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03B1 -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03B1
KR101401303B1 KR1020120135210A KR20120135210A KR101401303B1 KR 101401303 B1 KR101401303 B1 KR 101401303B1 KR 1020120135210 A KR1020120135210 A KR 1020120135210A KR 20120135210 A KR20120135210 A KR 20120135210A KR 101401303 B1 KR101401303 B1 KR 10140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oor
housing
door latch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순호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잠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차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을 이중으로 잠금하도록 작동하는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래치를 1단 잠금에서 2단 잠금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도어 래치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Actuator having control unit}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래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래치에는 상황에 따라서 도어를 차체에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래치는 다단으로 도어를 구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래치는 1단 잠금에 의하여 도어를 차체에 구속시키고, 도어가 차체에 완전히 접촉하는 경우 2단 잠금을 통하여 도어를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1단 잠금이 행해지는 경우 내부의 사용자가 2단 잠금을 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가 움직일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2단 잠금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자동차의 운행 중 외부의 충격 내지 내부의 사용자가 가력하는 경우와 같은 경우 도어가 오픈되어 내부의 사용자가 외부로 이탈되는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차량에는 도어 래치를 1단 잠금에서 2단 잠금 위치로 작동시키는 파워 클로징 엑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파워 클로징 엑추에이터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통하여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워 클로징 엑추에이터의 경우 외부에서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파워 클로징 엑추에이터의 외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유닛이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의 내부에 제어 유닛이 설치되어 내부 구조가 단순한 자동 잠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차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을 이중으로 잠금하도록 작동하는 도어 래치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래치를 1단 잠금에서 2단 잠금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도어 래치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자동 잠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래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어 유닛 중 하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어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어 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에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어 유닛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의 내부에 제어 유닛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구동부와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 유닛 사이의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어 공정이 간편해지고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 유닛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엑추에이터를 도어에 설치함으로써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엑추에이터의 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잠금 장치(100)가 설치된 도어(10)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엑추에이터(120)의 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자동 잠금 장치(100)는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어 프레임(1)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자동 잠금 장치(100)는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되는 차체(미도시)와 도어 프레임(1)을 이중으로 잠금하도록 작동하는 도어 래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래치(110)는 도어 프레임(1)의 회동 정도에 따라 상기 차체에 1단 잠금하여 도어 프레임(1)을 고정시키고, 2단 잠금하여 도어 프레임(1)을 완전히 폐쇄하여 상기 차체와 도어 프레임(1)을 밀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어 래치(110)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도어 래치(1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 래치(110)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1)은 다양한 형태의 도어(1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10)는 슬라이딩 도어(10), 일반적인 승용차에 설치되는 도어, 테일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인 승용차에 설치되는 도어(1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 잠금 장치(100)는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되며, 도어 래치(110)를 1단 잠금에서 2단 잠금으로 작동시키는 엑추에이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엑추에이터(120)는 도어 래치(110)와 케이블(5)로 연결되어 도어 래치(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엑추에이터(120)는 도어 프레임(1)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1)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1)은 두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엑추에이터(120)는 하우징(121)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블(5)과 연결되어 도어 래치(110)를 작동시키는 구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2)는 일반적인 모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엑추에이터(120)는 하우징(121)에 설치되어 구동부(122)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유닛(123)은 일반적인 PC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유닛(123)은 도어 래치(110)의 상태를 근거로 구동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잠금 장치(100)는 도어 래치(11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부는 도어 래치(110)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 래치(110)의 캐치의 회전 정도를 감지함으로써 1단 잠금 상태와 2 단 잠금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하우징(121) 또는 제어 유닛(123) 중 하나는 걸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1) 또는 제어 유닛(123)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와 결합하여 제어 유닛(123)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와 상기 고정부는 돌기와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두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고정부의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결합하여 제어 유닛(123)을 하우징(121)에 고정시키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123)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고정부로 고정되는 것 이외에도 결합부재(140)를 통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결합부재(140)는 나사, 볼트, 핀, 피벗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 유닛(123)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고정부가 아닌 결합부재(140)를 통하여 하우징(121)에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어 유닛(123)의 설치 및 엑추에이터(12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유닛(123)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21)에 결합부재(140)를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23)에는 결합부재(140)가 삽입되도록 결합부재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140)를 통하여 하우징(121)에 제어 유닛(123)을 설치하는 경우 제어 유닛(123)은 하우징(121)에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제어 유닛(123)은 하우징(121)에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엑추에이터(120) 외부에 별도의 제어 유닛(123) 없이도 구동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잠금 장치(100)의 경우 도어 래치(110)가 외부 환경에 따라 1단 잠금 상태일 때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센서부가 도어 래치(110)가 1단 잠금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 유닛(123)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송된 신호를 근거로 제어 유닛(123)은 도어 래치(110)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 유닛(123)은 도어 래치(110)의 상태가 1단 잠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122)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22)의 작동에 따라 도어 래치(110)가 작동하게 되고, 도어 래치(110)는 1단 잠금 상태에서 2단 잠금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 래치(110)가 작동하는 경우 도어 래치(110)는 도어 프레임(1)을 차체 쪽으로 완전히 밀착시키게 되고, 도어 프레임(1)은 상기 차체의 공간을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도어(10)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잠금 장치(100)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제어 유닛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구동부(122)와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 유닛 사이의 케이블을 제거할 수 있어 공정이 간편해지고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잠금 장치(100)는 제어 유닛(123)을 일체로 구비하는 엑추에이터(120)를 도어에 설치함으로써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자동 잠금 장치
110 : 도어 래치
120 : 엑추에이터
121 : 하우징
122 : 구동부
123 : 제어 유닛
140 : 결합부재

