압력 또는 대기 압력을 이용한 응축수저장실(130)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출관(150)에는 외부 수압이나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151)가 구비됨이 좋다. 특히 배출관(150)상에 체크밸브(151)를 구비함으로서 동절기 시 응축수받이(110)나 응축수저장실(130)내 응축수가 잔존하지 않는 경우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급기배관(170)은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배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동력원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되는 정압(+)을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는 유로를 확보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외기(대기압)를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는 유로를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급기배관(170)은 일단이 응축수저장실(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의 정압발생부와 연결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의 정압발생부라 함은, 공기조화기의 가동 압력이 발생되는 공간으로 예컨대 급기 팬(5:도 1참조)이 설치된 급기실 혹은 급기 팬(5)의 급기구이거나 흡기 팬(2:도 1참조)의 설치된 급기실 혹은 급기 팬(2)의 급기구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급기배관(170)은 일단이 응축수저장실(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기(대기압)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결국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공기조화기내 공기(정압) 혹은 외부공기(대기압)가 급기배관(170)을 경유하여 응축수저장실(130)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출관(150)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만약 응축수저장실(130)의 응축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급기배관(170)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압력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발생되는 공기(정압)의 일부를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는 구조에서 압력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응축수저장실(130)에 응축수의 저장수위를 확인하고, 응축수의 저장용량에 따라 급기배관(170)을 통한 정압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수단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저류된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시 상기 급기배관(170)으로부터 정압을 유입시키는 수위조절밸브(190,190")를 포함하여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러한 수위조절밸브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의한 수위조절밸브(190)는 응축수저장실(130)내에서 중앙부가 힌지(192) 결합되는 회동바(191)와, 상기 회동바(191)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로우트부재(193), 및 상기 회동바(191)의 타단에 구비되어 회동바(191)와 연동하면서 상기 급기배관(170)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부재(195)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일실시 예에 의한 수위조절밸브(190)는 응축수저장실(130)에 일정 수위의 응축수가 채워진 경우에 한해 급기배관(170)의 출구를 개방하여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발생된 정압을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고, 응축수저장실(130)내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미달된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가동과 무관하게 급기배관(170)의 출구를 차단시켜 불필요한 압력손실을 줄이게 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위조절밸브(190")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내 저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91")와, 상기 급기배관(170)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1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위센서(191")로부터 감지된 수위 정보에 따라 급기배관(170)을 개폐시키는 전자밸브(193")로 이루어져 있다.
결국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수위조절밸브(190") 역시 수위센서(191")를 통해 응축수저장실(130)에 채워지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한 경우에 한해 전자밸브(193")를 향해 개방신호를 송신하며, 이를 수신한 전자밸브(193")의 개방구동으로부터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발생된 정압을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고, 응축수저장실(130)내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미달된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가동과 무관하게 전자밸브(193")를 행해 차단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전자밸브(193")의 차단구동으로 불필요한 압력손실을 줄이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응축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a)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가동 시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응축수받이(110)에 1차 수집되고, 이어서 연결관(120)을 통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다.
만약 공기조화기가 가동 중에는 개방 구조를 이루는 응축수받이(110)가 상대적으로 부압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지속적인 응축수의 이동 제한이 발생하게 되나, 응축수받이(110)에 수집된 응축수가 일정수위(응축수받이의 압력보다 큰 압력을 만족할 수 있는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연결관(120)을 통해 하방의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되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물론 연결관(120)에 구비된 개폐밸브(121)의 개폐시점을 제어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응축수받이(120)로부터 응축수저장실(130)을 향하는 응축수의 이동을 단속할 수도 있다.
응축수받이(110)로부터 응축수저장실(130)을 향해 응축수가 이동하는 과정 중, 급기배관(170)의 출구는 수위조절밸브(190,190")로 인해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되는 응축수는 배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저장되고, 급기배관(170)을 통한 공기조화기의 압력손실은 차단된다.
이후 도 6 (b)을 참조하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수위조절밸브(190,190")는 급기밸브(170)를 개방시켜 외부공기를 응축수저장실(130)로 유입시킨다. 결국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정압(+) 혹은 외기(대기압)가 응축수저장실(130)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응축수저장실(130)은 상대적으로 정압(+)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응축수저장실(130)내 저장되었던 응축수는 배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히 배출된다.
이처럼 응축수 배출 과정에서 상기 연결관(120) 및 공기빼기출구(125) 상에 각각 구비된 개폐밸브(121,126)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응축수저장실(130)내로 공급되는 정압 혹은 대기압이 손실됨이 없이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동력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아울러 응축수 배출 과정에서 응축수받이(110)와 비교하여 응축수저장실(130)은 상대적으로 정압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응축수받이(110)로부터 응축수저장실(130)로 향하는 응축수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며, 응축수받이(110)에서는 계속해서 응축수의 수집이 이루어진다.
이후 도 6 (c)을 참조하면, 응축수저장실(130)내 응축수가 배출됨에 따라 수위조절밸브(190,190")는 다시 급기밸브(170)를 차단시킴으로서 배출관(150)을 통한 응축수 배출을 중지되고, 이와 동시 응축수받이(110)에 수집되어 있던 응축수는 다시 연결관(120)을 통해 응축수저장실(130)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결국 응축수는 응축수받이(110)와 응축수저장실(130)내에서 번갈아가며 일정 수위로 저장되고,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되는 공기조화기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배출관(150)을 통한 응축수의 주기적인 배출을 원활히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저장실(130)에 채워진 응축수의 배출시점은 수위조절밸브(190,190")의 설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로 인해 응축수저장실(130)은 매우 협소한 용량으로도 그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케이스 2: 흡입 팬
3: 공기여과유닛 4: 열교환기
5: 급기 팬 100: 응축수 배출장치
110: 응축수받이 120: 연결관
121: 개폐밸브 125: 공기빼기출구
126: 개폐밸브 130: 응축수저장실
150: 배출관 151: 체크밸브
170: 급기배관 190,190": 수위조절밸브

