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87B1 -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87B1
KR102110387B1 KR1020130082800A KR20130082800A KR102110387B1 KR 102110387 B1 KR102110387 B1 KR 102110387B1 KR 1020130082800 A KR1020130082800 A KR 1020130082800A KR 20130082800 A KR20130082800 A KR 20130082800A KR 102110387 B1 KR102110387 B1 KR 10211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electronic device
enlargement
input device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624A (ko
Inventor
이선기
김건수
김한집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87B1/ko
Priority to US14/293,335 priority patent/US20150020024A1/en
Priority to EP14173424.4A priority patent/EP2827237B1/en
Publication of KR2015000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방법은, 입력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받는 동작;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르면, 전자 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보급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입력 수단으로서 전자 펜이 함께 제공되고 있다.
전자 펜의 이용 시에, 전자 기기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을 제한하고 있다.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 등의 각종 이미지를 보거나, 전자 서적 또는 각종 문서를 볼 때, 사용자는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은, 통상 핀치 줌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자 기기가 전자 펜을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의 거리로 전자 펜을 이격시킨 후, 핀치 줌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간편하게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방법은,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받는 동작,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기기 제어 장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자기장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르면, 전자 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화면 확대 축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적용되는 전자 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라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라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라 화면 확대 또는 축소 기준점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라 화면 복원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라 화면 확대 및 축소를 알리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화면 확대 축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화면 확대 축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화면 확대 축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101)에서, 전자 기기는,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설정된 제 1 주파수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제 1 주파수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작(103)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설정된 제 1 주파수로 변경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전자 펜에 부착된 버튼이 눌러져서 전자 펜의 공진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일 수 있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적용되는 전자 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중 하나이다.
전자 펜은, 공진 회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210)는, 캐패시터와 코일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자기장(212)을 형성할 수 있다. 공진 회로(210)는,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공진 주파수의 변경은 예를 들어, 가변 캐패시터 조작에 의한 캐패시터 값 변경 또는 다수의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단락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가변 캐패시터 조작 또는 캐패시터 단락은, 예를 들어, 전자 펜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미도시)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펜은 부가 회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회로(220)에는 예를 들어, 각 종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칩이나, 배터리 또는 메모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작(103)에서, 전자 기기는,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한 후, 동작(105)으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확대 축소 모드란, 상기 전자 펜의 버튼이 눌러진 상태, 즉, 상기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설정된 제 1 주파수인 상태에서 전자 펜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105)에서,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 후, 동작(107)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107)에서,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는 결정된 바에 따라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펜을 이용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이 이동한 방향을 고려하여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펜이 설정된 제 1 방향, 예를 들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펜이 설정된 제 2 방향, 예를 들어,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을 축소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은, 임의의 기준 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전자 기기는,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전자 펜이 이동하는 경우, 해당 각도 범위에서의 이동은,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설정된 각도 범위를 정하여 두고, 각각의 각도 범위(45~135, 135~225, 225~315, 315~45)에서 전자 펜이 이동하는 경우, 해당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자 펜이 이동하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이 어느 하나의 각도 범위(45~135)에서 이동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 가지로, 전자 펜이 어느 하나의 각도 범위(135~225)에서 이동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을 축소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할 때, 화면을 얼마만큼 확대 또는 축소할 것인지, 즉, 화면 확대 또는 축소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이 1이라고 가정할 때, 전자 기기는, 화면의 축소 비율을 100%로 결정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이 2라고 가정할 때, 전자 기기는 화면의 축소 비율을 200%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전자 펜이 좌우로 번갈아 이동하는 경우, 또는, 상하로 번갈아 이동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모든 전자 펜의 궤적을 합산하여 화면의 확대 축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이 모두 설정된 제 1 방향, 예를 들어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을 모두 합산하여 화면의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의 합이 3인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의 축소 비율을 300%로 결정할 수 있다.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함에 있어, 전자 기기는, 어느 지점(이하, 기준점 이라 함)을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점은, 전자 펜의 위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이를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기기는, 전자 펜의 버튼이 눌러진 시점, 예를 들어,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변하는 시점에 전자 펜이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의 전자 펜의 이동 방향과 궤적에 따른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때, 해당 기준점을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의 버튼이 눌러진 시점의 전자 펜의 좌표가 X(502)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전자 펜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하고, 좌표(X)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 확대된 화면을 도 5의 (b)에 도시하였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좌표(X)를 기준으로 화면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화면의 확대 축소는,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의 중심 지점을 기준점으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이 움직인 궤적의 중심점의 좌표가 Y(504)라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전자 펜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전자 기기는,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하고, 좌표(Y)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를 수행할 수 있다. 확대된 화면을 도 5의 (d)에 도시하였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좌표(Y)를 기준으로 화면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화면의 확대 축소는, 전자 펜의 경로가 변하는 시점에 전자 펜이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펜의 경로가 바뀌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전자 기기는, 구간(514b)에서 지점(514a)을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는, 구간(516b)에서 지점(516a)을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구간(512b)에서는, 전자 펜의 경로가 시작하는 지점(512a)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중에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을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확대된 상태에서, 전자 펜의 궤적이 설정된 제스처(602)를 이룬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자 기기는, 확대된 화면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이미지(702)를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화면 확대를 수행 중임을 알리는 이미지(704)를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화면 축소를 수행 중임을 알리는 이미지(706)를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설정된 제 1 주파수 이외의 다른 주파수로 변경된 경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전자 펜에 부착된 다른 버튼이 눌러진 경우, 또는,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할 때 눌러진 버튼이 떼어진 경우에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기기는,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이라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전자 펜이 전자 기기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화면 확대 축소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화면 확대 축소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화면 확대 축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화면 확대 축소 장치는, 제어부(810), 패드부(820) 및 표시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810)는, 패드부(8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기장의 주파수가 변경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상기 자기장의 주파수가 설정된 제 1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패드부(8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상기 결정된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전자 펜이 설정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상기 전자 펜이 설정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전자 펜이 이동하는 궤적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상기 결정된 비율에 따라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을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한 시점의 전자 펜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10)는,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 변화된 경우, 전자 펜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시점의 전자 펜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상기 제 1 주파수 이외의 다른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10)는, 패드부(8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가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한 이후에, 화면 확대 또는 축소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패드부(820)는,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자기장이 감지된 위치와 상기 자기장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패드부(820)는,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830)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부(810)의 제어 하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자 기기가 전자 펜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의 전환, 전자 펜의 이동 방향 감지 및 화면 확대/축소를 수행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한 동작들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9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입력 장치(920)상에서, 전자 펜(930)을 이용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9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의 전환, 전자 펜의 이동 방향 감지 및 화면 확대/축소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기기(910)는, 입력 장치(920)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920)는, 전자 펜(9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전자 펜(930)의 눌림 강도 또는 전자 펜(930)의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내용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기기(9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9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전자 펜(930)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 신호일 수 있다. 입력 장치(920)는, 전자 펜(93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전자 기기(91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장치(920)는, 상기 전자 펜(930)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펜(930)의 눌림 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기기(91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장치(920)는, 상기 전자 펜(9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 펜(930)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기기(9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930)의 이동 방향은, 상기 전자 펜(930)으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전자 펜(930)이 접촉하는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는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를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8)

