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26B1 -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26B1
KR101404026B1 KR1020130133387A KR20130133387A KR101404026B1 KR 101404026 B1 KR101404026 B1 KR 101404026B1 KR 1020130133387 A KR1020130133387 A KR 1020130133387A KR 20130133387 A KR20130133387 A KR 20130133387A KR 101404026 B1 KR101404026 B1 KR 10140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ge
lift
lift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이상희
최인성
Original Assignee
김영석
최인성
이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최인성, 이상희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13013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리프트 체인 및 리프트 풀리를 통해 상호 연계 승강 작동하며,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견고하고 안정적인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단식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체인으로 연결 구성되고, 하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다른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양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신장 및 축소에 따라 승강 작동하는 메인 승강 프레임; 및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상부 측에서,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리프트 체인을 통해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MULTISTAGE LIFTING APPARATUS AND MOVABLE ST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리프트 체인 및 리프트 풀리를 통해 상호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며,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견고하고 안정적인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화행사나 공연 등의 각종 야외 행사를 진행하기 위한 용도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단을 세운 무대에 각종 무대 장비 및 조명 장치 등이 가설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대는, 통상 목재, 합판, 철제물 등을 조립하여 설치되는데, 무대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해서는 막대한 인력과 노동력 및 시간이 소요되며, 설치 및 조립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그에 따라, 인건비, 장비 대여비 등을 비롯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 등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간이한 방식으로 조립 가능한 이동식 무대장치가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이동식 무대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56282 호(“이동식 무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에 적재 및 분리 가능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구성하는 기둥바, 바닥플레이트 및 천장 프레임을, 각각 별개의 구동부를 통해 승강시키거나, 또는 펼치고 접음으로써 간편한 설치 및 철거 가능하다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무대장치의 승강 및 확장을 위해 각각의 구동부를 별개로 장착하여야 하므로 공간상의 제약이나 비용상의 부담이 발생하고, 상기 구동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대장치의 설치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대 천장 등을 승강 및 지지하도록 다단식으로 구현된 기둥의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며, 구조상 상기 무대 천장 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높이 상의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대 천장 등과 같은 승강 목적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 및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가진 승강장치와 한번의 유압작동으로 무대 천장의 승강 및 무대확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구현된 이동식 무대장치가 요구된다.
KR 10-105628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 체인 및 리프트 풀리를 통해 상호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며,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직립상태에서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다단식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무대장치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승강장치와 연계 동작으로 한번의 유압작동에 의해 승강과 함께 무대확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간이하고 신속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단식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체인으로 연결 구성되고, 하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다른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양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신장 및 축소에 따라 승강 작동하는 메인 승강 프레임; 및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상부 측에서,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리프트 체인을 통해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작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승강 프레임은,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체인은, 제 1 리프트 체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리프트 체인은, 일 단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 1 리프트 풀리를 거쳐 상기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체인은, 제 2 리프트 체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리프트 체인은, 일 단부가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 2 리프트 풀리를 거쳐, 상기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승강 프레임은, 상기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체인은, 제 3 리프트 체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 리프트 체인은, 일 단부가 상기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 3 리프트 풀리를 거쳐, 상기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서브 승강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식 무대장치는, 차량의 화물 적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물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 될 수 있게 구비된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의 양단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고정 설치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승강장치;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무대 바닥부; 및 상기 승강장치의 최상단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무대 천장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대 바닥부는, 상기 하부 베이스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중앙 바닥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중앙 바닥 플레이트의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 1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대 바닥부는, 일단이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 2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장치의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무대확장 풀리가 구비되고, 무대확장 와이어의 일 단부가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의 일 영역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무대확장 풀리를 거쳐 상기 승강장치의 메인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무대확장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제 2 바닥 플레이트가 상측으로 접히거나, 상기 하부 베이스의 측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장치의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하부 베이스의 측방향으로 