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111B1 -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111B1
KR101405111B1 KR1020120102837A KR20120102837A KR101405111B1 KR 101405111 B1 KR101405111 B1 KR 101405111B1 KR 1020120102837 A KR1020120102837 A KR 1020120102837A KR 20120102837 A KR20120102837 A KR 20120102837A KR 101405111 B1 KR101405111 B1 KR 10140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hair
permanent
permanent waving
herb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572A (ko
Inventor
김현희
고경숙
김미연
반효정
Original Assignee
김현희
반효정
김미연
고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희, 반효정, 김미연, 고경숙 filed Critical 김현희
Priority to KR102012010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1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이를 이용한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환원제인 제1 약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 및 산화제인 퍼머넌트 제2 약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있어서,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제1 약제와 제2 약제의 화학적 성분들에 의해 모발의 손상 및 모발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된다.

Description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Permanent Waving Composition Containing plantago Extract and method of Forming the Permanent Wave}
본 발명은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머넌트 웨이브시 모발 및 두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이를 이용한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에 관한 것 이다.
미용분야에 있어서 이론적 확립과 과학적 체계성이 도입되기 시작하고 다양한 스타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미용 산업은 점차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소비자들의 기호와 취향이 다양화되면서 개성이 돋보이는 헤어스타일을 추구하고 있으며,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헤어커트, 퍼머넌트, 염색 및 탈색 등 다양한 기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개인의 독창성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 헤어커트와 퍼머넌트의 조형미도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개성 있는 헤어스타일을 표현하기에 부족함이 있어 입체적인 표현과 모발색상에 따른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하여 염색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미용 산업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퍼머넌트 및 염색 테크닉과 제품의 출시로 개성 있는 헤어스타일 연출을 원하는 고객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반복적인 화학시술로 인한 모발손상과 관련된 부작용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퍼머넌트 용제나 염색제 등과 같은 화학제품은 물리ㅇ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모표피 박리와 소실이 나타나며 모피질의 노출까지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화학제품의 pH나 처리온도에 따라 모발 손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퍼머넌트 웨이브시 사용되는 1제는 pH가 9.0∼9.6 사이이며 pH가 높아짐에 따라 모발이 심하게 팽윤되어 연모화되거나 용해되므로 모발손상의 커다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염모제를 직접 두피에 도포하게 되는 경우 인체에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에 두피에 잔류하게 되면 자극을 주게 되어 모표피의 박리현상 뿐만 아니라 탈모증세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칼리 염모제는 알칼리 성분인 1제와 과산화수소인 2제(H2O2)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성분이 반응하면서 모발에 색상을 염착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2제에 의해 모발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퍼머넌트 웨이브의 경우에는 환원제에 의해 모발의 시스틴결합이 끊어지고 산화제가 작용하여 다시 시스틴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때 결합을 이루지 못한 Superoxide(O2-), 과산화수소(H2O2), Hydroxy radical(OH) 등의 성분이 잔류하게 되고, 이것을 '활성산소'라고 한다.
활성산소는 인체 내에 침입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를 제거시키며, 암세포를 죽이는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과도하게 생성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노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모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발은 약 18종의 아미노산 집합체로서 산성 아미노산, 중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중성 아미노산인 시스틴(Cystine)은 모발의 물리ㅇ화학적 성질에 대한 안정성에 정도를 높여주는 분자구조로서 모발이 손상되면 일차적으로 모표피 층이 박리되고 용해된다. 그로인해 간충물질이 유출되고 모발 단백질은 변성된다. 마찬가지로 활성산소가 과도하게 작용하게 되면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저하를 가져오고 반복적으로 화학시술을 하게 되면 모발의 손상은 더욱 악화된다. 이에 따라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항산화 물질이 1969년 미국의 과학자 맥코드(McCord)와 프리도비치(Fridovich)에 의해 활성산소를 잡아주는 방어기전인 SOD(Superoxide Dismutase)효소가 발견되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퍼머넌트 용액의 제1액 처리 후 존재하는 유리 알칼리는 물로 헹구어도 pH8∼8.5 상태가 되며 제2액 도포 전, 후의 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 급격한 삼투압으로 모발이 손상된다. 더욱이 반복된 퍼머넌트에 의해서 중간린스를 한 경우가 중간린스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손상도가 낮게 나타난다. 이렇듯 중간린스로 인하여 모발이 손상되는 결과로 나타났고, 또한 모발의 환원력을 높이기 위하여 티오클리콜산(Thioglycolic acid)에 유리 알칼리를 더하여 pH가 증가한 제1액을 사용할 경우 모발의 메르캅탄이 확산되는 속도가 증가하여 시스틴 결합이 쉽게 절단된다.
