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427B1 -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 Google Patents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427B1
KR101402427B1 KR1020120087302A KR20120087302A KR101402427B1 KR 101402427 B1 KR101402427 B1 KR 101402427B1 KR 1020120087302 A KR1020120087302 A KR 1020120087302A KR 20120087302 A KR20120087302 A KR 20120087302A KR 101402427 B1 KR101402427 B1 KR 10140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eel pipe
coping
joining
jo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1741A (en
Inventor
강영종
원덕희
이만섭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427B1/en
Publication of KR2014002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4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부재와 코핑부의 접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강관과, 상기 외부 강관의 내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부 및 상기 콘크리트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를 구속하는 내부강관을 가지며 교각의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기둥세그먼트와, 적층되는 복수의 기둥 세그먼트 상호간을 접합시키는 기둥부 연결재를 구비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세그먼트 중 상기 코핑부에 접합되는 최상단 기둥 세그먼트는,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고 타측은 상기 코핑부에 매립되는 수직접합부재와,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며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수직접합부재에 체결되는 횡방향 접합부재와, 상기 수직접합부재와 인접하는 수직접합부재를 상단에서 연결하여 n형 구조로 이루는 접합연결부재가 구비된 접합부재와,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강관으로부터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내측의 중공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여, 교각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진동에 의해 너트가 풀려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분리될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내부강관의 내측에 다이어프램을 설치하여 접촉면적을 향상시켜서 펀칭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파형관을 코핑부에 설치하여 부착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완충패드를 설치하여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그 강성의 차이로 인하여 접합부분에 있어서 코핑부에 국부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tructure between a column member and a coping member of a prefabricated hollow precast precast bridge pier, comprising an outer steel pipe, a concrete portion f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and an inner A prefabricated internally constrained hollow precast bridge p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having steel tubes and laminated between a base portion of a bridge pier and a coping portion and a column portion connecting member for joining a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to be laminated, Wherei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bonded to the coping portion of the segmen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bonding member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embedded in the coping portion;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 joining member having a longitudinal joining member joined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nd a vertically joining member adjacent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t an upper end to form an n-type joining connecting member; And a diaphragm protruding from the inner steel pipe toward a hollow inside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Even if vibrations occur in the pier, the nut is released by vibration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the co- And a diaphragm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teel pipe to improve the contact area to prevent punching failure. The corrugated pipe is installed in the coping portion to improve the attaching performance, and the cushion pad is installed, Due to the difference in rigidity of the coping portion, local fracture occurs in the clamping portion at the joint portion I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전강관(Concrete Filled Tube)을 이용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부재와 코핑부의 접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ing structure of a column member and a coping member of a prefabricated inner confined hollow precast pier using a concrete filled pipe.

일반적으로 교량공사에서 시공되고 있는 교각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구조로, 현장에서 기초 터파기 작업이후, 기초 철근 및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일정 기간동안 양생기간을 갖도록 하여 기초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 철근과 거푸집을 형성해 가면서, 교각을 양생하고 교각 상부 즉 교량상판을 받치는 코핑부는 동바리를 받쳐 놓고 거푸집을 배치한 상태에서 1차 또는 2차 공정으로 콘크리트 타설하여 코핑부를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교각을 완성한다. In general, bridge piers constructed in bridges are paved concrete structures, concrete piles are laid in a state where basic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s are placed after the foundation trenching works, and curing period is made for a certain period to form a foundation part A coping part which cures a bridge pier and forms an upper part of the pier, that is, a coping part that supports a bridge top plate, forms a coping part by placing a concrete in a primary or secondary process in a state in which a form is placed while supporting a pier Complete the bridge.

이러한 종래의 현장타설 시공방법은 거푸집의 설치 및 시공 후 거푸집의 탈형작업 등에서 많은 공사기간 및 경비가 소요되고,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서 고가도로 건설의 경우는 공사가 이루어지는 주변에 교통혼잡을 주며, 배수처리 능력을 요하는 수중공사 등과 같이 작업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는 시공관리가 어렵고 부실시공의 우려가 상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installing a spot in the field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period and expense in the installation of the formwork and the demolding work of the form after the construction, and in the case of the overpass road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location, traffic congestion is given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managemen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poor in the situation where the working environment is poor such as underwater construction requiring the ability.

