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140B1 -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 - Google Patents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140B1
KR101401140B1 KR1020060100708A KR20060100708A KR101401140B1 KR 101401140 B1 KR101401140 B1 KR 101401140B1 KR 1020060100708 A KR1020060100708 A KR 1020060100708A KR 20060100708 A KR20060100708 A KR 20060100708A KR 101401140 B1 KR101401140 B1 KR 10140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team
steam path
bridge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470A (ko
Inventor
찰스 토마스 오클레어
제야루반 애미르사라재
마이클 얼 몽고메리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4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토러스(torus)(115), 증기 경로 링(125) 및 브리지 링(120)을 포함하는 노즐 박스 조립체가 여기에 개시된다. 토러스(115)는 복수의 증기 입구(130) 및 환형 증기 출구(155)를 구비한다. 증기 경로 링(125)은 환형 증기 입구(170)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증기 입구(170)는 내경(內徑)(185) 및 외경(外徑)(175)을 가지며, 증기 경로 링(125)은 토러스(115)의 하류에 배치된다. 브리지 링(120)은 환형 증기 입구(160) 및 환형 증기 출구(165)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증기 출구(165)는 내경(190) 및 외경(180)을 가지며, 브리지 링(120)은 상기 토러스(115) 및 증기 경로 링(12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165)는 상기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170)에 인접하며, 상기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의 외경(175)은 상기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의 외경(180)보다 크며, 상기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의 내경(185)은 상기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 내경(190)보다 작다.

Description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OPTIMIZED NOZZLE BOX STEAM PA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노즐 박스 조립체의 일 반부(half)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도 1의 노즐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이중 유동 노즐 박스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브리지 링과 증기 경로 링 사이의 계면(interface)에 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 100' : 이중 유동 노즐 박스 조립체
115 : 토러스 120 : 브리지 링
125 : 증기 경로 링 130 : 증기 입구
140, 145 : 계면 영역 150 : 화살표
155 : 토러스 증기 출구 160 : 브리지 링의 증기 입구
165 :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170 :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175 :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외경
180 :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외경
185 :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내경
190 :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내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증기 터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기 터빈으로 향하는 유동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즐 박스에 관한 것이다.
증기 터빈용의 노즐 박스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3개의 구성요소, 즉 토러스(torus), 브리지 링(bridge ring) 및 증기 경로 링을 포함한다. 구성요소 각각은 초기에는 180° 세그먼트(segment)로 성형되고, 이어서 구성요소를 함께 용접하여 두 개의 노즐 박스 반부(nozzle box half)를 형성한다. 그 다음 반부는 수평 중간선을 따라 함께 접합되어 증기 터빈용 증기 박스 조립체를 형성한다. 노즐 박스 반부 각각은 토러스와 일체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증기 입구를 포함한다. 이들 입구는 터빈의 회전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토러스로부터 연장한다. 증기 터빈의 작동 동안, 입구는 적당한 공급원으로부터 증기를 받아들여 토러스 내로 유동시킨다. 증기는 대체로 축방향 유동으로 방향을 바꿔서 브리지 링의 환형 개구를 통해 증기 경로 링 내로 유동한다. 증기 경로 링은 후속하는 버킷(bucket)으로 증기 유동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포일 베인(airfoil vane)을 포함하는 일련의 노즐을 구비한다.
증기 경로 측을 따른 토러스, 브리지 링 및 증기 경로 링 사이의 전이부는 터빈 메인 증기 입구로부터의 증기의 유동을 교란시킨다. 이것은 메인 증기 입구로부터의 증기 유동이 브리지 링을 통과하여 증기 경로 링 내로 유동할 때 증기 유동에 난류(turbulence)를 발생시켜 효율 손실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증기 경로 내의 난류 감소는 노즐 박스를 통한 유동을 최적화시키고 증기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증기 경로 내의 난류를 감소시켜 노즐 박스를 통한 유동을 최적화시키고 증기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킨,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토러스, 증기 경로 링 및 브리지 링을 포함하는 노즐 박스 조립체가 여기에 개시된다. 토러스는 복수의 증기 입구 및 환형 증기 출구를 구비한다. 증기 경로 링은 환형 증기 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증기 입구는 내경(內徑) 및 외경(外徑)을 가지며, 증기 경로 링은 토러스의 하류에 배치된다. 브리지 링은 환형 증기 입구 및 환형 증기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증기 출구는 내경 및 외경을 가지며, 브리지 링은 상기 토러스 및 증기 경로 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는 상기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에 인접하며, 상기 증기 경 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의 외경은 상기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의 내경은 상기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 내경보다 작다.
노즐 박스 조립체를 통하는 증기 유동을 지향시키는 방법이 여기에 더 개시된다. 증기 유동은 토러스를 통해 운반된다. 그리고, 증기 유동은 상기 토러스의 하류에서 반경방향 외측 단차부를 넘어 지향된다.
