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186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186B1
KR101403186B1 KR1020120089476A KR20120089476A KR101403186B1 KR 101403186 B1 KR101403186 B1 KR 101403186B1 KR 1020120089476 A KR1020120089476 A KR 1020120089476A KR 20120089476 A KR20120089476 A KR 20120089476A KR 101403186 B1 KR101403186 B1 KR 10140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coordinat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528A (ko
Inventor
이해성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8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1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은,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고,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며,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컴퓨터에 설치되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좌표정보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컴퓨터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mputer Control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Computer Control Module and Computer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마우스(Mouse)와 같이 컴퓨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에 연결되는 부가장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노트북(Note Book)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마우스를 연결할 필요없이 손쉽게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제3자와 자유롭게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무선인터넷 기술, 데이터 압축처리 기술 등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스마트 폰(Smart Phone)의 보급이 확장됨에 따라, 사용자는 단순히 음성통화 서비스 이외에도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언제 어디서나 음성통화, 인터넷 서비스, 동영상 파일재생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큰 장점을 가지지만, 휴대성의 장점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와 무게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 및 출력을 구현한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입력수단의 크기는 한정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자판을 이용하여야 하는 문서작성 작업의 경우 등에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업을 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은 키보드(Key Board)와 마우스(Mouse)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키보드와 마우스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 연결된 구성이 복잡해진다. 특히,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 휴대용 컴퓨터에 설치된 터치패드는 사용자가 그 민감도를 조절하는 데에 익숙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거의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에 연결되는 부가장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손쉽게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은,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고,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며,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컴퓨터에 설치되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좌표정보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컴퓨터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영상패턴변화분석부; 영상패턴변화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좌표생성부; 및 좌표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좌표정보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표생성부는 영상패턴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변화를 계산하며, 계산된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 및 움직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는 움직임변화분석부;를 더 포함하며, 좌표생성부는 움직임변화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한다.
움직임감지부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변화를 감지하며, 감지된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좌표정보전송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ban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컴퓨터제어모듈에 좌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는, 컴퓨터에 설치되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제어명령어를 수신하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좌표정보수신부; 좌표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마우스 프로토콜(Mouse Protocol)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표정보수신부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방식과 동일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컴퓨터 제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영상정보 취득단계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영상패턴변화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좌표정보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에 전송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표정보 생성단계는 영상패턴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변화를 계산하며, 계산된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컴퓨터 제어방법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움직임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좌표정보 생성단계는 움직임변화 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움직임 감지단계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변화를 감지하며, 감지된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좌표정보 전송단계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NFC, UW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컴퓨터제어모듈에 좌표정보를 전송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제어명령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명령어에 따라 컴퓨터를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좌표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마우스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및 프로토콜 변환단계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컴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표정보 수신단계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방식과 동일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마우스(Mouse)와 같이 컴퓨터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에 연결되는 부가장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마우스를 연결할 필요없이 손쉽게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의 좌표정보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가 허공에 뜬 상태에서 이동할 때의 좌표정보도 컴퓨터제어모듈로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어떠한 위치에서든 편리하게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영상촬영부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촬영되는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패턴변화의 분석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움직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컴퓨터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컴퓨터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컴퓨터제어모듈(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영상촬영 기능 및 움직임감지 기능을 구비하며,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의 패턴변화를 분석하고,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장착된 하드웨어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실행되거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의한 영상패턴의 변화분석방법, 움직임의 변화분석방법 및 좌표정보의 생성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기술되는 도 2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컴퓨터제어모듈(200)은 컴퓨터(300)에 설치되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무선으로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좌표정보의 프로토콜을 마우스(Mouse)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컴퓨터(3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컴퓨터제어모듈(200)은 컴퓨터(300)의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하드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되거나, 컴퓨터(30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컴퓨터(300)를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영상촬영부(110),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 좌표생성부(130), 좌표정보전송부(140), 움직임감지부(150) 및 움직임변화분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10)는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즉, 영상촬영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한다. 이때,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이러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가 영상패턴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영상패턴 결정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110)가 천정을 향하여 영상 (a)를 촬영한 후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이동시키고 설정된 시간간격 뒤에 다시 영상을 촬영하였다고 가정하면, 영상 (a)를 촬영한 후 설정된 시간간격 뒤에 촬영한 영상은 영상 (b)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는 각각의 영상에 대한 영상패턴을 비교하며, 비교된 결과에 따라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는 도 3에 도시한 각각의 영상 (a) 및 영상 (b)를 비교함으로써 영상패턴이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였음을 분석할 수 있다.
