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441B1 -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441B1
KR101404441B1 KR1020130027661A KR20130027661A KR101404441B1 KR 101404441 B1 KR101404441 B1 KR 101404441B1 KR 1020130027661 A KR1020130027661 A KR 1020130027661A KR 20130027661 A KR20130027661 A KR 20130027661A KR 101404441 B1 KR101404441 B1 KR 10140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unit
lower mold
pin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이석기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기계 (주) filed Critical 이석기계 (주)
Priority to KR102013002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5/00Casting using a mould or core of which a part significant to the process is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e.g. chill casting; Mould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2D15/02Casting using a mould or core of which a part significant to the process is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e.g. chill casting; Mould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cylinders, pistons, bearing shells or like thin-walled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3/00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01M2011/02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for lubricating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피스톤의 주조시 엔진피스톤 내부에 오일갤러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방 개방되어 소결용 분말이 투입되는 수용부를 갖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상기 수용부에 투입된 소결용 분말을 가압 소결시켜 코어를 형성시키게 되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코어를 수용부 밖으로 상승시키게 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된 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취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자동 생산을 가능케 함으로써, 코어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어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core for forming oil gallery of engine piston}
본 발명은 엔진피스톤의 주조시 엔진피스톤 내부에 오일갤러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피스톤에는 연소실 내의 폭발에 의해 가열된 피스톤의 헤드를 냉각시키기 위한 오일갤러리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갤러리는 엔진피스톤의 제조시 주형 내부에 링 형상의 코어를 삽입함으로써 엔진피스톤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5864호(2007.02.22.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주조품질 향상을 위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솔트코어"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미세분말상태의 염을 소결하여 링형상의 염소결체를 형성하도록 하되 주조를 위한 주형의 진공배기관에 끼워 맞춰 오일갤러리 주조시 진공배기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중공동핀을 상기 염소결체에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표면품질이 향상된 다양한 형상의 솔트코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주조시 진공배기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조를 위한 용융액의 밀착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오일갤러리의 주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링 형상의 염소결체와, 이 염소결체에 일체로 구비된 중공동핀으로 이루어진 솔트코어를 제공함으로써 오일갤러리의 주조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위와 같은 구조의 솔트코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를 위한 별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 제조장치는,
상방 개방되어 소결용 분말이 투입되는 수용부를 갖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상기 수용부에 투입된 소결용 분말을 가압 소결시켜 코어를 형성시키게 되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코어를 수용부 밖으로 상승시키게 되는 배출유닛;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된 코어를 상기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취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 제조장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자동 생산을 가능케 함으로써, 코어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어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 제조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 제조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핀공급유닛의 사시도.
도 5는 핀공급유닛의 정면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이송부재가 전진 동작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7은 핀공급유닛의 측면 구성도.
도 8은 도 7에서 가압핀이 하강 동작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취출유닛 및 이형제도포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취출유닛 및 이형제도포유닛의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는 크게 하부금형(100), 상부금형(200), 핀공급유닛(300), 취출유닛(400) 및 이형제도포유닛(5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코어(10)는 엔진피스톤의 제조시 주형 내부에 배치되어 엔진피스톤의 내부에 오일갤러리를 형성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본체(11)와, 이 본체(11)에 결합된 중공핀(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는 소결(燒結) 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본체(11)를 이루게 되는 소결용 분말은 염(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공핀(12)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코어(10)에 두 개가 구비되어 본체(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하부금형(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개방된 수용부(110)와, 이 수용부(110)의 바닥에 하방 요입 형성된 고정부(120)를 갖는다.
수용부(110)는 코어(10)의 본체(11)를 이루게 되는 소결용 분말이 투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10)의 바닥은 본체(11)의 하부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120)에는 본체(11)와 함께 코어(10)를 이루게 되는 중공핀(12)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120)는 수용부(110)의 바닥 양측에 두 개소가 형성된다. 각 고정부(120)는 이에 끼워진 중공핀(12)의 상단부가 수용부(110) 내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의 하부에는 제조가 완료된 코어(10)를 수용부(110) 밖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배출유닛(130)이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출유닛(130)은 공지의 압출핀(ejector pin)으로 이루어져 하부금형(100)의 내부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압출핀은 상승 동작시 코어(10)를 수용부(110) 밖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배출유닛(130)은 도시된 압출핀과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조가 완료된 코어(10)를 수용부(11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부금형(100)의 상면에는 수용부(110)에 소결용 분말을 투입하기 위한 원료공급부(140)가 설치된다. 원료공급부(140)는 수용부(110)를 향해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시 수용부(1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원료공급부(140)는 소결용 분말이 수용된 원료저장부(150)와 연결되며, 이 원료저장부(150)로부터 소결용 분말을 공급받아, 전진 동작한 상태에서 수용부(110)로 소결용 분말을 투입하게 된다.