펼쳐지는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바닥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대받침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대받침 레일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측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의 일 영역에 수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상호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식 승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직립상태에서 풍압 등의 외력에 의한 떨림이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승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메인 승강 프레임의 양측에 직접 연결하여, 승강장치의 직립상태에서의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승강장치를 유압실린더가 직접 메인 승강 프레임을 승강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리프트 체인이 충격이나 노후에 의해 절단 또는 이탈되더라도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메인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기 때문에 혹시 발생할지 모를 인명 피해나 승강 목적물의 파손 위험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작동 제어부를 통해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신장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승강장치의 상승 높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으로 동작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상기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한번의 유압 작동에 의해 무대 천장 및 기둥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무대의 확장을 완료할 수 이동식 무대장치를 구현하여, 무대 확장을 위한 별도의 유압실린더 기타의 유압설비를 구비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무대장치의 설치 시의 번거로움과 공간상의 제약 및 비용상의 부담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견고한 구조의 상기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식 무대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풍압 등의 외부 압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무대 천장이나 설치된 장비를 안정적으로 승강 및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무대장치가 접힌 상태에서도, 무대장치의 내측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측에 접근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간의 연결관계(접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간의 연결관계(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의 확장식 무대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의 승강에 따른 확장식 무대 구조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의 승강 및 무대 확장이 완료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100)는, 하부 베이스(110), 지지 프레임(120), 메인 승강 프레임(130), 서브 승강 프레임(140), 유압실린더(150), 리프트 체인(160), 리프트 풀리(170) 및 유압작동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110)는, 다단식 승강장치(100), 특히 지지 프레임(120) 및 유압실린더(150) 등이 직접 고정되어 설치되는 기초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다단식 승강장치(100)가 설치되는 대상, 예를 들어 차량 등의 일부이거나, 또는 설치되는 대상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탈거 될 수 있는 구조로 별도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이하 설명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프레임에 있어서,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프레임으로서, 하부 베이스(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상부 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프레임들을 지지하여, 예를 들어, 풍압 등의 외력이 가해질 시, 승강장치(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승강 프레임(130)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2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양 측면에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메인 승강 프레임(130)은, 적어도 일부가 지지 프레임(120)과 중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의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메인 승강 프레임(130)과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체인(160)으로 상호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연계되어 승강 동작하게 된다.
서브 승강 프레임(140)은, 지지 프레임(120), 메인 승강 프레임(130) 및 다른 서브 승강 프레임(140) 중 적어도 하나와 리프트 체인(160)을 통해 연결되며,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브 승강 프레임(140)은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 승강 프레임(140) 상호 간에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에 위치한 서브 승강 프레임(140), 예를 들어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의 적어도 일부가, 바로 하단에 위치한 서브 승강 프레임(140)의 예를 들어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내측으로 수용되어, 서브 승강 프레임(140) 상호 간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상태에서,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승강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첫 번째 서브 승강 프레임인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은 적어도 일부가,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즉 지지 프레임(120), 메인 승강 프레임(13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차례로 중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100)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100)의 승강 작동, 특히, 상승 작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복수 개의 유압실린더(150)가 지지 프레임(12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하부 베이스(1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는,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양 측면에 결합되며, 로드(152)의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메인 승강 프레임(1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유압실린더(150) 대신하여 당해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실린더, 예를 들어 공압실린더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리프트 체인(160)은,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시켜, 유압실린더(150)에 의해 메인 승강 프레임(1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 이에 따라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부 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연계되어 승강 작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프트 체인(160)은,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들어올리고, 프레임이 상승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탱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체인(chain)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이에 준하는 강도를 가진 금속 와이어(wire), 벨트(belt) 등의 당해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리프트 풀리(170)는, 유압실린더(150)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서브 승강 프레임(14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메인 승강 프레임(13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리프트 풀리(170)는, 리프트 체인(160)과 연계 동작을 통해, 유압실린더(150)가 메인 승강 프레임(1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힘을 상단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에 연쇄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리프트 풀리(170) 및 리프트 체인(160)에 의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은 메인 승강 프레임(130)과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게 된다.
