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23B1 -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23B1
KR101404023B1 KR1020130009547A KR20130009547A KR101404023B1 KR 101404023 B1 KR101404023 B1 KR 101404023B1 KR 1020130009547 A KR1020130009547 A KR 1020130009547A KR 20130009547 A KR20130009547 A KR 20130009547A KR 101404023 B1 KR101404023 B1 KR 10140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rame
shutter
shopping cart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이강희
김준연
전규호
김기령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8Adaptations facilitating the transport to the counter
    • B62B3/1484Adaptations facilitating the transport to the counter by an auxiliary access to the inside of the bas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카트 내에 적재된 물품을 자동으로 계산대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쇼핑카트는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전방셔터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들의 외측에 감겨져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위에 안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카트 컨베이어와; 상기 카트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에 설치되어,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Shopping Cart and Article Transfer System for Checkout Coun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쇼핑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카트 내에 적재된 물품을 자동으로 계산대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백화점 또는 대형 할인마트 등에서는 이동식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계산대로 운반하여 정산을 한다. 이러한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운반하고 계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쇼핑카트에서 물품을 집어서 꺼내어 계산대의 컨베이어에 내려 놓으면, 컨베이어가 계산대 상으로 물품을 자동 운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쇼핑카트에서 물품을 꺼내어 정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일일이 물품을 계산용 컨베이어 위에 올려야 하므로 번거롭고, 무거운 물품인 경우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물품을 큰 박스나 세트로 판매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2141호(2010년06월30일 공개) : 한쪽면이 접힌 컨베이어인 쇼핑카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쇼핑카트 자체에 컨베이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쇼핑카트 내에 적재된 물품을 자동으로 계산대로 운반할 수 있는 쇼핑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쇼핑카트를 이용하여 쇼핑카트 내에서 자동으로 물품을 인출하여 계산대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물품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쇼핑카트는,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전방셔터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들의 외측에 감겨져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위에 안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카트 컨베이어와; 상기 카트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에 설치되어,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쇼핑카트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는, 매장의 계산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의 외측에 감겨져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품을 계산대로 이송하는 계산대 컨베이어와;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의 일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의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쇼핑카트의 종동기어와 치합되면서 종동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카트 내의 물품을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고 들어서 계산대 컨베이어 상으로 옮기지 않고 카트 컨베이어를 통해서 자동으로 계산대 컨베이어로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운반이 용이해지고, 신체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일 없이 무거운 물품을 용이하게 계산대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핑카트 및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핑카트 및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의 측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쇼핑카트 및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에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쇼핑카트 및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의 셔터록킹부재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와 계산대 물품 운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의 쇼핑카트(1)는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이 실시예에서 전,후방 각각에 2개씩)의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전방셔터(4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카트 컨베이어(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트 컨베이어(3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에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31)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31)들의 외측에 감겨져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32)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32)에는 복수개의 구멍(3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샤프트(31)들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31)의 양단부에는 계산대에 설치된 물품 운반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35)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쇼핑카트(1)의 전방셔터(40)는 상,하단부가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이 가능한 복수개의 셔터플레이트(41)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레임(10)의 전방면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면 양측에는 상기 셔터플레이트(41)들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셔터플레이트(41)들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2)의 하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10)의 하단부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전방셔터(4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방셔터(40)가 하측으로 이동했을 때 전방셔터(40)를 수용하는 셔터수납부(45)가 설치된다. 상기 셔터수납부(45)는 상기 가이드레일(12)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셔터수납부(45)의 내측에는 상기 전방셔터(40)를 하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6)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면 상단부에 상기 전방셔터(40)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셔터록킹부재(60)가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록킹부재(60)는 프레임(10)의 전방부 상단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단부가 전방셔터(40)의 상단부의 걸림홈(43)에 걸림 결합되는 록킹바아(61)와, 상기 프레임(10) 대해 록킹바아(6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5참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62)은 압축스프링으로서 록킹바아(61)에 대해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록킹바아(61)을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카트 컨베이어(30)를 통한 물품 이동시 파손이나 손상이 우려되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수납함(5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면 전방부에는 상기 종동기어(35)가 외부의 물체나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커버(70)가 상기 