증기 유동을 지향시키는 일련의 노즐 및 환형 증기 입구를 구비한 노즐 박스 조립체용 증기 경로 링이 여기에 더 개시된다. 환형 증기 입구는 내경 및 외경을 가지며,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의 내경은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의 내경보다 작고, 증기 경로 링의 환형 증기 입구의 외경은 브리지 링의 환형 증기 출구의 외경보다 크다.
예시적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유사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1은 예시적인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를 도시한다.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 각각은 토러스(torus)(115)부, 브리지 링(120)부 및 증기 경로 링(125)부를 포함한다. 토러스(115)부, 브리지링(120)부 및 증기 경로 링(125)부는 함께 접합되어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를 형성한다. 토러스(115)와 일체로 단조된 부분을 형성하는 증기 입구(130)가 또한 도시된다. 예시적인 전체 노즐 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도시된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가 유사한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와 접합되어, 두 개의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가, 일 실시예로서 완전히 360 °를 연장하는, 네 개의 증기 입구(130) 및 토러스(115), 브리지 링(120) 및 증기 경로 노즐 링을 갖는 완전 노즐 박스 조립체를 형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토러스(115), 브리지 링(120) 및 증기 경로 링(125)을 도시한다. 증기 경로 링(125)과 브리지 링(120) 사이 그리고 브리지 링(120)과 토러스(115) 사이에 위치된 계면 영역(interface region)(140, 145)은 각각 증기 경로 링(125), 브리지 링(120) 및 토러스(115)의 접합(예를 들어 용접일 수 있음)을 허용하여, 하나의 일체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를 형성한다. 노즐 박스를 통하는 증기 유동 경로는 화살표(150)로 표시된다. 노즐 박스 조립체를 통하는 증기 유동은 증기 입구(130)(도 1)에서 시작한다. 증기 입구는 증기 유동을 토러스(115)를 통해 지향시키고, 이 증기 유동은 계속해서 브리지 링(120)을 통과하며, 마지막으로 증기 경로 링(125)을 통해 노즐 박스 조립체로부터 빠져나간다. 증기 경로 링은 후속하는 버킷(bucket)으로 증기 유동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포일 베인을 포함하는 일련의 노즐을 구비한다. 토러스(115), 브리지 링(120) 및 증기 경로 링(125) 사이의 정합 영역이 더 묘사되고, 토러스 증기 출구(155), 브리지 링의 증기 입구(160),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165) 및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170)를 포함한다. 토러스 증기 출구(155), 브리지 링의 증기 입구(160),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165) 및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170)는 환형의 형상이고, 노즐 박스 조립체 반부(100)(도 1)를 통한 대체로 축방향의 증기 유동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토러스(115), 두 개의 브리지 링(120) 및 두 개의 증기 경로 링(125)을 구비한 이중 유동 노즐 박스 조립체(1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유동 노즐 박스 조립체(100')는 상술된 노즐 박스 조립체(100)에서와 동일한 토러스(115), 브리지 링(120) 및 증기 경로 링(125) 사이의 방위(orientation)를 공유하지만, 양 축방향으로의 증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토러스(115), 브리지 링(120) 및 증기 경로 링(125)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추가적인 배치를 더 제공한다.
도 4는 증기 경로 링(125)에 대한 브리지 링(120) 전이부의 확대도로서,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외경(175),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외경(180),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내경(185) 및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내경(190)을 더 도시한다. 브리지 링(120)과 증기 경로 링(125) 사이의 계면을 따른 증기 경로 측에 "B"로 표시된 반경방향 단차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약 0.000cm(0.000 인치)와 0.152cm(0.060 인치) 사이의 치수를 갖는 반경방향 단차가 브리지 링(120)과 증기 경로 링(125) 사이의 전이점에서 단면적의 증가를 야기시킨다. 상기 반경방향 단차는 약 0.076cm(0.030 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합하는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170)와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165)사이의 내경차 및 외경차가 반경방향 단차를 규정한다.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외경(175)은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외경(180)보다 크고,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 내경(185)은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 내경(190)보다 작아, 반경방향 단차는 "B"로 표시된다. 다시 말하면, 반경방향 단차는 브리지 링(120)과 증기 경로 링(125) 사이에서 증기 유동 경로의 단차로 설명될 수 있으며, 증기 경로 링의 증기 입구(170)는 브리지 링의 증기 출구(165)보다 커서, 증기가 브리지 링(120)의 내벽을 따라 유동할 때, (계면에서의 단면적 감소의 경우와 반대로) 단면적의 증가로 인해 증기 경로 링(125)에 대한 브리지 링(120) 계면을 따라 매끄러운 유체 유동 전이가 일어난다. 증기 경로 링(125)과 브리지 링(120) 사이의 반경방향 단차는 노즐 박스 조립체 내에서의 증기 유동 난류를 감소시켜 개선된 증기 터빈 효율을 제공한다.