리프트 풀리(170)는, 회전 운동에 의해 리프트 체인(160)이 이동될 수 있도록 도르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체인과 결합 가능한 스프로킷 등 당해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동력 전달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승강 프레임(130) 및 각각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리프트 풀리(170) 및 이를 통해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리프트 체인(160)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동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고, 승강장치(100)의 직립상태에서의 견고함을 향상시키며, 또한, 리프트 체인(160)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절단 또는 이탈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된 이중으로 구현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리프트 풀리(170) 및 리프트 체인(160)은 삼중 이상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리프트 체인(160)과 리프트 풀리(170)를 통한 각 프레임 간의 구체적인 결합관계와 각 프레임들의 승강 작동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유압작동 제어부(미도시)는, 유압벨브 또는 유압펌프 등을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50)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의 메인 승강 프레임(130)을 들어올리는 힘, 로드의 신장 높이, 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압작동 제어부(미도시)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 방식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승강장치(100)의 최상단 서브 승강 프레임(14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승강시키고자 하는 목적물이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거나, 상기 목적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즉 지지 프레임(120), 메인 승강 프레임(130),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은(140) 각각은,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10)은,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면과 하단면이 개방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0)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수직 프레임(10)의 마주보는 일 측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수직 프레임(10)의 횡단면은,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0)은,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0)을 상호 연결 및 지지하여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단 수평 프레임(22)과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단 수평 프레임(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수평 프레임(22)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마주보는 일측이 각각 개방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어,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상단 개구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 개구부(30)를 통해, 상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하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수평 프레임(24)은, 수직 프레임(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수직 프레임(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단에 위치한 프레임이, 바로 하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30)를 통해 용이하게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하고, 하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내면과 이에 중첩되어 수용된 상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 승강장치(100)가 직립상태에서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일부는 하단 수평 프레임(24) 없이, 상단 수평 프레임(22)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20)의 경우, 지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0)의 하단부가 하부 베이스(110)에 직접 고정 설치되어 지지가 되기 때문에, 상단부에 상단 수평 프레임(22)만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 수평 프레임(22)과 하단 수평 프레임(24)의 결합에 의해,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전면 개구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프레임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40)는, 승강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상호 중첩되어, 승강장치(1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이용하는 구조물, 예를 들어 이동식 무대장치 등이 접힌 상태에서 구조물의 내측으로 접근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형성시킴으로써, 승강장치(100)의 전체 중량 및 제작 비용을 줄이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유압실린더(150), 리프트 체인(160), 리프트 풀리(170) 등에 걸리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승강장치(100)의 고장 및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간의 연결관계(접힌 상태)를 도시하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간의 연결관계(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승강 프레임(130)이 지지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양 측면에는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결합될 수 있으며,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부 측에는, 상단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은, 도 3a 내지 도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은,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은,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143)은,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다단을 이루는 세 개의 서브 승강 프레임(141, 142, 143)이 하단에서 상단 순으로 차례로 일부 영역이 상호 중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단부에는, 제 1 리프트 체인(161)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리프트 풀리(17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과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 2 리프트 체인(162)과 제 3 리프트 체인(163)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리프트 풀리(172)와 제 3 리프트 풀리(173)가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최상단 프레임, 즉,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143)은, 더 이상 상단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에 동력을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단부에 별도의 리프트 풀리(17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앞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은 리프트 체인(160)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되는데, 도 3a 내지 도3b를 참조하면, 제 1 리프트 체인(161)은, 일 단부가 지지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메인 승강 프레임(130)에 구비된 제 1 리프트 풀리(171)를 거쳐,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리프트 체인(162)은, 일 단부가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에 구비된 제 2 리프트 풀리(172)를 거쳐,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제 3 리프트 체인(163) 역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 단부는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에 구비된 제 3 리프트 풀리(173)를 