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833B1 -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833B1
KR101399833B1 KR1020130075985A KR20130075985A KR101399833B1 KR 101399833 B1 KR101399833 B1 KR 101399833B1 KR 1020130075985 A KR1020130075985 A KR 1020130075985A KR 20130075985 A KR20130075985 A KR 20130075985A KR 101399833 B1 KR101399833 B1 KR 10139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gs
host
compliant
path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153A (ko
Inventor
아쯔시 다까꾸라
겐지 하또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7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avail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04Error avo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06F11/2005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06F11/2007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med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5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ersistent mass storage functionality or persistent mass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89Redundant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5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changing the path, e.g. traffic rerouting, path re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61Format or protocol convers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06F3/0689Disk arrays, e.g. RAID, JB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와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혼재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장치를 제공한다. 스토리지 장치는,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만을 송신하는 커맨드를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의해, 각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 중 어느 것이 사용되고 있는지 판단하여,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호스트(50)로부터,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패스를 통해서 센스 응답이 필요한 커맨드가 송신되어 온 경우(S301; "예", S302; "예", S303; 아니오), 스탠바이 패스 설정을 무시하고 당해 커맨드를 처리한다.

Description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STORAGE DEVICE, CONTROL METHOD FOR STORAGE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스토리지 장치와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토리지 장치로서, 몇 대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할 수 있는 것(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그러한 스토리지 장치는, 통상, 각 호스트에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를 인스톨해서 사용하는 것(이하, 종래 장치라고 표기한다)으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400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78595호 공보
종래 장치는, 호스트에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으면, 당해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종래 장치의 상태를 오인식하여, 그 결과로서 의도하지 않은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장치는, TPGS의 사양 상, 스탠바이(standby) 패스를 통해서 센스(sense)의 반송이 필요한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센스 “2(NOT READY)/040B(LOGICAL UNIT NOT ACCESIBLE TARGET PORT IN STANDBY STATE)”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스 “2/040B”를 수신한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커맨드의 송신에 사용된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인식하고, 타 패스를 이용한 커맨드의 재송신 등을 행한다.
한편,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센스 “2/040B”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는 것(센스 “2/040B” 수신시의 동작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에 의해 종래 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면, 센스 “2/040B”의 수신시에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종래 장치의 상태를 오인식해 버려서, 그 결과로서 의도하지 않은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개시의 기술의 과제는, 몇 개의 호스트에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어도, 각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에 의해 스토리지 장치의 상태가 오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개시의 기술의 1 관점에 의한 스토리지 장치는,
복수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를 갖고,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스토리지 장치이며,
복수의 논리 기억 장치와,
각각, 1개 이상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와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포트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만,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 않은 소정의 SCSI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당해 소정의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사용되고 있는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에 의해 수신된 각 SCSI 커맨드를 처리하는 커맨드 처리부이며, 유저에 의해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통해서 수신된 SCSI 커맨드에 대해서는, 상기 기억 장치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당해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센스를 당해 호스트에 반송하고, 당해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것으로 해서, 당해 SCSI 커맨드를 처리하는 커맨드 처리부를 구비한다.
개시의 기술의 1 관점에 의한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를 갖고,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만,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 않은 소정의 SCSI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당해 소정의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사용되고 있는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에 의해 수신된 각 SCSI 커맨드를 처리할 때, 유저에 의해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통해서 수신된 SCSI 커맨드에 대해서는, 상기 기억 장치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당해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센스를 당해 호스트에 반송하고, 당해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것으로 해서, 당해 SCSI 커맨드를 처리한다.
개시의 기술의 1 관점에 의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복수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를 갖고,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스토리지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며,
당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만,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 않은 소정의 SCSI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당해 소정의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사용되고 있는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에 의해 수신된 각 SCSI 커맨드를 처리할 때, 유저에 의해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통해서 수신된 SCSI 커맨드에 대해서는, 상기 기억 장치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당해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센스를 당해 호스트에 반송하고, 당해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것으로 해서, 당해 SCSI 커맨드를 처리한다.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몇 개의 호스트에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어도, 각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에 의해 스토리지 장치의 상태가 오인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의 구성 및 사용 형태의 설명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가 구비하는 CM의 구성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가 구비하는 CM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가 실행하는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의 흐름도.
