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253B1 -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253B1
KR101401253B1 KR1020120023021A KR20120023021A KR101401253B1 KR 101401253 B1 KR101401253 B1 KR 101401253B1 KR 1020120023021 A KR1020120023021 A KR 1020120023021A KR 20120023021 A KR20120023021 A KR 20120023021A KR 101401253 B1 KR101401253 B1 KR 10140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sk9
expression
ldlr
compoun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908A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2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6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having th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benzeneam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SK9 발현 억제 및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하여 LDLR 발현 양을 증가시키고 PCSK9의 발현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LDL receptor by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PCSK9}
본 발명은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생활과 생활 환경 등의 변화로 인하여 한국인에서의 고지혈증과 이와 연관된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율은 매우 높은 상태이며, 사망 원인의 가장 주된 원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줄이는 것은 일반인 및 대사성질환 환자의 건강 증진을 이룰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간장에서 생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는 것이며, 둘째, LDLR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간장세포막에 존재하는 LDLR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세포 내로 유입시켜 콜레스테롤이 간장에서 대사되어 배설되게 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단백질이다.
간장에서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은 현재 고지혈증 치료제로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스타틴(statin) 계열의 약물이다 (Goldstein, J. L. and Brown,  M. S. 2009. "The LDL Receptor."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9: 431-438). 스타틴 약물은 세포내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의 율속 효소(rate-limiting enzyme)인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 내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키고 결국 혈중으로 분비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춘다. 또한 스타틴 약물에 의하여 세포 내 콜레스테롤 양이 감소됨에 따라 2차적으로 세포막의 LDLR 발현을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LDLR이 결핍된 마우스에서 스타틴 약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고려할 때 LDLR의 양적인 증가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조절에 가장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PCSK9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LDLR의 EGF-A 도메인과 결합하여 세포 내로 이동한 후 세포 내에서 LDLR이 라이소좀(lysosome)에서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단백질이다 (Horton, J. et al. 2007. "Molecular biology of PCSK9: its role in LDL metabolism." Trends in Biochemical Sciences 32: 71-77). PCSK9의 발현이 증가될 경우 LDLR이 감소되어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PCSK9 활성이 증가하는 획득형질 돌연변이 (gain-of-function mutation)가 있는 환자는 상염색체 우성 가족성 과콜레스테롤혈증(autosomal dominant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이 발병한다(Abifadel, M., et al. 2003. "Mutations in PCSK9 cause autosomal dominant hypercholesterolemia." Nat. Genet. 34: 154-156). 반대로 PCSK9의 유전자 기능이 상실된 결실 기능 돌연변이(loss-of-function mutation)가 있는 사람에서 혈중 LDL-콜레스테롤의 농도가 정상인에 비하여 감소되어 있으며 관상동맥 질환의 발병 확률이 매우 낮은 사실이 보고되었다 (Cohen, J., et al. 2005. "Low LDL cholesterol in individuals of African descent resulting from frequent nonsense mutations in PCSK9." Nat. Genet. 37: 161-165). 또한 PCSK9가 결실된 마우스에서 LDLR의 발현 증가가 나타나며 혈중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감소됨이 보고되었다 (Rashid, S., et al. 2005. "Decreased plasma cholesterol and hypersensitivity to statins in mice lacking Pcsk9." Proc. Natl. Acad. Sci. U.S.A. 102: 5374-5379). 