거쳐,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143)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풀리(170)와 리프트 체인(160)을 이용한, 각 프레임의 연결관계는 도 3b에서 도시된 다단식 승강장치(100)의 일부 확대도를 통해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텔레스코픽 구조로 차례로 중첩되는 지지 프레임(120), 메인 승강 프레임(130)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리프트 체인(160) 및 리프트 풀리(170)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연계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 작동을 하는 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도 3a 내지 도3b에 따르면,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3개의 서브 승강 프레임(141, 142, 143)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승강 프레임(140)은, 승강을 요하는 목적물의 하중, 승강을 요하는 높이 등에 따라 다양한 개수, 예를 들어,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120), 메인 승강 프레임(130) 및 서브 승강 프레임(140)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리프트 체인(160) 및 리프트 풀리(170)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최상단이 되는 서브 승강 프레임(140)의 상단부에는 리프트 풀리(17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음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100)의 승강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단식 승강장치(100)는, 승강 작동 전, 승강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은 상단에 위치한 프레임이 하단에 위치한 프레임에 차례로 삽입되어, 상호 포개지는 형태로 접철되는 접힌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승강장치(100)가 작동하여,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양측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신장하게 되면, 이에 따라 메인 승강 프레임(130)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메인 승강 프레임(130)이 상승함에 따라,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 1 리프트 풀리(171)가 동반하여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제 1 리프트 풀리(171)는 이와 연결된 제 1 리프트 체인(161)을 상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를 통해, 제 1 리프트 체인(161)의 일 단부가 연결된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이 상승하게 된다. 특히, 이 경우, 제 1 리프트 체인(161)의 다른 일 단부는, 하부 베이스(110)에 고정 장착된 지지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리프트 풀리(171)가 제 1 리프트 체인(161)을 상측으로 당기는 힘이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하단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이 상승하게 되면, 이에 따라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141)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 2 리프트 풀리(172) 동일하게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리프트 풀리(171)가 제 1 리프트 체인(161)을 상측으로 당긴 것과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제 2 리프트 풀리(172)가 제 2 리프트 체인(162)을 상측으로 당기게 되며, 제 2 리프트 체인(162)이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의 하단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됨으로써,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 역시, 동반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승하는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142)은, 상술한 작용과 동일하게, 상단의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143)을 동반 상승시키고,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신장을 완료하면,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장치(100)의 상승 작동이 완료된 펼쳐진 상태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메인 승강 프레임(130)을 들어 올리는 동력이, 리프트 체인(160)과 리프트 풀리(170)로 상호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에 연쇄적으로 전달됨으로써,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상승 작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상호 연계되어 상승하는 다단식 승강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승강장치(100)의 상승 작동 완료 시, 최상단 서브 승강 프레임(140)의 상승 높이는,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의 신장 정도, 각 프레임의 높이 또는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리프트 체인(160)의 길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100)의 하강 작동은, 신장된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축소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축소됨에 따라, 메인 승강 프레임(130)이 하부 측으로 하강하면, 상승 작동 과정의 반대의 동작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지던 리프트 체인(160)이 원래의 상태로 풀어지게 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140)이 연계되어 하강하게 되며, 상호 포개지는 형태로 다시 접철 되게 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식 승장장치(100)를 구현함으로써, 풍압 등의 외력에 의한 떨림이나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승강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100)는,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를 메인 승강 프레임(130)의 양측에 직접 연결하여, 승강장치(100)의 직립상태에서의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150)가 직접 메인 승강 프레임(130)을 승강 작동시키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리프트 체인(160)이 충격이나 노후에 의해 절단 또는 이탈되더라도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가 메인 승강 프레임(13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의의 인명 피해나 승강 목적물의 파손 위험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유압작동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유압실린더(150)의 로드(152)의 신장 높이를 조절하여, 상승 높이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승강장치(10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200)는, 하부 베이스(210), 승강장치(220), 무대 바닥부(230) 및 무대 천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210)는, 이동식 무대장치(20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승강장치(220) 및 무대 바닥부(230)의 설치를 위한 기초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동식 무대장치(200)가 차량에 적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차량의 화물 적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화물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 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화물 적재부는 직사각 형상을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하부 베이스(210) 역시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하부 베이스(210)의 둘레부의 하측에는,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설치 대상이 되는 설치면에 대하여, 하부 베이스(210)를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미도시)는 하부 베이스(210)의 승강을 위하여 유압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무대장치(200)를 적재한 차량이 설치 위치에 정차한 이후, 지지부(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부 베이스(210)를 상승시켜 지지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이동식 무대장치(200)를 분리할 수 있다.