이러한 종래의 현장타설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각을 단위 구조물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시공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교각의 조립식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유닛이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가 유리하고, 현장에서의 거푸집 설치 및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유닛의 제작을 기초부 공사와 병행해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pot installation method, a prefabricated installation method of assembling and assembling a bridge pier as a unit structure has been proposed. Since the precast unit is manufactured at the factory, the quality control of the concrete is advantageou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and curing of the formwork in the field, and the production of the precast unit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foundation work So that the air can be shortened.

이러한 조립식 시공방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콘크리트 충전강관(Concrete filled tube)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구조물이 제안되고 있다.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구조물은 원형 혹은 각형단면의 강관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 강관이 내부의 콘크리트를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국부좌굴방지의 우수한 장점이 있고, 연성능력이 우수하고,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의 증가로 인해 단면이 감소되고 기존 콘크리트교각에 비해서 자중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었다. As such a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a prefabricated bridge structure using a concrete filled tube as shown in Fig. 1 has been proposed.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using concrete filled steel pipe is a structure filled with concrete inside a round or square section steel pipe. Since steel pipe restrains concrete inside, it has excellent advantage of preventing local buckling, has excellent ductility , The section is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stiffness with respect to the bending moment, and the self weight is reduced compared to the existing concrete bridge piers.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구조물은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적층되는 하나이상의 프리캐스트 유닛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프리캐스트 유닛은 강관으로 구성된 외부 강관과, 외부 강관의 내면에 중공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콘크리트부, 및 콘크리트부의 중공내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부를 구속하는 강관으로 구성된 내부의 파형강관을 구비하여,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공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using the conventional concrete filled steel pipe shown in Fig. 1 is composed of at least one precast unit stack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oping part, and each precast unit is composed of an outer steel pipe composed of a steel pipe, And a corrugated steel pipe provided on the hollow inner surface of the concrete portion to constrain the concrete portion to improve rigidity against bending moment and to facilitate assembly and assembly have.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조립식 교각구조물의 기둥상단부와 코핑부와의 접합구조는, 선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강봉을 기둥상단의 콘크리트부에 매립하고, 코핑부 상면 위로 노출된 강봉의 선단부에 너트로 고정하여 기둥상단부와 코핑부를 접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lumn and the cop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uch that a steel bar having a thread formed at the end portion thereof is buried in a concrete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So that the column top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are bonded.

한편, 교량의 교각은 상부구조의 하중을 축력으로 받아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 외에도 지진과 같은 횡하중에 대해서 저항하는 주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교각은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횡하중, 그리고 휨모멘트 등에 대해서도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bridge piers play an important role to resist the lateral load such as earthquake as well as to transmi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the lower part as an axial force, so that the bridge pierces not only the vertical load but also the lateral load and the bending moment Should be designed.

특히, 조립식 교각구조물에 있어서는, 프리캐스트 유닛 자체는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품질이 우수하므로 프리캐스트 유닛 자체의 수직하중, 횡하중에 대한 강성은 물론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프리캐스트 유닛 서로간의 접합부에서의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 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접합부의 성능이 교각 전체의 수직하중, 횡하중, 휨모멘트에 대한 강성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prefabricated pier structure, since the precast unit itself is manufactured at a factory, the precast unit itself can sufficiently secure the rigidity against bending moment as well as the vertical load and the lateral load of the precast unit itself,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stiffness against bending moments at the joints of each other.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such joints determines the rigidity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ad, lateral load, and bending moment of the entire piers.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조립식 교각구조물에 있어서는, 기둥상단부와 코핑부와의 접합구조가 강봉을 기둥상단의 콘크리트부에 매립하고, 코핑부 상면 위로 노출된 강봉의 선단부에 너트로 고정하여 기둥상단부와 코핑부를 접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교각의 경우 너트가 풀려 버릴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유지관리가 필수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최상단 기둥 세그먼트에 삽입되어져 있는 철근 혹은 강봉은 하중에 따라서 기둥부 콘크리트와 분리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ssembled p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pillar upper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is such that the steel rods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fix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eel bar ex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oping portion, The reinforcing bar or the steel bar inserted i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ut is loosened in the case of a pier where a large amount of vibration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from the column portion concrete is very high.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조립식 교각 구조물에 있어서는,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그 강성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접합부분에 있어서 코핑부에 국부파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the assembled p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fear that local fracture may occur in the coping portion in the joint portion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iffness between the column top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각의 조립식 시공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싱 공법이나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방법에 비하여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접합부에 있어서의 휨모멘트나 전단모멘트 및 진동하중에 대한 강성 등 접합부의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여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분리될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idge pier in which a bending moment and a shear And to provide a column-coping junction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inner confined hollow precast bridge pier which is capable of satisfactorily securing the performance of joints, such as strength against moment and vibration load, and stably joining the column top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without fear of separation.