  1. 전자 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받는 동작;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장치가 설정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설정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할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및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장치가 이동하는 궤적에 비례하여 상기 화면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정된 비율에 따라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을 원래대로 복원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한 시점의 상기 입력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동작은,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 변화된 경우,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시점의 입력 장치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이외의 다른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의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고,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가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은,
    화면 확대 또는 축소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방법.
  13. 전자 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입력 장치로부터 자기장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 장치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기기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장치가 설정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을 확대할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입력 장치가 설정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화면을 축소할 것으로 결정하는
    전자 기기 제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주파수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이외의 다른 주파수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전자 기기 제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을 감지하고, 상기 자기장이 감지된 위치와 상기 자기장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패드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관한 정보를 더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가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를 종료하는
    전자 기기 제어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확대 축소 모드로 전환한 이후에, 화면 확대 또는 축소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전자 기기 제어 장치.
KR1020130082800A 2013-07-15 2013-07-15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800A KR102110387B1 (ko) 2013-07-15 2013-07-15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293,335 US20150020024A1 (en) 2013-07-15 2014-06-02 Zoom control of screen image in electronic device
EP14173424.4A EP2827237B1 (en) 2013-07-15 2014-06-23 Zoom control of screen image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800A KR102110387B1 (ko) 2013-07-15 2013-07-15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24A KR20150008624A (ko) 2015-01-23
KR102110387B1 true KR102110387B1 (ko) 2020-05-14

Family

ID=5113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800A KR102110387B1 (ko) 2013-07-15 2013-07-15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20024A1 (ko)
EP (1) EP2827237B1 (ko)
KR (1) KR102110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5780A1 (en) * 2014-06-06 2015-12-10 Ht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tuitively refocusing images
JP6465625B2 (ja) * 2014-10-10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70019995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탈부착 가능한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2022073247A (ja) * 2020-10-30 2022-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4069A1 (en) * 2001-08-30 2003-03-06 Yuan-Wan Ku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448083B1 (en) * 2004-04-16 2013-05-21 Apple Inc. Gesture control of multimedia editing applications
US7595958B2 (en) * 2006-01-06 2009-09-29 Charles Partee System including a hard disk drive and stray magnetic field sensor and associated method
US8944824B2 (en) * 2008-04-03 2015-02-03 Livescribe, Inc. Multi-modal learning system
KR101080676B1 (ko) * 2009-05-11 2011-11-08 주식회사 텔레칩스 터치화면상의 원 포인트 터치 동작에 의한 이미지 확대, 축소, 이동 방법
US8823749B2 (en) * 2009-06-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20130009907A1 (en) * 2009-07-31 2013-01-10 Rosenberg Ilya D Magnetic Stylus
US20110298830A1 (en) * 2010-06-07 2011-12-08 Palm, Inc. Single Point Input Variable Zoom
US20130106888A1 (en) * 2011-11-02 2013-05-02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ly zooming content during a presentation
KR101815720B1 (ko) * 2013-05-21 2018-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7237A1 (en) 2015-01-21
KR20150008624A (ko) 2015-01-23
US20150020024A1 (en) 2015-01-15
EP2827237B1 (en)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US96786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touch gesture
CN102906675B (zh) 信息输入装置、信息输入方法
US2014030055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touch screen
EP24584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0001232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커서 표시 방법
CN103761048A (zh) 一种终端截屏的方法以及终端
KR102110387B1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94448B2 (en) Input device, control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361365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04866188A (zh) 一种显示界面的调整方法
CN103440089A (zh) 一种用户设备的界面调整方法及用户设备
KR20130097331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40028557A (ko) 터치스크린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31996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0627666B1 (ko) 센서 입력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37629A (ko) 이어폰 연결을 감지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210045B1 (ko)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427534B (zh) 控制屏幕返回桌面的方法和装置
JP64110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方法
CN104750356A (zh) 一种移动终端
CN105487806A (zh) 一种调节音量的方法及装置
KR101901233B1 (ko) 터치 스크린의 접촉 방향성을 이용한 영상 확대/축소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023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가상 화면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