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433B1 -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433B1
KR101400433B1 KR1020130166593A KR20130166593A KR101400433B1 KR 101400433 B1 KR101400433 B1 KR 101400433B1 KR 1020130166593 A KR1020130166593 A KR 1020130166593A KR 20130166593 A KR20130166593 A KR 20130166593A KR 101400433 B1 KR101400433 B1 KR 10140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rod
cylinder tube
dynamic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중
Original Assignee
(주)지오티엠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티엠, (주)쏘일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지오티엠
Priority to KR102013016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조사에 사용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하중의 무게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반복 낙하시킬 수 있으며, 선단콘을 갖는 로드의 자동 관입이 가능하고 지반 조사를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자동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동적 콘 관입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비해 보다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수행할 수 있고 매우 효율적인 구조배치설계로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할뿐더러 현장 운반과 보관 및 관리의 용이성까지 추구할 수 있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AUTOMATIC PENETRATING APPARATUS FOR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본 발명은 지반 조사에 사용되는 동적 콘 관입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할 뿐더러 운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하중의 무게추를 일정 높이에서 반복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적 콘 관입 시험(Dynamic Cone Penetration Test)은 흙이나 모래, 자갈 등지의 지반 조사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이 규정되어 있는 해머를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선단에 콘을 갖는 로드를 타격하여 지반에 관입하는 시험이며, 일정한 깊이를 타격하여 관입하는데 필요한 일정한 무게 및 낙하 높이로부터의 타격되는 타격 횟수 또는 일정한 무게 및 낙하 높이로부터의 일정한 타격 횟수에 의한 관입량을 가지고 지반 저항의 측정값을 산출해내는 시험이다.
이러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은 보링공과 공 사이의 개략적인 토층 성상을 파악하고 지중의 동적 응력파악 및 원 위치의 전단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원 위치에서 흙의 관입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대적인 흙의 굳기, 다짐 정도, 토층의 구성을 판정하는데 이용하며, 모래나 자갈 등지에서의 수치 또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사용되고 있는 동적 콘 관입 시험기는 대부분이 수동식 구성이며, 시험자가 해머를 목표 높이까지 들어서 자유 낙하시키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시험의 목적에 따라 해머의 무게가 달라지는데, 해머의 무게가 무거워질수록 시험자가 매우 힘들어질 뿐만 아니라 해머의 낙하 높이가 정확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므로 시험값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은, 각각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양단에 암나사부와 숫나사부가 각각 형성되며 시그널 케이블이 꿰어져 굽힘이 자유로운 연결상태를 갖는 로드들이 권취드럼에 권취되어 수납되고,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된 로드들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만 연이어 배출/유입되도록 구성되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수납부; 탄력 지지수단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상기 로드들을 양측에서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결합/분리 로울러와, 상기 로드들을 가압하는 결합/분리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정/역 방향으로 공전시켜 관입시에는 로드들을 서로 체결시켜 결합하고 회수시에는 체결상태를 해제시켜 분리하기 위한 결합/분리 엑츄에이터를 포함한 로드 결합/분리부; 서로 체결되어 결합된 각 로드들의 외주면 양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상기 로드 결합/분리부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궤도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관입/회수 엑츄에이터를 구비한 로드 관입/회수부; 를 포함하는 지반 조사용 콘 관입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3131호(2006.08.0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하중의 무게추를 일정 높이에서 반복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반 조사를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반 조사를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할 뿐더러 운반과 보관 및 관리의 용이성까지 추구할 수 있도록 한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는, 관통된 내부공기주입공을 갖는 봉체(棒體)의 하단부에 공기주입구를 갖는 피타격부가 구비되고, 봉체의 상단부에 실린더관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실린더가이드가 구비되는 로드결합체; 상기 로드결합체의 피타격부 위에 위치하되 실린더가이드 및 봉체가 내재되게 봉체 상에 삽입 및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 외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실린더관체; 상기 실린더관체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공기배출부재; 상기 실린더관체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승강 동작하여 공기배출홀의 개폐를 담당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마개; 상기 에어마개의 외측에 삽입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실린더관체의 하측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실린더관체의 하강 동작시 피타격부를 타격하는 타격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관체의 하단부 외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은 실린더관체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되, 다수 형성되는 공기배출공의 전체 면적이 봉체에 형성된 내부공기주입공의 면적 대비 2배 ~ 8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배출부재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홀의 직경은 봉체에 형성된 내부공기주입공의 직경 대비 4배 ~ 20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피타격부에는 상단부에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타격체에는 하단부 내주면에 피타격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대응테이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가이드의 