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19B1 - 폐암 진단용 마커 - Google Patents

폐암 진단용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19B1
KR101403019B1 KR1020130019903A KR20130019903A KR101403019B1 KR 101403019 B1 KR101403019 B1 KR 101403019B1 KR 1020130019903 A KR1020130019903 A KR 1020130019903A KR 20130019903 A KR20130019903 A KR 20130019903A KR 101403019 B1 KR101403019 B1 KR 10140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ng cancer
protein
antibody
stc
tiss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열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antibody fra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2Disease subtyping, staging or class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암의 조기진단에 유용한 바이오 마커로서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마커는 폐암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병의 진행 상태 및 치료 전후의 예후를 평가하는 데도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폐암 진단용 마커{Novel Biomarker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본 발명은 신규한 폐암 진단용 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암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STC-2 (Stanniocalcin-2) 단백질을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폐암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암은 현재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암 중 하나이다. 이러한 경향은 자각 증상이 적고 민감도가 높은 조기 진단 방법의 부재에 기인한 것이다. 현재 폐암의 경우는 이미징 방법 (X-ray, CT, MRI 등)에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발견된 예가 적다.
바이오마커란 신체의 생리, 병태학적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모든 물리적, 생화학적 지표를 일컫는 단어이다. 현재 암 치료의 패러다임은 암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항암제의 개발에서 조기발견을 유도, 그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가장 필요한 것이 암의 조기진단 및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물질인 바이오마커이다.
현재 바이오마커라는 이름으로 암 진단을 위해 제시된 물질들이 존재하지만, 여전히 충분한 특이성(specificity)과 민감성(sensitivity)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질환에서 교차반응성이 존재하고 있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미국에서도 FDA 승인을 받아 실제로 임상에 적용되고 있는 바이오마커의 수는 매우 적은 상황이다.
폐암의 경우에도, 바이오마커 후보물질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출판되었고, 새로운 바이오마커 후보 단백질들이 계속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암 바이오마커 후보들 가운데 일부만 미국에서 사용될 뿐이며, 이러한 마커들조차 검출(detection) 용도로 사용될 뿐, 모니터링(monitoring)용으로는 추천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폐암을 특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로 상용화된 것은 없다.
체액은 신체 변화의 기록을 담고 있는 곳이라고 불려 질 만큼 각종 질환상태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조기진단 및 예측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이유로 획득과 취급이 용이한 혈청과 뇌척수액 등의 체액을 이용한 질병 특이 단백질을 발굴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대표적인 체액으로 진단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혈액이다. 하지만 혈액의 경우 조직 기원(tissue origin)으로부터 가장 멀리 존재하는 체액이므로, 분비되어 나오는 동안 기원(origin)으로부터 멀어져서 조직 특이적인 기원 단백질을 찾기 어려울 뿐 아니라, 혈액 단백질의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의 구성으로 검출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방법인 혈액 단백질을 이용한 LC-MS/MS 분석을 통한 조직 특이적인 암 바이오마커 발견에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러한 어려움을 고려했을 때, 조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바이오마커를 찾는 것이 암의 종류에 따른 조직/개체 특이적인 바이오마커를 찾는데 용이할 것이다.
한편, STC-2 (Stannioncalcin-2)는 호르몬 단백질로서 혈액 내의 Ca2+ 와 Pi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STC-2가 미토콘드리아와 ER에서 작용한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와 단백질 펴짐 반응(unfolded protein response)에도 관련이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STC-2는 위암, 유방암, 직장암 등 여러 가지 암과 관련이 있다고 문헌에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폐암과 관련하여 보고된 바는 전혀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을 포함하는 신규한 폐암 진단용 마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TC-2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폐암은 소세포폐암(SCLC), 폐선암, 편평상피세포폐암 또는 대세포폐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키트, 마이크로어레이, 단백질 칩 및 DNA 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암 진단용 마커는 폐암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병의 진행 상태 및 치료 전후의 예후를 평가하는 데도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폐암 환자에서 분리한 정상 폐 상피세포와 폐암 세포의 1차 배양 (primary culture)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폐암 환자의 정상 주변 조직과 폐암 조직에서 분리된 단백질을 SDS-PAGE로 분리하고 쿠마시 염색을 한 결과이다.
