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894B1 -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894B1
KR101401894B1 KR1020120055135A KR20120055135A KR101401894B1 KR 101401894 B1 KR101401894 B1 KR 101401894B1 KR 1020120055135 A KR1020120055135 A KR 1020120055135A KR 20120055135 A KR20120055135 A KR 20120055135A KR 101401894 B1 KR101401894 B1 KR 10140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smg
composition
present
carcin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531A (ko
Inventor
남순우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89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소라페닙과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및 SMG-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은 소라페닙(sorafenib)의 암세포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 증진과 관련된 기능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항암제인 소라페닙의 암세포에 대한 내성을 조절하는 경우, 낮은 농도의 소라페닙의 사용만으로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을 유도할 수 있어 암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Sensitivity to Anti-cancer agent Comprising of 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
본 발명은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소라페닙과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및 SMG-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간 건강에 가장 치명적인 위협 중의 하나이다. 미국에서만 매년 1백 3십만명 정도의 새로운 암 환자가 발생하고, 이는 심혈관계 질환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이며, 사망자 4명 중의 대략 1명이 암 환자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망의 대부분은 고형암으로 인한 것이다. 특정 암의 의학적 치료에는 상당한 진보가 있어 왔지만, 모든 암에 대한 전반적인 5년 생존율은 과거 20년간 약 10% 정도만 개선되었다. 암, 또는 악성 종양은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신속하게 전이 및 성장하기 때문에, 제시간에 이를 검출하고 치료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다.
현재, 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 요법, 방사선 치료 요법 및 화학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화학요법은 항암제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말하며 융모막 암(choriocarcinoma)에 메토트레세이트(methotrexate)를 사용하여 완치효과를 얻음으로써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약 60여종의 다양한 항암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암 발생 및 암 세포의 특성에 관한 지식이 많이 알려짐에 따라,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은 공격적인 악성종양으로 예후가 나쁘며 매우 복잡한 분자적 과정을 가져 기존의 항암 치료법으로는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간암은 해마다 50만명이 사망하는, 세계에서 5번째로 일반적인 종양이다(Okuda 2000). 간암 환자의 생존율은 지난 20년에 걸쳐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사망율과 거의 동일한 발병률을 지니고 있다 (Marrero, Fontana et al. 2005). B형 간염 바이러스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만성간염 및 아플라톡신 B1 (aflatoxin B1)과 같은 발암물질에의 노출은 간암에 대한 주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Thorgeirsson and Grisham 2002).
현재까지 시중에 나와 있는 항암제로는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반데타닙, 니로티닙, 세마사닙, 보수티닙, 악시티닙, 세디라닙, 레스타우르티닙, 트라스투주맙, 게피티니브,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시스플라틴,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 키토산,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우라실, 시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플루타미드,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에토포시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테니포시드, 독소루비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클로람부실, 미토락톨, 레우코보린, 트레토닌, 엑스메스탄, 아미노글루테시미드, 아나그렐리드, 나벨빈, 파드라졸, 타목시펜, 토레미펜, 테스토락톤,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로졸, 비칼루타미드, 로무스틴 및 카르무스틴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소라페닙(sorafenib)은 종양세포나 종양혈관에 과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용체 티로신 키네이스(tyrosine kinase)인 VEGFR-2,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PDGFR)-β, c-kit와 더불어 신호전달경로의 세린/트레오닌 키네이tm(serine/threonine kinase)인 라프 키네이스(Raf kinase)를 동시에 저해하는 경구용 표적항암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라페닙은 다양한 고형종양에 대해 임상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신세포암종에서 이미 표적항암제로 사용 중이며, 진행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에 대한 임상연구가 진행되어 최근 미국 식약청은 절제수술이 불가능한 간암의 치료제로 승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소라페닙의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치료 효과는 크지 않으며, 단지 진행된 간암 환자에서 생존 및 간암 진행의 최소한의 성과만을 보여주는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소라페닙의 간암에서의 치료 효과의 저하는 항암제 내성(비반응성 또는 저항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항암제 내성이란 항암화학요법을 이용한 암 치료에 있어서 장애가 되는 요소 중 하나로서, 암 환자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상조직이 살아남을 수 있는 혈중농도에서 환자는 부작용을 감수할 수 있어야 하고 암세포는 살해되어야 하는데, 항암제에 대한 약제 내성은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농도에 도달할 수 있는 양의 항암제를 투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암세포가 죽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항암제 내성은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심지어 같은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종양들 사이의 유전적 차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암 치료를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 항암제 투여가 있었으나, 암세포의 사멸과 정상세포의 생존을 위한 적절한 농도를 결정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암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높은 농도의 항암제를 투여하게 되면 