유리 알칼리로는 휘발성이 있고 약알칼리인 암모니아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작은 분자로 모발에 침투성이 좋다. 암모니아를 배분하는 알칼리는 티오글리콜산의 환원력을 높이고 모발을 연화시켜 웨이브 형성력을 강하게 하기도 하지만 환원된 모발을 용해시키는 작용도 가지고 있어 조건에 따라 모발 손상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알칼리성인 퍼머넌트 웨이브 용액은 모표피를 팽윤시켜 환원제를 흡수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모발은 건조해지고 푸석거리며 큐티클의 손상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항산화작용으로 활성산소의 산화활동을 억제하여 모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차전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제1 약제의 pH를 낮추며, 삼투압으로 인한 모표피의 손상을 감소 및 효율적인 웨이브의 형성할 수 있는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이를 이용한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환원제인 제1 약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 및 산화제인 퍼머넌트 제2 약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있어서,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제1 약제와 제2 약제의 화학적 성분들에 의해 모발의 손상 및 모발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된다.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있어서, 상기 차전초 추출물은 차전초의 유효성분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전초 열매의 유효성분이 용해된 에탄올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유효성분이 용해된 에탄올을 농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를 이용하여 모발에 퍼머넌트 웨이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환원제인 제1 약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와 제1 약제가 도포된 모발을 열 처리 및 상온에 방치하는 단계 및 산화제인 퍼머넌트 제2 약제를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는 단계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에 있어서, 제1 약제 도포 후 pH 밸런스제 또는 구연산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에 있어서, 제2 약제 도포 후 모발을 린스처리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모발 및 두피손상을 개선하는 항산화활성 효과를 갖고,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제1 약제의 pH를 낮추며, 삼투압으로 인한 모표피의 손상을 감소 및 모발에 보다 효율적인 웨이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시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화학적 성분으로 인해 발생된 피부염 및 두피손상 완화 및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이를 이용한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제1 약제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 및 산화제인 퍼머넌트 제2 약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적용되는 차전초 추출물은 차전초를 에탄올을 이용하여 그 유효 성분을 추출 및 농축한 결과물이다.
일 예로서, 차전초(Plantago asiatica L.)는 질경이과(Plantago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6∼8월에 꽃이 백색으로 피며, 10월에 6∼8개의 흑색종자(黑色種子) 열매를 맺는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 도로 및 건물주변 등에 자생하는 귀화식물(歸化植物)로서 마차(馬車)가 다니는 차바퀴 자리에 흔히 자란다 하여 차전초(車前草)라고도 하며, 야산에서 자생하는 구황식물인 질경이를 한방에서 차전초와 차전자(車前子)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차전초는 요혈(尿血), 강심(强心), 임질(淋疾), 태독(胎毒), 난산(難産), 심장염 및 열독에 의한 옹종(擁腫)의 해독제와 부인병, 늑막염 및 변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질경이 종자인 차전자는 소염 및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잎과 뿌리는 나물을 해먹고 생잎은 쌈으로 먹기도 한다.