상부금형(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100)의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강 동작시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에 투입된 소결용 분말을 가압 소결시켜 코어(10)의 본체(11)를 형성시키게 된다.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에 투입된 분말을 가압하기 위하여, 상부금형(200)의 중앙에는 소결펀치(210)가 형성된다.
소결펀치(210)는 상부금형(200)의 하강 동작시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로 진입하여 소결용 분말을 가압 소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소결펀치(2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코어(10)의 본체(11) 상부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성형홈(211)이 형성된다.
코어(10)의 본체(11)는 이를 이루게 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상온에서 가압 고결(固結)시킨 후 별도의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제작이 완료되거나, 하부금형(100) 또는 소결펀치(210)의 내부에 별도의 히터(미도시)를 설치하여 가압과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제작이 완료될 수 있다.
핀공급유닛(300)은 하부금형(100)의 고정부(120)에 중공핀(12)을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관통 형성된 내부 장전공간부(331)를 갖는 장전블록(310);
장전블록(310)의 장전공간부(311)로 중공핀(12)을 공급하는 피딩모듈(320);
장전블록(3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장전블록(310)을 진퇴 동작케 하는 진퇴실린더(330);
장전모듈(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장전공간부(311)에 배치된 중공핀(12)을 하방 가압하게 되는 푸시모듈(340); 및
장전블록(310)에 설치되어 장전공간부(311)에 공급된 중공핀(12)을 고정하게 되는 홀딩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전블록(310)은 하부금형(100)의 상면에 놓이며, 진퇴실린더(330)에 의해 수용부(110)를 향해 진퇴 동작하게 된다.
장전공간부(311)는 중공핀(12)이 하부금형(100)의 고정부(120)에 삽입되기 직전에 머무르게 되는 곳으로서, 장전블록(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소에 형성된다.
그리고 장전블록(310)에는 장전공간부(311)와 연결된 진입공간부(312)가 형성된다. 진입공간부(312)는 장전블록(310)을 측방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장전공간부(311)를 가로지르는 구조를 갖는다.
피딩모듈(320)은 장전공간부(311)로 중공핀(12)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전블록(310)의 측방에 설치되고, 측방 관통 형성되어 진입공간부(312)와 마주하게 되는 관통공(321a)과, 이 관통공(321a)과 연결된 상부 투입공(321b)을 갖는 수용블록(321);
수용블록(321)의 투입공(321b)과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핀(12) 이송로(322a)를 갖는 이송튜브(322);
이송튜브(322)의 이송로(322a)로 중공핀(12)을 공급하기 위한 핀공급기(323, '도 3' 참조);
수용블록(321)의 관통공(321a)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이송튜브(322)를 통해 수용블록(321) 내로 투입된 중공핀1(2)을 지지하게 되는 안착부(324a)를 갖는 이송부재(324); 및
이송부재(324)를 장전블록(310)의 진입공간부(312) 측으로 밀어 안착부(324a)에 배치된 중공핀(12)을 장전공간부(311)로 이송하게 되는 피딩실린더(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용블록(321)은 장전블록(310)이 진퇴 동작시 간섭받지 않도록, 장전블록(310)과 약간의 틈을 두고 설치된다.
이송튜브(322)는 수용블록(321)의 투입공(321b)에 삽입되어, 이송로(322a)를 따라 공급된 중공핀(12)을 수용블록(321)의 내부에 떨어뜨리게 된다.
핀공급기(323)는 공지의 파트피더(parts feeder)로 이루어져, 다수의 중공핀(12)을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튜브(322)의 이송로(322a)로 공급하게 된다.