정상세포까지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때문에 낮은 농도의 항암제를 투여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8854호에서는 대장암과 연관된 단백질인 CANu1 조절을 통한 암세포 생장 억제 및 항암제 민감성 증진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항암제의 내성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의 규명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암제 내성(비반응성 또는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를 밝히기 위하여 RNAi를 사용하여 유전자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이 소라페닙의 항암세포에 대한 비반응성 또는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885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MG-1의 항암제 민감성(sensitivity) 증진이라는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암제와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MG-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sensitivity)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MG-1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암제와 동시에(simul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형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간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암제와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MG-1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형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은 소라페닙(sorafenib)의 암세포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 증진과 관련된 기능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항암제인 소라페닙의 암세포에 대한 내성을 조절하는 경우, 낮은 농도의 소라페닙의 사용만으로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을 유도할 수 있어 암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에서 SMG-1 mRNA 양을 qPCR 분석을 통해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에서 SMG-1의 단백질의 양을 단백질 겔 블랏(protein gel blots)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에서 소라페닙을 농도별(0, 2, 5, 10μM) 로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sensitivity)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은 세린-트레오닌 키네이스(serine/threonine kinase)로서, 벌레 및 포유동물에 nonsense-mediated mRNA decay (NMD)에서 보존적 역할을 수행하며, 인간 SMG-1은 유전자독성 스트레스에서 p53-매개된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MG-1의 기능으로는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inase)의 일원으로서 미성숙한 종결코돈을 포함하는 mRNA를 제거하는 작용인 nonsense mediated RNA decay (NMD)에 관여하며(Denning G, Jamieson L, Maquat LE, Thompson EA, Fields AP. Cloning of a novel phosphatidylinositol kinase-related kinase: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SMG-1 RNA surveillance protein. J Biol Chem. 2001;276(25):22709-14.); Caenohabditis elegans에서 수명과 산화 스트레스의 저항에 관여하며 배형성 과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DNA 손상 시에 p53을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Masse I, Molin L, Mouchiroud L, Vanhems P, Palladino F, Billaud M, et al. A novel role for the SMG-1 kinase in lifespan and oxidative stress resistance in Caenorhabditis elegans. PLoS One. 2008;3(10):e3354. PMCID: 2556085.); 저산소 상태(Hypoxia)에서 종양의 혈관형성과 전이에 관여하는 Hypoxia-inducible factor (HIF)-alpha의 기능을 억제하는 음성 조절자의 작용(Chen RQ, Yang QK, Chen YL, Oliveira VA, Dalton WS, Fearns C, et al. Kinome siRNA screen identifies SMG-1 as a negative regulator of hypoxia-inducible factor- 1alpha in hypoxia. J Biol Chem. 2009;284(25):16752-8.)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항암제의 내성과 관련하여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은 SMG-1이 항암제인 소라페닙의 암세포에 대한 내성(비반응성 또는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임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SMG-1의 항암제 민감성 증진이라는 신규 용도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SMG-1 siRNA로 형질전환시킨 간암세포주 Hep3B에 소라페닙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대조군은 소라페닙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되는 반면 siRNA를 이용하여 SMG-1을 넉다운시킨 실험군에서는 감암세포의 생존율이 두드러지게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SMG-1 발현 조절이 소라페닙의 암세포주에 대한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 민감성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용어 "siRNA"는 RNA 간섭 또는 유전자 사일런싱(silencing)을 매개할 수 있는 약 20 뉴클레오티드 크기의 작은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 최근 유전자 수준에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RNA 간섭(RNA interference, RNAi) 현상을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siRNA는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용어 "항암제"란 암세포의 각종 대사경로에 작용하여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cytotoxicity)이나 성장억제효과(cytostatic effects)를 나타내는 기존의 암 치료에 사용되는 공지의 약제를 총칭하는 것이며, 지금까지 개발된 대사길항제, 식물성 알칼로이드,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topoisomerase inhibitor), 알킬화제, 항암성 항생물질, 호르몬제 및 기타 약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민감성이 증대될 수 있는 항암제의 종류로는 시중에 판매되는 어떠한 항암제도 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반데타닙, 니로티닙, 세마사닙, 보수티닙, 악시티닙, 세디라닙, 레스타우르티닙, 트라스투주맙, 게피티니브,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시스플라틴,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 키토산,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우라실, 시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플루타미드,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에토포시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테니포시드, 