차전초잎에는 플라본 배당체인 plantagoside, acetoside, plantaginin, nomoplantagin이 함유되어 있고, iridoid 배당체인 aucuvin, genipiosidic acid, siccinic acid, siringin, 불포화지방산, 필수아미노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질과 단백질, 비타민류 및 소당류 등이 많이 함유되어져 항균, 항알러지, 항염증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주로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flavonoids는 지질의 산화, 활성산소의 소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는 역할을 함으로 노화방지, 암 및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차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저하 효과는 멜라닌 생성억제 실험을 통해서 사실을 확인했으며, 노화를 일으키는 활성 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 활성 능력을 가지는 추출물 획득 실험결과 항산화 활성 능력을 측정한 MDA test를 통해 차전초차를 마신 후 나온 결과를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항산화 활성 능력이 점차적으로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적용되는 차전초 추출물은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푸석해지고 거칠어지는 손상을 차전초에 함유된 무기질과 단백질 등의 성분으로 완화시키고 활성산소로 인한 산화작용을 차전초에 함유되어있는 비타민류의 항산화작용으로 산화작용을 방지하여 모발의 손상을 감소시키며 효율적인 컬의 형성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적용되는 차전초 추출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전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조된 차전초를 마련한다. 이어서, 차전초의 유효 성분들을 용해 및 추출할 수 있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상기 차전초를 에탄올 약 60 내지 80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수오의 유효성분이 용해된 에탄올을 필터링하여 유효성분이 추출된 차전초를 제거한 후 회전식 증발 농축기로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하여 차전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적용되는 차전초 추출물의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항산화효과 및 손상된 두피의 개선되는 효과가 미미하며, 환원제인 퍼머넌트 웨이브 1제의 알칼리 성분에 의해 pH가 높아 모표피의 팽윤과 모피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차전초 추출물의 사용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약제의 pH가 낮아지면서 모발에 퍼머넌트 제1약제의 침투율이 낮아짐에 따라 웨이브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차전초 추출물은 제1 약제의 전체 부피에서 약 10 내지 20 중량%로 사용되고, 15 내지 18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전초 추출물이 포함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퍼머넌트 제1 약제는 환원제 및 용매를 주성성분으로 한다. 상기 퍼머넌트 제1 약제에 적용되는 환원제는 모발의 시스틴 사이의 이황화결합을 절단하는 환원제로서, 티오글리콜산 또는 그의 염류(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글리콜산 에탄올아민과 같은 유기염류 또는 나트륨염과 같은 알칼리금속염류), 티오글리콜산 모노글리세롤 에스테르, 티오락틱산(thiolactic acid) 또는 이의 염류, 또는 이의 에스테르, 시스테인(cysteine) 및 시스테인-염산염, 시스테아민, 엔-아세틸-엘-시스테인, 티오아세트산(thioacetic acid) 및 이의 염류 및 에스테르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환원제의 양은 1 내지 20.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용매는 정제수, 탈 이온수, 에탄올,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용매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머먼트 제1 약제에 적용되는 기제는 프로필렌글리콜, 세테아릴알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텔,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스테아라마이드엠이에이, 올레인산(oleic acid), 올레일알콜, 디메치콘, 베헤닐알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으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10.0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중량%를 함유한다.
특히, 차전초 추출물를 제외한 퍼머넌트 제1 약제의 성분들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당업자가 차전초 추출물의 함량을 고려하여 적절히 그 함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적용되는 제1 약제에서 추가로 함유될 수 있는 성분은 두피 및 모발의 국부적인 표면에 직접 적용되어 웨이브형성 및 유지 효과, 모발보호효과, 모발의 영양보습효과, 모발손상방지효과, 피부자극방지효과를 향상시키는 성분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퍼머넌트 웨이브제 일반적인 모발용 외용제에 배합될 수 있는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발보호제, 알칼리제,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pH 조정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향제, 색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퍼머넌트 제1 약제는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를 도와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모발보호제는 소듐메틸스테아로일타우레이트, 하이드로라이즈드케라틴,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글 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1 메틸 에테르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암모늄글리시리제이트, 글리세릴리놀레이트, 리놀레산(linoleic acid), 세라마이드, 미네랄오일, 폴리쿼터니움-10, 동백유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알칼리제는 환원제의 작용을 도와주며, 웨이브 강약을 조정하는 성분으로, 암모니아, 탄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모노에탄올아민, 프로페놀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칼리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킬레이트제는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cysteine), 과산화수소의 안정성을 위해 첨가되며, 구체적으로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EDTA)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퍼머넌트액의 모발침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조성물에 첨가하며,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소르베이트 8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중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시트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의 무기산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조합하여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습제는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다.
