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866B1 -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 Google Patents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866B1
KR101405866B1 KR1020070072062A KR20070072062A KR101405866B1 KR 101405866 B1 KR101405866 B1 KR 101405866B1 KR 1020070072062 A KR1020070072062 A KR 1020070072062A KR 20070072062 A KR20070072062 A KR 20070072062A KR 101405866 B1 KR101405866 B1 KR 10140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lend
polyester
polycarbonat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806A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8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컴파운딩과 고상중합(solid state polymerization)을 통하여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은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폴리카보네이트(PC)를 컴파운딩하여 PET/PC 블렌드 칩을 얻는 단계; 및 (b) 얻어진 PET/PC 블렌드 칩을 결정화하고, 고상중합하여 분자량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ET는 테레프탈릭 애시드, 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PET, 또는 상기 PET 성분에 이소프탈릭 애시드, 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이, 애시드(acid) 또는 디올(diol)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 공중합된 PET이다.
PET, PC, 고상중합, 고유점도, 아세트알데히드

Description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Method for preparing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with high molecular weight and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produc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파운딩과 고상중합을 통하여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투명성 및 기체 차단성(gas barrier property)이 우수하고, 인체 및 환경 친화도가 다른 플라스틱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주스, 청량 음료, 탄산 음료 등의 음료 충전용 용기나, 식품 포장용 필름, 오디오, 비디오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가장 적합하여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섬유나 타이어코드 등의 산업자재로서도 세계적 인 규모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새로운 폴리에스테르의 용도로서, 두꺼운 플라스틱 시트(sheet)를 성형한 후, 이를 건축 내장재, 성형간판 등으로 사용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다. 그러나 PET는 열변형 온도가 0.46 MPa의 하중에서 약 69℃로서, 시트 용도로 쓰이는 다른 재료, 예컨대 아크릴(PMMA)이나 폴리카보네이트(PC) 재료에 비해 열변형 온도가 낮으므로,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심한 옥외용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내열도가 우수한 PC와의 블렌드 및 컴파운딩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PET와 PC는 용융점도가 서로 다르고, 분자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블렌드할 경우 두 종류의 폴리머간 상용성이 부족하여, 투명도가 훼손된다. 즉, 주성분의 매질상에 블렌딩되는 성분의 도메인이 분포하게 되고, 양 성분간의 물리적 혼련 및 화학적 반응에 따른 도메인의 크기와 굴절률의 차이가 제품의 투명성에 영향을 주어, 광학적인 응용이 필요한 투명 제품에는 적용이 상당히 제한적이다. 또한, 컴파운딩 가공중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므로, 폴리머 내에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와 같은 열분해 생성물의 농도가 증가한다. 아세트알데히드는 폴리에스테르의 열분해 반응의 결과 생성되는 휘발성 물질로서, 폴리머 재료가 식품 및 음료 용기의 재료로 사용될 경우, 내용물의 맛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일정한 수준 이하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 투명성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PET와 PC 간에 상용화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도메인의 형성을 방해하거나, 사이즈를 줄이거나, 또는 상호간에 반응을 일으켜 도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공중합체 또는 다양한 복합 촉매를 사용하는 기술들이 연구되었다. 미국특허 제3,864,428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PC의 블렌드 조성에 관한 기술이 서술된 바 있고, 미국특허 제4,879,355호에서는 PET와 비스페놀-A의 공중합물을 만들어 PET와 PC의 블렌드에 도입함으로써, 투명성과 내열성을 개선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942,585호에서와 같이 PC와 다량 CHDM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를 블렌드하는 기술들이 최근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PET에 PC를 일정비율 이상으로 도입하는 경우에 있어, 블렌드의 분자량을 PET 및 PC의 분자량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이나, 블렌드 내부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 및 올리고머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소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투명 PET의 내열성 향상을 위해 PC를 블렌딩하는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고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우수한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유점도가 0.80 dl/g 이상이면서, 폴리머 내의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낮은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PET에 PC를 컴파운딩하여 PET/PC 블렌드 칩을 얻는 단계; 및 (b) 얻어진 PET/PC 블렌드 칩을 결정화하고, 고상중합하여 분자량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ET는 테레프탈릭 애시드, 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PET, 또는 상기 PET 성분에 이소프탈릭 애시드, CHDM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이, 애시드(acid) 또는 디올(diol)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 공중합된 PET인 