따라서 PCSK9은 그 발현을 억제할 경우 LDLR 양의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게 되어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PCSK9 억제 약물의 또 다른 유용성은 이러한 PCSK9 억제제가 스타틴 약물의 혈중 콜레스테로 농도 저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보조적인 약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스타틴 약물은 LDLR의 양을 감소시키는 PCSK9의 발현을 전사수준 (transcriptional level)에서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Jeong, H. J., et al. 2008. "Sterol-dependent regulation of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expression by 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2." J. Lipid Res. 49: 399-409; Dubuc, G., et al. (2004). "Statins upregulate PCSK9, the gene encoding the proprotein convertase neural apoptosis-regulated convertase-1 implicated i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4: 1454-1459.). 비록 스타틴 약물이 매우 효과적인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 약물임에는 틀림 없으나 임상적으로 스타틴 약물의 용량을 두 배 증가시킬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50% 이상 감소하지 못하고 최초 용량에 의하여 감소된 농도에 비하여 약 5% 내지 6% 만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스타틴의 효능이 용량에 비례하여 나타나지 않는 기전을 스타틴에 의한 PCSK9의 발현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현재까지 PCSK9의 조절을 통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를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siRNA를 이용하여 PCSK9의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 PCSK9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PCSK9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PCSK9과 LDLR간의 결합을 방해하는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PCSK9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및 소 분자 화합물(small compound)을 이용하여 PCSK9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발현 양의 감소를 유도하는 방법이 있었다.
소 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방법의 예로는 베르베린(berberine)(Kong, W., et al. 2004. "Berberine is a novel cholesterol-lowering drug working through a unique mechanism distinct from statins." Nature Medicine 10: 1344-1351; Li, H., et al. 2009. "Hepatocyte Nuclear Factor 1a Plays a Critical Role in PCSK9 Gene Transcription and Regulation by the Natural Hypocholesterolemic Compound Berberin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4: 28885-28895), 케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cholic acid)(Nilsson, L. M., et al. 2007. "Bile acids and lipoprotein metabolism: Effects of cholestyramine and chenodeoxycholic acid on human hepatic mRNA express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357: 707-711) 및 FXR (farnesoid X receptor)(Langhi, C. et al. 2008. "Activation of the farnesoid X receptor represses PCSK9 expression in human hepatocytes." FEBS Letters 582: 949-955)이 PCSK9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또한 PPAR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효능제(agonist)인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에 의하여 스타틴을 투여 받는 제2형 당뇨병 환자 군에서 PCSK9의 억제가 이루어지고 콜레스테롤 양이 줄어든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Lambert, G., et al. 2008. "Plasma PCSK9 Concentrations Correlate with LDL and Total Cholesterol in Diabetic Patients and Are Decreased by Fenofibrate Treatment." Clin Chem 54: 1038-1045).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 화합물에 의한 PCSK9 발현 억제 효과에 대하여 논쟁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용된 특정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PCSK9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방법은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PCSK9의 억제제와 스타틴과의 병행요법 방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및 스타틴계 화합물과 함께 병용 투여되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1945118-pat00001