Claims (4)

  1.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차체와 상기 도어 프레임을 이중으로 잠금하도록 작동하는 도어 래치; 및
    상기 도어 래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래치의 캐치의 회전 정도를 감지함으로써 1단 잠금 상태와 2단 잠금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래치를 1단 잠금에서 2단 잠금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도어 래치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 래치를 작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자동 잠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어 유닛 중 하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제어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어 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자동 잠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에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어 유닛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 잠금 장치.
KR1020120135210A 2012-11-27 2012-11-27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KR10140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10A KR101401303B1 (ko) 2012-11-27 2012-11-27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210A KR101401303B1 (ko) 2012-11-27 2012-11-27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303B1 true KR101401303B1 (ko) 2014-05-30

Family

ID=5089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210A KR101401303B1 (ko) 2012-11-27 2012-11-27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61B1 (ko)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JP2006328704A (ja) * 2005-05-24 2006-12-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ラッチ装置
KR100821150B1 (ko) * 2007-06-22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트렁크 제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61B1 (ko)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JP2006328704A (ja) * 2005-05-24 2006-12-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ドアラッチ装置
KR100821150B1 (ko) * 2007-06-22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트렁크 제어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8139A1 (en) Rear entry latch assembly
JP4272061B2 (ja) 自動車のドア用のモジュラーロックおよびこのロックを備えたドア
CN110570554B (zh) 用于机动车辆车门的电子闩锁释放备用系统
US9046439B2 (en) E-latch having a magnetic snap assembly
JP2014507581A (ja) 自動車用ロックおよび製造方法
JP2018058520A (ja) ドアの開閉スイッチ
WO2007042233A3 (de) Vorrichtung zum öffnen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bei fahrzeugen
JP2011063146A (ja) テールゲート用オープンスイッチ誤操作防止構造
KR101875630B1 (ko) 차량용 도어 개폐 제어방법 및 도어 개폐 시스템
US20150130194A1 (en) Glove box for vehicle
US20170335605A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CA3035657A1 (en) Wirelessly controlled vehicle hood latch lock system
JP6984101B2 (ja) シートロック装置
US10865586B2 (en) Door module having carrier with electric latch
KR101401303B1 (ko) 제어 유닛 일체형 자동 잠금 장치
KR20140096188A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US20070273478A1 (en) Automotive latch and RF system interfacing
US20170260779A1 (en) Vehicle upper door latch device
US20220056738A1 (en) Electronic vehicle latch with separately attached control unit
US9127488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handle in an openable body section of an automobile and associated openable body section handle
JP2008162372A (ja) テールゲートドア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2001311338A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US10428561B2 (en) Verification system for a vehicle latch and method
CN111919008A (zh) 把手装置
WO2006002139A1 (en) Automotive latch and rf system interfa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