도 5는,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의 설명도.
도 6은, 커맨드 처리부가 실행하는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의 흐름도.
도 7은, 커맨드 처리부가 실행하는 커맨드 응답 처리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10)의 구성 및 사용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10)(도 1)는,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 또는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를 구비한 복수의 호스트(50)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것을 상정해서 개발한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리지 장치(10)는, 2개의 제어 모듈(12)[이하, CM(Controller Module)(12)이라고 표기한다], 및 디스크부(15)를 구비한다.
디스크부(15)는, 복수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유닛이다. CM(12)은 디스크부(15)를 복수의 논리 기억 장치(소위 논리 유닛)로서 기능시키는 유닛(모듈)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M(12)은 2개의 CA(Communication Adapter)(21), CPU(Central Processing Unit)(22), 기억부(23) 및 IO(Input-Output) 컨트롤러(24)를 구비하고 있다.
CM(12)이 구비하는 각 CA(21)는, 호스트(50)와의 사이에서, 화이버(fiber) 채널,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등에 의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각 CA(21)는, 몇 개의 HBA(Host Bus Adapter)(51)와 스위치(55)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포트(통신 포트; 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23)(도 2)는, RAM(Random Access Memory), CPU(2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펌웨어)을 기억한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는 유닛이다. IO 컨트롤러(24)는, 디스크부(15)[디스크부(15) 내의 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의 사이의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유닛이다. CPU(22)는,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서 CM(12) 내의 각 부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유닛이다.
이어서, 스토리지 장치(10)의 동작/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에, 스토리지 장치(10)가 구비하는 CM(12)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서 동작하고 있는 CPU(22)는, 구성 관리부(22a),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22b) 및 커맨드 처리부(22c)로서 기능한다.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22b)는, 전체 CM(12)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의해 SCSI 커맨드(캡슐화된 것)가 수신될 때마다, 도 4에 도시한 수순의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를 실행하는 유닛(기능 블록)이다.
즉, 어떤 SCSI 커맨드(이하, 수신 커맨드라고 표기한다)를 어떤 포트(이하, 수신 포트라고 표기한다)가 수신한 경우,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22b)는, 수신 커맨드가 RTPG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1). 또한, RTPG(Report Target Port Groups) 커맨드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RTPG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뿐이다.
수신 커맨드가 RTPG 커맨드가 아닌 경우(스텝 S101; 아니오),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22b)는, 특히 처리를 행하지 않고, 이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수신 커맨드가 RTPG 커맨드인 경우(스텝 S101; 예),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22b)는, 수신 포트용의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에, 수신 커맨드의 송신원 이니시에이터가 RTPG 발행 이니시에이터인 취지를 기억한다(스텝 S102).
여기서,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이란, 포트별로 기억부(23) 내에 준비되어 있는(도 3 참조), 도 5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테이블이다.
즉,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은, 자체 테이블 내의 각 레코드의 Index가 설정되는 Index 필드와, 수신 커맨드의 송신원 HBA(51)의 식별자(World Wide Name 등)가 설정되는 식별자 필드를 갖고 있다. 또한,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은, 동 레코드 내의 식별자로 식별되는 HBA(51)의 내부 관리 번호가 설정되는 내부 관리 번호 필드를 갖고 있다. 또한,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은, 수신 커맨드의 송신원 HBA(51)이 RTPG 발행 이니시에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RTPG 발행 Initiator”)를 설정 가능한 Thread 영역 필드를 갖고 있다.
이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은, 어떤 이니시에이터[HBA(51)]가 로그인했을 때, 그 이니시에이터에 관한 레코드가 추가되고, 어떤 이니시에이터가 로그 아웃했을 때, 그 이니시에이터에 관한 레코드가 삭제되는 테이블로 되어 있다. 즉, 스텝 S102의 처리 실행시, 수신 포트용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 내에는, 수신 커맨드의 송신원 HBA(51)에 관한 레코드가 이미 존재하고 있다. 그로 인해, 스텝 S102에서는, 당해 레코드 중의 Thread 영역 필드에, 수신 커맨드의 송신원HBA(51)이 RTPG 발행 이니시에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RTPG 발행 Initiator”)를 설정하는 처리만이 행해진다.