독소루비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클로람부실, 미토락톨, 레우코보린, 트레토닌, 엑스메스탄, 아미노글루테시미드, 아나그렐리드, 나벨빈, 파드라졸, 타목시펜, 토레미펜, 테스토락톤,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로졸, 비칼루타미드, 로무스틴 및 카르무스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라페닙(sorafenib)에 대한 내성(비반응 또는 저항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SMG-1은 효소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 야생형뿐만 아니라 90% 이상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가지고 효소 활성을 가지는 기능적 상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동성"이란 야생형(wild type)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서열로 정의되는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육안으로나 구입이 용이한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시판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2개 이상의 서열 간의 상동성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으며, 상동성(%)은 인접한 서열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러한 인위적인 변형에 의해 90% 이상의 상동성이 유지되고 본 발명에서 효소 활성을 보유하는 한 균등한 단백질임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MG-1 단백질은 효소 활성을 보유하는 한 이들의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이체란 천연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야생형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활성을 갖는 기능적 상동체 또는 물리 화학적 성질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변형을 가지는 단백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변형된 변이체이다. 예를 들어, 온도, 수분, pH, 전해질, 환원당, 가압, 건조, 동결, 계면장력, 광선, 동결과 해동의 반복, 고농도 조건 등의 물리적 요인과 산, 알카리, 중성염, 유기용매, 금속이온, 산화환원제, 프로티아제 등의 화학적 요인의 외부 환경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된 변이체이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상의 변이로 효소 활성이 증대된 변이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MG-1 단백질은 생물체로부터 직접 분리하여 제조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MG-1 단백질은 생물체로부터 직접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세포에 함유된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는 많은 공지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MG-1 단백질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폴리펩티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통상의 단계적인 액체 또는 고체상 합성, 단편 응축, F-MOC 또는 T-BOC 화학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펩티드의 제조방법은 고체상 합성방법(solid phase syntheses)을 이용하는 것이다. IL-1β는 보호된 아미노산간의 응축반응(condensation reaction)에 의하여 통상의 고체상 방법으로, C-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서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합성할 수 있다. 응축 반응 후 보호기 및 C-말단 아미노산이 연결된 담체를 산분해(acid decomposition) 또는 아미놀리시스(aminolysis)와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폴리펩티드 합성법은 관련 서적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MG-1 단백질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핵산)를 적절한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벡터를 숙주세포로 형질전환하여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숙주세포를 배양한 뒤, 숙주세포로부터 상기 단백질을 회수하는 과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단백질은 선택된 숙주 세포에서 발현시킨 후, 분리 및 정제를 위해 통상적인 생화학 분리 기술, 예를 들어 단백질 침전제에 의한 처리(염석법), 원심분리, 초음파파쇄, 한외여과, 투석법, 분자체 크로마토그래피(겔여과), 흡착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순도가 높은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본 발명의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SMG-1 단백질 이외에, 당업계의 공지된 담체 및 희석제와 함께 적절한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 예를 들면, 정맥 내 주사, 근육 내 주사, 복강 내 주사, 피하주사, 좌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형들은 약제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충전물, 결합제, 습윤제, 분해제, 윤활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완충액, 방부제, 용해보조제, 소독제, 감미료, 향신료, 진통제, 안정화제, 등장액제 등을 이용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각각의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 콜라겐,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딘, 카복시비닐 중합체, 알긴산 나트륨, 수용성 덱스트란, 카복시메틸 나트륨 녹말, 펙틴, 잔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 카제인, 겔라틴, 한천,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글리콜, 바셀린, 파라핀, 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인간 혈청 알부민, 만니톨, 소비톨 및 젖산 등이 있다.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가 조제 형태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방법으로는, 정맥내, 동맥내 투여와 같은 통상적인 전신투여 이외에 표적세포로의 국소적 투여가 행해질 수 있으며, 카테터 기술 및 외과적 수술과 조합된 투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은 항암제와 동시에(simul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암의 종류로는,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을 들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라페닙(sorafenib)의 민감성 증가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암의 종류로는 바람직하게는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증상, 투여시간, 투여방법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인기준 1일 0.1 ~ 100 mg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투여량은, 초기에는 세포배양을 통한 시험관내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당 분야에서 과도한 실험을 거치지 않고도 치료에 유효한 양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간에서 유용한 투여량을 더욱 정확하게 결정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항암제와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항암제로는 암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라페닙(sorafenib)일 수 있다.
