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076B1 - 안전삼각대 - Google Patents

안전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076B1
KR101401076B1 KR1020130000399A KR20130000399A KR101401076B1 KR 101401076 B1 KR101401076 B1 KR 101401076B1 KR 1020130000399 A KR1020130000399 A KR 1020130000399A KR 20130000399 A KR20130000399 A KR 20130000399A KR 101401076 B1 KR101401076 B1 KR 10140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elevating member
elevating
hook
safety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백섭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삼감대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승강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승강부재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는 지면에 설치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가 되므로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간이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삼각대{Safety tripod}
본 발명은 안전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위험대상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위험대상을 경고하는 안전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안전 삼각대는 운행 중 불시의 차량 고장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하여 차량을 도로에 방치할 경우 주행방향 후방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뒤따라오는 운전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시켜 연쇄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일반 도로에서는 설치 의무를 강제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고속도로의 경우 주간에는 100m 후방에 설치하고,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야간에는 100m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고 200m 후방지점에는 사방500m 떨어진 지점에서도 식별할 수 있는 안전삼각대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 비치되어있는 안전 삼각대는 고정형과 조립형이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 및 보관이 편한 조립형안전 삼각대가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또한, 조립형으로 안전 삼각대를 구성할 때 시인성을 높이려면 빛 조사면이 넓은 것이 유리하므로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절첩되는 상부반사프레임과 하부반사프레임의 내측에 각각 보조반사판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 삼각대는 운전자가 직접 조립하고,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설치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지면으로부터 직립되게 설치되는 안전삼각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삼각대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될 경우 접혀지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램프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는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후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후크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후크부재의 진퇴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부재 내측으로 연장되고,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구는 상기 후크부재의 진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크부재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면에 설치시 상기 지면에 접촉하여 상방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승강시 상기 후크부재에 대향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이 상기 링크부재를 간섭하여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승강부재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타측에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후크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간섭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는 지면에 설치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가 되므로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간이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삼각대에 대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전삼각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안전삼각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삼각대(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전삼각대(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승강부재(30)와, 베이스플레이트와 승강부재(30)에 양단이 고정되며, 승강부재(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40)과, 상기 탄성스프링(40)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커버부재(50)와, 승강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경고램프부(60)와, 상기 승강부재(30)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키는 결합부(7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정사각단면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탄성스프링(4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가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지지되도록 스커트 부재(21)가 형성되나. 스커트 부재(21)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스커트 부재(21)는 견고하게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부재(30)는 사각단면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승강부재(30)의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결합부(70)의 후크부재(7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인입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31)은 승강부재(3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스프링(40)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측에 위치한 승강부재(30)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상단은 승강부재(30)에 고정된다. 탄성스프링(40)은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이되, 결합부(70)에 의해 승강부재(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시 압축된 높이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50)는 승강부재(30)가 결합부(7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될 경우 접혀지고, 승강부재(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될 경우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상방으로 이격되는 승강부재(30)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상단이 승강부재(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4측면부재를 구비한다.
제1측면부재(51)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단에 대향되는 승강부재(30)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측면부재(51)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단은 승강부재(30)의 전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제2측면부재(52)는 제1측면부재(51)의 좌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좌측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단에 대향되는 승강부재(30)의 좌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2측면부재(52)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단은 승강부재(30)의 좌측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제3측면부재(미도시)는 제1측면부재(51)의 우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우측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단에 대향되는 승강부재(30)의 우측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2측면부재(52)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단은 승강부재(30)의 우측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제4측면부재(미도시)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후방측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단은 하단에 대향되는 승강부재(30)의 후면에 고정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제2 및 제3측면부재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4측면부재는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한 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상단은 승강부재(30)의 후면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측면부재는 상호 결합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언급된 커버부재(50)는 승강부재(30)의 승하강에 의해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고, 우천시에도 젖지 않도록 비닐소재와 같이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내지 제4측면부재는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각각 후방의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체(5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사체(57)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삼각형꼴로 형성되며, 커버부재(50)와 함께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고램프부(60)는 승강부재(30)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케이스(61)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램프(미도시)와, 상기 발광램프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케이스(61)는 램프를 통해 조사된 광이 다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발광램프는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20)의 하면에 설치된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와 발광램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에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스커트 부재(21)의 측면에 설치되어 발광램프로의 전력공급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결합부(70)는 상기 승강부재(30)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홈(71)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30)가 상기 삽입홈(71)에 삽입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71)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30)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30)에 설치된 후크부재(72)와, 상기 후크부재(72)가 상기 승강부재(30)의 외측면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71)은 승강부재(30)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부재(72)는 인입홈(31)에 삽입되는 몸체(74)와, 몸체(74)의 외주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연장체(75)와, 연장체(75)의 단부에 형성되며, 승강부재(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간섭되는 후크돌기(76)를 구비한다.
