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50B1 -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 Google Patents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50B1
KR101403950B1 KR1020120085224A KR20120085224A KR101403950B1 KR 101403950 B1 KR101403950 B1 KR 101403950B1 KR 1020120085224 A KR1020120085224 A KR 1020120085224A KR 20120085224 A KR20120085224 A KR 20120085224A KR 101403950 B1 KR101403950 B1 KR 101403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water supply
concrete
was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692A (ko
Inventor
하정수
홍순권
Original Assignee
홍순권
하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권, 하정수 filed Critical 홍순권
Priority to KR102012008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9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철로의 폐자재인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양식장에 바닷물을 공급하는 급수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는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한 쌍의 숄더가 각각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 두 개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각 콘크리트 침목의 숄더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철근의 양 단부가 삽입되어 각 콘크리트 침목이 급수파이프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철근이 급수파이프의 상부를 가압하여 급수파이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Seawater supply pipe holder of a nursery using waste railway sleeper}
본 발명은 철로의 폐자재인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양식장에 바닷물을 공급하는 급수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에 관한 것이다.
침목이란 도상(道床)에 적당한 간격으로 나열하여 그 위에 레일을 깔고 정착시킴으로써 레일과 레일 사이를 정확히 유지시키고, 또 레일에 가해지는 열차 하중을 도상을 통해서 노반에 전달하는 목재나 콘크리트재를 말하는데, 임산자원의 부족현상으로 인해 콘크리트 침목이 사용되어 왔다.
콘크리트 침목에는 RC침목(reinforced concrete tie)과 PC침목(prestressed concrete tie)이 있는데, 이중 PC침목이 강도가 우수하여 현재는 대부분 PC침목이 사용되고 있다.
산업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건설과 함께 철거,해체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건설폐기물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건설 폐기물의 재생, 재활용 가능성과, 경제성, 안정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를 검토한 후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건설폐기물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많은 기업과 사회의 구성원들이 건설폐기물의 처리 비용이 고비용이 소요되더라도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을 따르고 있다.
철로의 폐자재로 발생하는 콘크리트 침목인 경우 현재 철도청에서 처리업체에 많은 처리비용을 지불하면서 대다수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폐기처분하고 있다.
2011.01.21. 폐기물관리법의 개정으로 콘크리트 침목이 재활용 자재로 변경됨으로써 활용에 따른 법적 근거를 갖추었고 폐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리고 바다 물고기를 비롯한 해양 수산물을 해안가의 지상에서 양식하기 위해서는 바닷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10)를 통해 바다물을 끌어 올려 해안가 양식장으로 바닷물을 계속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급수파이프(10)는 대부분 P.V.C. 등의 합성수지를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이러한 급수파이프(10)가 바다 속에 위치하게 되면 조류나 파도에 의해 급수파이프(10)가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급수파이프(10)가 잦은 파손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급수파이프(10)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바다 속 급수파이프(10)의 양측에 큰 돌을 놓아 급수파이프(10)가 조류나 파도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있으나,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급수파이프(10)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극한 상황에서 급수파이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 콘크리트 침목을 재활용하여 고정추를 구성하고, 고정추로 바다 속 급수파이프를 고정시킴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급수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는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한 쌍의 숄더가 각각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 두 개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각 콘크리트 침목의 숄더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철근의 양 단부가 삽입되어 각 콘크리트 침목이 급수파이프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철근이 급수파이프의 상부를 가압하여 급수파이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철근은 반원 형태이고, 체결철근의 양 단부는 콘크리트 침목의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철근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철근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성형되어 콘크리트 침목을 급수파이프로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는 폐 콘크리트 침목으로 고정추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추를 이용하여 바다 속 급수파이프를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급수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수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폐 콘크리트 침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철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고정추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급수파이프에 고정추를 연속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폐 콘크리트 침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철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고정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급수파이프에 고정추를 연속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콘크리트 침목(101)과,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을 연결하는 체결철근(104)으로 구성된다.
콘크리트 침목(101)은 철로의 폐 콘크리트 침목(101)을 사용하는데 콘크리트 침목(10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성형된 침목(101)의 양단 상부에 각각 한 쌍의 숄더(102)가 형성된다.
상기 숄더(102)는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 사이에 철도 레일을 안착시키고 고정스프링을 숄더(102)의 체결공(103)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스프링이 레일을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 침목(101) 한 쌍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을 서로 소정의 거리 만큼 이격시켜 위치시키고, 체결철근(104)의 양 단부를 각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솔더(102)에 형성된 체결공(103)에 삽입한다.
상기 체결철근(10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을 반원 형태로 성형하고, 체결철근(104)의 양 단부를 절곡하여 삽입구(10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체결철근(104)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105)를 도 5와 같이 콘크리트 침목(101)의 상부에 형성된 숄더(102)의 체결공(103)에 삽입,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체결철근(104)은 철근을 소재로 성형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 또는 철근 이외의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철근(104)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구(105)를 소정 거리 이격된 콘크리트 침목(101)의 각 체결공(103)에 삽입하여 고정추(10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추(100)를 이용하여 바다속 급수파이프(10)를 고정하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추(100)의 소정 거리 이격된 콘크리트 침목(101) 사이에 급수파이프(10)가 위치되록 고정추(100)를 급수파이프(10)에 안착하면 급수파이프(10)의 양측에서 고정추(100)의 콘크리트 침목(101)이 급수파이프(10)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고정추(100)의 체결철근(104)이 급수파이프(10)의 상부를 고정함으로써 급수파이프(1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침목(10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상부의 폭은 좁고 하부의 폭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사다리꼴 형태이기 때문에 원통 형태의 급수파이프(10)의 양측에서 콘크리트 침목(101)이 급수파이프(10)에 밀착되어 급수파이프(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체결철근(104)을 탄성이 있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하면 체결철근(104)이 소정 거리 이격된 콘크리트 침목(101)을 급수파이프(10)로 탄성 압착함으로써 콘크리트 침목(101)을 급수파이프(10)에 더욱 밀착 고정하여 급수파이프(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는 폐 콘크리트 침목으로 고정추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추를 이용하여 바다 속 급수파이프를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급수파이프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급수파이프
100 : 고정추
101 : 콘크리트 침목
102 : 숄더
103 : 체결공
104 : 체결철근
105 : 삽입구