이송부재(324)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부가 수용블록(321)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수용블록(32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안착부(324a)는 이송부재(324)를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이송튜브(322)를 통해 수용블록(321) 내로 떨어진 중공핀(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4a)에 삽입되어 기립 배치된다.
피딩실린더(325)는 이송부재(324)의 안착부(324a)가 장전블록(310)의 장전공간부(311)에 도달할 때까지 이송부재(324)를 밀어냄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4a)에 삽입된 중공핀(12)을 장전공간부(311)로 이송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퇴실린더(330)와 장전블록(310) 사이에는 장착플레이트(360)가 개재된다. 이 장착플레이트(360)의 하단부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장전블록(310) 및 진퇴실린더(330)가 결합되고, 장착플레이트(360)의 상단부 전면에는 푸시모듈(340)이 결합된다.
푸시모듈(340)은 장전블록(310)의 상측에 설치된 승강실린더(341)와, 이 승강실린더(341)의 하단부에 결합된 중계부재(342)와, 이 중계부재(342)에 결합되어 하방 돌출되게 배치되는 가압핀(3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승강실린더(341)는 위치제어가 가능한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장착플레이트(360)의 상단부 전면에 장착된다.
중계부재(342)는 납작한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며, 승강실린더(341) 작동에 의해 승강 동작하게 된다.
가압핀(343)은 장전블록(310)의 장전공간부(311) 상측에 배치되도록 중계부재(34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압핀(34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341)의 작동에 의해 중계부재(342)와 함께 하강하여 장전공간부(311)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장전공간부(311)에 배치된 중공핀(12)을 가압하여 하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홀딩부(3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공간부(312)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장전블록(31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홀딩부(350)는 공지의 볼플런저(ball plunger)로 이루어져, 장전공간부(311)의 하부에 배치된 중공핀(12)을 측방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홀딩부(350)는 상기 볼플런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전공간부(311)의 하부에 중공핀(12)을 감싸게 되는 고무링을 설치하거나, 중공핀(12)을 측방 가압하게 되는 각종 스프링을 설치하는 등, 장전공간부(311)에 배치된 중공핀(12)을 탄성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취출유닛(400)은 하부금형(100)의 상측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유닛(130)에 의해 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된 코어(10)를 하부금형(100)의 외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된 코어(1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모듈(410); 및
홀딩모듈(410)의 후방에 설치되어 홀딩모듈(410)을 수용부(110) 측으로 진퇴 동작케 하는 진퇴구동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홀딩모듈(410)은 상호 이격 배치된 두 홀딩블록(411)과, 이 두 홀딩블록(411) 사이에 개재되어 두 홀딩블록(411)을 상호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게 되는 홀딩구동부(41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홀딩모듈(410)은 진퇴구동부(420)의 작동에 의해 수용부(110) 측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홀딩구동부(412)가 작동하여 두 홀딩블록(411)을 상호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해 코어(10)의 본체(11) 하면을 받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두 홀딩블록(411)에는 이에 얹혀진 코어(10)가 이송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외주면 형상과 상응하는 원호(圓弧) 형태의 안착홈(411a)이 형성된다.
진퇴구동부(420)는 하부금형(100)의 측면에 결합된 지지대(430, '도 2' 참조)에 고정되어, 하부금형(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진퇴구동부(420)는 공지의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모터와 볼스크류를 이용하는 등, 홀딩모듈(410)의 진퇴 동작을 가능케 하는 공지의 다양한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진퇴구동부(420)의 하측에는 취출유닛(400)에 의해 하부금형(100)의 외측으로 이송된 코어(10)를 모아두기 위한 수집통(미도시) 또는 코어(10)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형제도포유닛(500)은 하부금형(100)의 상측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시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제가 수용되는 내부 저장공간부(511)와, 이 저장공간부(511)와 연결된 하부 배출구(512)를 갖는 저장용기(510);
배출구(512)를 덮도록 저장용기(510)의 하단부에 설치된 퍼프(puff, 520); 및
저장용기(5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용기(510)를 승강 동작케 하는 승강구동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형제도포유닛(500)은 홀딩모듈(410)의 홀딩구동부(412) 상부에 결합된 고정부재(540)에 설치되어 홀딩블록(31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이형제도포유닛(500)은 홀딩모듈(410)에 결합됨에 따라 진퇴구동부(420)의 작동에 의해 진퇴 동작하게 되고, 진퇴구동부(420)에 의한 전진 동작시 홀딩블록(311)과 함께 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승강구동부(530)는 공지의 실린더로 이루어져 고정부재(540)의 상부에 배치되되, 그 로드가 고정부재(540)를 관통하여 하방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저장용기(510)는 상방 개방된 통 형태이되 상기 저장공간부(511)와 배출구(512)를 갖는 본체(513) 및 이 본체(513)의 상단부를 덮는 마개(514)로 이루어져, 마개(514)를 본체(513)에서 분리함으로써 저장공간부(511)에 이형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장용기(510)는 이의 마개(514)가 승강구동부(5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승강구동부(530)의 작동에 의해 승강 동작하게 된다.
