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40B1 -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40B1
KR101401540B1 KR1020110134712A KR20110134712A KR101401540B1 KR 101401540 B1 KR101401540 B1 KR 101401540B1 KR 1020110134712 A KR1020110134712 A KR 1020110134712A KR 20110134712 A KR20110134712 A KR 20110134712A KR 101401540 B1 KR101401540 B1 KR 10140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asket
cap
contact
cok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792A (ko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트
Priority to KR102011013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16Sealing; Means for s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 원형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1 하우징 캡,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제2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지된 탄성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수단이 이동함에 따라 변형가능하고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코크스 오븐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1 가스켓, 상기 제2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2 가스켓, 상기 제1 및 제2 가스켓의 사이에 설치된 세라믹 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가스켓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PRESSURIZING APPARATUS INSTALLED AT DOOR OF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장치가 코크스 오븐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는 철과 산소의 화합물인 철광석을 고로 내에서 녹이는 열원인 동시에 철분을 철광석에서 분리시키는 환원제의 역할을 하는데, 코크스 오븐이라 불리는 장치에서 생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100)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탄화실(2)을 구비하는데, 탄화실(2)에 장입차(10)를 이용하여 석탄(7)을 장입한 후, 1,000 ~ 1,300℃의 온도로 약 19시간 동안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고 가열함으로써 석탄에 함유된 휘발성분이 제거된 회백색의 코크스를 생산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건류(乾溜)작업이라고 하는데, 건류작업이 끝난 후에는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60)를 개방하고 코크스를 압출기(13)에 의해 탄화실(2)로부터 배출하여 트랜스카(15)의 코크스 가이드를 통해 소화차(17)에 적재한 후, 소화탑으로 이송시켜 냉각시킨다.
상기와 같이 탄화실(2)로부터 코크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압출기(13)와 트랜스카(15)는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60)를 폐쇄시키고 탄화실(2) 내에 석탄을 재장입하여 건류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100)에 구비된 탄화실(2)의 입구에는 도어 프레임(70)이 고정되어 있고, 도어 프레임(70)에 도어(60)가 설치된다. 도어(60)의 내측에는 도어 프레임(70)과 접촉하는 곳에 실링 스트립(80)이 부착되어 도어(60)와 도어 프레임(70)의 사이를 밀봉시킨다. 건류작업 중에는 코크스 오븐(100) 내에서 큰 압력이 작용하므로, 도어(60)와 도어 프레임(70)의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압장치(90)가 도어(60)에 설치되어 실링 스트립(80)에 하중을 가한다. 가압장치(90)는 고정구(110) 및 볼트(120)를 사용하여 도어(60)에 설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장치(90)는 도어(60)에 설치되는 중공 원형실린더 형상의 하우징(91), 하우징(9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92), 스프링(92)과 접촉하고 하우징(9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캡(93)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91)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는 단턱(94)이 형성되고 단턱(94)의 중앙에는 구멍(95)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94)에는 스프링(92)이 지지되고 구멍(95)에는 고정구(110)가 삽입되어 하우징(91)을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60)에 고정시킨다. 캡(93)이 하우징(91)이 설치될 때 하우징(91)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홈(96)이 형성된다. 홈(96)에 볼트(120)를 삽입하여 볼트(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캡(93)이 하우징(91) 내로 이동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스프링(92)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가압장치(90)가 고열을 받는 도어(6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92)이 고열에 의해 쉽게 열화(劣化)된다. 따라서, 가압장치(90)가 실링 스트립(80)에 하중을 제대로 가하지 못하여 실링 스트립(80)과 도어(60) 사이로 탄화실(2) 내의 가스가 새는 문제점이 있다.
가압장치(90)에서 스프링(92) 및 캡(93)이 하우징(91)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91)에 스프링(92)이 삽입된 후 캡(93)이 스프링(92) 위에 단지 얹혀져 있기 때문에 가압장치(90)의 각 부품을 별개로 관리하여 현장에서 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압장치(90)의 스프링(92)이 열화되어 탄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스프링(92)만을 교환하는데, 가압장치(90)가 고열을 받는 도어(6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장치(90)에서 스프링(92)을 분리하여 새로운 스프링으로 교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0819호 (2010.9.15.),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문단번호 2 내지 6.