Claims (8)

  1. 열교환기(4)의 하방에 설치되어 열교환기(4)로부터 비산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응축수받이(110);
    상기 응축수받이(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응축수받이(110)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저장실(130);
    상기 응축수저장실(130)과 연결되어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50); 및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가 배출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로 공급하는 급기배관(170)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받이(110)와 응축수저장실(130)을 연결하는 연결관(12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연결관(120)의 출구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응축수저장실(130)에 저장된 응축수의 높이보다 항상 낮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0)에는 개폐밸브(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저류된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시 상기 급기배관(170)으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수위조절밸브(190,1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밸브(190)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에 중앙부가 힌지(192) 결합되는 회동바(191);
    상기 회동바(191)의 일단에 구비되는 플로우트부재(193); 및
    상기 회동바(191)의 타단에 구비되어 회동바(191)와 연동하면서 상기 급기배관(170)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부재(1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밸브(190")는,
    상기 응축수저장실(130)내 저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91");
    상기 급기배관(170)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센서(1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위센서(191")로부터 감지된 수위 정보에 따라 급기배관(170)을 개폐시키는 전자밸브(1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배관(170)의 타단은 공기조화기의 정압발생부와 연결되거나 혹은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저장실(130)의 내부로 공기조화기의 가동에 따른 정압 상태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혹은 대기압 상태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50)에는 외부 수압 및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1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20130127681A 2013-10-25 2013-10-25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KR10140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81A KR101405921B1 (ko) 2013-10-25 2013-10-25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81A KR101405921B1 (ko) 2013-10-25 2013-10-25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921B1 true KR101405921B1 (ko) 2014-06-17

Family

ID=5113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681A KR101405921B1 (ko) 2013-10-25 2013-10-25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718B1 (ko) * 2022-08-17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엘피이엔지 직접팽창식 공기조화기용 응축냉매 과냉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806A (ja) * 1994-08-29 1996-05-17 Iwao Ando 自動排液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排液システム
JP2007155258A (ja) 2005-12-07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1806A (ja) * 1994-08-29 1996-05-17 Iwao Ando 自動排液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排液システム
JP2007155258A (ja) 2005-12-07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718B1 (ko) * 2022-08-17 2024-01-18 주식회사 케이엘피이엔지 직접팽창식 공기조화기용 응축냉매 과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727B1 (ko) 다기능 환기 유닛
CN101101141B (zh) 无冷凝水的节能环保空调
US20130108971A1 (en) Rooftop high-efficiency gas furnace control with condensate management
WO2011010382A1 (ja) 空気調和機
CN105026849B (zh) 用于热回收单元的排水机构
KR20090078477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CN110056979B (zh) 空调器冷凝水的排放控制方法
KR101405921B1 (ko)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배출장치
KR102324917B1 (ko) 욕실 설치형 소형 에어컨
JP5262398B2 (ja) ドレン排水方法、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ドレンソケット
JP4813996B2 (ja) 空気調和機
KR20170089049A (ko) 에어컨장치
CN108344086A (zh) 一种基于蒸发式冷凝器的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N204227580U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KR20090018265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CN216953299U (zh) 清洗装置及空调
KR101036282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전설비
CN114846279B (zh) 通风设备和用于调节通风设备的方法
JP2008121984A (ja) 熱交換器ユニット
CN207146864U (zh) 净化空调机组冷凝水降温处理装置
JP680805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09357323A (zh) 具有加湿功能的空调器
CN110513809A (zh) 换气装置和换气方法
KR101590708B1 (ko)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중수 재활용 시스템 장치
CN218376547U (zh) 与热管结合的矿井通风用蒸发冷却通风空气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