것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PET의 함량은 전체 블렌드에 대하여 50 내지 95중량%이고, 상기 PC의 함량은 전체 블렌드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고유점도 0.8 dl/g 이상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얻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일정한 조성의 PET와 PC를 용융상태로 컴파운딩을 통해 펠렛 형태의 블렌드 칩을 제조한 후, 제조된 블렌드 칩을 다시 고상중 합하면, 0.455 MPa의 하중에서 열변형 온도가 80℃ 이상이면서, 고유점도가 0.80 dl/g 내지 1.0 dl/g의 고중합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하여, 폴리머 내부에 존재하는 아세트알데히드 성분의 함량을 1 ppm 이하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은 (a) PET에 PC를 컴파운딩하여 PET/PC 블렌드 칩을 얻는 단계; 및 (b) 얻어진 PET/PC 블렌드 칩을 결정화하고, 고상중합하여 분자량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단계에서 결정화는 140 내지 180℃에서 블렌드 칩을 2 내지 6 시간 동안 방치 또는 유지시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블렌드 칩의 결정화가 충분하지 않으면, 향후 고상중합 과정에서 블렌드 칩이 융착될 우려가 있고, 블렌드 칩의 결정화가 과도하게 수행되면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 특별한 이익이 없다. 또한, 결정화된 블렌드 칩의 고상중합은 200 내지 230℃에서 5 내지 20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고상중합이 충분하지 않으면, 블렌드 칩의 고유점도가 충분히 증가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상기 고상중합이 과도하게 수행되면 성형 온도를 과도하게 올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사용되는 PET는 테레프탈릭 애시드, 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PET이거나, 또는 상기 PET 성분에 이소프탈릭 애 시드, CHDM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이, 애시드 또는 디올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 공중합된 PET일 수 있다. 여기서, 이소프탈릭 애시드가 공중합되는 경우, 그 함량은 상기 공중합된 PET의 전체 애시드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이며, CHDM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이 공중합되는 경우, 그 함량은 상기 공중합된 PET의 전체 디올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이다. 상기 PET 성분의 함량은 전체 블렌드에 대하여 50 내지 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ET 성분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고상중합시 융착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95중량%를 초과하면 제품의 열변형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PC는 비스페놀-A를 기본 구성물질로 중합 제조된 범용적인 압출 및 사출용 폴리머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PC의 함량은 전체 블렌드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C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내열성의 개선이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PET에 대한 PC의 블렌드로서의 의미와 경제성이 저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는, 고유점도가 0.60 dl/g 이상, 바람직하게는 0.80 dl/g 이상이며,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3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pp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고분자량을 가지는, 즉 고유점도 0.80 dl/g 이상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를 얻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에 부합되는 폴리에스테르 제품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PET는 에스케이케미칼에서 생산하는 SKYPET BR grade(이하 성분 A, 이소프탈릭 애시드가 전체 애시드에 대하여 2 내지 3 mol% 공중합되고, CHDM이 전체 디올에 대하여 3 내지 10 mol% 공중합된 PET)이었고, PC로는 LGDOW에서 생산하는 PC 제품(멜트인덱스(MI): 30, 이하 성분 B)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제습 건조기를 사용하여 16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성분 A 2kg, 및 동일한 제습 건조기에서 12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성분 B 1kg을 펠렛 상태에서 충분히 혼합하였다. 혼합된 원료를 하케사에서 제작한 압출기(Haake Extruder)를 통 하여, 270℃, 50rpm의 조건에서 컴파운딩하고, 블렌드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 칩을 120℃에서 결정화시키고, 결정화된 블렌드 칩 3kg을 200℃ 질소 대류형 고상중합 반응기를 사용하여 7시간 동안 고상중합하였다. 고상중합 전후의 블렌드 칩의 고유점도는 각각 0.72 dl/g 및 0.87 dl/g으로, 0.15 dl/g의 고유점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상중합된 블렌드 칩을 동결분쇄한 후 칩내 함유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0.9 ppm이었다.
[실시예 2]
성분 A 및 성분 B의 사용량을 각각 2.4kg 및 0.6kg으로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컴파운딩하여 블렌드 칩을 얻고, 결정화 및 고상중합을 수행하였다. 고상중합 전후의 블렌드 칩의 고유점도는 각각 0.72 dl/g, 0.84 dl/g으로, 0.12 dl/g의 고유점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블렌드 칩을 동결분쇄한 후 칩내 함유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0.8 ppm이었다.
[실시예 3]
210℃에서 20시간 동안 고상중합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블렌드 칩을 제조하였다. 고상중합 전후의 블렌드 칩의 고유점도는 각각 0.72 dl/g, 1.00 dl/g으로, 0.28 dl/g의 고유점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블렌드 칩을 동결분쇄한 후 칩내 함유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0.8 ppm이었다.
[비교예]
제습 건조기를 사용하여 16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한 성분 A 2kg, 및 동일한 제습 건조기에서 120℃로 5시간 동안 건조한 성분 B 1kg을 펠렛 상태에서 충분히 혼합하였다. 혼합된 원료를 하케사에서 제작한 압출기(Haake Extruder)를 통하여, 270℃, 50rpm의 조건에서 컴파운딩하고, 블렌드 칩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블렌드 칩의 고유점도는 0.72 dl/g이었고, 블렌드 칩을 동결분쇄한 후 칩내 함유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39 ppm이었다.