점증제는 구체적으로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릭산,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구아닌,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 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될 수 있다.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항염증성분은 구체적으로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콜,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 될 수 있다. 착향제 및 색소는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머넌트용 웨이브제는 상술한 조성을 갖는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약제와 제1 약제를 중화시키기 위해 산화제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2약제를 함께 포함한다.
상기 퍼머넌트 제2 약제는 산화제와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며, 상기 산화제로 살리실산, 소르빈산, 과산화수소수, 브롬산나트륨(NaBrO3)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제2 약제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0중량%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머넌트 제2 약제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디메치콘,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텔, 데실올리에이트, 세테아릴알콜, 글리세릴스테아 레이트 등의 기제, 동백유, 하이드로라이즈드케라틴 등의 모발보호제, 인산 등의 pH 조정제, 착향제 및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웨이브 형성 및 유지 효과, 모발보호효과, 모발의 영양보습효과, 모발손상방지효과, 피부자극 감소 및 방지효과가 뛰어나, 퍼머넌트제 등의 모발처리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퍼머턴트 웨이브 시 환원제 및 산화제의 화학성분으로 인해 모발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는 모발의 웨이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모발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퍼머넌트 웨이브제를 이용한 헤어 세팅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기 위해 먼저 환원제인 제1 약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를 이용하여 모발 도포하여 모발내 시스틴 결합을 환원시킨다.
상기 모발 내 시스틴 결합의 환원은 모발의 시스틴(-S-S-) 결합을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약제에 포함된 차전초 추출물은 모발의 손상 감소 및 pH벨런스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t wave)를 위해 모발을 T핀으로 고정하여 제1 약제를 도포 하였다. 그 후 균일한 텐션으로, 모두 동일하게 로드로 모간 끝에서부터 크로키놀식 와인딩을 하였다.
이어서, 약 24℃의 실내에서 모발에 퍼머넌트 제1 약제를 도포 후 열처리 및 상온에서 자연 방치하였다. 상기 퍼머넌트 제1 약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퍼머넌트 웨이브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약제 도포 후 pH 밸런스제 또는 구연산을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산화제인 제2 약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약제에 의해 환원된 모발 내 시스틴 결합을 산화 재결합시켜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한다. 제2 약제는 제1 약제를 중화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예로서, 제2 약제는 2회로 나누어 1회시 7분, 2회시 8분으로 총 15분을 두고 자연 방치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약제를 이용한 중화처리 공정이 수행되면, 마지막으로 미온수에 깨끗이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자연 건조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제2 약제 도포하여 중화처리가 완료된 이후 모발을 린스처리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은 모발의 웨이브 형성시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를 이용함으로 인해 모발의 웨이브 형성시 모발의 손상 및 모발의 산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모발이 웨이브 형성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모발의 트리트먼트 효과와 손상 완화효과 얻을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평가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차전초 추출물 제조예
차전초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500g의 차전초를 마련한 후 유효 성분들을 추출하기 위한 에틴올 5000mL를 준비한다. 이어서, 차전초의 유효 성분들을 에탄올에 차전초를 약 72 시간동안 방치함으로써 용해시킨다. 이어서, 상기 차전초 유효성분이 용해된 에탄올을 필터링하여 차전초와 같은 불순물을 여과한 후 회전식 증발 농축기로 농축하였다.