도 3은 정상 폐 조직(N)과 폐암 조직(LC)에서의 STC-2 mRNA 발현을 확인하기 위한 PCR 결과이다.
도 4는 폐암 환자의 폐암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 STC-2 발현 양상을 검증한 웨스턴 블랏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암 환자의 혈청 또는 폐암 조직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진단(diagnosis)"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진단은 폐암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폐암(lung cancer)"은 폐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하며, 조직학적으로는 소세포폐암, 폐선암, 편평상피세포폐암 및 대세포폐암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암 진단용 마커"란 암 세포를 정상 세포와 구분하여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서, 정상 세포에 비하여 암이 발병된 세포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생체 분자를 말한다. 상기 생체 분자로는 폴리펩티드, 단백질, 핵산,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암 진단용 마커는 폐암 환자의 혈청 또는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되는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핵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마커는 폐암이 발병하지 않은 사람과 폐암이 발병한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진단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전체 형태의 항체(이하 "전항체"라고 함) 또는 그의 기능적인 단편일 수 있다. 상기 전항체는 단량체 또는 2 이상의 전항체가 결합되어 있는 다량체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항체의 기능적인 단편은 전항체의 중쇄 및 경쇄 가변영역을 갖는 항체로서, 실질적으로 전항체가 인식하는 것과 동일한 항원결합부위(epitope)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항체의 기능적인 단편에는 단일쇄 가변영역 단편 (scFv), (scFv)2, Fab, Fab' 및 F(ab')2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일쇄 가변영역(scFv)은 중쇄 가변영역과 경쇄 가변영역이 링커 펩티드를 통해 연결되어 단일쇄 폴리펩티드 형태를 취하는 항체 단편을 의미한다.
상기 항체는 효소, 형광 물질, 방사선 물질 및 단백질 등과 같은 다양한 분자와 결합하여 변형될 수 있다. 변형된 항체는 화학적으로 항체를 변형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항체는 비인간 항체로부터 유래한 변형 부위(variable region)와 인간 항체로부터 유래한 불변 부위(constant region)가 결합된 키메라 항체(chimeric antibody)로 수득되거나, 또는 인간이 아닌 항체로부터 유도된 상보성 결정 부위를 포함하여 인간 항체로부터 유도된 구조 부위(frame work region, FR)와 불변부위가 결합된 인간화 항체(humanized antibody)로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단용 조성물은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 이외에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당업계에 공지된 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면역학적 분석은 항원과 항체의 결합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진단용 키트로는 예를 들면, 시료 중의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해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기초로 하는 측방 유동 검정 키트(lateral flow assay kit)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측방 유동 검정 키트는 통상 시료가 적용되는 샘플패드(sample pad), 탐지용 항체가 코팅되어 있는 방출패드(releasing pad), 시료가 이동하여 분리되고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는 전개용 막(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스) 또는 스트립, 그리고 흡수패드(absorption pad)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암 진단용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일반적으로 특정 시약으로 처리된 슬라이드 글라스 표면 위에 항체를 부착하여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상기 항체에 특이적으로 부착하는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조성물은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핵산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를 이용한 특정 핵산의 검출은 PCR과 같은 증폭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유전자의 서열을 증폭한 다음,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유전자의 증폭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를 이용한 특정 핵산의 검출은 적합한 조건하에서 시료 핵산을 프로브와 접촉시킨 후 하이브리드화 되는 핵산의 존재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란 짧은 자유 수산화기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서 상보적인 템플리트와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리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하는 짧은 핵산서열을 말한다.