퍼프(520)는 섬유, 스펀지 등과 같이 이형제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저장용기(510)의 하단부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512)를 통해 저장공간부(511)를 빠져나와 저장용기(510)와 퍼프(520) 사이로 유입된 이형제는 승강구동부(530)의 작동에 의해 저장용기(510)와 함께 하강한 퍼프(520)가 수용부(110)의 바닥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하여 퍼프(520)를 통과하여 새어나가 수용부(110)의 바닥 및 내벽에 도포된다.
이하,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코어 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피딩모듈(320)의 핀공급기(323)에 의해 중공핀(12)이 이송튜브(322)를 타고 수용블록(321)으로 공급된다.
수용블록(321)으로 공급된 중공핀(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324)의 안착부(324a)에 삽입되고, 이후 진퇴구동부(325)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재(324)와 함께 장전블록(310)의 진입공간부(312) 측으로 이송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블록(310)의 장전공간부(311)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승강실린더(341)의 작동에 의해 가압핀(343)이 하강하여 장전공간부(311)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이송부재(324)의 안착부(324a)에 삽입된 중공핀(1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핀(343)에 의해 장전공간부(311)의 하부로 빠져나가 홀딩부(350)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승강실린더(341)의 작동에 의해 가압핀(343)이 다시 상승하고, 진퇴구동부(325)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재(324)가 진입공간부(312)에서 물러나게 되면, 구동모듈(330)이 작동하여 장전블록(310) 및 푸시모듈(340)을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 측으로 전진 동작시키게 된다.
장전블록(310) 및 푸시모듈(340)이 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면, 다시 승강실린더(341)의 작동에 의해 가압핀(343)이 하강하여 장전공간부(311)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가압핀(343)은 홀딩부(350)에 고정된 중공핀(12)을 밀어 하부금형(100)의 고정부(120)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구동모듈(330)의 작동에 의해 장전블록(310) 및 푸시모듈(340)이 후퇴 동작하게 되면 취출유닛(400)의 진퇴구동부(420)가 작동하여 홀딩모듈(410) 및 이형제도포유닛(500)을 전진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수용부(110)의 상측에 이형제도포유닛(500)이 배치되면 승강구동부(530)가 1~2회 작동하여 수용부(110)의 바닥 및 내벽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후, 진퇴구동부(420)가 작동하여 홀딩모듈(410) 및 이형제도포유닛(500)이 후퇴하게 되면 원료공급부(140)가 전진하여 수용부(110)에 소결용 분말을 투입하게 되고, 분말 투입 후 원료공급부(140)가 후퇴하게 되면 상부금형(200)이 하강하여 수용부(110)에 투입된 소결용 분말을 가압 소결하게 됨으로써 코어(1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후, 배출유닛(130)이 수용부(110)에 배치된 코어(10)를 밀어올려 수용부(110)의 상측에 위치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취출유닛(400)의 진퇴구동부(420)가 작동하여 홀딩모듈(410) 및 이형제도포유닛(500)을 전진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두 홀딩블록(411)은 상호 이격 배치된 상태로 코어(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후 홀딩구동부(412)의 작동에 의해 상호 근접하게 됨으로써 코어(10)의 하면을 받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후, 배출유닛(130)이 하강함에 따라 코어(10)가 홀딩블록(411)에 얹혀지게 되고, 이후 진퇴구동부(420)가 작동하여 홀딩모듈(410) 및 이형제도포유닛(500)이 후퇴하게 되면, 다시 홀딩구동부(412)가 작동하여 두 홀딩블록(411)을 상호 이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두 홀딩블록(411)에 얹혀진 코어(10)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코어(10)의 취출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어 제조장치는 링 형상의 본체(11)와, 이 본체(11)에 결합된 중공핀(12)을 포함하는 코어(10)의 자동 생산을 가능케 함으로써, 코어(10)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어(10)의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부금형
110 ; 수용부 120 ; 고정부