좌표생성부(130)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변화를 계산하며, 계산되는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패턴 A가 설정된 시간간격이 경과한 후에 영상패턴 B와 같이 변화하였다고 가정하면, 좌표생성부(130)는 영상패턴 A에 대한 특징점(도 4에는 직사각형의 영상패턴에 대하여 좌측 하단의 꼭지점이 특징점인 것으로 가정하였다)이 영상패턴 B에 대한 특징점의 위치로 변화하였음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되는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 A로부터 좌표 B까지 이동하는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특징점은 영상패턴의 색경계선이 설정된 각도 이상 변경되는 지점으로 가정한다. 즉, 좌표생성부(130)는 각각의 영상의 영상패턴에서 동일한 특징점을 검색하고 그에 대한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좌표정보전송부(140)는 좌표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200)에 전송한다. 이때, 좌표정보전송부(140)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 좌표정보와 반대방향의 좌표정보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좌표정보를 컴퓨터제어모듈(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표정보전송부(14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band)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좌표정보를 컴퓨터제어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움직임감지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움직임감지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감지부(150)는 현재의 위치(움직이기 이전의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여 움직임의 방향, 움직임의 속도, 움직임의 시간 등을 측정하며,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기준위치에 대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변화가 있는 것으로 감지하여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지구는 큰 자석으로서 북극 부근에 S극, 그리고 남극 부근에 N극이 있는데, 이것은 지리학상의 북극 및 남극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큰 자석에 의하여 생기는 지구상의 자기를 지자기라고 하며, 지자기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를 지자기센서라고 한다. 이와 같은 지자기센서는 회전코일을 이용한 자기의, 강자성체의 자기포화 현상을 이용한 포화철심형 자력계, 양성자(proton)의 핵자기 공명을 이용한 양자 자력계, 루비듐이나 세슘 원자의 제만 효과를 이용한 광 펌핑 자력계, 초전도현상을 이용한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움직임변화분석부(160)는 움직임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한다. 즉, 움직임감지부(150)에 의해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움직임변화분석부(160)는 움직임의 시간, 움직임의 방향, 움직임의 속도 등에 기초하여 기준위치에 대한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생성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기준위치에 대한 변경위치의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좌표정보전송부(140)는 좌표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200)는 도 1의 컴퓨터제어모듈(200)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 제어장치(200)는 좌표정보수신부(210), 프로토콜변환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좌표정보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좌표정보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무선통신방식과 동일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무선통신이 활성화된다.
프로토콜변환부(220)는 좌표정보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컴퓨터(300)에서 실행이 가능한 마우스의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의 프로토콜은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의 프로토콜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토콜변환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좌표정보의 프로토콜을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제어부(230)는 프로토콜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컴퓨터(3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30)는 프로토콜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을 컴퓨터(300)의 메인보드(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함으로써 컴퓨터(300)가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마우스에 의한 좌표정보로 인식하도록 하여 컴퓨터(300)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컴퓨터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촬영부(110)는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주변의 영상정보를 취득한다(S110).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는 영상촬영부(110)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한다(S120). 이때, 영상패턴변화분석부(120)는 영상촬영부(110)로부터 취득되는 영상정보의 각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이러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움직임감지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130). 이때, 움직임감지부(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된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감지부(150)는 현재의 위치(움직이기 이전의 위치)를 기준위치로 하여 움직임의 방향, 움직임의 속도, 움직임의 시간 등을 측정하며, 측정된 값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기준위치에 대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위치변화가 있는 것으로 감지하여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변화분석부(160)는 움직임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한다(S140)). 즉, 움직임감지부(150)에 의해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움직임변화분석부(160)는 움직임의 시간, 움직임의 방향, 움직임의 속도 등에 기초하여 기준위치에 대한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좌표생성부(130)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변화를 계산하며, 계산되는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50). 또한, 좌표생성부(13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기준위치에 대한 변경위치의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표생성부(130)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좌표정보를 주 좌표정보로 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기준위치에 대한 변경위치의 좌표정보를 보조 좌표정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표정보전송부(140)는 좌표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20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바닥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의 좌표정보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허공에 뜬 상태에서 이동할 때의 좌표정보를 컴퓨터제어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위치에서든 편리하게 컴퓨터(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컴퓨터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좌표정보수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한다(S210).