또한, 본 발명은 기둥상단부와 코핑부 사이의 국부파괴를 방지하여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분리될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t-internally confined hollow pre-cast pierched column-cemented join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local breakage between the column top and the coping portion, thereby stably joining the column top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without fear of separ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은, 외부 강관과, 상기 외부 강관의 내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부 및 상기 콘크리트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를 구속하는 내부강관을 가지며 교각의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기둥세그먼트와, 적층되는 복수의 기둥 세그먼트 상호간을 접합시키는 기둥부 연결재를 구비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세그먼트 중 상기 코핑부에 접합되는 최상단 기둥 세그먼트는,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고 타측은 상기 코핑부에 매립되는 수직접합부재와,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며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수직접합부재에 체결되는 횡방향 접합부재와, 상기 수직접합부재와 인접하는 수직접합부재를 상단에서 연결하여 n형 구조로 이루는 접합연결부재가 구비된 접합부재와,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강관으로부터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내측의 중공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llar-coping joint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hollow precast pi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steel pipe, a concrete part f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A prefabricated inner constrained hollow precast pier bridge having a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each having an inner steel pipe for confining a concrete portion and stacked between a base portion of the bridge pier and the coping portion and a column connecting member for joining the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to be laminated ,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bonded to the cop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one sid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vertically A reinforcing member tha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 joining member having a horizontal joining member surrounding the ash and being fastened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nd a joining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djacent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t an upper end to form an n-type structure; And a diaphragm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end column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teel pipe toward the hollow inside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aphragm further includes a suppor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aphragm and the inner steel pipe and supporting the diaphragm.

여기서,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상부끝단에서 상기 외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접합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완충패드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shioning pad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pad dispos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at an upper end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vertical joint member is inserted.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코핑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핑부로 돌출되어 매립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복수의 파형관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corrugated tubes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rrugated tubes installed in the coping portion and surrounding each of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corrugating portion and filled with a filler.

여기서, 상기 파형관을 나선 형상으로 둘러싸는 보강철근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a reinforcing bar surrounding the corrugated pipe in a spiral shape is further provided.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에 의하면,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 코핑부 사이에 수직접합부재와 횡방향 접합부재를 가지는 접합부재를 설치하여, 교각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진동에 의해 너트가 풀려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분리될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고, 내부강관의 내측에 다이어프램을 설치하여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 코핑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서 교각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펀칭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lumn-coping joining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internally constrained hollow precast p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joining member having a vertical joining member and a transverse join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the coping portion, Even if vibration occurs, the nut can be loosened by vibration as in the prior 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and the coping portion can be stably bonded without fear of separation, and a diaphragm is provided inside the inner steel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punching due to the load acting on the bridge pier.

또한,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는 파형관을 코핑부에 설치하여, 상기 수직접합부재 및 상기 파형관에 의해 기둥세그먼트와 코핑부 사이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파형관의 주변에 나선형 보강철근을 배치하여 부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파형관 주변의 국부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rrugated pipe surrounding the vertical join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coping portion to improv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column segment and the coping portion by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nd the corrugated pipe, and a spiral reinforcing bar is disposed around the corrugated pip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performance and to prevent the local destruction around the corrugated tube.