승강장치(220)는, 무대 천장부(240) 및 무대 천장부(240)에 설치되는 조명, 스피커 기타의 무대 장비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단식 승강장치(100)일 수 있다. 이때, 승강장치(220)는, 하부 베이스(210)의 양단 부분에 서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되어,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기둥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베이스(210)의 양단에 각각 1개씩, 2개의 승강장치(22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장치(22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형성된 전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장치(220)가 접힌 상태에서 승강장치(22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식 무대 장치(200)가 접힌 상태에 있더라도,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승강장치(220)에 형성된 개구부(222)를 통해 내측에 접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무대 바닥부(230)는, 하부 베이스(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무대 바닥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 바닥 플레이트(231),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바닥 플레이트(231)는, 하부 베이스(210) 상면, 바람직하게는, 하부 베이스(210) 상면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고, 제 1 바닥 플레이트(232)는 일단이, 중앙 바닥 플레이트(231)의 일단과 힌지로 연결되며,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는,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와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는 상측으로 접히거나, 하부 베이스(210)의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확장식 무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와 제 2 바닥 플레이트(233)의 펼쳐짐 또는 접힘은, 무대확장 와이어(250) 및 무대확장 풀리(260)를 통해, 승강장치(220)의 승강 작동, 즉, 상승 작동 또는 하강 작동과 연계되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대 바닥부(230)와 승강장치(220)의 구체적인 연결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무대 바닥부(230)는, 중앙 바닥 플레이트(23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와 제 2 바닥 플레이트(233)와 동일한 구조의 바닥 플레이트가 중앙 바닥 플레이트(231)의 타단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무대 천장부(240)은,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무대 천장을 구성하는 것으로, 무대 기둥 역할을 수행하는 승강장치(220)의 최상단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장치(22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무대 천장부(240)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대 바닥부(230)와 동일하게, 중앙 천장 플레이트(241)와 이로부터 차례로 힌지 연결된 제 1 천장 플레이트(242) 및 제 2 천장 플레이트(243)를 포함하고, 제 1 천장 플레이트(242)와 제 2 천장 플레이트(243)는 하측으로 접히거나, 중앙 천장 플레이트(241)의 측방향으로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대 천장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실린더를 통해, 제 1 천장 플레이트(242) 및/또는 제 2 천장 플레이트(243)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유압실린더가, 중앙 천장 플레이트(241) 또는 승강장치(220)의 최상단 프레임 중 일 영역에 장착되고, 제 1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제 1 천장 플레이트(242)의 측면 또는 하면 중 일 영역과 결합되어, 제 1 유압실린더 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제 1 천장 플레이트(242)가 펴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유압실린더가, 제 1 천장 플레이트(242)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일 영역에 장착되고, 제 2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제 2 천장 플레이트(243)의 측면 또는 상면 중 일 영역에 결합되어, 제 2 유압실린더 로드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제 2 천장 플레이트(243)가 펴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대 천장부(240)가, 무대 바닥부(230)와 마찬가지로, 중앙 천장 플레이트(241)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200)는, 하부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대받침 레일(도 6의 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대받침 레일(도 6의 270)은,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또는 제 2 바닥 플레이트(233)가 측방향으로 펼쳐지는 경우,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 중 적어도 하나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무대받침 레일(도 6의 270)은, 하부 베이스(210)의 측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부 베이스(210)의 일 영역에 수납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무대받침 레일(도 6의 270)의 일 단부가 하부 베이스(210)의 측면의 일 영역 결합되고, 결합부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현되어, 도 4에서 도시되는 이동식 무대장치(200)가 접힌 상태에서는, 하부 베이스(210)의 측면부에 밀착되서 수납되고, 이후 이동식 무대장치(200)가 설치될 때, 측방향으로 전개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무대받침 레일(도 6의 270),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의 일 영역에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또는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를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조 지지부(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의 확장식 무대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200)에는, 무대 확장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무대확장 와이어(250) 및 무대확장 풀리(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무대확장 와이어(250)는,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와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를 승강장치(220)와 연결하여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2)의 무게를 지탱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지닌 금속 와이어(wir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체인(chain) 등 당해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체결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대확장 와이어(250)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 단부가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의 상면 중 일 영역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무대확장 풀리(260)를 거쳐 승강장치(220)의 메인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무대확장 와이어(250)의 일 단부와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상면의 결합은,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의 상면 중 일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와이어 결착수단(28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무대확장 풀리(260)는, 무대확장 와이어(250)와 함께 동작하여, 승강장치(220)의 승강 작동에 따른 동력을 무대 바닥부(2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장치(220)의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무대확장 풀리(260)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리프트 풀리(170)와 유사하게 도르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대확장 와이어(250)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당해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동력 전달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대확장 와이어(250)와 무대확장 풀리(260)의 결합을 통해, 승강장치(220)의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또는 제 2 바닥 플레이트(233)가 상측으로 접히거나,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치(220)와 연계 동작하여 무대 확장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확장식 무대 구조의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의 승강에 따른 확장식 무대 구조의 동작을 도시한다.