Claims (4)

  1.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상부 양측에는 체결공(103)이 구비된 한 쌍의 숄더(102)가 각각 형성된 콘크리트 침목(101) 두 개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반원 형태이고, 양 단부는 콘크리트 침목(101)의 체결공(103)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체결철근(104)이 형성되며,
    상기 각 콘크리트 침목(101)의 숄더(102)에 형성된 체결공(103)에 상기 체결철근(104)의 양 단부가 삽입되어 각 콘크리트 침목(101)이 급수파이프(10)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철근(104)이 급수파이프(10)의 상부를 가압하여 급수파이프(1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철근(104)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철근(104)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성형되어 콘크리트 침목(101)을 급수파이프(10)로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KR1020120085224A 2012-08-03 2012-08-03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KR101403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24A KR101403950B1 (ko) 2012-08-03 2012-08-03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24A KR101403950B1 (ko) 2012-08-03 2012-08-03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692A KR20140018692A (ko) 2014-02-13
KR101403950B1 true KR101403950B1 (ko) 2014-06-10

Family

ID=5026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224A KR101403950B1 (ko) 2012-08-03 2012-08-03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47B1 (ko) 2002-03-29 2004-08-21 이준우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0728057B1 (ko) 2006-06-29 2007-06-13 주식회사 삼성산업 폐 침목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용 인공어초
KR20100012400U (ko) * 2009-06-05 2010-12-15 서주광 급수 및 배수관용 파이프 고정구
KR101058892B1 (ko) *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647B1 (ko) 2002-03-29 2004-08-21 이준우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0728057B1 (ko) 2006-06-29 2007-06-13 주식회사 삼성산업 폐 침목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보호용 인공어초
KR20100012400U (ko) * 2009-06-05 2010-12-15 서주광 급수 및 배수관용 파이프 고정구
KR101058892B1 (ko) * 2011-02-18 2011-08-23 홍순권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 및 옹벽 축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692A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950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양식장 급수파이프 고정추
KR101204343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호안용 침식방지 수중매트
KR101219326B1 (ko) 합성수지 재질의 고강도 패널
KR101210573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JP2014125736A (ja) まくら木
CN206967698U (zh) 桥梁预制箱梁防漏浆工具
CN107642032B (zh) 一种便梁限位装置及其施工方法
CN101591875B (zh) 数字编码轨枕垫及垫片、枕底垫板及垫板片、尼龙座及垫片座
CN203113216U (zh) 水上浮桥
CN204343109U (zh) 预应力混凝土纵向轨枕
KR102299486B1 (ko) 폐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2299485B1 (ko) 연약지반 보강용 수중 매트
KR100612755B1 (ko)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JP2011080294A (ja) 植栽設置構造
KR20070060708A (ko)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
RU2425920C2 (ru) Устойчивый безбалластный рельсовый путь
CN206043056U (zh) 一种可自动除粪的畜圈
CN208717659U (zh) 铁路道口三功能钢筋混凝土轨枕
CN212294192U (zh) 一种用于tbm施工的轨枕支架结构
CN201952700U (zh) 橡胶嵌板道口板砖
CN201924252U (zh) 橡胶嵌丝道口板
CN110952390A (zh) 一种自适应翻砟轨枕
JPH0610307A (ja) 踏切板
CN207933907U (zh) 纵向浅埋箱涵与道路衔接结构
CN206156777U (zh) 一种模块式玻璃钢填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