실시예 1
환원제인 제1 약제(웰라코리아(주)의 비타웰 제품)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2 약제(웰라코리아(주)의 비타웰 제품)로 구성된 퍼머먼트 웨이브제를 마련하였다. 이후, 퍼머넌트 제1약제를 27cm 길이의 모발시료에 도포하여 약30분 동안 와인딩한 후 15분 가온처리 및 15분 자연 방치하였다. 이후, 퍼머넌트 제2약제(산화제)를 모발에 7분, 다시 재 도포 후 8분으로 총2회 중화처리 한 후 미온수에 깨끗이 세척한 후 타월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실온에서 자연 건조함으로서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2약제 도포 후 약 35 내지 38℃미온수로 중간린스를 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1약제 도포 후 pH밸런스제(스포이드 콜라겐 피에이치 버퍼; 꾸메화장품(주))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1약제 도포 후 구연산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상기 구연산으로 약 10%의 농도(구연산과 물을 1:10의 비율로 혼합됨)를 갖는다.
비교예 1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약제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이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모발 시료의 웨이브 효율성, 모발의 굵기, 모발의 수분함량, 모발의 인장강도, 모발의 미세구조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관찰하여 차전초 추출물의 적용 및 함량에 따른 모발의 웨이브 효율 및 모발의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웨이브 효율성 측정평가
웨이브 효율성 측정의 정확도를 위해 실시예 1 내지4 및 비교예 1의 모발시료를 A3용지 위에 고정시켜 디지털 캘리퍼스로 측정하였다. 웨이브의 효율성은 시료모발의 실리콘 처리부분으로부터 1cm 떨어진 지점에서 모발 끝까지 길이를 측정하며, 비교예의 모발 길이와 실시예 모발 길이를 각각 비교하였을 경우 계산된 값이 작을수록 웨이브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1에 개시하였다.
Figure 112012075054514-pat00001
[표 1]
Figure 112012075054514-pat00002
표 1을 참조하면, 차전초를 20중량% 포함된제1액(pH 9.53)으로 시술한 웨이브의 형성은 제1액 도포 후 제2액 도포하기 전 구연산을 처리한 실시예 4모발이 57,44%, 와인딩 후 제2액을 바로 처리한 실시예 1의 모발은 58.48%, 중간린스 후 제2액을 처리한 실시예 2의 모발 61,56%, pH 도포 후 제2액 처리한 실시예 3의 모발 65,74%로 실시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순으로 웨이브의 형성을 보였다. 이는 퍼머넌트시 사용하는 제1 약액는 pH6.5∼6.8정도의 거의 중성이지만 환원력을 높이기 위해 유리알칼리를 첨가하여 높은 pH로 만들어 사용함으로서 HS기의 환원력을 강하게 하여 쉽게 용해되지만, 실험에서 사용한 제1액은 차전초를 교반하여 제1액의 양과 알칼리의 양을 배분하였기 때문에 모발의 용해에 다소 적은작용을 함으로서 웨이브의 형성이 용이하여 실시예 4의 모발이 가장 높은 웨이브의 형성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차전초의 혼합사용 할 경우 20중량%가 적정하며 구연산으로 중간처치를 할 경우 웨이브형성에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모발의 인장강도 측정평가
하중에 의해 모발이 끊어질 때까지의 최대응력으로 최대하중을 모발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인장강도라고 하며 그 단위를 gf/mm2 로 나타낸다. 인장강도 측정 시 모발의 변화된 길이를 원래의 길이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을 인장신도라 하며 그 단위는 %이다. 본 실험에서 인장강도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의 시료모발 1가닥을 고정시키고 표점거리를 20mm로 하는 시험편을 제작한 후 측정하였으며 측정 속도는 10 mm/min으로 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각 예의 10개의 시료를 10회 반복하여 측정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2에 개시되어 있다.