Claims (5)

  1.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폴리카보네이트(PC)를 컴파운딩하여 PET/PC 블렌드 칩을 얻는 단계; 및
    (b) 얻어진 PET/PC 블렌드 칩을 결정화하고, 고상중합하여 분자량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ET는 테레프탈릭 애시드, 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PET, 또는 상기 PET 성분에 이소프탈릭 애시드가, 전체 애시드(acid)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 공중합된 PET이거나, 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이, 전체 디올(diol) 성분에 대하여 1 내지 10mol% 공중합된 PET인 것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T의 함량은 전체 블렌드에 대하여 50 내지 95중량%이고, 상기 PC의 함량은 전체 블렌드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것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3. 상기 청구항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유점도가 0.80 dl/g 이상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4. 제3항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3ppm 이하인 것인 폴리에스테르/폴 리카보네이트 블렌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1ppm 이하인 것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1020070072062A 2007-07-19 2007-07-19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10140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62A KR101405866B1 (ko) 2007-07-19 2007-07-19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62A KR101405866B1 (ko) 2007-07-19 2007-07-19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06A KR20090008806A (ko) 2009-01-22
KR101405866B1 true KR101405866B1 (ko) 2014-06-12

Family

ID=4048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062A KR101405866B1 (ko) 2007-07-19 2007-07-19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8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4523A (en) 1989-12-28 1993-03-16 Eastman Kodak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having improved clarity and impact strength
KR20060071712A (ko) * 2004-12-22 2006-06-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저 올리고머 함량을 갖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 및 그제조방법
KR20070050980A (ko) * 2004-09-02 2007-05-16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저 융점 폴리에스터 중합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4523A (en) 1989-12-28 1993-03-16 Eastman Kodak Company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having improved clarity and impact strength
KR20070050980A (ko) * 2004-09-02 2007-05-16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저 융점 폴리에스터 중합체
KR20060071712A (ko) * 2004-12-22 2006-06-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저 올리고머 함량을 갖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06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0589B1 (en) Biodegradabl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US6500506B1 (en) Aromatic polyester composition and articles therefrom
EP1164155B1 (en) Polyester resin and molded article
KR100856747B1 (ko) 투명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
JP6728458B2 (ja) フラン系ポリエステルとのポリマーブレンド
KR20090021716A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20130044867A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EP3177663A1 (en)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modified polyethylene terphthalate with improved barrier,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nd products thereof
EP3717086B1 (en) Toy building element made of a polymeric pet material
Lim Thermoplastic polyesters
CN114096614B (zh) 聚酯树脂共混物
KR101158487B1 (ko) 내열성, 내충격성을 가지는 성형품
KR101405871B1 (ko)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블렌드
KR101405866B1 (ko) 고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KR101405869B1 (ko) 색상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블렌드의 제조방법
JP2013540875A (ja) 熱的安定性および色安定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ポリカーボネートブレンド
JP6689846B2 (ja) 結晶ポリエステルペレット、その用途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514287B (zh) 聚酯树脂共混物以及由其形成的物品
TWI831977B (zh) 聚酯樹脂共混物
CN101193947B (zh) 具有增强阻气性的聚酯容器及制造方法
JP5606803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からなる固相重合ペレットの製造方法
JP4068345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シート状成形体
WO2023167108A1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20170140015A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제조방법
CN117693539A (zh) 具有优异的挤出加工性能且可再循环的挤出吹塑树脂以及包含该挤出吹塑树脂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