종동기어(35)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호커버(70)는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종동기어(35)가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에 구성된 전달기어(130)와 간섭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치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쇼핑카트(1)를 이용하여 물품을 계산대로 자동 운반하기 위한 물품 운반장치는 매장의 계산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111)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111)의 외측에 감겨져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12)를 구비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품을 계산대로 이송하는 계산대 컨베이어(110)와;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일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111)의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120)와; 상기 구동기어(120)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상기 쇼핑카트(1)의 종동기어(35)와 치합되면서 종동기어(3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30) 및; 매장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쇼핑카트(1)의 종동기어(35)가 전달기어(130)에 치합될 때 쇼핑카트(1)의 전방부 바퀴(20)가 삽입되면서 바퀴의 구름운동이 구속되는 바퀴 구속용 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고정대(140)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는 쇼핑매장의 계산대에 설치되는 공지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면서 물품(A)을 운반하며, 상기 쇼핑카트(1)와 접하게 되는 끝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쇼핑카트(1)의 카트 컨베이어(30)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컨베이어벨트(112)에는 상기 경사진 부분을 통해 물품을 운반할 때 물품이 미끄러지 않고 원활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돌출부(11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기어(130)는 상기 구동기어(120)의 회전방향과 종동기어(35)의 회전방향이 동일해지도록 하기 위해 구동기어(120)와 종동기어(35)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달기어(130)는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끝단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샤프트(131)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샤프트(131)는 상기 쇼핑카트(1)의 컨베이어샤프트(31) 및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컨베이어샤프트(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데 이는 쇼핑카트(1)의 카트 컨베이어(30)로부터 계산대 컨베이어(110)로 이송되는 물품이 기어샤프트(131)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어샤프트(131)는 매장 바닥에 고정된 2개의 샤프트고정대(15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카트고정대(140)는 2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무빙워크(moving walk) 구조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트고정대(140)는 쇼핑카트(1)로부터 물품 운반장치의 계산대 컨베이어(110)로 물품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쇼핑카트(1)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작용을 함과 더불어 계산대 컨베이어(110)에 대한 쇼핑카트(1)의 접속 위치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쇼핑카트(1)를 이용한 계산대 물품 운반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핑카트(1)에 물품(A)을 적재한 상태에서 쇼핑카트(1)를 계산대 쪽으로 진입하여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일단부에 접근시킨다. 이 때 쇼핑카트(1)의 전방측 바퀴(20)들이 상기 카트고정대(140) 내측으로 진입하면서 쇼핑카트(1)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쇼핑카트(1)의 종동기어(35)가 상기 전달기어(130)와 치합되어 종동기어(35)에 전달기어(13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록킹부재(60)의 록킹바아(61)를 뒤로 당기면 록킹바아(61)의 끝단부와 전방셔터(40)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전방셔터(40)의 셔터플레이트(41)들이 탄성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져서 셔터수납부(45) 내측으로 인입되고, 프레임(10)의 전방부가 개방된다.
이어서 계산대 컨베이어(110)가 회전하여 구동기어(120)가 회전하게 되면, 전달기어(130)가 구동기어(1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종동기어(35)는 전달기어(130)와 반대방향, 즉 구동기어(120)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35)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함에 따라 종동기어(35)가 부착되어 있는 컨베이어샤프트(31)가 회전하여 카트 컨베이어(30)의 컨베이어벨트(32)가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카트 컨베이어(30) 상에 안착된 물품(A)이 이동하여 프레임(10)의 개방된 전방면을 통하여 계산대 컨베이어(110) 상으로 전달된다.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로 전달된 물품(A)은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컨베이어벨트(112)에 의해 계산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카트 컨베이어(30) 상의 물품(A)이 계산대 컨베이어(110)로 모두 이동하면, 사용자는 전방셔터(40)의 손잡이(42)를 잡고 전방셔터(40)를 상측으로 올리면, 전방셔터(40)가 가이드레일(12)을 안내를 받으면서 상향 이동하여 프레임(10)의 전방면을 폐쇄한다. 그리고, 전방셔터(40)가 상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전방셔터(40)의 상단부가 셔터록킹부재(60)의 록킹바아(61) 끝단에 탄력적으로 걸리면서 전방셔터(40)가 고정된다.
쇼핑카트(1) 내의 물품(A)이 모두 계산대 컨베이어(110) 상에 옮겨지고 나면, 사용자는 쇼핑카트(1)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바퀴(20)가 카트고정대(140)에서 빠져나오도록 하고 쇼핑카트(1)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쇼핑카트(1) 내의 물품(A)을 사용자가 들어서 계산대 컨베이어(110) 상으로 옮기지 않고 카트 컨베이어(30)를 통해서 자동으로 계산대 컨베이어(110)로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운반이 용이하며, 무거운 물품을 옮기더라도 신체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쇼핑카트 10 : 프레임
12 : 가이드레일 20 : 바퀴
30 : 카트 컨베이어 31 : 컨베이어샤프트
32 : 컨베이어벨트 40 : 전방셔터
41 : 셔터플레이트 42 : 손잡이
50 : 보조수납함 60 : 보호커버
110 : 계산대 컨베이어 111 : 컨베이어샤프트
112 : 컨베이어벨트 113 : 돌출부
120 : 구동기어 130 : 전달기어

Claims (13)

  1.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2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면을 개폐하는 전방셔터(4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31)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31)들의 외측에 감겨져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위에 안착된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32)를 구비한 카트 컨베이어(30)와;
    상기 카트 컨베이어(30)의 전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31)에 설치되어,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35)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셔터(40)는 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이 가능한 복수개의 셔터플레이트(41)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면 양측에 상기 셔터플레이트(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방셔터(40)를 수용하는 셔터수납부(45)가 설치되며, 상기 셔터수납부(45)의 내측에 상기 전방셔터(40)를 하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6)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전방면 상단부에 상기 전방셔터(40)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셔터록킹부재(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록킹부재(60)는 프레임(10)의 전방부 상단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단부가 전방셔터(40)의 상단부에 걸림 결합되는 록킹바아(61)와, 상기 프레임(10) 대해 록킹바아(6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6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셔터(40)의 상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물품을 수납하는 보조수납함(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면부에 상기 종동기어(35)를 덮도록 설치되며 전방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보호커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카트.