[표 2]
Figure 112012075054514-pat00003
표 2을 참조하면, 차전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펌 시술 한 경우 모발의 인장강도를 비교한 결과 차전초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웨이브 시술한 비교예 1의 인장강도는 109.34 (ㅁ27.23)gf/mm2 로 나타났고, 차전초 추출물 20중량%첨가 웨이브 시술한 실시예 1은 112.36 ㅁ 25.24 gf/mm2, 차전초 추출물을 20중량% 첨가 및 중간 린스를 수행하여 웨이브 시술한 실시예 2는 129.86(ㅁ19.50) gf/mm2로 비교예 1에 비해 인장강도가 크게 증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차전초 추출물을 20중량% 첨가 및 pH 밸런스제 첨가하여 웨이브 시술한 실시예 3은 112.96 (ㅁ25.29)gf/mm2, 차전초 추출물 20중량% 첨가 및 구연산을 첨가하여 웨이브 시술한 실시예 4는 비교예 1보다 약 5% 증가한 116.88(ㅁ8.23) gf/mm2로 측정되었다. 상술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퍼머넌트 웨이브시 차전초 추출물, pH 밸런스제 및 구연산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경우 모발의 인장강도가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모발의 표면 스케일을 관찰평가
퍼머넌트 웨이브가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웨이브 시술 방법에 따른 모발의 표면 스케일을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발을 5mm로 컷팅하여 진공이온코팅기(Ion Sputter: E-1030, Hitachi, Japan)로 약 20nm 두께로 코팅하였으며, 코팅된 시료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1,000배율은 모표피의 손상도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개시하였다.
[표 3]
Figure 112012075054514-pat00004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웨이브 처리한 모발은 스케일이 약간 뚜렷하지 않고 큐티클의 간격은 불규칙적으로 들뜸 현상이 관찰 되었다. 제2액 처리 전 중간린스를 처리한 실시예 2의 모발 또한 스케일이 뚜렷하지 않고 모표피의 팽윤과 확장으로 큐티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들뜸 현상이 관찰 되었다. 제2액 도포 전 pH밸런스제를 처리한 실시예 3의 모발은 스케일이 약간 뚜렷하지 않고 미세한 모표피 큐티클의 들뜸 현상이 관찰 되었으며, 제2액을 도포하기 전 구연산을 처리한 실시예 4의 모발은 비교예 1과 전체 실시예군 중에 모발의 스케일이 가장 균일하고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모표피 비늘의 간격이 일정하게 밀착되어 모표피 큐티클의 들뜸 정도가 가장 안정정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술 방법에 따른 모표피 관찰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퍼머넌트 와인딩 시술시 차전초 추출물 20중량%가 추가된 제1약액의 도포 후 제2액을 바로 처리하지 않고 구연산으로 중간처리한 실시예 4 모발의 모표피 스케일이 가장 뚜렷하고 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1 약액이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제1액 처리 후에도 모발에 유리 알칼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차전초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교반함으로서 알칼리도를 낮추었으며, 또한 미온수로 중간린스를 하여도 알칼리성 상태로 있으므로 모표피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나 구연산을 도포함으로서 약산성 쪽으로 전이되었기 때문이다.
아미노산 분석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에 1의 시술 방법에 따라 퍼머넌트 웨이브를 시술한 후 모발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가 표 4에 개시되어 있다. 아미노산 조성 변화 분석은 Biochrom 20 Model(Phamacia Biotech, USA)의 아미노산 자동 분석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시료모발을 각각 약 0.02g씩을 취하여 2㎖ Vial에 넣은 후 6N HCL 2㎖을 첨가한 후 질소가스를 5분간 주입하여 질소가스를 채웠다. Screw Cap을 사용하여 Vial를 밀봉하여 120℃ 항원기에서 24시간 가열 가수분해 시켰다. 가수분해한 시료는 실온에서 방치 냉각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였으며, 시료액 중에 존재하는 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꺼내어 시료모발에 buffer solution(sodium citrate)을 정확히 1 Biochrom ml/hr, ninhydrin은 12bar, 20ml/hr의 속도로 유출시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075054514-pat00005
표 3을 참조하면, 차전초 20중량%(pH 9.53)가 포함된 웨이브제로 시술 후 제2액 도포 전 미온수로 중간린스를 한 실시예 2의모발이 95.26%로 가장 높은 아미노산 조성률을 보였고, 비교 1의 총 아미노산 조성률은 86.28%, 제2액 도포 전 pH밸런스 처리한 실시예 3의 아미노산 조성률은 93.27%, 제2액 도포 전 구연산 처리한 실시예 4는 89.15%의 아미노산 조성률 순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4의 모발은 비교예 1의 모발보다 아미노산 조성률의 증가를 보였다. 이와 같이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과정 동안 단백질인 시스테인과 황 화합물이 모발내부에서 용출되어 빠져나간 것을 아미노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이는 모발의 강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퍼머넌트 웨이브 후에는 모발이 손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환원제인 제1 약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2 약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전초 추출물은
    차전초의 유효성분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용해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차전초의 유효성분이 용해된 에탄올을 필터링하는 단계; 및
    차전초 유효성분이 용해된 에탄올을 농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는 9.52 내지 9.57의 pH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제는 환원제로 티오클리콜산암모늄을 사용하고 제2 약제는 산화제로 브롬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한 퍼머넌트 웨이브제.