상기 "프로브"는 mRN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 개 내지 수 백 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 되어 있어 특정 mRNA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 단쇄 DNA 프로브, 이중쇄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비오틴, FITC, 로다민, DIG 등으로 표지되거나 방사선 동위 원소 등으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검출 가능한 물질 예를 들면, 적합한 신호를 제공하고 충분한 반감기를 갖는 방사성 표지로 표지할 수 있다. 표지된 프로브는 공지된 바와 같이 고체 지지체 상의 핵산에 하이브리드화 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브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특정 핵산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DNA 시퀀싱, RT-PCR, 프라이머 연장법,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연장 분석, 대립형질 특이적 PCR법, RNase 불일치 절단, 단일가닥 입체 다형화, SSCP 및 헤테로두플렉스 동시 분석법,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DGGE), 변성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혼성화 반응, DNA 칩 등이 있다. 상기 혼성화 반응의 예로는 노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인시츄 하이브리다이제이션 및 마이크로어레이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조성물은 상술한 핵산을 검출하는 방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R 반응에 요구되는 dNTP(deoxynulceotide triphosphate), 내열성 중합효소(polymerase), 염화마그네슘 등의 금속이온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퀀싱에 요구되는 dNTP, 시쿼나제(sequena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폐암 진단용 조성물을 진단용 키트 또는 마이크로어레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유전자에 대하여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을 포함하는 RT-PCT 키트, 본 발명의 마커 유전자의 cDNA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부착된 기판을 포함하는 DNA 칩 등이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시료 채취
폐암 환자로부터 얻어진 폐암조직과 주변 정상조직을 이용하여 1차 배양(primary culture)을 진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확보하였다. 폐암 조직과 주변 정상조직을 프레쉬한 상태로 유지한 후, 기계적인 방법인 가위(scissors) 혹은 블레이드(blade)를 이용하여 차핑(chopping)을 실시하였다. 이후 콜라게나아제 타입 I (collagenase type I) 0.5 mg/ml을 처리하여 30분에서 1시간 3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켜 단일세포로 분리한 후 10% FBS DMEM를 포함하는 배지에 플레이팅 하여 배양을 실시하였다.
정상 조직에서 분리한 세포의 경우 전형적인 상피세포의 형태로 조약돌 모양의 둥근 세포들이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폐암 조직에서 분리한 세포의 경우 섬유세포와 유사한 형태인 길쭉한 형태 세포가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시예 2. 분비 단백질의 분리 및 농축
실시예 1의 세포들은 배양과정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수집을 위해 2~3번 계대 배양이 이루어졌으며, 계대 배양 3 (passage 3)에서 동일한 수의 세포를 이용하여 새로운 배양 접시로 옮기고, 분비 단백질이 존재하는 배지 수집을 위해 48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이후, 동일한 수로 플레이팅 된 정상 세포와 폐암 세포 플레이트의 계대용 배지에 포함된 FBS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각각의 플레이트를 충분히 세척(washing)하였으며, 이후 세럼 프리 미디아(Serum free media)로 대체하고 24 ~ 48 시간동안 배양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을 얻기 위하여 TCA 침천 (TCA precipit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농축하였다.
실시예 3. SDS-PAGE 분리 및 쿠마시 블루 염색
3-1. 쿠마시 블루 염색
이렇게 얻어진 혈청을 LC-MS/MS 분석하기 위해 1차원 겔 전기영동(1DE-SDS-PAGE)으로 분리하였다. 겔을 H2O로 5분간 세 번 세척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부드럽게 흔들면서 Bio-Safe 쿠마시 염색 용액 (Coomassie G250 Stain; Bio-Rad)으로 염색하였다. 2차 증류수 내에 겔을 넣고 30분 동안 배양한 후에 10분간 2차 증류수로 3번 세척했다. 쿠마시 염색에서 각 쌍(N: 정상 조직에서 분비된 단백질, LC: 폐암 조직에서 분비된 단백질)은 동일한 양의 단백질이 실험에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참조).
3-2. 인-겔 트립신 절단
상기에서 염색이 끝난 후에 관심 있는 단백질 밴드를 잘라 단편화하고, 공지된 방법 (Heo, S.H., Lee, S.J., Ryoo, H.M., Park, J.Y., Cho, J.Y., Proteomics 2007, 7, 4292-4302)으로 인-겔 트립신 절단(digestion)을 수행했다. 각각 다른 강도를 보이는 폐암 조직에서 분비된 단백질과 정상 조직에서 분비된 단백질의 각 레인을 25등분하여 분석하였다.
쿠마시 염색 겔로부터 단백질 밴드를 제거하고 75 mM 중탄산암모늄/40% 에탄올(1:1) 용액에서 배양하여 탈색시켰다. 5 mM DTT/25 mM 중탄산암모늄으로 60℃에서 30분 간 처리하여 탈황하였다. 그 다음 실온에서 30분 간 55 mM의 이오도아세토아미드로 알킬화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겔 조각들은 100% ACN으로 건조시켰다. 그 다음 겔 조각들을 20 ㎍/ml의 변형 시퀀싱 등급 트립신 (Roche Applied Science)을 함유하는 10 ㎕의 25 mM 중탄산암모늄 완충액으로 재수화시키고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0.1% 포름산을 이용하여 트립신 펩티드 혼합액을 겔로부터 용출시켰다.