토러스(115), 브리지 링(120) 및 증기 경로 링(125)을 함께 접합시키기 위해 용접 공정이 이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요소간 100% 용접을 유지하면서 반경방향 단차를 보존하기 위하여 용접 공정으로부터의 수축(shrinkage)을 고려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뤄질 수 있고, 구성요소에 대하여 균등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특정 상황 및 재료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최선의 방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경로 링과 브리지 링 사이의 반경방향 단차는 노즐 박스 조립체 내에서의 증기 경로 내의 난류를 감소시켜 노즐 박스를 통한 유동을 최적화시키고 증기 터빈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노즐 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증기 입구(130) 및 환형 증기 출구(155)를 구비한 토러스(torus)(115)와,
    환형 증기 입구(170)를 구비한 증기 경로 링(125)으로서, 상기 환형 증기 입구(170)가 내경(185) 및 외경(175)을 가지며,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이 상기 토러스(115)의 하류에 배치되는, 상기 증기 경로 링(125)과,
    환형 증기 입구(160) 및 환형 증기 출구(165)를 구비한 브리지 링(bridge ring)(120)으로서, 상기 환형 증기 출구(165)는 내경(190) 및 외경(180)을 가지며, 상기 브리지 링(120)은 상기 토러스(115)와 상기 증기 경로 링(12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브리지 링(120)의 환형 증기 출구(165)는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의 환형 증기 입구(170)에 인접하여 있는, 상기 브리지 링(120)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의 환형 증기 입구 외경(175)은 상기 브리지 링(120)의 환형 증기 출구 외경(180)보다 크며,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의 환형 증기 입구 내경(185)은 상기 브리지 링(120)의 환형 증기 출구 내경(190)보다 작으며,
    상기 브리지 링(120)은 브리지 링의 증기 경로 측을 따라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tongue)를 가지며,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은 증기 경로 링의 증기 경로 측을 따라 대응하는 오목부(groove)를 가져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상기 브리지 링(120)과 상기 증기 경로 링(125) 사이에 계면을 형성하는
    노즐 박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경로 링(125)과 상기 브리지 링(120) 사이의 내경차 및 외경차는 반경방향 단차(段差)를 형성하는
    노즐 박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단차는 0.000cm와 0.152cm 사이인
    노즐 박스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단차는 0.076cm인
    노즐 박스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경로 링(125)과 브리지 링(120)은 서로 고정적으로 접합되는
    노즐 박스 조립체.
  6. 노즐 박스 조립체를 통해서 증기 유동을 지향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증기 유동을 토러스(115)를 통해 운반하는 단계와,
    상기 토러스(115)의 하류에서 증기 유동을 반경방향 외측 단차부를 넘어 브리지 링(120)과 증기 경로 링(125) 사이의 계면에 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 링(120)은 브리지 링의 증기 경로 측을 따라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은 증기 경로 링의 증기 경로 측을 따라 대응하는 오목부를 가져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상기 브리지 링(120)과 상기 증기 경로 링(125) 사이에 계면을 형성하는
    증기 유동 지향 방법.
  7. 증기 경로 링(125)에 있어서,
    증기 유동을 지향시키는 일련의 노즐과,
    내경(185)과 외경(175)을 갖는 환형 증기 입구(170)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의 환형 증기 입구 내경(185)은 브리지 링(120)의 환형 증기 출구 내경(190)보다 작으며,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의 환형 증기 입구 외경(175)은 브리지 링(120)의 환형 증기 출구 외경(180)보다 크며,
    상기 브리지 링(120)은 브리지 링의 증기 경로 측을 따라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증기 경로 링(125)은 증기 경로 링의 증기 경로 측을 따라 대응하는 오목부를 가져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가 상기 브리지 링(120)과 상기 증기 경로 링(125) 사이에 계면을 형성하는
    증기 경로 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경로 링(125)과 상기 브리지 링(120) 사이의 외경차 및 내경차는 반경방향 단차를 형성하는
    증기 경로 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단차는 0.000cm와 0.152cm 사이인
    증기 경로 링.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단차는 0.076cm인
    증기 경로 링.