코크스 오븐 조업상태판정의 자동화, 한익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7), pp. 3-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장치에 포함된 탄성수단이 코크스 오븐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지된 탄성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함에 따라 변형가능하고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코크스 오븐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중공 원형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1 하우징 캡,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제2 하우징 캡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1 가스켓, 상기 제2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2 가스켓, 상기 제1 및 제2 가스켓의 사이에 설치된 세라믹 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가스켓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중심축을 향해 연장된 내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캡은 상기 내향 플랜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하우징 캡은 상기 내향 플랜지에 걸리는 제1 캡 몸체, 상기 제1 캡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캡은 상기 걸림턱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스켓은 상기 제1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1 세라믹 가스켓, 일측은 상기 제1 세라믹 가스켓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탄성수단과 접촉하는 제1 비석면(非石綿) 내열 가스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스켓은 상기 제2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2 세라믹 가스켓, 일측은 상기 제2 세라믹 가스켓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탄성수단과 접촉하는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에 단열수단을 구비하여 가압장치에 포함된 탄성수단이 코크스 오븐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인 하우징, 탄성수단 및 단열수단을 조립하여 완성된 상태로 공급함으로써 가압장치를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가압장치의 스프링이 열화되어 탄성이 저하된 경우에 고열을 받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된 가압장치에서 스프링을 분리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부품이 조립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교체함으로써 가압장치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석탄이 장입되는 코크스 오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크스 오븐에 설치되는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는 크게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60)에 설치되는 하우징(200)으로서 하우징(200)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내부에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지된 탄성수단(300),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수단이 이동함에 따라 변형가능하고 탄성수단(300)이 코크스 오븐(100)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400)을 포함한다. 탄성수단(300)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스프링(310)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을 가진 수단이라면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이동수단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1 하우징 캡(220)을 나타낸다.
하우징(200)은 중공 원형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210),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하우징 본체(210)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1 하우징 캡(220),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제2 하우징 캡(230)을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210)는 원형실린더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캡(230)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하우징 본체(2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하우징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서 하우징 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중심축을 향해 연장된 환형의(annular) 내향 플랜지(211)가 형성되어, 제1 하우징 캡(220)의 제1 캡 몸체(221)에 걸린다. 내향 플랜지(211)의 내주면의 반경은 제1 캡 몸체(221)의 외주면의 반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향 플랜지(211)는 환형 이외에 방사상 대칭인 단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 환형의 걸림턱(212)이 형성되고, 제2 하우징 캡(230)의 제2 캡 몸체(231)는 걸림턱(212)에 고정된다. 걸림턱(212)의 내주면의 반경은 제2 캡 몸체(231)의 외주면의 반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우징 캡(220)은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향 플랜지(211)에 걸리는 제1 캡 몸체(221), 제1 캡 몸체(221)의 외측면에 원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돌기(222), 돌기(222)의 외측면에 형성된 원형 실린더 형상의 홈(223)을 포함한다. 돌기(222)의 외주면의 반경은 내향 플랜지(211)의 내주면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돌기(222)가 내향 플랜지(211)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222)에 형성된 홈(223)에는 볼트(120)를 삽입하여 볼트(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 캡(220)이 하우징 본체(210) 내로 이동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스프링(310)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돌기(222)의 외주면에는 눈금(224)이 형성되어 스프링(310)이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눈금(224)의 옆에는 스프링(310)의 변형정도 또는 이에 대응되는 탄성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캡 몸체(221)의 외주면의 반경은 하우징 본체(210)의 내주면의 반경보다 공차범위 내에서 작게 형성하여 볼트(120)의 회전에 의해 제1 하우징 캡(220)이 하우징 본체(2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 캡(230)은 원형 디스크 형상의 제2 캡 몸체(231), 제2 캡 몸체(231)의 중심축방향 일측에 형성된 원형실린더 형상의 오목부(232), 제2 캡 몸체(231)의 중심축방향 타측에 형성된 원형실린더 형상의 볼록부(233)를 포함한다. 오목부(232)에는 고정구(110)가 삽입되어 하우징(200)을 코크스 오븐(100)의 도어(60)에 고정시킨다. 볼록부(233)에는 제2 세라믹 가스켓(421) 및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422)이 순서대로 삽입된다. 제2 하우징 캡(230)의 제2 캡 몸체(231)의 외주면의 반경이 하우징 본체(210)의 걸림턱(212)의 내주면의 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캡 몸체(231)가 걸림턱(212)에 걸리도록 제2 하우징 캡(230)을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에 설치하면, 가압장치 내에 조립되어 있는 부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장치 내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수단(400)은 제1 하우징 캡(220)과 접촉하는 제1 가스켓(410), 제2 하우징 캡(230)과 접촉하는 제2 가스켓(420), 제1 및 제2 가스켓(410, 420)의 사이에 설치된 세라믹 울(430)을 포함한다. 스프링(310)은 제1 및 제2 가스켓(410, 4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세라믹 울(430)은 제1 및 제2 가스켓(410, 420) 사이의 공간 중 스프링(310)이 설치된 공간 이외의 공간을 채운다. 제1 및 제2 가스켓(410, 420)은 하우징(200)의 내부로 코크스 오븐(100)의 고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라믹 울(430)은 하우징(200) 외부의 열기에 의해 스프링(310)이 열화되어 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세라믹 울(430)은 신축가능한 재료이므로, 볼트(120)의 회전에 의해 제1 하우징 캡(220), 제1 세라믹 가스켓(411) 및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이 하우징 본체(21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세라믹 울(430)도 변형될 수 있다.