130 ; 배출유닛 140 ; 원료공급부
150 ; 원료저장부
200 ; 상부금형
210 ; 소결펀치
211 ; 성형홈
300 ; 핀공급유닛
310 ; 장전블록
311 ; 장전공간부 312 ; 진입공간부
320 ; 피딩모듈
321 ; 수용블록 322 ; 이송튜브
323 ; 핀공급기 324 ; 이송부재
325 ; 피딩실린더
330 ; 진퇴실린더
340 ; 푸시모듈
341 ; 승강실린더 342 ; 중계부재
343 ; 가압핀
350 ; 홀딩부
360 ; 장착플레이트
400 ; 취출유닛
410 ; 홀딩모듈
411 ; 홀딩블록 412 ; 홀딩구동부
420 ; 진퇴구동부
430 ; 지지대
500 ; 이형제도포유닛
510 ; 저장용기
511 ; 저장공간부 512 ; 배출구
513 ; 본체 514 ; 마개
520 ; 퍼프
530 ; 승강구동부
540 ; 고정부재

Claims (7)

  1.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을 위한 코어(1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방 개방되어 소결용 분말이 투입되는 수용부(110)를 갖는 하부금형(100);
    상기 하부금형(100)의 상측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동작시 상기 수용부(110)에 투입된 소결용 분말을 가압 소결시켜 코어(10)를 형성시키게 되는 상부금형(200);
    상기 하부금형(10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된 코어(10)를 수용부(110) 밖으로 상승시키게 되는 배출유닛(130); 및
    상기 하부금형(100)의 상측에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유닛(130)에 의해 상기 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된 코어(10)를 상기 하부금형(100)의 외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취출유닛(400);
    을 포함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유닛(400)은
    상호 이격 배치된 두 홀딩블록(411)과, 상기 두 홀딩블록(411) 사이에 개재되어 두 홀딩블록(411)을 상호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게 되는 홀딩구동부(412)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10)의 상측에 배치된 코어(1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모듈(410); 및
    상기 홀딩모듈(4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홀딩모듈(410)을 상기 수용부(110) 측으로 진퇴 동작케 하는 진퇴구동부(4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에 이형제를 도포하게 되는 이형제도포유닛(5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형제도포유닛(500)은 상기 홀딩모듈(410)에 결합되어 상기 홀딩블록(411)의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도포유닛(500)은
    이형제가 수용되는 내부 저장공간부(511)와, 상기 저장공간부(511)와 연결된 하부 배출구(512)를 갖는 저장용기(510);
    상기 배출구(512)를 덮도록 상기 저장용기(510)의 하단부에 설치된 퍼프(520); 및
    상기 저장용기(5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용기(510)를 승강 동작케 하는 승강구동부(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10)는 링 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결합된 중공핀(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금형(100)의 수용부(110) 바닥에는 상기 중공핀(12)이 끼워지게 되는 고정부(120)가 하방 요입 형성되며,
    상기 하부금형(100)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부(110)를 향해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동작시 상기 고정부(120)에 중공핀(12)을 삽입하게 되는 핀공급유닛(300)이 구비되되,
    상기 핀공급유닛(300)은
    상하 관통 형성된 내부 장전공간부(311)를 갖는 장전블록(310);
    상기 장전블록(310)의 장전공간부(311)로 중공핀(12)을 공급하는 피딩모듈(320);
    상기 장전블록(3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장전블록(310)을 진퇴 동작케 하는 진퇴실린더(330); 및
    상기 장전블록(3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전공간부(311)에 배치된 중공핀(12)을 하방 가압하게 되는 푸시모듈(3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블록(310)에는 측방 개방되어 상기 장전공간부(311)와 연결된 진입공간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피딩모듈(320)은
    상기 장전블록(310)의 측방에 설치되고, 측방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진입공간부(312)와 마주하게 되는 관통공(321a)과, 상기 관통공(321a)과 연결된 상부 투입공(321b)을 갖는 수용블록(321);
    상기 수용블록(321)의 투입공(321b)과 연결되고, 내부에 중공핀(12) 이송로(322a)를 갖는 이송튜브(322);