앞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와 제 2 바닥 플레이트(233)가 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은, 승강장치(220)의 승강 작동과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동식 무대장치(200)가 도 4에서 도시되는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무대확장 와이어(250)는,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를 지탱하여 제 1 바닥 플레이트(232)와 제 2 바닥 플레이트(233)가 상측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장치(220)가 작동으로 승강장치(220)의 메인 승강 프레임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와 함께 승강장치(220)의 메인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된 무대확장 와이어(250)의 일 단부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대확장 와이어(250)는,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의 무게에 의해,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하게 되면서, 접혀 있던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는 측방향으로 점차 펼쳐지게 되며, 이후, 승강장치(220)의 상승 작동이 완료되면, 하부 베이스(210)의 측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이때, 앞에서 상술한 펼쳐진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또는 제 2 바닥 플레이드(233)를 지지하는 무대받침 레일(270)은, 승강장치(220)의 상승 작동 전에, 하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전개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확장된 무대가 다시 접히는 동작은, 상술한 무대 확장 동작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승강장치(220)가 하강하게 되면, 승강장치(220)의 메인 승강 프레임에 연결된 무대확장 와이어(250)의 일 단부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대확장 와이어(250)가 제 1 바닥 플레이트(232)를 승강장치(220)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펼쳐진 제 1 바닥 플레이트(232) 및 제 2 바닥 플레이트(233)가 다시 상측으로 접히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무대장치의 승강 및 무대 확장이 완료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장치(220)의 승강 작동 및 무대 확장 동작이 완료됨에 따라, 확장된 무대 바닥부(230)가 형성되고, 소정의 승강 높이에 확장된 무대 천장부(240)가 위치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무대 바닥부(230) 및/또는 무대 천장부(240)에는 조명 장치, 스피커, 스크린 등의 무대장비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추가적인 무대장비가, 이동식 무대장치(200)가 접힌 상태에서도 적절하게 수납이 될 수 있도록 고정 장착되어,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승강 및 무대 확장 완료 이후 무대장비에 대한 별도의 추가적인 설치 작업 없이,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설치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접힌 상태인 이동식 무대 장치(200)를 적재한 차량이 설치를 요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하부 베이스(210)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차량으로부터의 분리는 하부 베이스(210)의 둘레부 하측에 구비된 지지부(미도시)를 승강시키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대 천장부(240)에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무대 천장부(240)를 펼쳐 확장시키고, 무대확장 레일(270)을 전개시켜 무대 바닥부(230)의 확장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무대확장 레일(270)의 하면에는 확장된 무대 바닥부(23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조 지지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은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승강장치(220)의 작동으로 무대 천장부(240)가 상승됨과 동시에 무대 바닥부(230)가 측방향으로 펼쳐져 확장될 수 있다. 승강장치(220)의 상승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식 무대장치(20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한편,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대 바닥부(230) 및/또는 무대 천장부(240)에는 추가적인 무대장비가 장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기둥역할을 하는 직립상태의 승강장치(220)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 기둥이 무대 바닥부(230)와 무대 천장부(240) 사이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으로 동작하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승강장치(220)를 이용하여, 한번의 유압 작동에 의해 무대 천장 및 기둥을 상승시키면서 이와 연계하여 무대 바닥의 확장을 동시에 완료할 수 이동식 무대장치(200)를 구현하여, 무대 확장을 위한 별도의 유압실린더 기타의 유압설비를 구비할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무대장치의 설치 시의 번거로움과 공간상의 제약 및 비용상의 부담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220)가 가지는 견고한 구조로 인해, 풍압 등의 외부 압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무대 천장이나 설치된 장비를 안정적으로 승강 및 지지할 수 있는 이동식 무대장치(2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직 프레임 20: 수평 프레임
22: 상단 수평 프레임 24: 하단 수평 프레임
30: 상단 개구부 40: 전면 개구부
100, 220: 승강장치 110, 210: 하부 베이스
120: 지지 프레임 130: 메인 승강 프레임
140: 서브 승강 프레임 141: 제 1 서브 승강 프레임
142: 제 2 서브 승강 프레임 143: 제 3 서브 승강 프레임
150: 유압실린더 152: 로드
160: 리프트 체인 161: 제 1 리프트 제인
162: 제 2 리프트 체인 163: 제 3 리프트 체인
170: 리프트 풀리 171: 제1 리프트 풀리
172: 제 2 리프트 풀리 173: 제 3 리프트 풀리
200: 이동식 무대장치 222: 개구부
230: 무대 바닥부 231: 중앙 바닥 플레이트
232: 제 1 바닥 플레이트 233: 제 2 바닥 플레이트
240: 무대 천장부 241: 중앙 천장 플레이트
242: 제 1 천장 플레이트 243: 제 2 천장 플레이트
250: 무대확장 와이어 260: 무대확장 풀리
270: 무대받침 레일 280: 와이어 결착수단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량의 화물 적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화물 적재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장착되거나, 탈거 될 수 있게 구비된 하부 베이스;