외주면과 실린더관체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갭을 유지되게 하되, 상기 갭은 실린더관체 내경의 1/100배 ~ 1/50배로 형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하중의 무게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반복 낙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선단콘을 갖는 로드의 자동 관입이 가능하고 지반 조사를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자동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반 조사를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비해 보다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매우 효율적인 구조배치설계로 안정되고 우수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구성을 지니므로 현장 운반을 비롯하여 장치의 보관 및 관리의 용이성까지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와 선단콘을 갖는 로드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의 상부를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의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의 공기 주입에 따른 실린더관체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의 공기 배출에 따른 실린더관체의 하강 및 타격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는, 선단에 콘을 갖는 로드('동적 콘'이라 함.)(1)를 지반에 관입시켜 지반을 조사하기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된 내부공기주입공(111)을 갖는 봉체(棒體)(110)의 하단부에 공기주입구(121)를 갖는 피타격부(120)가 구비되고, 봉체(110)의 상단부에 실린더관체(200)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실린더가이드(130)가 구비되는 로드결합체(100)와, 상기 로드결합체(100)의 피타격부(120) 위에 위치하되 실린더가이드(130) 및 봉체(110)가 내재되게 봉체(110) 상에 삽입 및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 외면에 공기배출공(210)이 형성된 실린더관체(200)와, 상기 실린더관체(200)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홀(310)이 형성된 공기배출부재(300)와, 상기 실린더관체(20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승강 동작하여 공기배출홀(310)의 개폐를 담당함으로써 실린더관체(200)의 내부에 공기를 채우거나 또는 외부 배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마개(400)와, 상기 에어마개(400)의 외측에 삽입 배치되어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에어마개(400)의 승강 동작에 관여하게 되는 스프링(500)과, 상기 실린더관체(200)의 하측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내부의 공기 배출작용에 따라 실린더관체(200)가 하강 동작시 로드결합체(100)의 피타격부(120)를 타격하는 타격체(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타격부(120)는 봉체(110)에 비해 외경을 확대 형성시킨 구조의 몸체를 갖되 몸체의 상단부에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테이퍼면(12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봉체(110)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피타격부(120)의 테이퍼면(122)에 대응하여, 이에 매칭되어 피타격부(120)를 타격하는 상기 타격체(600)에는 하단부 내주면에 피타격부(120)의 테이퍼면(121)에 대응하는 대응테이퍼부(6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타격부(120)의 테이퍼면(121)과 타격체(600)의 대응테이퍼부(610)를 통해서는 실린더관체(200)의 하강 동작에 따른 타격시 상호간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면서 타격 충돌에 의한 실린더관체(200)의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잡아줄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피타격부(120)의 공기주입구(121)는 봉체(110)와의 결합시 봉체(110)의 내부공기주입공(111)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타격부(120)의 공기주입구(121)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컴프레셔의 공기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에어컴프레셔의 구동에 따라 봉체(110)의 내부공기주입공(111)을 통해 실린더관체(2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덧붙여, 상기 피타격부(120)에는 몸체 하부에 선단콘을 갖는 로드(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23)가 형성되는데, 로드(1)를 삽입 끼움하도록 삽입홈의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가이드(130)는 봉체(110)의 상측단부 외측에 위치 및 고정되게 나사 결합함이 바람직하고, 실린더관체(200)의 내주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황동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가이드(130)는 봉체(110)와의 결합시 내부공기주입공(111)과 연통되는 구조를 갖게 하여 실린더관체(200) 내부로 공기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가이드(130)는 실린더관체(200)의 승강 동작에 따른 용이성을 위해 자신의 외주면과 실린더관체(20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한 갭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때에 상기 갭은 적용되는 실린더관체(200)의 내경 대비 100분의 1배 내지 50분의 1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관체(200)의 공기배출공(210)은 봉체(110)의 내부공기주입공(111)을 통하여 내부에 주입되어 채워진 공기의 외부 배출을 유도 및 그에 따라 실린더관체(200)의 하강 동작이 수행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관체(200)의 하부 외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210)은 실린더관체(200)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부 공기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외부 배출되게 함으로써 어느 한쪽 방향으로 장치가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실린더관체(200) 상에 다수 형성되는 공기배출공(210)의 전체 면적이 봉체(110)에 형성된 내부공기주입공(111)의 면적 대비 2배 ~ 8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게 한다.
상기 공기배출공(210)은 실린더관체(200) 상의 형성 위치에 따라서도 공기의 주입 및 외부 배출에 대한 효율을 좌우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재(300) 상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홀(310)의 직경은 봉체(110)에 형성된 내부공기주입공(111)의 직경 대비 4배 ~ 20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면에 크게 하나를 형성할 수 있고, 때로는 상면을 비롯한 상단부 외면으로 상호 연통되게 다수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공(210)과 공기배출홀(310)의 각각에 대해 크기를 수치로 한정하는 이유는 일정 하중의 무게를 갖는 실린더관체(200)에 대해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높이에서 반복 낙하시키고자 하는 유용성 및 효율성을 위해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범주를 벗어나면 실린더관체(200)의 상승과 하강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뿐더러 승강 주기가 저하되어 타격에 의한 로드(1)의 관입이 어렵게 된다.