본 발명 항암용 조성물은 항암제 및 SMG-1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어떤 형태의 약제여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두 유효 성분을 포함한 합제를 구성해도 좋고, 각각 단제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여기에서 합제란, 하나의 제제에 2 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을 배합한 것을 말하며, 단제란 하나의 제제에 하나의 유효 성분을 함유한 것을 말하며, 이때 상기 유효 성분들은 각각의 약리, 약동학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제형으로 제조되어 합쳐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 유효 성분이 단제인 경우의 치료제는 각각 단일로 이용이 가능한 단제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두 유효 성분이 단제인 경우는, 두 성분을 한 번에 갖춘 형태인 키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은, 그들만 혹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적당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연질캡슐제, 경질캡슐제, 정제, 시럽제 등의 경구제, 주사제 또는 외용제를 들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는 멸균용액, 정제, 코팅정 및 캡슐과 같은 공지된 제형들에 사용되는 표준의 제약학적 담체 중 어느 것이든 포함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담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덱스트린, 전분, 밀크, 당, 특정 종류의 클레이, 젤라틴, 스테아린 산, 탈크, 식물성 기름 (예를 들면 식용유, 면실유, 코코넛유, 아몬드유, 낙화생유를 들 수 있다) 중성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의 유상 에스테르, 광물유, 바세린, 동물유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예를 들면 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등의 부형제, 또는 기타 다른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에는 또한 산화방지제, 습윤제, 점도안정제, 풍미제, 색소 첨가제 및 다른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주지된 방법에 의해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용 조성물은,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으며,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유효 성분이 각각 단제인 경우의 투여 횟수는 같은 횟수일 수도, 다른 횟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암 치료를 위해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전형적인 투여량 수준 및 항암제(예: 소라페닙) 및 SMG-1 물질의 비율은 표준 임상적 기술을 사용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암용 조성물이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암의 종류로는,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 등을 들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항암제 및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소라페닙 및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암제 및 SM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이란,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암)에 대해 완화, 억제, 호전 및/또는 완치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암제로서 소라페닙을 사용할 경우, 소라페닙 및 SMG-1의 투여량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투여 경로 또한 환자의 연령, 투여기간, 체중,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의식 여부, 병용 약물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투여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을 별개로 동시 또는 연쇄적으로, 혹은 시간을 두고 별개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항암용 조성물은 비 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해 투여된다. 비 경구 주입에는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또는 피하투여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투여방식은 정맥 주사, 피하주사, 피내 주사제, 근육주사 및 점적 주사이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를 발현하는 벡터에 의해 제공되어 단백질로 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MG-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자연에서 분리되거나 인위적으로 합성 또는 변형된 것일 수 있는데, SMG-1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은 하나 이상의 핵산 염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의해 발현된 단백질은 이의 생물학적 작용성에 유의한 변화를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상기한 변형은 이종의 상동성 유전자로의 변형을 포함한다.