스텝 S102의 처리(도 4)를 종료한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22b)는, 이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구성 관리부(22a)(도 3)는, 기본적으로는, 호스트(50)에 대한 조작을 통해서 유저로부터 어떤 구성 관리 테이블(28)의 내용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고, 접수한 지시에 따라서 그 구성 관리 테이블(28)의 내용을 변경하는 유닛(기능 블록)이다.
여기서, 구성 관리 테이블(28)이란, 기억부(23) 내에 포트별로 준비되어 있는 테이블이다. 구성 관리 테이블(28)은, 대응하는 포트(이하, 대응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각 HBA(51)의 식별 정보나, 각 HBA(51)와의 사이의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지 액티브 패스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구성 관리부(22a)는, 유저로부터, 어떤 포트와 어떤 HBA(51) 사이의 액티브 패스를 스탠바이 패스로 변경하는 것을 지시 받은 경우, 그 포트용 구성 관리 테이블(28)의 내용을 지시에 따라서 변경한다. 또한, 구성 관리부(22a)는, 커맨드 처리부(22c)에 대하여,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의 개시를 지시하는 처리도 행한다.
구성 관리부(22a)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커맨드 처리부(22c)가 개시하는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는, 도 6에 나타낸 수순의 처리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의 내용을 설명하기 전에, 커맨드 처리부(22c)의 통상 시의 동작을 설명해 두기로 한다.
커맨드 처리부(22c)는, 통상은,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도 4) 후의 각 SCSI 커맨드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낸 수순의 커맨드 응답 처리를 행하고 있다.
즉, 어떤 SCSI 커맨드(이하, 처리 대상 커맨드라고 표기한다)의 처리시, 커맨드 처리부(22c)는, 우선, 처리 대상 커맨드가, 센스를 응답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 센스 응답 대상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1).
처리 대상 커맨드가 센스 응답 대상 커맨드가 아닌 경우(스텝 S301; 아니오), 커맨드 처리부(22c)는 커맨드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304). 또한, “커맨드 처리를 실시한다”란, “처리 대상 커맨드가 요구하고 있는 내용의 처리(스텝 S301 후에 실행되는 스텝 S304에서는, inquiry 커맨드에 응답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S304의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이 커맨드 응답 처리(도 7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 SCSI 커맨드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SCSI 커맨드에 대한 커맨드 응답 처리를 개시한다.
한편, 처리 대상 커맨드가 센스 응답 대상 커맨드인 경우(스텝 S301; 예), 커맨드 처리부(22c)는, 처리 대상 커맨드의 전송 패스(처리 대상 커맨드의 전송에 사용된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2).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맨드 처리부(22c)는, 처리 대상 커맨드를 수신한 포트(이하, 수신 포트라고 표기한다)용의 구성 관리 테이블(28)에, 처리 대상 커맨드의 송신원 이니시에이터[송신원 HBA(51)]와의 사이의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처리 대상 커맨드의 전송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경우(스텝 S302; 아니오), 커맨드 처리부(22c)는 커맨드 처리를 실시(스텝 S304)한 후, 이 커맨드 응답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302 후에 실행되는 스텝 S304에서는, 예를 들어 IO 컨트롤러(24)를 통해서 디스크부(15) 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처리 대상 커맨드의 전송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경우(스텝 S302; 예), 커맨드 처리부(22c)는, 수신 포트용의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도 5)을 참조한다. 그리고, 커맨드 처리부(22c)는, 당해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 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대상 커맨드의 송신원 이니시에이터가 RTPG 발행 이니시에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03).
커맨드 처리부(22c)는, 송신원 이니시에이터가 RTPG 발행 이니시에이터인 경우(스텝 S303; 예)에는, 센스 “2/040B”를 송신원 이니시에이터로 반송(스텝 S305)한 후, 이 커맨드 응답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송신원 이니시에이터가 RTPG 발행 이니시에이터가 아닌 경우(스텝 S303; 아니오), 커맨드 처리부(22c)는 커맨드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304). 즉, 이 경우, 커맨드 처리부(22c)는 전송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무시하고, 커맨드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스텝 S304의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이 커맨드 응답 처리를 종료한다.