  9. 매장의 계산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컨베이어샤프트(111)와, 상기 컨베이어샤프트(111)의 외측에 감겨져 물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12)를 구비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품을 계산대로 이송하는 계산대 컨베이어(110)와;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일단부에 배치된 컨베이어샤프트(111)의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120)와;
    상기 구동기어(120)와 치합하여 회전하며, 제1항과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쇼핑카트(1)의 종동기어(35)와 치합되면서 종동기어(3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는 상기 쇼핑카트(1)와 접하게 되는 끝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컨베이어벨트(112)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돌출부(113)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매장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쇼핑카트(1)의 종동기어(35)가 전달기어(130)에 치합될 때 쇼핑카트(1)의 전방부 바퀴(20)가 삽입되면서 바퀴의 구름운동이 구속되는 바퀴 구속용 홈(141)이 형성되어 있는 카트고정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130)는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끝단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샤프트(131)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샤프트(131)는 상기 쇼핑카트(1)의 컨베이어샤프트(31) 및 상기 계산대 컨베이어(110)의 컨베이어샤프트(11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KR1020130009547A 2013-01-28 2013-01-28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KR10140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47A KR101404023B1 (ko) 2013-01-28 2013-01-28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47A KR101404023B1 (ko) 2013-01-28 2013-01-28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023B1 true KR101404023B1 (ko) 2014-06-13

Family

ID=5113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547A KR101404023B1 (ko) 2013-01-28 2013-01-28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8155A (zh) * 2016-10-27 2017-02-22 苏州市凯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带有传送带的购物车
KR101735537B1 (ko) * 2015-12-31 2017-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CN106945694A (zh) * 2017-02-20 2017-07-14 苏州花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平衡智能超市购物车
CN107963108A (zh) * 2017-11-14 2018-04-27 桐乡市搏腾贸易有限公司 一种货车用便于卸货的手推车
KR20180103736A (ko) * 2017-03-09 2018-09-19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인트라로지스틱 장치
CN112977568A (zh) * 2019-12-15 2021-06-18 江门市皓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购物车
KR20230000497U (ko) * 2021-09-01 2023-03-08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물품 이송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456B1 (ko) 2011-05-27 2011-12-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이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456B1 (ko) 2011-05-27 2011-12-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이송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537B1 (ko) * 2015-12-31 2017-05-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CN106428155A (zh) * 2016-10-27 2017-02-22 苏州市凯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带有传送带的购物车
CN106945694A (zh) * 2017-02-20 2017-07-14 苏州花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平衡智能超市购物车
KR20180103736A (ko) * 2017-03-09 2018-09-19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인트라로지스틱 장치
US10569955B2 (en) 2017-03-09 2020-02-25 Interroll Holding Ag Intralogistic arrangement
KR102111197B1 (ko) * 2017-03-09 2020-05-15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인트라로지스틱 장치
CN107963108A (zh) * 2017-11-14 2018-04-27 桐乡市搏腾贸易有限公司 一种货车用便于卸货的手推车
CN112977568A (zh) * 2019-12-15 2021-06-18 江门市皓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购物车
KR20230000497U (ko) * 2021-09-01 2023-03-08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물품 이송 시스템
KR200497434Y1 (ko) * 2021-09-01 2023-11-07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드럼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023B1 (ko) 쇼핑카트 및 이를 이용한 계산대의 물품 운반장치
US8616822B2 (en) Retail supply system
US20140140797A1 (en) Trolley for storage in a vehicle
US20050006861A1 (en) Transport dolly
US8240563B2 (en) Self checkout stands
US2596686A (en) Checking station for self-service stores
JPWO2009145160A1 (ja) 物品前出し具および物品配列棚
US10453028B2 (en) Store and robot system
US11167780B2 (en) Mobile body and terminal case to be attached to the same
WO2017169432A1 (ja) 物品搬送装置
US11370611B2 (en) Automated storage system having guided transfer means
KR200483259Y1 (ko) 길이 가변형 손수레
ES2907174T3 (es) Sistema transportador
DK3061648T3 (en) Unit load unloading system
US4114727A (en) Supermarket count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US4177880A (en) Combination supermarket counter and cart therefor
GB2440310A (en) Travel bag with retractable handle and wheeled support frame
KR101405262B1 (ko) 쇼핑카트
WO2020024940A1 (zh) 货物递送装置及自动售货机
KR101090456B1 (ko) 카트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이송 방법
KR20100005684U (ko) 바퀴달린 쇼핑바구니
JP4728752B2 (ja) 物品の運搬用台車
JP2007145045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KR20100004738U (ko) 카트기능을 갖는 장바구니
KR102318845B1 (ko) 박스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