X는 Cl이고,
R1은 H인 경우에 R2는 H, CH3, NO2, F, Cl, Br 또는 I 중 어느 하나이며,
R1이 CH3인 경우에 R2는 CH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이고,
<화학식 3>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이고,
<화학식 4>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5이고,
<화학식 5>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이고,
<화학식 6>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obesity),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심장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또는 고지혈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CSK9 발현 억제 또는 LDLR 발현 증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1945118-pat00007

X는 Cl이고,
R1은 H인 경우에 R2는 H, CH3, NO2, F, Cl, Br 또는 I 중 어느 하나이며,
R1이 CH3인 경우에 R2는 CH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2018306027-pat00009
<화학식 4>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0
<화학식 5>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타틴계 화합물과 함께 투여되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치료제 병용 투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1945118-pat00013

X는 Cl이고,
R1은 H인 경우에 R2는 H, CH3, NO2, F, Cl, Br 또는 I 중 어느 하나이며,
R1이 CH3인 경우에 R2는 CH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6
<화학식 5>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7
<화학식 6>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obesity),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심장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또는 고지혈증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타틴계 화합물은 로바스타틴(lo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아토바스타틴(atorvastatin), 세리바스타틴(ceri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또는 이들의 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 또는 metabolic syndrome)은 생체 내 물질 대사의 장애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환의 총칭으로, 비만(obesity),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심장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및 고지혈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수단을 통하여 PCSK9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LDLR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대사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가지 화합물을 HepG2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PCSK9과 LDL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한 결과이다. LDLR M은 당화(glycosylation)된 형태이며 P는 당화되지 않은 전구체(precursor) 형태이다. PCSK9 P는 PCSK9 합성과정 중 활성화되지 않은 전구체 형태이며 C는 단백질 일부가 절단되어 활성화된 형태이다. Lane 1은 화합물을 녹인 매질(vehicle)인 DMSO만을 처리한 세포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가지 화합물이 각각 처리된 HepG2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cDNA를 합성하여 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PCSK9를 합성하는 mRNA의 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세로축은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 (매질인 DMSO 만 처리)에서의 PCSK9 및 LDLR의 mRNA의 양을 1로 하였을 때 화합물을 처리한 세포에서 각각의 mRNA의 상대적인 양을 배수 (fold)로 나타낸 값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에 의하여 PCSK9 유전자 프로모터 부위의 전사활성 변화를 루시퍼레이즈 리포터 구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에 의한 HepG2 세포에서 LDL 흡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촬상한 사진 및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틴 단독으로 처리되었을 때와 스타틴 및 화합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PCSK9 및 LDLR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이다. LDLR M은 당화(glycosylation)된 형태이며 P는 당화되지 않은 전구체 형태이다. PCSK9 P는 PCSK9 합성과정 중 활성화되지 않은 전구체 형태이며 C는 단백질 일부가 절단되어 활성화된 형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처리에 따른 PCSK9 LDLR 의 발현 양 변화
1.1 화합물
하기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C935 [2-chloro-3-(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C1168 [2-chloro-3-[(4-fluoro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C1182 [2-chloro-3-[(3-methyl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C1184 [2-chloro-3-[(3-nitro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및 C1186 [2-chloro-3-[(2,5-dimethyl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화합물을 준비하였다.
#1 분자식 구조 화합물 명칭 분자량 비고
C935 C16H10ClNO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19
2-chloro-3-(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283.04 화학식 2
C1168 C16H9ClFNO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20
2-chloro-3-[(4-fluoro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301.03 화학식 3
C1182 C17H12ClNO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21
2-chloro-3-[(3-methyl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297.06 화학식 4
C1184 C16H9ClN2O4
Figure 112012018306027-pat00022
2-chloro-3-[(3-nitro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328.03 화학식 5
C1186 C18H14ClNO2
Figure 112012018306027-pat00023
2-chloro-3-[(2,5-dimethylphenyl)amino]naphthalene-1,4-dione 311.07 화학식 6
1 실험의 용이성을 위하여 본 개발자에 의해 부여된 임의의 번호이다.
1.2 HepG2 세포에서 PCSK9 LDLR 발현양의 변화