또한,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 코핑부 사이에 완충패드를 설치하여 기둥상단부와 코핑부가 그 강성의 차이로 인하여 접합부분에 있어서 코핑부에 국부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buffer pad betwee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the cop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ocal breakage of the coping portion in the joining por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rigidity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lumn and the coping por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각구조물의 기둥-코핑부 접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 및 지지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완충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파형관 및 보강철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파형관 및 접합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접합부재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lumn-coping portion bonding structure of a pi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view showing a column-coping joint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inner confined hollow precast bridge p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diaphragm and a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uffer pad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the corrugated pipe and the reinforcing steel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rrugated tube and the joi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ing member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발명에 의한 기둥-코핑 접합구조물(1)은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기둥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에 적용되며, 특히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기둥세그먼트 중 교각의 코핑부(3)에 접합되는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에 적용된다. The column-coping bonded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efabricated internally constrained hollow precast bridge pier including a plurality of precast column segments laminated between a base portion and a coping portion, To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joined to the coping portion (3) of the pier.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강관(2b)과, 상기 외부강관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강관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강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내부강관(2a)과, 상기 외부 강관의 내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둥세그먼트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기둥세크먼트 상호간을 접합시키는 기둥부 연결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has an outer pipe (2b)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cylindrical inner pipe (2b)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pipe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ipe A concrete part to be f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and a column part connecting member (not shown) for joining adjacent column segment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lumn segmen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강관 및 상기 내부강관은 원통형 형상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have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outer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도 2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1)은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와 상기 코핑부(3) 사이에 설치된다.
2 to 6C, the column-and-coping bonded structure 1 of the prefabricated inner confined hollow precast p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and the coping portion 3.

상기 기둥-코핑 접합구조물(1)은 접합부재(10)와, 다이어프램(20)과, 완충패드(30)와, 파형관(40)을 포함한다. The column-coping bonded structure 1 includes a joining member 10, a diaphragm 20, a buffer pad 30, and a corrugated pipe 40.

상기 접합부재(10)는 수직접합부재(11)와, 횡방향 접합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접합부재(11)는 강봉 또는 이형철근으로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수직접합부재(11)는, 일측은 상기 외부강관(2b)와 상기 내부강관(2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고, 타측은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핑부(3)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The joining member 10 is composed of a vertical joining member 11 and a transverse joining member 12.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is formed of a steel bar or a deformed steel bar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2b and the inner steel pipe 2a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And is embedded in the coping portion 3.

상기 수직접합부재(11)에는 상기 횡방향 접합부재(12)가 체결된다. 상기 횡방향 접합부재(12)는, 예를 들면 이형철근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외부강관(2b)와 상기 내부강관(2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된다.
The transverse direction joining member 12 is fastened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The transverse direction joining member 12 is, for example, formed of a deformed reinforcing bar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vertical joining member. The transverse joining member 12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2b and the inner steel pipe 2a, .

한편, 상기 접합부재(10)는 접합연결부재(14)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The joining member 10 may further include a joining connecting member 14.

도 7a, 도 7b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재(10)는 상기 수직접합부재와 인접하는 수직접합부재를 상기 수직접합부재의 상부끝단에서 서로 체결하는 접합연결부재(14)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합연결부재의 구성에 의해 상기 수직접합부재는 n자 형상의 수직접합부재(13)로 형성되어, 상기 n자 형상의 수직접합부재가 코핑부에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후술하는 파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파형관에 충진되는 모르타르 등의 충진재와 상기 n자 형상의 수직접합부재가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 상기 코핑부의 부착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진동하중 등이 교각에 작용할 때 기둥과 코핑부가 분리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7A, 7B and 8, the joining member 10 includes a joining connecting member 14 for joining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adjacent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joint connecting member, the vertical joint member is formed of an n-shaped vertical joint member 13, and the n-shaped vertical joint member is firmly attached to the coping portion or inserted into a wave tube to be described later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mortar filled in the corrugated tube and the n-shaped vertical joint member are more firmly attached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the above-mentioned coping portion, so that when the vibration load acts on the bridge pier, Can be prevented more stably.