    상기 이송튜브(322)의 이송로(322a)로 중공핀(12)을 공급하기 위한 핀공급기(323);
    상기 수용블록(321)의 관통공(321a)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이송튜브(322)를 통해 상기 수용블록(321) 내로 투입된 중공핀(12)을 지지하게 되는 안착부(324a)를 갖는 이송부재(324); 및
    상기 이송부재(324)를 상기 장전블록(310)의 진입공간부(312) 측으로 밀어 상기 안착부(324a)에 배치된 중공핀(12)을 상기 장전공간부(311)로 이송하게 되는 피딩실린더(32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공급유닛(300)은 상기 장전블록(310)에 설치되어 상기 장전공간부(311)에 공급된 중공핀(12)을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홀딩부(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KR1020130027661A 2013-03-15 2013-03-15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KR10140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61A KR101404441B1 (ko) 2013-03-15 2013-03-15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661A KR101404441B1 (ko) 2013-03-15 2013-03-15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441B1 true KR101404441B1 (ko) 2014-06-13

Family

ID=5113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661A KR101404441B1 (ko) 2013-03-15 2013-03-15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2895A (zh) * 2017-12-07 2018-03-20 滨州渤海活塞有限公司 一种盐芯压制模具及其制造的盐芯和其制造盐芯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92B2 (ja) * 1985-07-23 1994-03-23 アドルフ・ホツテインゲル・マシイネンバウ・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コアまたはシエルの組立機械
JPH08164443A (ja) * 1994-12-14 1996-06-25 Honda Motor Co Ltd 金型鋳造用中子
KR100657376B1 (ko) 2005-06-28 2006-12-14 동서공업주식회사 소결주조용 솔트코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592B2 (ja) * 1985-07-23 1994-03-23 アドルフ・ホツテインゲル・マシイネンバウ・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コアまたはシエルの組立機械
JPH08164443A (ja) * 1994-12-14 1996-06-25 Honda Motor Co Ltd 金型鋳造用中子
KR100657376B1 (ko) 2005-06-28 2006-12-14 동서공업주식회사 소결주조용 솔트코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2895A (zh) * 2017-12-07 2018-03-20 滨州渤海活塞有限公司 一种盐芯压制模具及其制造的盐芯和其制造盐芯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1702B2 (en)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and compression mold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 comprising fiber
JP6949746B2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金型装置
US30255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ressure molding
KR101404441B1 (ko)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CN113942195A (zh) 一种抗划伤汽车外饰件高光注塑成型模具
KR101406348B1 (ko) 엔진피스톤의 오일갤러리 형성용 코어의 제조장치
KR101526894B1 (ko) 인서트 삽입이 용이한 플러그 사출금형
CN105729727A (zh) 双物料立式注射成型设备
JP6695215B2 (ja) 熱硬化性プラスチックの成形装置
KR20200118263A (ko) 실링부재 제조장치
JP2017087702A (ja) モールド部付電線保護部材の成形装置
JP2010144241A (ja) 成形金型装置
KR101037640B1 (ko) 사출기의 로딩/언로딩장치
CN211968289U (zh) 一种注塑模具的油缸抽芯机构
CN110091464B (zh) 注射成型方法及模具装置
KR101442116B1 (ko) 수직형 사출성형기의 이젝트장치
CN111655444B (zh) 注射成型机及注射成型系统
CN108527779B (zh) 针型嵌件注塑模具
US2891282A (en) Molding apparatus for making small plastic articles
CN112622155A (zh) 模具半部和用于制造带有至少一个套管式的嵌入件的注塑件的方法
US6394786B1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KR200335045Y1 (ko) 복합합성수지 소재의 압축ㆍ사출 성형용 금형장치
JPH0449252B2 (ko)
CN211824084U (zh) 烟花筒体模腔结构及烟花筒体冷压成型自动化生产线
CN212579061U (zh) 一种bmc&dmc传递压制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