    상기 하부 베이스의 양단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고정 설치된 승강장치;
    상기 하부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무대 바닥부; 및
    상기 승강장치의 최상단 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는 무대 천장부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하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다른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양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의 신장 및 축소에 따라 승강 작동하는 메인 승강 프레임; 및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상부 측에서,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리프트 체인을 통해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승강 프레임은 상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하단에 위치한 프레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내측으로 수용되어 차례로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 승강 작동에 따라 연계되어 승강 작동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서브 승강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수직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수직 프레임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무대 바닥부는, 상기 하부 베이스 상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중앙 바닥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중앙 바닥 플레이트의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 1 바닥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는 제 2 바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무대확장 풀리가 구비되고, 무대확장 와이어의 일 단부가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의 일 영역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무대확장 풀리를 거쳐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무대확장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제 2 바닥 플레이트가 상측으로 접히거나, 상기 하부 베이스의 측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승강 프레임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하부 베이스의 측방향으로 펼쳐지는 상기 제 1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바닥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대받침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받침 레일은,
    상기 하부 베이스의 측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하부 베이스의 일 영역에 수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승강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KR1020130133387A 2013-11-05 2013-11-05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KR10140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387A KR101404026B1 (ko) 2013-11-05 2013-11-05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387A KR101404026B1 (ko) 2013-11-05 2013-11-05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566A Division KR20150051859A (ko) 2014-05-09 2014-05-09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026B1 true KR101404026B1 (ko) 2014-06-10

Family

ID=5113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387A KR101404026B1 (ko) 2013-11-05 2013-11-05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81A (ko) 2020-08-12 2022-02-21 이종묵 다단 리프트 타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70Y1 (ko) * 2002-05-30 2002-08-30 (주)필텍 격납장치에 격납되는 다단접이식 라이터
KR101056282B1 (ko) * 2009-10-20 2011-08-11 주식회사 피플이엔티 이동식 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70Y1 (ko) * 2002-05-30 2002-08-30 (주)필텍 격납장치에 격납되는 다단접이식 라이터
KR101056282B1 (ko) * 2009-10-20 2011-08-11 주식회사 피플이엔티 이동식 무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81A (ko) 2020-08-12 2022-02-21 이종묵 다단 리프트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359A (en) Shoring
KR101870039B1 (ko) 고중량물의 높은 인상을 위한 리프트 업 장치
US20180106031A1 (en) Collapsible Modular Building
JP3450900B2 (ja) 舞台用可搬式リフト
KR20150051859A (ko)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KR101404026B1 (ko) 다단식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무대장치
KR102105675B1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WO2011150488A1 (en) Mobile stage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2001082688A (ja) 伸縮機構および該伸縮機構を利用したタワー、移動式リフト、キャンピングカー、組立家屋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KR101953899B1 (ko) 절첩식 캠핑 컨테이너
KR100741960B1 (ko) 다단 리프터
JP2890341B2 (ja) 構造物構築用最上階フレームのリフトアップ方法及び装置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EP3423390B1 (en) A foldable platform lift
JP7320801B1 (ja) 重量物の架設装置及びその方法
CN114893022B (zh) 建筑物逆向拆除的降层装置及施工方法
JP2002362890A (ja) 昇降装置
JP3269756B2 (ja) 高所作業車
JP2004210410A (ja) 段差解消階段
JP2009225982A (ja) 連動昇降式平行棒
JPH06229024A (ja) 上下伸縮式展望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