따라서 SMG-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핵산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염기 서열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를 발현하는 벡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재조합 발현벡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SMG-1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공지된 플라스미드, 파지, 코스미드, 바이러스벡터 또는 기타 매개체를 의미한다.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DNA에 통합될 수 있다.
SMG-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프로모터/인핸서 서열과 같은 발현 조절 서열 및 기타 전사, 해독 또는 프로세싱에 필요한 서열들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서열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구성적 발현(constitutive expression)을 지시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조직-특이적 조절 및/또는 유도성 서열을 포함한다. 발현 벡터의 설계는 트랜스펙션시킬 숙주 세포, 목적하는 발현 수준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을 발현하는 발현벡터는 비바이러스성 벡터 또는 바이러스성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바이러스성 벡터로는 플라스미드가 대표적이다. 플라스미드 발현 벡터는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는 FDA의 승인된 유전자 전달방법으로 사람 세포에 직접적으로 플라스미드 DNA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플라스미드 DNA는 바이러스 벡터와는 달리 균질하게 정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미드 발현 벡터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포유동물 발현 플라스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pRK5(유럽특허 제307,247호), pSV16B(국제특허공개 제91/08291호) 및 pVL1392(PharMingen)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SMG-1 단백질을 발현하는 발현벡터로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이러스 벡터는 예를 들어,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아데노바이러스-연관 바이러스, 허피스바이러스(herpes virus) 및 아비폭스바이러스(avipoxvirus) 등이 포함된다. 바이러스 벡터는 다음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1) 목적하는 세포에 감염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적합한 숙주 범위를 갖는 바이러스 벡터가 선택되어야 하고, (2) 전달된 유전자가 적절한 기간 동안 세포에서 보존되고 발현될 수 있어야 하며, (3) 벡터가 숙주에 안전해야 한다.
상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는 바이러스 유전자가 모두 제거되었거나 또는 변경되어 비-바이러스 단백질이 바이러스 벡터에 의해 감염된 세포 내에서 만들어지도록 제작된 것이다. 유전자 요법을 위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의 주요 장점은 다량의 유전자를 복제세포 내에 전달하고, 세포 DNA 내로 전달된 유전자를 정확하게 통
합하며, 유전자 형질 감염 후 연속적인 감염이 유발되지 않는 것이다. FDA에서 인증 받은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는 PA317 암포트로픽 레트로바이러스 패키지 세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Miller, A.D. and Buttimore, C., Molec. Cell Biol., 6:2895-2902, 1986).
비-레트로바이러스 벡터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아데노바이러스가 있다. 아데노바이러스의 주요 장점은 다량의 DNA 단편(36kb 게놈)을 운반하고, 매우 높은 역가로 비-복제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허피스 바이러스도 사람 유전자 요법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Wolfe, J.H., et al., Nature Genetics,1:379-384, 1992). 이외에도, 공지된 적절한 바이러스 벡터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세포 내로 유전자 전달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바이러스 벡터로는 뮤린 백혈병 바이러스(MLV), JC, SV40, 폴리오마,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 파필로마 바이러스, 백시니아, 폴리오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신드비스 바이러스, 렌티 바이러스, 기타 사람 및 동물 바이러스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현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에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일시적 형질감염(transient transfection), 미세주사, 형질도입(transduction), 세포융합, 칼슘 포스페이트 침전법, 리포좀 매개된 형질감염(liposome-mediated transfection), DEAE 덱스트란-매개된 형질감염(DEAE Dextran- mediated transfection), 폴리브렌-매개된 형질감염(polybrene-mediated transfection), 전기침공법(electropora tion), 유전자 총(gene gun) 및 세포 내로 핵산을 유입시키기 위한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세포 내로 도입할 수 있다(Wu et al., J. Bio. Chem., 267:963-967, 1992; Wu and Wu, J. Bio. Chem., 263:14621-14624, 1988).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SMG -1 siRNA 로 형질전환된 간암세포 내의 SMG -1 발현 정도 측정
본 발명자들은 먼저 SMG-1 siRNA가 SMG-1를 효과적으로 넉다운(knockdown)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암세포주인 Hep3B 세포를 서열번호 3의 서열을 갖는 SMG-1 siRNA로 형질전환시킨 후 상기 세포내의 SMG-1의 발현정도를 전사 수준 및 단백질 수준에서 측정하였다.