상기 에어마개(400)는 실린더관체(20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되, 실린더관체(2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돌기(220)에 의해 더 이상의 하강이 규제되도록 배치되며, 초기 설치시 또는 실린더관체(200)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실린더관체(200)의 상측에 위치된 공기배출홀(310)이 개방상태에 있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마개(400)는 하면 중심부에 요홈부(410)를 형성함으로써 봉체(110)의 내부공기주입공(111)을 통해 실린더관체(200)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 보다 원활하게 공기압을 받아 상승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500)은 에어마개(300)에 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에어마개(400)가 공기압 작용에 의해 공기배출부재(300)의 공기배출홀(310) 측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대한 용이함을 제공하며, 에어마개(400)의 승강 동작을 도와 공기배출홀(310)에 대해 보다 원활한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타격체(600)는 실린더관체(200)에 끼움 결합 또는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고정력을 배가한 형태로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은 초기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공기 주입에 따른 실린더관체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공기 배출에 따른 실린더관체의 하강 및 타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에어컴프레셔를 구동시켜 압축공기를 본 발명의 자동 관입장치로 주입한다.
이때, 에어컴프레셔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피타격부(120)의 공기주입구(121)로 인입되고 봉체(110)의 내부공기주입공(111)을 통해 실린더관체(200)의 내부로 주입된다.
실린더관체(200)의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는 실린더관체(200)의 내부에 구비된 에어마개(400)를 밀어올리는 작용을 하며, 에어마개(400)는 상승에 의해 공기배출부재(300)의 공기배출홀(310)을 막아 초기 개방상태에서 폐쇄되게 한다.
이때, 에어마개(400)의 외측으로 삽입 배치된 스프링(500)은 압축된다.
이와 같이, 공기배출부재(300)의 공기배출홀(310)에 대한 폐쇄와 함께 실린더관체(20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채워지고, 연속적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실린더관체(200)는 위로 상승한다.
실린더관체(200)가 봉체(110)의 상단까지 상승하면,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여기서, 에어컴프레셔로부터 본 발명의 장치로 수행되는 공기 공급 또는 차단은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실시할 수 있으며, 센서 등의 결합을 통해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압축공기의 공급 차단과 함께 실린더관체(200)의 내부에 채워진 압축공기는 실린더가이드(130)의 헤드부 측면에 위치되는 실린더관체(200)의 공기배출공(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하며, 실린더관체(200) 내부의 공기압력이 빠지면서 압축 상태의 스프링(500)이 탄성 복귀에 의해 공기배출부재(300)의 공기배출홀(310)을 막고 있던 에어마개(400)를 아래쪽으로 밀어냄으로써 하강되고, 공기배출홀(310)이 개방되어 공기배출홀(310)을 통해서도 실린더관체(200)의 상측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외부 배출한다.
이와 같이, 실린더관체(200)의 내부에 채워진 압축공기의 배출과 동시에 실린더관체(200)는 자중에 의해 상승되었던 높이 만큼 하강하게 되며, 실린더관체(200)의 하측에 구비된 타격체(600)가 피타격부(120)를 타격한다.