상기 최상단 기둥세크먼트(2)의 내측에는 다이어프램(20)이 마련된다. 상기 다이어프램(20)은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상부끝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강관으로부터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내측의 중공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A diaphragm 20 is provided inside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The diaphragm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steel pip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teel pipe toward the hollow inside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본 발명에 의한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이 적용되는 내부 구속 중공 CFT 기둥은 중공비가 0.7이상을 대상 비율로 하고 있기 때문에 코핑부의 접지 면적이 좁아 펀칭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Since the internally confined hollow CFT column to which the column-coping jun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a hollow ratio of 0.7 or more at a target ratio, the grounding area of the coping portion is narrow, and punching failure is very likely to occur.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의 상부에 상기 코핑부(3)를 설치할 때에, 상기 기둥세그먼트와 일체로 형성된 다이어프램(20)에 의해 상기 코핑부(3)와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교각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펀칭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전단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ping portion 3 and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is increased by the diaphragm 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lumn segment when the coping portion 3 is provided on the uppermost column portion 2 Thus, punching failure due to a load acting on the pier can be prevented, and resistance to shear force can be improved.

상기 다이어프램(20)의 중앙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열적 변형을 수용하고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관통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20 to accommodate the thermal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and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강관(2a)의 내측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1)을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1)은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1)은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4A and 4B, a support bracket 21 for supporting the diaphragm can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inner steel pipe 2a. The support bracket 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aphragm and the inner steel pipe. The support bracket 21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iaphragm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due to a load acting on the diaphragm.

상술한 바와 같이, 교각에 하중이 작용하면, 교각을 지지하는 코핑부와 기둥은 그 강성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코핑부와 기둥 사이, 특히 기둥상단부의 끝단과 코핑부와의 접합부분에서 국부파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bridge pi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iffness between the coping portion supporting the bridge pier and the pillar. Therefore, in a portion between the coping portion and the column, particularly at the junction between the end of the column top portion and the coping portion There is concern that local destruction may occur.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2)의 상부끝단에 완충패드(30)를 설치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buffer pad 3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2.

상기 완충패드(3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무재질의 탄성패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면 PVC 등 플라스틱 재질이어도 좋다. The buffer pads 30 are elastic pads made of rubber in this embodiment, but the pa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be made of plastic such as PVC if it has a certain elastic force.

상기 완충패드(30)는 대략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상부끝단에서 상기 외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30)에는 상기 수직접합부재(1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삽입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홀(31)은 상기 수직접합부재(11)의 개수에 상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에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기다란 원호형상의 장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uffer pad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In addition, the buffer pad 3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31 for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The insertion hole 31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11 and may have a long circular arc shape so that the vertical joining member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uffer pad.

한편, 상기 수직접합부재(11)는 상기 코핑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직접 매립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 상기 코핑부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핑부(3)에 미리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상기 수직접합부재(11)를 별도의 매립관을 통해 설치할 수 있다.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may be formed to be directly embedded in the concrete placed in the coping portion.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the coping por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ping portion 3 and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may be installed in the hole through a separate buried pipe.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1)은 상기 수직접합부재가 삽입되는 파형관(40)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형관(40)은 상기 코핑부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면에 파형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핑부(3)에 미리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6A to 6C, the column-coping bonding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ve tube 40 into which the vertical bonding material is inserted. The corrugated pipe 40 is formed to have a corrugated outer surface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coping portion and may be inserted into a hole previously formed in the coping portion 3.

상기 파형관(40)은 상기 코핑부로 돌출되어 매립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파형관(40)에 상기 수직접합부재(11)를 삽입한 후, 내부에 모르타르 등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상기 수직접합부재(11)와 상기 파형관을 일체로 거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파형관과 상기 코핑부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켜서, 상기 수직접합부재가 삽입된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와 상기 코핑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The corrugated pipe 40 surrounds each of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coring part and embedded therein.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pipe 40 and then filled with filler such as mortar , The vertical joining member (11) and the corrugated tube can be formed to behave as a single body, and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corrugated tube and the coping part can be improved, so that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the coping part And can be stably bonded.