제1 가스켓(410)은 제1 하우징 캡(220)과 접촉하는 제1 세라믹 가스켓(411), 일측은 제1 세라믹 가스켓(411)과 접촉하고 타측은 스프링(310)과 접촉하는 제1 비석면(非石綿) 내열 가스켓(412)으로 구성된다. 제1 세라믹 가스켓(411) 및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은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1 세라믹 가스켓(411) 및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의 외주면의 반경은 하우징 본체(210)의 내주면의 반경보다 공차범위 내에서 작게 형성하여 볼트(120)의 회전에 의해 제1 하우징 캡(220)이 하우징 본체(21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 세라믹 가스켓(411) 및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도 제1 하우징 캡(2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스켓(420)은 제2 하우징 캡(230)과 접촉하는 제2 세라믹 가스켓(421), 일측은 제2 세라믹 가스켓(421)과 접촉하고 타측은 스프링(310)과 접촉하는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422)으로 구성된다. 제2 세라믹 가스켓(421) 및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422)은 환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하고 환형 디스크의 내주면의 반경은 제2 하우징 캡(230)의 볼록부(233)의 외주면의 반경과 동일하고, 환형 디스크의 외주면의 반경은 하우징 본체(210)의 내주면의 반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세라믹 가스켓(411, 421)은 단열성은 좋으나 내구성이 약하므로 스프링(310)과 직접 접촉하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세라믹보다 단열성은 낮으나 내구성이 높은 비석면(非石綿) 재료로 형성된 제1 및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 422)이 스프링(310)과 직접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가스켓(410, 420)의 단열성과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가압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6 참고). 제1 하우징 캡(220)을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통하여 돌기(222)가 제1 캡 몸체(221)보다 먼저 통과하도록 삽입하여 제1 하우징 캡(220)의 제1 캡 몸체(221)가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내향 플랜지(211)에 걸리도록 한다. 그 다음 제1 세라믹 가스켓(411),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을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통하여 순서대로 삽입한다. 스프링(310)을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통하여 삽입하여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412)과 접촉시킨다.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통하여 세라믹 울(430)을 삽입하여 스프링(310)과 하우징 본체(210)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제2 하우징 캡(230)의 볼록부(233)에 제2 세라믹 가스켓(421) 및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422)을 순서대로 설치한다. 제2 세라믹 가스켓(421) 및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422)이 설치된 제2 하우징 캡(230)을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통하여 볼록부(233)가 오목부(232)보다 먼저 통과하도록 삽입하여 제2 하우징 캡(230)의 제2 캡 몸체(231)가 하우징 본체(210)의 걸림턱(212)에 걸리도록 하여 제2 하우징 캡(230)을 하우징 본체(210)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에 고정시키면 가압장치가 완성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0: 코크스 오븐 60: 도어
200: 하우징 210: 하우징 본체
211: 내향 플랜지 212: 걸림턱
220: 제1 하우징 캡 221: 제1 캡 몸체
222: 돌기 223: 홈
230: 제2 하우징 캡 231: 제2 캡 몸체
232: 오목부 233: 볼록부
300: 탄성수단 310: 스프링
400: 단열수단 410: 제1 가스켓
411: 제1 세라믹 가스켓 412: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
420: 제2 가스켓 421: 제2 세라믹 가스켓
422: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 430: 세라믹 울

Claims (6)

  1.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으로서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지지된 탄성수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함에 따라 변형가능하고 상기 탄성수단이 상기 코크스 오븐의 열기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공 원형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제1 하우징 캡,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를 밀폐시키는 제2 하우징 캡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1 가스켓, 상기 제2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2 가스켓, 상기 제1 및 제2 가스켓의 사이에 설치된 세라믹 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가스켓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중심축을 향해 연장된 내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캡은 