KR1020060100708A 2005-10-18 2006-10-17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 KR101401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53,267 2005-10-18
US11/253,267 US7331754B2 (en) 2005-10-18 2005-10-18 Optimized nozzle box steam pa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470A KR20070042470A (ko) 2007-04-23
KR101401140B1 true KR101401140B1 (ko) 2014-05-29

Family

ID=3780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08A KR101401140B1 (ko) 2005-10-18 2006-10-17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31754B2 (ko)
EP (1) EP1777372A3 (ko)
JP (1) JP4993450B2 (ko)
KR (1) KR101401140B1 (ko)
CN (1) CN195235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695B1 (ko) * 2016-01-15 2018-04-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노즐 박스 어셈블리
US10633991B2 (en) 2016-01-15 2020-04-28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Nozzle box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4958A2 (en) 2006-03-14 2008-12-24 John D. Pickard Rotor and nozzle assembly for a radial turbine and method of operation
US8662821B2 (en) 2010-12-29 2014-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movable steam inlet assembly for steam turbine
US8342009B2 (en) 2011-05-10 2013-01-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steampath efficiency of a steam turbine section with internal leakage
US9297277B2 (en) 2011-09-30 2016-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plant
EP3023593A1 (de) 2014-11-20 2016-05-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strömungskontur für Einwellenanordnung
KR101828479B1 (ko) * 2016-02-11 2018-02-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노즐 박스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513A (en) 1993-12-21 1995-02-28 General Electric Co. Steampath and process of retrofitting a nozzle thereof
US6196793B1 (en) 1999-01-11 2001-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Nozzle box
US6754956B1 (en) 2002-12-04 2004-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manufacturing a nozzle box assembly for a steam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4110A (en) * 1977-09-14 1979-04-07 Hitachi Ltd Double flow type nozzle box
JPS61132704A (ja) * 1984-11-29 1986-06-20 Toshiba Corp 蒸気タ−ビンのノズルボツクス
JPS61138802A (ja) * 1984-12-11 1986-06-26 Hitachi Ltd 蒸気タ−ビンのダイヤフラムの製造方法
JPS61142303A (ja) * 1984-12-14 1986-06-30 Hitachi Ltd 蒸気タ−ビンノズル
JPH0411201U (ko) * 1990-05-16 1992-01-30
JP3192805B2 (ja) * 1993-01-28 2001-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ノズルボックス
JP3621216B2 (ja) * 1996-12-05 2005-02-16 株式会社東芝 タービンノズル
US6631858B1 (en) * 2002-05-17 2003-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Two-piece steam turbine nozzle box featuring a 360-degree discharge nozz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513A (en) 1993-12-21 1995-02-28 General Electric Co. Steampath and process of retrofitting a nozzle thereof
US6196793B1 (en) 1999-01-11 2001-03-06 General Electric Company Nozzle box
US6754956B1 (en) 2002-12-04 2004-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manufacturing a nozzle box assembly for a steam turbine
JP2004183662A (ja) * 2002-12-04 2004-07-02 General Electric Co <Ge> 蒸気タービンのノズルボックス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695B1 (ko) * 2016-01-15 2018-04-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노즐 박스 어셈블리
US10633991B2 (en) 2016-01-15 2020-04-28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Nozzle box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2353B (zh) 2010-12-29
US7331754B2 (en) 2008-02-19
KR20070042470A (ko) 2007-04-23
JP2007113572A (ja) 2007-05-10
US20070086890A1 (en) 2007-04-19
EP1777372A3 (en) 2014-01-22
CN1952353A (zh) 2007-04-25
EP1777372A2 (en) 2007-04-25
JP4993450B2 (ja)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140B1 (ko) 노즐 박스 조립체, 증기 유동 지향 방법 및 증기 경로 링
US8740557B2 (en) Fabricated static vane ring
JP5049578B2 (ja) 蒸気タービン
US7726938B2 (en) Turbine blade and diaphragm construction
KR102228248B1 (ko) 고강도 터보기계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포함하는 터보기계 및 제조 방법
US7207773B2 (en) Steam turbine nozzle box
JP5606473B2 (ja) 蒸気タービン
KR100897658B1 (ko) 터빈 및 유동로
US10989074B2 (en) Turbine exhaust hood
JP2011074837A (ja) ターボ機械
EP3153674B1 (en) Integrated turbine exhaust case mixer design
US6631858B1 (en) Two-piece steam turbine nozzle box featuring a 360-degree discharge nozzle
JP2012107617A (ja) 蒸気タービン用の低圧排出ガスディフューザ
KR100847941B1 (ko) 터빈의 유로 연결 장치 및 터빈 연결 장치
US20200232327A1 (en) Controlled flow runners for turbines
JP7130575B2 (ja) 軸流タービン
JP6242960B2 (ja) ノズルボックスアセンブリ
KR101845695B1 (ko) 노즐 박스 어셈블리
JP6659825B2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ディフューザおよび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ディフューザを形成する方法
JP7190370B2 (ja) 軸流タービン
JP2005030266A (ja) 軸流タービン
WO2022137794A1 (ja) 遠心圧縮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5889A (en) Steam-turbine.
JP2010077835A (ja) 遠心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