상기 파형관(40)은 상기 코핑부(3)를 설치할 때에 상기 코핑부에 상기 파형관을 미리 설치한 후,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상기 파형관에 삽입하고 상기 파형관 내에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상기 수직접합부재와 상기 파형관을 부착시킬 수도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둥-코핑 접합구조물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의 교각구조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corrugated pipe (40) is provided with the corrugated pipe (3) in advance, after the corrugated pipe (3) is installed in the coping part (3), the vertical joi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pipe And the column-coping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dvance in the factory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pier structure in the field.

즉,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에 상기 접합부재를 삽입하고, 내부강관에 상기 다이어프램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완충패드를 삽입한 후,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파형관을 설치한 후, 상기 접합부재, 상기 다이어프램, 상기 완충패드, 상기 파형관이 일체로 형성된 최상단 기둥세그먼트를 현장에 반입하여 기둥세그먼트에 적층하여 설치한 후 홀이 미리 형성된 코핑부를 상기 파형관에 맞추어 설치함으로써 시공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join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the diaphragm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teel pipe, the wave tube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fter inserting the absorbing pad, , The diaphragm, the buffer pad, and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rrugated pipe are stacked on the column segment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and then the corpulse portion in which the holes are formed is fitted to the corrugated pipe, have.

또한, 상기 수직접합부재에 상기 접합연결부재를 연결하여 n자형 수직접합부재(13)로 구성할 경우, 상기 파형관은 파형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n자형 수직접합부재(13)를 삽입할 수도 있고, 상기 파형관을 그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n자형 수직접합부재(13)를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jun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to constitute the n-shaped vertical joining member 13, the corrugated pip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using a corrugated plate, Member 13 may be inserted into the n-shaped vertical joining member 13, or the n-shaped vertical joining member 13 may be inserted into the corrugated pipe so as to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

한편, 상기 파형관과 상기 코핑부와의 부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철근(41)을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철근은 상기 코핑부(3)에 설치되며,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형관을 나선 형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the corrugated pipe and the coping portion, a reinforcing bar 41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in the coping portion 3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corrugated pipe in a spiral shape as shown in FIG. 6C.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nd it is obvious that i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10 : 접합부재
11 : 수직접합부재 12 : 횡방향 접합부재
20 : 다이어프램
30 : 완충패드
40 : 파형관
1: Column-coping bonded structure
10:
11: vertical joining member 12: transverse joining member
20: Diaphragm
30: buffer pad
40: wave tube

Claims (6)

외부 강관과, 상기 외부 강관의 내면에 충전되는 콘크리트부 및 상기 콘크리트부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를 구속하는 내부강관을 가지며 교각의 기초부와 코핑부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의 기둥세그먼트와, 적층되는 복수의 기둥 세그먼트 상호간을 접합시키는 기둥부 연결재를 구비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세그먼트 중 상기 코핑부에 접합되는 최상단 기둥 세그먼트는,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고 타측은 상기 코핑부에 매립되는 수직접합부재와,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되며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수직접합부재에 체결되는 횡방향 접합부재와, 상기 수직접합부재와 인접하는 수직접합부재를 상단에서 연결하여 n형 구조로 이루는 접합연결부재가 구비된 접합부재와,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강관으로부터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내측의 중공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A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each having an outer steel pipe, a concrete portion f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teel pipe, and an inner steel pip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rete portion to confine the concrete portion and stacked between the base portion of the pier and the coping portion; A prefabricated internally constrained hollow precast pier with column post portions joining a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together,
Wherein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which is joined to the cop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lumn segments,
A vertical joining memb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having one side embedded in the concrete portion and the other side embedded in the coping portion; A joining member having a horizontal join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nd a joining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djacent to the vertical joining member at an upper end to form an n-type structure,
And a diaphragm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teel pipe and protruding from the inner steel pipe toward a hollow inside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wherein the diaphragm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steel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강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racket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aphragm and the inner steel pipe to support the diaphragm, wherein the support bracket supports the diaphrag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기둥세그먼트의 상부끝단에서 상기 외부강관과 상기 내부강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접합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완충패드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ushion pad disposed between the outer steel pipe and the inner steel pipe at an upper end of the uppermost column segmen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vertical joint member is inserted, Junction structure.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부로 돌출되어 매립되는 각각의 상기 수직접합부재를 둘러싸며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복수의 파형관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rrugated tubes surrounding each of the vertical joining members protruded and embedded to the coping portion and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therei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을 나선 형상으로 둘러싸는 보강철근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부구속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의 기둥-코핑 접합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bar surrounding the corrugated pipe in a spiral shape. The column-coping joining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internally constrained hollow precast pier.
KR1020120087302A 2012-08-09 2012-08-09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KR101402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302A KR101402427B1 (en) 2012-08-09 2012-08-09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302A KR101402427B1 (en) 2012-08-09 2012-08-09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741A KR20140021741A (en) 2014-02-20
KR101402427B1 true KR101402427B1 (en) 2014-06-11