몸체(74)는 상기 인입홈(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입홈(31)과 나란하게 승강부재(30)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몸체(74)는 일단부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승강부재(30)에 설치된다. 또한, 몸체(74)는 인입홈(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대해 타단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이탈방지돌기(77)가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돌기(77)는 몸체(74)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연장체(75)는 몸체(74)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분(78)과, 제1연장부분(78)의 단부에 상기 승강부재(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연장부분(79)을 구비한다. 이때, 인입홈(31)은 몸체(74)의 진퇴에 의해 연장체(75)도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돌기(76)는 연장체(75)의 제2연장부분(79)의 단부에 형성되어 승강부재(30)의 외부로 돌출된다. 후크돌기(76)는 승강부재(30)가 삽입홈(71)에 삽입시 용이하게 승강부재(3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연장체(75)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3)는 인입홈(31) 내에, 몸체(74)의 타단에 고정되어 몸체(74)가 승강부재(30)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74)의 일단부 및 후크돌기(76)는 승강부재(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안전삼각대(10)를 설치작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부재(30)가 결합부(7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접혀져있는 안전삼각대(10)를 설치 대상 지면으로 운반한다. 승강부재(30)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부재(72)의 몸체(74) 일단부를 눌러 몸체(74)를 승강부재(30)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승강부재(30)의 내부로 인입되는 몸체(74)에 의해 후크돌기(76)도 승강부재(30) 내측으로 인입되고, 후크돌기(76)의 인입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대한 간섭상태가 해지되어 승강부재(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승강하는 승강부재(30)에 의해 커버부재(50)를 펼쳐지며, 커버부재(50)의 측면에 부착된 반사체(57)도 펼쳐진다.
안전삼각대(10)를 보관할 경우, 승강부재(30)를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삽입홈(71)에 관통되게 삽입시킨다. 이때, 후크돌기(76)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의해 간섭되어 승강부재(30) 내부로 인입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가 후크돌기(76)를 통과하도록 승강부재(30)가 하강하면, 탄성부재(73)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돌기(76)는 승강부재(30)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후크부재(72)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간섭되어 승강부재(30)가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안전삼각대(10)는 지면에 설치시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지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가 되므로 비전문가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시간이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17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부(170)는 후크부재(171), 링크부재(172) 및 간섭부재(173)를 구비한다. 이때, 승강부재(130)는 내부에 인입홈(31)에 연통되는 내부공간(131)과, 일단은 내부공간(131)의 바닥면에 연통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타단이 승강부재(130)의 하면에 개방된 슬라이딩홈(132)이 형성된다. 후크부재(171)는 승강부재(130)의 인입홈(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승강부재(13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부로 돌출된 후크부재(171)의 일단부는 승강부재(130)가 삽입홈(71)에 삽입시 용이하게 승강부재(13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승강부재(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부재(172)는 일단이 후크부재(171)의 타단에 고정되며, 인입홈(31)에 삽입되고, 후크부재(171)의 진퇴방향을 따라 승강부재(130)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링크부재(172)는 타단이 승강부재(130)의 내부공간(131)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링크부재(172)의 타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구(174)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구(174)는 후크부재(171)의 진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섭부재(173)는 상기 링크부재(172)의 결합구(174)에 삽입되며, 상하방향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승강부재(130)의 내부공간(131)에 설치되는 간섭블럭(175)과, 간섭블럭(175)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슬라이딩홈(132)을 통해 승강부재(130)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봉(176)을 구비한다.
간섭블럭(175)은 후크부재(171)에 대향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이 링크부재(172)의 타단에 접하도록 승강부재(130) 내에 설치된다. 이때, 간섭블럭(175)은 승강시 링크부재(172)를 간섭하여 후크부재(171)가 승강부재(13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링크부재(172)를 승강부재(130)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타측에 하방으로 갈수록 후크부재(171)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다.