요컨대, 센스의 반송이 필요한 커맨드를 스탠바이 패스 경유로 수신했을 때, 그 커맨드의 송신원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경우에는, 센스 “2(NOT READY)/040B(LOGICAL UNIT NOT ACCESIBLE TARGET PORT IN STANDBY STATE)”을 반송해야 한다. 단,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센스 “2/040B”를 어떤 의미의 정보로서 해석할지는, 벤더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커맨드의 송신원 드라이버가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경우에 센스 “2/040B”를 반송하면, 의도하지 않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한편, 스탠바이 패스 설정을 무시하고 커맨드 처리를 실시하도록 해 두면, 센스 “2/040B”가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에 대하여 송신되지 않게 되는 결과로, 의도하지 않은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수순의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 및 커맨드 응답 처리가 행해지도록, 스토리지 장치(10)[CM(12)]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도 6으로 돌아가서,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는, 구성 관리부(22a)가 유저로부터 어떤 포트와 어떤 HBA(51) 사이의 패스(액티브 패스)를 스탠바이 패스로 변경하는 것을 지시 받았을 때, 커맨드 처리부(22c)에 개시시키는 처리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를 개시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우선, Suspend 처리(스텝 S201)를 행한다.
이 Suspend 처리는, 수신 완료된 각 SCSI 커맨드의 처리를 완료시켜서, 금회, 스탠바이 패스로 변경된 패스(이하, 상태 변경 패스라고 표기한다)가 관계하는 SCSI 커맨드를 접수하지 않도록, CA(21)를 제어하는 처리이다.
Suspend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센스 등록 처리(스텝 S202)를 행한다. 이 센스 등록 처리는, 상태 변경 패스를 통해서 액세스되는 각 논리 기억 장치에 대한 다음 회의 SCSI 커맨드의 수신 시에, 센스 “6/2A06”을 반송하는 것을 등록(기억)하는 처리이다. 또한, 센스 “6(UNIT ATTENTION)/2A06(ASYMMETRIC ACCSESS STATE CHANGE)”이란 멀티 패스의 재구축을 촉진시키기 위한 센스이다. 이 센스를 수신한 TPGS 대응/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SAN[스토리지 에리어 네트워크; 스토리지 장치(10)와 복수 대의 호스트(50) 등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으로부터 일단 로그 아웃한 후, SAN에 다시 로그 인한다.
센스 등록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CA(21)의 상태를 통상의 상태(상태 변경 패스가 관계하는 SCSI 커맨드도 접수하는 상태)로 되돌리는 Resume 처리(스텝 S203)를 행한다.
Resume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센스 등록 처리에 의한 등록 내용에 따라 각 논리 기억 장치에 센스 “6/2A06”을 송신하는 센스 송신 처리(스텝 S204)을 개시한다. 또한, Resume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드라이버 종별 판정 처리 후의 각 SCSI 커맨드에 대하여 커맨드 응답 처리(도 7)를 행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즉, Resume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상태 변경 패스를 통한 각 논리 기억 장치에의 다음 회(첫 회)의 SCSI 커맨드에 대하여는, 센스 “6/2A06”의 반송에 의해 응답하고, 다른 각 SCSI 커맨드에 대하여는, 커맨드 응답 처리를 행하는 상태에서 동작한다.