이에 따라, 선단콘을 갖는 로드(1)를 지면으로 관입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주입과 배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로드(1)를 자동으로 관입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일정 하중의 무게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반복 낙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지반 조사를 위한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자동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보다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동적 콘 관입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00: 로드결합체 110: 봉체
111: 내부공기주입공 120: 피타격부
121: 공기주입구 122: 테이퍼면
130: 실린더가이드 200: 실린더관체
210: 공기배출공 300: 공기배출부재
310: 공기배출홀 400: 에어마개
500: 스프링 600: 타격체
610: 대응테이퍼부

Claims (5)

  1. 관통된 내부공기주입공을 갖는 봉체(棒體)의 하단부에 공기주입구를 갖는 피타격부가 구비되고, 봉체의 상단부에 실린더관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실린더가이드가 구비되는 로드결합체;
    상기 로드결합체의 피타격부 위에 위치하되 실린더가이드 및 봉체가 내재되게 봉체 상에 삽입 및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 외면에 공기배출공이 형성된 실린더관체;
    상기 실린더관체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공기배출부재;
    상기 실린더관체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고 공기압의 작용에 의해 승강 동작하여 공기배출홀의 개폐를 담당하도록 구비되는 에어마개;
    상기 에어마개의 외측에 삽입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실린더관체의 하측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실린더관체의 하강 동작시 피타격부를 타격하는 타격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관체의 하단부 외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은 실린더관체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되, 다수 형성되는 공기배출공의 전체 면적이 봉체에 형성된 내부공기주입공의 면적 대비 2배 ~ 8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재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홀의 직경은 봉체에 형성된 내부공기주입공의 직경 대비 4배 ~ 20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타격부에는 상단부에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타격체에는 하단부 내주면에 피타격부의 테이퍼면에 대응하는 대응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가이드의 외주면과 실린더관체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갭을 유지되게 하되, 상기 갭은 실린더관체 내경의 1/100배 ~ 1/50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KR1020130166593A 2013-12-30 2013-12-30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KR10140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593A KR101400433B1 (ko) 2013-12-30 2013-12-30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593A KR101400433B1 (ko) 2013-12-30 2013-12-30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433B1 true KR101400433B1 (ko) 2014-05-28

Family

ID=5089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593A KR101400433B1 (ko) 2013-12-30 2013-12-30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4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27B1 (ko) 2016-05-10 2017-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 동적 콘 관입 시험장치
KR102024676B1 (ko) 2019-01-23 2019-09-24 주식회사 아이디어스 동적 콘 관입시험기 및 지반의 강성 측정 방법
JP7333609B2 (ja) 2020-01-26 2023-08-25 株式会社関西機器製作所 貫入ピストン、土質試験機及び貫入ピストンの下部ユニットの移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55Y2 (ja) * 1987-09-10 1994-03-09 大日本土木株式会社 自動落下貫入試験機
JPH0673721A (ja) * 1992-06-19 1994-03-15 Koken Kogyo Kk 自動貫入試験機
JP2003041563A (ja) 2001-07-31 2003-02-13 Sabo Jisuberi Gijutsu Center 貫入試験器
JP2007315164A (ja) 2006-05-29 2007-12-06 ▲オノ▼ 素行 エアー駆動式打撃ハンマ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55Y2 (ja) * 1987-09-10 1994-03-09 大日本土木株式会社 自動落下貫入試験機
JPH0673721A (ja) * 1992-06-19 1994-03-15 Koken Kogyo Kk 自動貫入試験機
JP2003041563A (ja) 2001-07-31 2003-02-13 Sabo Jisuberi Gijutsu Center 貫入試験器
JP2007315164A (ja) 2006-05-29 2007-12-06 ▲オノ▼ 素行 エアー駆動式打撃ハンマ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27B1 (ko) 2016-05-10 2017-1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동 동적 콘 관입 시험장치
KR102024676B1 (ko) 2019-01-23 2019-09-24 주식회사 아이디어스 동적 콘 관입시험기 및 지반의 강성 측정 방법
JP7333609B2 (ja) 2020-01-26 2023-08-25 株式会社関西機器製作所 貫入ピストン、土質試験機及び貫入ピストンの下部ユニットの移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33B1 (ko) 동적 콘 관입 시험용 자동 관입장치
US6575253B2 (en) Automatic hammer system for standard penetration test
DE102013004650A1 (de) Feldprüfgerät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dynamischen Elastizitätsmodules von Asphalt
KR102024676B1 (ko) 동적 콘 관입시험기 및 지반의 강성 측정 방법
CN205719770U (zh) 一种用于植物全株根系拉拔试验的装置
CN109667257B (zh) 一种便携式动力触探测试仪以及测试方法
JP6242466B1 (ja) 杭孔用貫入試験機
CN209927122U (zh) 一种远距离被保护层膨胀变形量及顶底板离层量测定装置
CN205743878U (zh) 水平井测井水力输送装置
US9366051B1 (en) Impact sand anchor
CN206873434U (zh) 一种安全的标准贯入试验锤击装置
CN204008337U (zh) 落锤冲击试验机落锤捕捉机构
KR101405272B1 (ko) 지반 조사용 관입 동적 콘 자동 인발장치
KR101807627B1 (ko) 자동 동적 콘 관입 시험장치
CN208056041U (zh) 一种动力触探试验锤击杆
CN208039242U (zh) 新型建筑工程地埋桩
KR101130833B1 (ko) 해저 지질 조사용 표준 관입 시험장치
US3135340A (en) Driving tool
CN207787217U (zh) 一种测斜仪预通器
CN209704474U (zh) 地质钻探机、地质钻探机的标贯装置及其提拉柱
KR101671941B1 (ko) 동적 콘 관입시험기 및 이를 이용한 지반의 강성 측정 방법
KR200480850Y1 (ko) 수동식 천공기
CN208430997U (zh) 一种钻孔测量装置
JP6047257B1 (ja) 杭孔用貫入試験機及び杭施工管理方法
RU2489699C1 (ru) Скважинный твердом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