HepG2 세포 일정 수를 플레이트에 분주 한 후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1일차에 PCSK9을 세포에서 과발현시키기 위하여 지방질(lipid)이 제거된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10%로 함유된 배지에서 하루 더 배양하였다. 2일차에 화합물을 5 μM의 농도로 세포에 18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로부터 세포 균등액을 제조하여 일정량의 단백질을 전기영동 한 후,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PCSK9 및 LDLR에 대한 항체로 웨스턴 블롯을 시행하였다. 이용된 각 시료의 양적인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화합물에서 LDLR의 발현 양이 증가되었고, PCSK9의 발현은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HepG2 세포에서 PCSK9 LDLR mRNA 양의 변화
상기 실시예 1.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로부터 RNA를 추출한 후 cDNA로 합성하였고, PCSK9과 LDLR에 대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 RT-PCR에서 이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와 같다. 한편, GAPDH에 대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사용된 주형의 양을 보정하였다.
유전자 서열
PCSK9 5´-GGCAGGTTGGCAGCTGTTT-3´
5´-CGTGTAGGCCCCGAGTGT-3´
LDLR 5´-AGGAGACGTGCTTGTCTGTC-3´
5´-CTGAGCCGTTGTCGCAGT-3´
GAPDH 5´-GCCCCAGCGTCAAAGGT-3´
5´-GGCATCCTGGGCTACACTGA-3´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가지 화합물이 처리된 경우, 대조군(DMSO 처리군)에 비하여 PCSK9의 mRNA 발현양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LDLR mRNA 양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C1184 및 C1186을 처리한 경우에는 mRNA 양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3: PCSK9 유전자 프로모터 부위의 전사 활성 변화
PCSK9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 부위를 함유하고 있는 루시퍼레이즈 리포터 백터(luciferase reporter vector)(D4, Jeong, H. J., et al. 2008. "Sterol-dependent regulation of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expression by sterol-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2." J. Lipid Res. 49: 399-409)를 일시적으로 형질감염(transient transfection)시킨 HepG2 세포와 이러한 구조(construct)로 영구적으로 형질감염 (stable transfection)된 HepG2 세포(stable cell line)에 5가지 화합물을 처리한 후 루시퍼레이즈 활성(activity)을 측정하여 PCSK9의 프로모터 활성을 비교하였다. 루시퍼레이즈 활성은 세포 용해물(cell lysate)에 함유된 단백질 양으로 보정되었다.
실험 절차는 하기와 같다. PCSK9의 프로모터를 일시적으로 형질 감염시킨 HepG2 세포 또는 영구적으로 형질 감염시킨 HepG2 세포 일정 수를 플레이트에 분주 한 후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1일차에 지방질이 제거된 우태아혈청이 10%로 함유된 배지에 DMSO 또는 화합물 5 μM의 농도로 1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일차에 반딧불이 루시퍼레이즈의 발광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SO가 처리된 세포 (Lane 1)에 비하여 5가지 화합물 (Lane 2~6)이 처리된 세포에서 PCSK9의 프로모터 활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HepG2 세포에서의 LDL 흡수 양 변화
상기 5가지 화합물을 18시간 동안 처리한 HepG2 세포에 형광이 표지된 LDL 콜레스테롤인 Dil-LDL (Biomedical Technologies Inc., Stoughton, MA)을 2차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을 띤 Dil-LDL의 흡수되는 정도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4). 도 4에서 파란색은 Hochest 33258 염색으로 세포의 핵을 나타내며, 붉은색은 형광 표지된 Dil-LDL을 나타낸다. Dil-LDL은 2 ㎍/ml의 농도로 37°C에서 3시간 동안 처리되었고 Hochest 33258은 10 ㎍/ml의 농도로 37°C에서 15분 처리되었다.
또한, 상기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보기 위하여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통해 수치화 하였다. 구체적으로, 형광 이미지를 얻은 후, 트립신(trypsin)-EDTA 처리 및 상온에서 20분간 3% 포름알데하이드 처리과정을 거친 후 유세포분석 실험이 진행되었다. 도 5에서 세로축은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평균 형광 강도를 100%으로 하였을 때 각각의 화합물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평균 형광 강도를 상대적으로 환산한 값이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DMSO 처리군)에 비하여 5가지 화합물이 선처리된 HepG2 세포에서 LDL을 더 많은 양으로 흡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스타틴 화합물과 병용투여되었을 때의 PCSK9 LDLR 발현 양 변화
1일차에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을 추가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의 세포 배양 및 화합물 처리와 동일하게 하였다. 구체적으로, 2일차에 화합물 C935 또는 C1186을 5 μM(도 6, Lane 6~10)로 처리하고, 동시에 로수바스타틴을 농도별 (μM)로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로부터 세포 균등액을 만들어 일정량의 단백질을 전기 영동하고, PCSK9 및 LDLR 단백질 발현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PCSK9 및 LDLR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을 시행하였다. GAPD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양적인 차이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수바스타틴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CSK9의 발현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C935 및 C1186을 로수바스타틴과 함께 처리한 경우, 로수바스타틴에 의한 PCSK9의 발현 증가가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C935 및 C1186을 처리한 경우,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LDLR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사전 충전식 주사(pre-filled syringe)용액제의 형태 또는 동결건조(lyophilized)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용인 가능한 또는 편리한 투약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약물, 제제 또는 결합 분자와 같은 활성 분자로 조합되는 불활성 물질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비독성이거나, 적어도 독성이 사용된 용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이의 의도된 용도를 위해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이고, 약물, 제제 또는 결합 분제를 포함하는 제형화의 다른 성분과 양립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CSK9 발현을 억제하거나 LDLR 발현 증가시키는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91945118-pat00030