그리고, 센스 송신 처리를 종료한 커맨드 처리부(22c)는, 이 패스 상태 변경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10)는,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만 송신하는 커맨드를 수신했는지의 여부에 의해, 각 호스트(50)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 중 어느 것이 사용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스토리지 장치(10)는,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호스트(50)로부터,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패스를 통해서 커맨드가 송신되어 온 경우, 스탠바이 패스 설정을 무시하는 형태로 당해 커맨드를 처리한다. 따라서, 스토리지 장치(10)를 사용해 두면, 센스“2/040B”가 송신됨으로써,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에 의해 스토리지 장치(10)의 상태가 오인식되는 경우가 없는 SAN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10)는, HBA(51)와 포트의 조합(소위 I_T Nexus)마다, 패스 상태의 설정(패스를 액티브 패스로 할 것인지 스탠바이 패스로 할 것인지에 관한 설정)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 현존하는 스토리지 장치는, HBA와 포트와 가상기억 장치의 조합(I_T_L Nexus)마다, 패스 상태의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장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I_T_L Nexus마다 패스 상태의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 일부 패스에 대해서 패스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토리지 장치(10)는, 기존의 스토리지 장치보다도 패스 상태의 설정 미스가 발생하기 어려운 장치로 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변형 형태]
상기 스토리지 장치(10)는, 각종 변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장치(10)를, 상기 복수의 구성 관리 테이블(28)[각각, 특정한 포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복수의 구성 관리 테이블(28)] 대신 전체 포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테이블이 사용된 장치로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10)를, 상기 복수의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30) 대신 전체 포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테이블이 사용된 장치로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스토리지 장치(10)를, HBA(51)와 포트와 가상기억 장치의 조합마다(I_T_L Nexus), 패스 상태의 설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장치로 변형할 수도 있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HBA(51)와 포트의 조합(I_T Nexus)마다, 패스 상태의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해 둔 쪽이, 패스 상태의 설정 미스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을 채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리지 장치(10)를, CM(12)의 수, CM(12) 내의 CA(21)의 수 등이 상기한 것과는 상이한 장치나, CPU(22)가 행하는 상기 처리의 일부를 CA(21)가 행하는 장치 등으로 변형되어도 좋은 것은 당연한 것이다.
10: 스토리지 장치
12: 제어 모듈
15: 디스크부
21: CA
22: CPU
22a: 구성 관리부
22b: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
22c: 커맨드 처리부
23: 기억부
24: IO 컨트롤러
28: 구성 관리 테이블
30: 이니시에이터 관리 테이블
50: 호스트
51: HBA
55: 스위치

Claims (5)

  1. 복수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를 갖고,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스토리지 장치로서,
    복수의 논리 기억 장치와,
    각각, 1개 이상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와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포트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만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 않은 소정의 SCSI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그 소정의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사용되고 있는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는 드라이버 종별 판정부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에 의해 수신된 각 SCSI 커맨드를 처리하는 커맨드 처리부로서, 유저에 의해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통해서 수신된 SCSI 커맨드에 대해서는, 상기 기억 장치를 참조함으로써, 그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센스를 그 호스트에 반송하고, 그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것으로 해서, 그 SCSI 커맨드를 처리하는 커맨드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호스트측 통신 포트와 통신 포트와의 각 조합에 대해서, 그들 사이의 통신 패스가, 액티브 패스인지 스탠바이 패스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 관리 테이블과,
    상기 구성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유저로부터 지시된 것으로 변경하는 구성 관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맨드 처리부는, 상기 구성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관리부는,
    유저에 의해, 어떤 호스트측 통신 포트와 어떤 통신 포트와의 사이의 통신 패스를 스탠바이 패스로 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 상기 구성 관리 테이블의 내용을 변경함과 함께, 그 통신 패스를 통한 각 논리 기억 장치에 대한 SCSI 커맨드의 다음번 수신시에 그 SCSI 커맨드의 송신원에 대하여 멀티 패스의 재구축을 촉구하기 위한 센스를 반송하는 구성 변경 통지 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
  4. 복수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를 갖고,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만,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 않은 소정의 SCSI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그 소정의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사용되고 있는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에 의해 수신된 각 SCSI 커맨드를 처리할 때, 유저에 의해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통해서 수신된 SCSI 커맨드에 대해서는, 상기 기억 장치를 참조함으로써, 그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센스를 그 호스트에 반송하고, 그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것으로 해서, 그 SCSI 커맨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5. 복수의 호스트측 통신 포트를 갖고,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 호스트와 멀티 패스 접속되는 복수의 통신 포트를 구비하는 스토리지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 프로세서가,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의해, TPGS(Target Port Group Support)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만, TPGS 비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는 송신하지 않은 소정의 SCSI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 그 소정의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사용되고 있는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포트에 의해 수신된 각 SCSI 커맨드를 처리할 때, 유저에 의해 스탠바이 패스로 설정되어 있는 통신 패스를 통해서 수신된 SCSI 커맨드에 대해서는, 상기 기억 장치를 참조함으로써, 그 SCSI 커맨드를 송신한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인 것을 나타내는 센스를 그 호스트에 반송하고, 그 호스트에 TPGS 대응 멀티 패스 드라이버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패스가 스탠바이 패스가 아닌 것으로 해서, 그 SCSI 커맨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130075985A 2012-08-29 2013-06-28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39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88746A JP5920114B2 (ja) 2012-08-29 2012-08-29 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JP-P-2012-188746 2012-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53A KR20140029153A (ko) 2014-03-10