상기 내향 플랜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캡은 상기 내향 플랜지에 걸리는 제1 캡 몸체, 상기 제1 캡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일측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중심축방향 타측 단부의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캡은 상기 걸림턱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켓은 상기 제1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1 세라믹 가스켓, 일측은 상기 제1 세라믹 가스켓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탄성수단과 접촉하는 제1 비석면 내열 가스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스켓은 상기 제2 하우징 캡과 접촉하는 제2 세라믹 가스켓, 일측은 상기 제2 세라믹 가스켓과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탄성수단과 접촉하는 제2 비석면 내열 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KR1020110134712A 2011-12-14 2011-12-14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KR10140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712A KR101401540B1 (ko) 2011-12-14 2011-12-14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712A KR101401540B1 (ko) 2011-12-14 2011-12-14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792A KR20130067792A (ko) 2013-06-25
KR101401540B1 true KR101401540B1 (ko) 2014-06-03

Family

ID=4886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712A KR101401540B1 (ko) 2011-12-14 2011-12-14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2683A1 (en) * 2016-06-30 2018-01-04 Centre De Pyrolyse Du Charbon De Marienau Device for measuring a shape of a wall portion of an oven, such as a coke oven
KR102508666B1 (ko) * 2021-06-10 2023-03-14 주식회사 엘오티아이 타이타늄 탈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타이타늄 탈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600A (en) 1982-09-30 1984-04-03 Haran W. Bullard, Jr. Spring adjusting device for a self-sealing coke oven door
US5238539A (en) 1987-08-06 1993-08-24 Saturn Machine & Welding Co., Inc. Coke oven door
JPH1077480A (ja) * 1996-09-03 1998-03-24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炉炉蓋のシ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600A (en) 1982-09-30 1984-04-03 Haran W. Bullard, Jr. Spring adjusting device for a self-sealing coke oven door
US5238539A (en) 1987-08-06 1993-08-24 Saturn Machine & Welding Co., Inc. Coke oven door
JPH1077480A (ja) * 1996-09-03 1998-03-24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炉炉蓋のシ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792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8907B1 (en) Mechanical seal apparatus
KR101401540B1 (ko) 코크스 오븐의 도어에 설치되는 가압장치
US20110314829A1 (en) Liner aft end support mechanisms and spring loaded liner stop mechanisms
TW201329376A (zh) 流體控制閥
BRPI0517920B1 (pt) Cilindro, e montagem de cabeça de cilindro, compressor linear para um sistema de refrigeraçã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compressor linear
CN104696929A (zh) 密封灯具
US3952454A (en) Device for sealing doors of coke oven
CN104088910A (zh) 冷轧退火炉炉辊轴承用组合密封装置
CN102953863B (zh) 冷却剂密封件及歧管垫片组件
CN211420287U (zh) 一种密封性好的井式气体渗碳炉
CN106931049B (zh) 离合器系统及其离合器操纵机构
TWI830583B (zh) 半導體高壓退火裝置
KR20160011423A (ko)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 프레임
US2153674A (en) Shaft seal
CN103776259B (zh) 一种用于井式炉口的密封装置
JP2016080104A (ja) バルブ機構
JP2019002529A (ja) 断熱装置
JP6794979B2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の炉蓋およびその乾燥孔蓋の固定方法
CN109196254A (zh) 气缸体和气缸盖的密封构造
US20220325798A1 (en) Flare tip having reduced gas leakage
TWI735758B (zh) 致動器的密封構造
KR101538861B1 (ko) 코크스 오븐 장입구 밀폐장치
RU2675389C1 (ru) Клапан герметичного литий-ионн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JP3196810U (ja) コークス炉用炉蓋
JP2023142073A (ja) 圧縮永久歪試験用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