프로토콜변환부(220)는 좌표정보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컴퓨터(300)에서 실행이 가능한 마우스의 프로토콜로 변환한다(S220). 즉,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의 프로토콜은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명령어의 프로토콜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토콜변환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좌표정보의 프로토콜을 컴퓨터(300)에서 실행되는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제어부(230)는 프로토콜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컴퓨터(300)를 제어한다(S230). 즉, 제어부(230)는 프로토콜변환부(220)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을 컴퓨터(300)의 메인보드(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함으로써 컴퓨터(300)가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마우스에 의한 좌표정보로 인식하도록 하여 컴퓨터(300)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100: 이동통신단말기 110: 영상촬영부
120: 영상패턴변화분석부 130: 좌표생성부
140: 좌표정보전송부 150: 움직임감지부
160: 움직임변화분석부 200: 컴퓨터제어모듈
210: 좌표정보수신부 220: 프로토콜변환부
230: 제어부 300: 컴퓨터

Claims (15)

  1.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고,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변화에 기초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며, 분석되는 상기 영상패턴의 변화 및 상기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컴퓨터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좌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좌표정보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는 컴퓨터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2. 무선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영상패턴변화분석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부; 및
    상기 움직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는 움직임변화분석부;
    상기 영상패턴변화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 및 상기 움직임변화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좌표생성부; 및
    상기 좌표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좌표정보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생성부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변화를 계산하며, 계산된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감지부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변화를 감지하며, 감지된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전송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ban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제어모듈에 좌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컴퓨터에 설치되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제어명령어를 수신하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좌표정보수신부;
    상기 좌표정보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마우스 프로토콜(Mouse Protocol)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부; 및
    상기 프로토콜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수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방식과 동일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제어장치.
  9.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 취득단계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움직임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영상패턴변화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영상패턴의 변화 및 상기 움직임변화분석단계에 의해 분석되는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정보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된 좌표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제어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컴퓨터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 생성단계는 영상패턴의 변화에 대응하는 특징점의 변화를 계산하며, 계산된 특징점의 변화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컴퓨터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단계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변화를 감지하며, 감지된 위치변화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있음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컴퓨터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 전송단계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NFC, UWB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제어모듈에 좌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컴퓨터 제어방법.
  14.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제어명령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명령어에 따라 컴퓨터를 제어하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촬영되는 영상의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색좌표계에 따른 색좌표값이 설정된 값 이상 변경되는 지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지점들을 연결하여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하며 색경계 영역으로 결정되는 형상을 영상패턴으로 하여 각각의 프레임들 사이의 영상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영상패턴의 변화 및 움직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생성된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좌표정보 수신단계에 의해 수신되는 좌표정보를 마우스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토콜 변환단계에 의해 변환된 마우스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정보 수신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통신방식과 동일한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방법.
KR1020120089476A 2012-08-16 2012-08-1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0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476A KR101403186B1 (ko) 2012-08-16 2012-08-1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476A KR101403186B1 (ko) 2012-08-16 2012-08-1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28A KR20140023528A (ko) 2014-02-27
KR101403186B1 true KR101403186B1 (ko) 2014-06-02

Family

ID=5026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476A KR101403186B1 (ko) 2012-08-16 2012-08-16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1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02A (ko) * 2004-06-19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JP2009230460A (ja) * 2008-03-24 2009-10-08 Mega Chips Corp 機器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02A (ko) * 2004-06-19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JP2009230460A (ja) * 2008-03-24 2009-10-08 Mega Chips Corp 機器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28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815B1 (en) Authentication control system,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20059780A1 (en) Context recognition in mobile devices
KR20180035103A (ko)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WO2015003522A1 (zh) 人脸识别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1967670B1 (ko) 단말들 간의 무선 통신 방법
EP2612222A1 (en) Use camera to augment inpu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8631694B (zh) 一种音圈马达的控制方法和移动终端
WO2019041147A1 (zh) 光点识别方法、装置以及系统
CN104036240A (zh) 人脸特征点的定位方法和装置
CN105827928A (zh) 一种选择对焦区域的方法及装置
US1018538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503017B1 (ko) 모션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17046023A (ja) 移動体追跡装置及び移動体追跡方法及び移動体追跡プログラム
KR101995799B1 (ko)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소 인식 장치 및 방법
EP3236378A1 (en) Method for disabling touch input authentication method when user is moving
US101339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961504B2 (en) Mobil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2110387B1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201863A (ja) 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充電器
KR101403186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컴퓨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002322A1 (ja) 携帯端末、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KR20170083328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CN107678818B (zh) 一种用户界面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1164081B1 (ko) 휴대단말 및 그의 주변 환경 인지를 통한 사용 환경 설정 방법
CN105891706B (zh) 遥控设备上遥杆的校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