쿠마시 염색 겔 밴드의 트립신 작용 펩티드를 LC-MS/MS로 분석하였다.
3-3. LC-ESI-MS/MS 분석
NSI 소스 (San Jose, CA)가 구비된 Thermo Finnigan's ProteomeX workstation LTQ linear ion trap MS (Thermo Electron,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종래 알려진 방법 (Heo, S.H., Lee, S. J., Ryoo, H.M., Park, J.Y., Cho, J. Y., Proteomics 2007, 7, 4292-4302)으로 LC-MS/MS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인-겔 절단 후 얻어진 12 ml의 펩티드 시료를 펩티드 트랩 카트리지 (Agilent, Palo Alto, CA)에 주입하고 로딩 시켰다. 세공 크기 300 Å인 C18로 충전된 10 cm 역상 PicoFrit 칼럼 상에서 로딩 된 펩티드를 용출시키고, 구배 용출액을 분리했다. 이동상은 H2O (A) 및 ACN (B)으로 구성되었으며 둘 다 0.1%v/v의 포름산을 포함했다. 유속은 200 nL/min으로 유지시켰다. 농도 구배는 2% B에서 시작하여 50분 후에는 60% B에 도달하였으며, 그 다음 5분 동안 80% B, 그리고 마지막 15분 동안 100% A에 이르렀다. Data-dependent acquisition (m/z 400-1800)을 작동시키고 각각 서베이 MS 스캔을 한 후 동력 배출 옵션을 켠 상태로 30초간 MS/MS 스캔을 5회 실시하였다. 스프레이 전압은 1.9 kV 였고 이온 이동 튜브의 온도는 195℃로 맞추었다. 표준화 충돌 에너지는 35%로 맞췄다.
실시예 4. 분비 단백질의 반-정량 분석(Semi-quantitative analysis)
반-정량 프로테오믹스(semi-quantitative proteomics)란, 라벨링(labeling) 물질을 이용하지 않고 MS/MS 분석 후 단백질을 동정(identification)하는 분석과정에서 나타나는 펩티드 개수(spectral count)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반-정량(semi-quantitative)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비 단백질을 분석하였고, 이렇게 동정된 단백질을 Gene Ontology 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단백질들의 성격을 확인하였다.
LC-ESI-MS/MS 분석을 통하여 두 쌍의 샘플에서 모두 스타니오칼킨 (STC-2, stanniocalcin-2)의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샘플에서 정상조직(N)에서 분비된 단백질에 비해, 폐암 조직에서 분비된 단백질(LC)의 경우, 2.01배, 9.47배 증가된 정량 값을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표 1] LC-ESI-MS/MS에서 확인된 STC-2 단백질의 상대 정량값
Figure 112013016711082-pat00001

실시예 5. 폐암 세포주에서 타깃 단백질의 검증
폐암 환자의 조직(LC)과 정상 조직(N)에서 mRNA와 단백질을 회수하여 각각 Conventional PCR의 방법을 통하여 그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TC-2의 mRNA 발현 수준이 정상 폐 조직에서보다 폐암 환자의 조직에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참조).
실시예 6. 폐암 환자 조직에서 타깃 단백질 검증
폐암 세포주에서 검증된 스타니오칼킨-2 (STC-2)의 발현 양상이 폐암 환자의 경우에도 나타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 4명의 폐암 환자로부터 분리한 폐암 조직과 그 주변 정상 조직에서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analysis)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4명의 폐암 환자로부터 분리된 폐암 조직과 그 주변 정상 조직으로부터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간단하게, 폐암조직은 PBS로 혈액들을 씻어낸 후 프로테아제 억제제 (protease inhibitor)를 첨가한 리파 버퍼 (RIPA buffer)에서 균질화 (homogenization)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각 샘플을 브래드포드 어세이 (bradford assay)를 통한 정량방법으로 동일한 양의 단백질 10 ug을 사용하여 정상조직과 폐암 조직에서의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베타-액틴 (beta actin) 단백질의 발현을 동시에 확인하였으며, 정상 조직과 폐암 조직에서 베타 액틴의 발현량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동량의 단백질이 실험에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량의 단백질(10 ug)에서 STC-2 단백질의 발현이 폐암 조직에서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폐암 조직 샘플에서 분만 아니라 임상 샘플에서도 동일한 발현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폐암 조직에서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된 단백질의 발현은 실질적으로 폐암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STC-2 (Stannioncalcin-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조성물.