<1-1> 간암세포주 배양 및 SMG -1 siRNA 준비
Hep3B 세포들을(American Tissue Culture Collection) 1×106/cm2의 농도로 분주한 후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IU/ml)이 첨가된 10% FBS가 보충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인큐베이터(humidified incubator: 5% CO2 in air)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StealthTM RNAi 이중나선은 Invitrogen Life Technologies Inc.에 의해 상업적으로 합성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한 StealthTM RNAi(HSS118096, HSS118097, HSS11808)은 인간 SMG-1 mRNA 서열의 코딩 영역의 타겟을 위해 디자인되었다(NCBI Reference Sequence: NM_015092.3).
<1-2> SMG -1 siRNA 를 이용한 형질전환
먼저 10% FBS(Invitrogen Life Technology Inc.)를 포함하는 DMEM(Invitrogen Life Technology Inc.)을 이용하여 배양된 Hep3B 세포를 60mm dish에 4×105 농도로 분주하였다. 다음 날 프로토콜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세포들을 hiperfect transfection reagent(Qiagen)이용하여 invitrogen社에서 구입한 StealthTM RNAi 이중나선(Cat No/Lot 10620318/205814B02 및 10620319/205814B03)으로 형질전환시켰다(하기 표 1 참조). 이때 StealthTM RNAi의 최종 농도는 50nM이었으며, 대조군은 siRNA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는 Med GC(Invitrogen Life Technology Inc.)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StealthTM RNAi 이중나선
Cat No/Lot 타입 서열
10620318/205814 B02 RNA GAGGAUGACCCUAGGCUGCAUUUAA
10620319/205814 B03 RNA UUAAAUGCAGCCUAGGGUCAUCCUC
<1-3> 역전사 및 실시간 qPCR 분석
본 실험에서는 SMG-1 siRNA 형질전환에 따라 유전자 레벨에서 SMG-1의 발현이 억제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2>을 통해 제조된 형질전환 세포에서 SMG-1 유전자 발현 정도를 qPCR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TRIZOL kit (invitrogen)를 이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Hep3B 세포로부터 전체 mRNA을 추출하였다. 실시간 정량 분석은, Reverse Transcription Kit (Invitrogen)을 이용하여 첫 번째 cDNA strand를 준비하였고, smg1 taqman 프로브들은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Applied Biosystems)에서 디자인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간 PCR은 CABI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상에서 Taqman fast reagents starter kit (ABI)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발현 결과들은 내부 대조군으로서 GAPDH를 이용하여 정량 표준화시켰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에서 SMG-1의 mRNA가 두드러지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MG-1 유전자 발현은 SMG-1 siRNA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사 수준에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단백질 겔 블랏 분석
상기 실시예 <1-2>을 통해 제조된 형질전환 세포에서 생성되는 SMG-1 단백질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PBS을 이용하여 형질전환된 Hep3B 세포들을 세척한 후, 용해 버퍼를 처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한 다음 NuPAGE Novex 3-8% Tri-Acetate(Invitrogen)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모든 1차 항체들을 하기 농도에 따라 0.1% 트윈를 포함하는 Tris buffered saline(TBS-T)에서 3% BSA로 희석시켰다: 항-β-액틴(1:1000, Cell Signaling), 항-SMG-1 (1:500, Cell Signaling) 및 2차 HRP 컨쥬게이트된 항체(Cell signaling). HRP는 Immunobilon Western chemiluminescent HRP substrate kit (Millipore)를 이용하여 검출하였으며, 이미지는 Bio-Rad ChemiDoc XRS System을 이용하여 스캔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에서 SMG-1의 단백질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형질전환시킨 SMG-1 siRNA가 SMG-1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넉다운(knockdown)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SMG -1의 발현이 억제된 세포에 소라페닙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 측정
본 발명자들은 SMG-1 유전자가 소라페닙 내성(비반응성 또는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주에 소라페닙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상기 암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자세하게는 SMG-1 siRNA로 형질전환된 Hep3B 세포들을 0, 2, 5,10μmol의 소라페닙으로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Daeillab, Korea)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가 배양된 96 웰 각각에 EZ-CyTox solution (10 μL)을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흡광도는 ELISA reader at 450 nm (Microplate reader, Bio-Ra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100% 생존율로 정의된 비히클 처리된 세포(비형질전환된 세포)에 따른 상대 퍼센트로써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은 소라페닙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되는 반면 siRNA를 이용하여 SMG-1을 넉다운시킨 실험군에서는 간암세포의 생존율이 두드러지게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SMG-1 발현 조절이 소라페닙의 암세포주에 대한 내성(비반응성 또는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SMG-1의 발현 또는 활성이 억제되는 경우 소라페닙과 같은 항암제에 대해 암세포가 내성을 가져 항암제의 활성이 억제되는 반면, SMG-1이 발현되는 경우 소라페닙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세포 사멸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MG-1: 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3)