가압봉(176)은 슬라이딩홈(132)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가 지면에 설치시 지면에 접촉하여 간섭블럭(175)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0) 및 스커트 부재(21)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승강부재(130)가 삽입홈(71)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0)를 지면에 설치되면 가압봉(176)은 지면에 접촉하여 상방으로 승강된다. 승강된 가압봉(176)은 간섭블럭(175)을 상승시키고, 간섭블럭(175)의 상승에 의해 링크부재(172)는 승강부재(13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인입된 링크부재(172)에 의해 후크부재(171)는 승강부재(130) 내측으로 인입된다. 후크부재(171)의 인입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대한 간섭상태가 해지되어 승강부재(1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승강하는 승강부재(130)에 의해 커버부재(50)를 펼쳐지며, 커버부재(50)의 측면에 부착된 반사체(57)도 펼쳐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안전삼각대
20: 베이스 플레이트
30: 승강부재
40: 탄성스프링
50: 커버부재
60: 경고램프부
70: 결합부
71: 삽입홈
72: 후크부재
73: 탄성부재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분리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탄성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스프링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될 경우 접혀지고,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에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홈에 삽입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의 삽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후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후크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후크부재의 진퇴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부재 내측으로 연장되고,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구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구는 상기 후크부재의 진퇴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크부재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에 설치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승강부재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승강부재의 구속상태를 해지하는 간섭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간섭부재는
    승강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승강부재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크부재에 대향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하방으로 갈수록 후크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간섭블럭과,
    상기 간섭블럭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면에 설치시 상기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간섭블럭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압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경고를 표시하는 경고램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원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삼각대.




KR1020130000399A 2013-01-02 2013-01-02 안전삼각대 KR10140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99A KR101401076B1 (ko) 2013-01-02 2013-01-02 안전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399A KR101401076B1 (ko) 2013-01-02 2013-01-02 안전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076B1 true KR101401076B1 (ko) 2014-05-29

Family

ID=5089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399A KR101401076B1 (ko) 2013-01-02 2013-01-02 안전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397B1 (ko) 2014-09-19 2016-05-03 주식회사 그린에스엔티 휴대용 비상표지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2386B1 (en) * 1988-08-05 1993-01-13 Jiann-Hwa Wang Foldable warning distress sign
JPH0722847U (ja) * 1993-10-08 1995-04-25 チュン イェン タイ 揺動式故障車駐車用警示標識
KR20090067827A (ko) * 2007-12-21 2009-06-25 정구관 가변식 안전콘
KR20120032216A (ko) * 2010-09-28 2012-04-05 황재하 키트형 접이식 비상 삼각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2386B1 (en) * 1988-08-05 1993-01-13 Jiann-Hwa Wang Foldable warning distress sign
JPH0722847U (ja) * 1993-10-08 1995-04-25 チュン イェン タイ 揺動式故障車駐車用警示標識
KR20090067827A (ko) * 2007-12-21 2009-06-25 정구관 가변식 안전콘
KR20120032216A (ko) * 2010-09-28 2012-04-05 황재하 키트형 접이식 비상 삼각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397B1 (ko) 2014-09-19 2016-05-03 주식회사 그린에스엔티 휴대용 비상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0939B1 (ko)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KR101348694B1 (ko) 안전 삼각대
KR20170003119A (ko) 다기능 펜스
KR101401076B1 (ko) 안전삼각대
US5311412A (en) Structure of a variable triangular warning light on the third braking light in the rear turbulence plate of an automobile
KR101605197B1 (ko)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101607275B1 (ko) 도로 표지병
KR101434907B1 (ko) 안전 삼각대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매트
KR200340963Y1 (ko) 자동차용 안전 경고등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KR102297986B1 (ko) Led부가 구비된 차선분리대
KR200200133Y1 (ko) 자동차용 경고 장치
KR101531285B1 (ko) 지면 설치 가능한 램프 점등용 안전 표시구
JP2011231462A (ja) 自発光体付車止めブロック
KR101814643B1 (ko) 이동식 정보전달장치
KR100801721B1 (ko) 도로 건널목의 보행자 보호 구조물
KR20090004291U (ko) 풍선안전삼각대
KR20190103110A (ko) 다기능 랜턴
KR102330272B1 (ko) 차량의 비상경광장치
KR20060124465A (ko)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KR102527528B1 (ko) 원터치 삼각대
KR101883335B1 (ko) 차량용 다기능 비상 안전등
KR200438991Y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EP0689960A1 (en) Foldable triangular warning light mounted on the third braking light of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