  2. STC-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키트.
  3. STC-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4. STC-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폐암 진단용 단백질 칩.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폐암 마커인 STC-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이용한 항원-항체 결합반응을 통해 생물학적 시료에서 상기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포유동물로부터 수득된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객담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019903A 2013-02-25 2013-02-25 폐암 진단용 마커 KR10140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03A KR101403019B1 (ko) 2013-02-25 2013-02-25 폐암 진단용 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03A KR101403019B1 (ko) 2013-02-25 2013-02-25 폐암 진단용 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019B1 true KR101403019B1 (ko) 2014-06-03

Family

ID=5113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903A KR101403019B1 (ko) 2013-02-25 2013-02-25 폐암 진단용 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261A (ja) 2004-01-27 2008-03-13 コンピュゲン ユーエスエイ,インク. 肺癌診断のための新規のヌクレオチド配列およびアミノ酸配列、ならびにそのアッセイおよび使用方法
KR20080064462A (ko) * 2007-01-05 2008-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폐암 진단용 마커
JP2010519219A (ja) 2007-02-16 2010-06-03 パシフィック アロー リミテッド 接着タンパク質に影響を及ぼすことによる癌細胞の移動または転移の遮断およびその新規化合物の使用
US20120295803A1 (en) * 2011-05-16 2012-11-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Lung cancer signa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261A (ja) 2004-01-27 2008-03-13 コンピュゲン ユーエスエイ,インク. 肺癌診断のための新規のヌクレオチド配列およびアミノ酸配列、ならびにそのアッセイおよび使用方法
KR20080064462A (ko) * 2007-01-05 2008-07-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폐암 진단용 마커
JP2010519219A (ja) 2007-02-16 2010-06-03 パシフィック アロー リミテッド 接着タンパク質に影響を及ぼすことによる癌細胞の移動または転移の遮断およびその新規化合物の使用
US20120295803A1 (en) * 2011-05-16 2012-11-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Lung cancer sign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1954B (zh) 生物标志物在卵巢癌评估中的应用
KR20080114689A (ko) 증가된 bcl-2에 의한 암의 발견
US20150044695A1 (en) Method and a Kit To Detect Malignant Tumors and Provide a Prognosis
JP7285215B2 (ja) 大腸がんを検出するためのバイオマーカー
Lukic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for comparative proteomic analysis of human bile reveals overexpressed cancer-associated proteins in malignant biliary stenosis
CN111373056A (zh) 基于过表达gcc2基因或蛋白的外泌体的用于诊断肺癌或预测预后的标志物组合物
JP2007051880A (ja) 膵臓癌の検出方法、膵臓癌の診断キット
US20160131665A1 (en) SRM/MRM Assay for the Insulin Receptor Protein
KR102384848B1 (ko) 방광암용 바이오마커로서의 케라틴 17
CN107110848B (zh) 以脱氧羟腐胺缩赖氨酸合酶基因作为指标使用的动脉硬化及癌的检测方法
KR101995189B1 (ko) 비침습적 체외진단을 위한 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297309B1 (ko) 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폐암 진단키트
JP2010014689A (ja) プロテオミクス解析を用いたメラノーママーカーの同定
CN109709328B (zh) 一种卵巢癌的诊断标志物及其应用
KR101334123B1 (ko) 소세포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소세포폐암 진단키트
KR101878974B1 (ko) 신장암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KR20190026633A (ko) 메티오닐-티알엔에이 합성효소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키트
KR101403019B1 (ko) 폐암 진단용 마커
KR102337232B1 (ko) 뇌 유래 소포체 특이적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뇌 질병 진단 방법
KR102185987B1 (ko) Ripk3을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증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EP2772759B1 (en) Composition for diagnosis of lung cancer
KR20100070776A (ko) 습관성 유산 진단용 바이오마커
KR101815253B1 (ko) 간 섬유화 진단용 바이오마커 cxcl14
KR101456683B1 (ko) 폐암 진단용 마커
KR102350603B1 (ko) Tuba1c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엑소좀 기반 암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마커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