KR101399833B1 true KR101399833B1 (ko) 2014-05-27

Family

ID=4879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985A KR101399833B1 (ko) 2012-08-29 2013-06-28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68805B2 (ko)
EP (1) EP2703988A2 (ko)
JP (1) JP5920114B2 (ko)
KR (1) KR101399833B1 (ko)
CN (1) CN1036776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787B1 (en) * 2012-06-28 2015-03-10 Emc Corporation Management of path operating mode transitions in multipathing host computer
WO2016009504A1 (ja) * 2014-07-16 2016-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通知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465A1 (en) 2004-06-15 2005-12-15 Yanling Qi Methods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persistent reservations in a multiple-path storage environment
JP2011054152A (ja) 2009-09-01 2011-03-17 Lsi Corp Scsii/oリファーラルを利用したイニシエータ及びストレージクラスタ間の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027680A (ja) 2010-07-23 2012-02-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ルチパス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595A (ja) 2003-09-03 2005-03-24 Hitachi Ltd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7610057B2 (en) * 2004-04-23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ng a wireless networking technology on a device capable of carrying out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via multiple wireless technologies
JP4643198B2 (ja) * 2004-07-28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負荷分散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経路設定プログラム及びその方法
US7626994B2 (en) * 2005-11-14 2009-12-01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node applications cooperatively managing a plurality of packet switched network pathways
JP2009140062A (ja) 2007-12-04 2009-06-25 Hitachi Ltd ストレージ装置と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パス情報設定方法
US8627015B2 (en) * 2009-07-31 2014-01-07 Emc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cache-aware multipath distribution of storage commands among caching storage controllers
US8782358B2 (en) * 2011-04-27 2014-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arent input / output switching between synchronously mirrored storage volumes
WO2013014702A1 (en) * 2011-07-22 2013-01-31 Hitachi, Ltd. Computer system and data mig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465A1 (en) 2004-06-15 2005-12-15 Yanling Qi Methods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persistent reservations in a multiple-path storage environment
JP2011054152A (ja) 2009-09-01 2011-03-17 Lsi Corp Scsii/oリファーラルを利用したイニシエータ及びストレージクラスタ間の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027680A (ja) 2010-07-23 2012-02-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ルチパス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48710A (ja) 2014-03-17
KR20140029153A (ko) 2014-03-10
US20140068121A1 (en) 2014-03-06
US8868805B2 (en) 2014-10-21
JP5920114B2 (ja) 2016-05-18
EP2703988A2 (en) 2014-03-05
CN103677657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1284B2 (en) Method for providing asynchronous event notification in systems
US9335942B2 (en) Methods and structure for LUN masking in a switching device
US8607230B2 (en) Virtual computer system and migration method of virtual computer
US8751741B2 (en) Methods and structure for implementing logical device consistency in a clustered storage system
JP4087072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仮想プライベートボリューム制御方法
US9990313B2 (en) Storage apparatus and interface apparatus
US921350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050228924A1 (en) Expander device capable of persistent reservations and persistent affiliations
WO2009101066A1 (en) Processing of data to perform system changes in an input/output processing system
US8694698B2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ing data transfer access
CN105204779B (zh) 基于双控的scsi target访问控制方法和装置
US8838866B2 (en) Operation method for a computer system
CN106484549A (zh) 一种交互方法、NVMe设备、HOST及物理机系统
US98419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virtual disk images for use with remote computer
KR101399833B1 (ko)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US7822824B2 (en) Method for starting up file sharing system and file sharing device
US11016698B2 (en) Storage system that copies write data to another storage system
US20150242351A1 (en) Storag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control program
US20070174034A1 (en) Transparent intellectual network storage device
US20110296062A1 (en)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rage apparatus
EP2851801A1 (en) Computer system, control method for computer system and coupling module
US20100017189A1 (en) Transparent Intellectual Network Storage Device
US9384160B2 (en) Methods and controllers for affiliation managment
US8095715B1 (en) SCSI HBA management using logical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