    X는 Cl이고,
    R1은 H인 경우에 R2는 H, CH3, NO2, F, Cl, Br 또는 I 중 어느 하나이며,
    R1이 CH3인 경우에 R2는 CH3이다.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SK9 발현을 억제하거나 LDLR 발현 증가시키는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3091945118-pat00031

    <화학식 3>
    Figure 112013091945118-pat00032

    <화학식 4>
    Figure 112013091945118-pat00033

    <화학식 5>
    Figure 112013091945118-pat00034

    <화학식 6>
    Figure 112013091945118-pat00035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23021A 2012-03-06 2012-03-06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KR10140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021A KR101401253B1 (ko) 2012-03-06 2012-03-06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021A KR101401253B1 (ko) 2012-03-06 2012-03-06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08A KR20130101908A (ko) 2013-09-16
KR101401253B1 true KR101401253B1 (ko) 2014-05-29

Family

ID=4945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021A KR101401253B1 (ko) 2012-03-06 2012-03-06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788A1 (en) 2015-07-23 2017-01-26 Taipei Medical University Aminonapthoquinon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blocking ubiquitination-proteasome system in diseases
ES2825348T3 (es) * 2015-07-30 2021-05-17 Calgent Biotechnology Co Ltd Compuestos y composición farmacéutica asociados al sistema ubiquitinación-proteasoma
KR101956805B1 (ko) * 2019-02-21 2019-03-11 한국식품연구원 부테인 또는 이소유제놀을 포함하는 pcsk9 유전자의 발현 감소 또는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증가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477A (ko) * 1999-04-29 2000-11-15 허계성 2-클로로-3-페닐아미노-5-히드록시-1,4-나프탈렌디온 유도체 및그의 제조방법
KR20080034180A (ko) * 2005-07-29 2008-04-18 리스버로직스 코퍼레이션 복합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삽입가능한의료 장치에 의한 이의 전달
KR20100054098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머젠스 허혈 또는 허혈 재관류에 의해 유발되는 심장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조성물
KR20110106522A (ko) * 2010-03-23 2011-09-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치환-1,4-나프토퀴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477A (ko) * 1999-04-29 2000-11-15 허계성 2-클로로-3-페닐아미노-5-히드록시-1,4-나프탈렌디온 유도체 및그의 제조방법
KR20080034180A (ko) * 2005-07-29 2008-04-18 리스버로직스 코퍼레이션 복합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삽입가능한의료 장치에 의한 이의 전달
KR20100054098A (ko) * 2008-11-13 2010-05-24 주식회사 머젠스 허혈 또는 허혈 재관류에 의해 유발되는 심장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조성물
KR20110106522A (ko) * 2010-03-23 2011-09-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2-치환-1,4-나프토퀴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908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154B2 (en) Treatment of NASH with Gemcabene
McKeage et al. Fenofibrate: a review of its use in dyslipidaemia
Davidson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lipid-lowering therapies
US20070099826A1 (en)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egr-1 enhancer element
JP2020073468A (ja) 肝障害を処置するための1,3−ジフェニルプロパ−2−エン−1−オン誘導体の使用
BG107811A (bg) Използване на розувастатин (zd-4522) за лечение на хетерозиготна наследствена хиперхолестеролемия
US20160166531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orders
EP3270909B1 (en) Fixed dose combinations comprising etc1002 and one or more statins for treating or reducing cardiovascular risk
RU2766085C2 (ru) Фиксированные комбинации и составы, содержащие етс1002 и эзетимиб, 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или уменьшения риска развития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KR101401253B1 (ko) Pcsk9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지단백 수용체 증가 유도용 조성물
US20100240683A1 (en) Combination therapy,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orders
JP2011530525A (ja) 新規なメチレンジオキシフェノール系化合物および疾患処置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JP2010513430A (ja) 炎症障害の治療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新たな併用
EP1719525B1 (en) Nuclear transfer promoter for cdc42 protein and method of screening the same
CN105832721B (zh) 以蟛蜞菊萃取物治疗高三酸甘油脂血症的方法
US20090099240A1 (en) Methods for treating energy metabolism disorders by inhibiting fatty acid amide hydrolase activity
CN1612855A (zh) 逆转和预防心血管疾病的方法
RU2308947C1 (ru)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с гиполипидемическим эффектом &#34;симваглизин&#34;
US9345671B2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JP2021535136A (ja) 心血管疾患及び関連する状態を有する患者を処置するための併用薬製剤
CN116251187B (zh) 提高ufbp1蛋白k267位点的ufm1化修饰的试剂在代谢相关脂肪性肝病中的应用
Shalaby et al. Effect of Simvastatin on Male Albino Rats, Cytogenetic and Histochemical Studies
Kumar et al.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osuvastatin, Atorvastatin and Pravastatin among dyslipidemic diabetic patients at a tertiary centre in Bihar
Aljawad et al. Effects of atorvastatin and coenzyme Q10 on glycemic control and lipid profil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US20070281967A1 (en) Nuclear Transfer Promoter For Rac Protein And Method Of Screening The D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