  5. 환원제인 제1 약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차전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제1 약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단계;
    제1 약제가 도포된 모발을 열 처리 및 상온에 방치하는 단계; 및
    산화제인 퍼머넌트 제2 약제를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에 웨이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약제 도포 후 pH 밸런스제 또는 구연산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제2 약제 도포 후 모발을 린스처리 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KR1020120102837A 2012-09-17 2012-09-17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KR10140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37A KR101405111B1 (ko) 2012-09-17 2012-09-17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37A KR101405111B1 (ko) 2012-09-17 2012-09-17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72A KR20140036572A (ko) 2014-03-26
KR101405111B1 true KR101405111B1 (ko) 2014-06-10

Family

ID=5064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837A KR101405111B1 (ko) 2012-09-17 2012-09-17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9620B (zh) * 2017-04-07 2022-05-03 沙特阿拉伯石油公司 用于受控地输送酸的组合物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740A (ja) 2001-10-26 2003-05-14 Sanoora:Kk 髪の養生のためのヘアケアトリートメン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6124341A (ja) 2004-10-29 2006-05-18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剤
US20080057015A1 (en) 2006-08-30 2008-03-06 Oblong John E Hair care compositions, methods, and articles of commerce that can help maintain a longer lasting hair style appearance
KR20110051404A (ko) * 2009-11-10 2011-05-18 배영애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740A (ja) 2001-10-26 2003-05-14 Sanoora:Kk 髪の養生のためのヘアケアトリートメン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6124341A (ja) 2004-10-29 2006-05-18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剤
US20080057015A1 (en) 2006-08-30 2008-03-06 Oblong John E Hair care compositions, methods, and articles of commerce that can help maintain a longer lasting hair style appearance
KR20110051404A (ko) * 2009-11-10 2011-05-18 배영애 염모제 및 그를 이용한 염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72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10B1 (ko) 케라틴 처리 제형 및 방법
JP2004525130A (ja) 段階的な永久染毛方法及び組成物
KR100633439B1 (ko) 모발 염색제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EP1357884B2 (fr)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polymere poly(alkyl) vinyllactame cationique et un agent conditionneur
JP5464610B2 (ja) パーマ液第1剤
KR20130030006A (ko)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US20040180016A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straightening hair
KR20130134856A (ko) 퍼머넌트웨이브 및 스트레이트 볼륨을 갖는 모발 스타일링 개선용 조성물
EP3506877B1 (en) Concentrate for keratin fiber treatment compositions
KR101390408B1 (ko) 헤어 트리트먼트용 조성물
KR101405111B1 (ko) 차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방법
KR20160143793A (ko)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661511B1 (ko)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퍼머 또는 염색 방법
KR20100084041A (ko) 두피재생촉진 모발처리제 조성물
KR101625470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KR101448732B1 (ko) 로즈힙 추출물을 포함하는 퍼머넌트 웨이브제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스타일링방법
KR20090099164A (ko) 블랙 머드를 함유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1728306B1 (ko)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KR1006257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퍼머넌트용 조성물
KR101493483B1 (ko) 모발 및 두피 보호성 염모제용 조성물
CN113648261A (zh) 一种具有头皮护理功效的生姜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1482616B1 (ko) 비파추출물을 함유한 염모제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모제
KR100947544B1 (ko) 모발 스타일링 개선용 조성물
JP6304917B2 (ja) ハリコシ付与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