Family

ID=5026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302A KR101402427B1 (en) 2012-08-09 2012-08-09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4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36A (en)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A fixed structure fastened to the pier post
KR102568950B1 (en)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Prefabricated Coping Structure using a Steel-Box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6602A (en) * 2017-10-26 2018-04-17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A kind of prefabricated pier, plate fast joint structure
CN111501536A (en) * 2020-04-14 2020-08-07 中铁二十四局集团江苏工程有限公司 Anti-seismic high-speed rail bridge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519520B (en) * 2020-04-30 2021-04-20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Prefabricated type double-column pier capable of being assembled quickly
KR102598985B1 (en) * 2022-12-27 2023-11-06 (주)대우건설 Connection method of concrete filled tube bridge column and reinforced concrete pier ca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598A (en)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internal steel tube
KR100713692B1 (en) * 2005-08-17 2007-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 prestresed connection set bridge post using unit filled concrete with internally confined hollow and a method fo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598A (en) * 2004-07-30 2006-02-0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Hollow reinforced concrete column with internal steel tube
KR100713692B1 (en) * 2005-08-17 2007-05-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 prestresed connection set bridge post using unit filled concrete with internally confined hollow and a method for constr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36A (en)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A fixed structure fastened to the pier post
KR102568950B1 (en) 2023-03-28 2023-08-23 주식회사 태정엔지니어링 Prefabricated Coping Structure using a Steel-Box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741A (en)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427B1 (en) Column-coping part joint structure with concrete filled tube for composite hollow precast bridge
KR20110103000A (en) Precast bridge joint structure with composite hollow concrete filled tub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0938394B1 (en) Phc pile with imbeded steel pipe
KR101045805B1 (en) Prefabricated bridge using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00054889A (en) Development of fabricated internally confined hollow concrete filled tube using corrugated tube
KR101713141B1 (en) Hybrid bridge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339946B1 (en) Precast bridge post
KR101797314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tube
KR101658020B1 (en) Joint Structure of Pile-to-Pile cap Connection for Concrete Structure
KR20200044740A (en) Connecting and Reinforcing Apparatus, Structure and Method for PHC Pile
JP6550319B2 (en) Column with braces
JP5077865B2 (en) Ready-made pile and foundation pile structure
JP5132503B2 (en) Seismic structure and building
KR101472027B1 (en) Method of building concrete structure using attachment plates adjoining ends of concrete beam with walls of abutments
KR101458435B1 (en)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7297861A (en) Joint part structure of bridge pier with pile
JP2006316495A (en) Foundation structure of bridge pi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8285952A (en) Base-isolated building structure
JP6832048B2 (en) Joint structure of seismic isolation device and steel pipe column and seismic isolation building
KR101950953B1 (en)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s with frame shear wall
KR101585652B1 (en) Integral Abutment Bridge without Soil-Structure Interaction
KR101328685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and flatplate
JP4451699B2 (en) Pile head joint structure
JP2007051500A (en) Joint structure of column and pile
JP6390360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steel pipe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