  1.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라페닙(sorafenib)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MG-1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페닙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라페닙과 동시에(simul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페닙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6. 삭제
  7. 소라페닙과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MG-1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용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위암, 대장암, 간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유방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신경교종,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용 조성물.
  11. SMG-1(Suppressor of Morphogenesis in Genitalia-1)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닙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페닙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13. 삭제
KR1020120055135A 2012-05-24 2012-05-24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KR10140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35A KR101401894B1 (ko) 2012-05-24 2012-05-24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35A KR101401894B1 (ko) 2012-05-24 2012-05-24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531A KR20130131531A (ko) 2013-12-04
KR101401894B1 true KR101401894B1 (ko) 2014-05-29

Family

ID=4998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135A KR101401894B1 (ko) 2012-05-24 2012-05-24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894B1 (ko)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Research. Vol. 66, No. 24, pp.11851-11858(2006.) *
Cancer Research. Vol. 66, No. 24, pp.11851-11858(2006.)*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4, No. 25, pp.16752-16758(2009.06.19.) *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84, No. 25, pp.16752-16758(2009.06.19.)*
The Journal of Gene Medicine. Vol. 6, No. 6, pp.597-602(2004.) *
The Journal of Gene Medicine. Vol. 6, No. 6, pp.597-602(20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531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1409B2 (ja) C/EBPα小分子活性化RNA組成物
EP2351575B1 (en) Grs for use in treating a cancer
KR101012904B1 (ko) 안지오포이에틴-유사 단백질 3 angptl3을 함유하는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EP3402802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immune response to a tumor associated antigen
KR101215069B1 (ko) Gkn 1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US2011020203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diac ischemic injury
KR20170138453A (ko) Braf 유전자 변이를 갖는 세포에 대한 세포사 유도제, 당해 세포의 증식 억제제 및 당해 세포의 증식 이상에서 기인하는 질환의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1213447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diac ischemic injury
KR20200044695A (ko) Syt11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
US2013012334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rdiac ischemic injury
JP7376960B2 (ja) 新規マイクロペプチドhmmwとその適用
JP2014114292A (ja) 抗腫瘍薬、医薬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
CN111110666A (zh) 一种治疗消化道癌症的药物组合物
KR101401894B1 (ko) Smg-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TW201200151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reduced MET phosphorylation by leukocyte cell-derived chemotaxin 2 in tumor cells
KR101542654B1 (ko) Zmym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CA2506617C (en) Colon cancer metastasis inhibitor
KR102209537B1 (ko) 전이성 암 치료용 조성물
CN106701904B (zh) Acsl4基因和表达产物在胃癌诊断与治疗中的应用
KR101697771B1 (ko) Itm2a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549667B1 (ko) 방사선 요법으로 인한 부작용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3361347B (zh) 针对血管生成素2的微小rna
CN108329387B (zh) 癌症相关的肿瘤特异转录本lin28b-tst及其用途
JP2014526440A (ja) 炎症誘発性状態の治療および予防のためのhdl関連分子の使用
KR102097794B1 (ko) 신규한 miRNA smR-167 및 폐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