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662B1 -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662B1
KR101399662B1 KR1020120070867A KR20120070867A KR101399662B1 KR 101399662 B1 KR101399662 B1 KR 101399662B1 KR 1020120070867 A KR1020120070867 A KR 1020120070867A KR 20120070867 A KR20120070867 A KR 20120070867A KR 101399662 B1 KR101399662 B1 KR 10139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ouch input
signa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841A (ko
Inventor
이재수
김수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2007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서화면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지점의 위치좌표를 발생시켜, 판서화면을 상ㆍ하ㆍ좌ㆍ우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판서화면 영역을 무한히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은 손가락이나 전자펜과 같은 물체가 판서화면(210)에 접촉될 시에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할 시에 발생하는 터치 무브신호 및,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서 접촉이 떼어졌을 시에 발생되는 터치업 신호와 같은 터치입력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판서화면(210)과; 상기 판서화면(210)상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종류를 해석하기 위한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와;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판서동작인지 또는 판서화면 이동 동작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와;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기록하기 위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 및; 상기 터치 신호, 터치 무브신호 및, 터치업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240)로 구성되어, 판서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빈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INFINITE MARKING EXECUTION SYSTEM OF ELECTRONIC BOARD AND EXECU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운용 가능한 전자칠판의 판서화면 조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서화면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지점의 위치좌표를 발생시켜, 판서화면을 상ㆍ하ㆍ좌ㆍ우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판서화면 영역을 무한히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이하, 본원에선, 이렇게 판서화면 영역이 이동가능한 최대폭과 최대 높이가 없이 무한히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무한판서" 라 총칭함),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용 판서프로그램은 입력장치가 키보드나 마우스가 아닌 전자칠판 장치의 입력 신호를 받아 컴퓨터상에서 판서 가능하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이러한 판서프로그램은 화이트 보드나 칠판과 같이 실물로 이루어진 판서도구와 다르게 소프트웨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특히 판서프로그램의 판서화면 영역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 중 대표적인 것으로 판서화면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술이 있다.
이렇게 판서화면을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면 판서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유저는 판서된 화면을 지우지 않고 판서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판서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판서화면의 이동 기능은 한국 등록특허 제 10-2007248-0000호("전자칠판과 화이트보드의 자동변환 및, 흐림현상이 방지되는 멀티 전자칠판")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과 결합 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본화면 일측에,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을 판서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화면단축키를 형성하여, 발표 또는 회의 도중 별도의 판서가 필요할 경우 상기 단축키를 눌러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을 전체를 판서화면으로 전환하여 보드(Board)처럼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나, 화면을 스크롤 할 수 있는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탐색기의 예와 같이 스크롤바(도 1의 참조부호숫자 '110' 참조)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의 경우 일정한 크기의 화면영역을 이동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판서화면영역의 폭과 높이가 정해져 있다면 다음과 같은 제약이 발생한다.
첫째, 이동 가능한 판서화면의 폭과 높이가 짧다면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기능은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며, 또한 폭과 높이가 길었을 경우 스크롤바로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판서화면 영역을 상ㆍ하ㆍ좌ㆍ우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은 판서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유저가 판서화면 영역을 상ㆍ하ㆍ좌ㆍ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판서화면을 조작할 수 있게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기술 및, 화면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기술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판서화면을 이동 가능하게 구현하는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 판서화면 영역의 이동가능한 최대 폭과 높이에 제약을 두지 않고 무한히 이동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여, 판서화면 영역의 상ㆍ하ㆍ좌ㆍ우의 끝면을 의식할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판서 동작을 무한히 이어갈 수 있는 무한판서 기능을 이용하여 판서화면의 이동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은 손가락이나 전자펜과 같은 물체가 판서화면에 접촉될 시에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할 시에 발생하는 터치 무브신호 및,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에서 접촉이 떼어졌을 시에 발생하는 터치업 신호와 같은 터치입력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판서화면과; 상기 판서화면 상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종류를 해석하기 위한 터치입력신호 해석부와;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판서동작인지 또는 판서화면 이동 동작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와;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기록하기 위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 및; 상기 터치 신호, 터치 무브신호 및, 터치업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로 구성되어, 판서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빈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은 판서화면상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터치입력신호 해석부에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에 기록된 숫자에 1을 가산시키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에 기록된 숫자가 2 미만이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는 터치판서 동작이라고 판단하여 터치판서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이면, 판서화면 이동모드로 판단하여,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를 온(on)시키는 단계와; 터치무브 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이동한 거리를 산술연산하는 단계와; 판서동작을 취소하는 단계와; 상기 산술연산에 의해 잉크데이터가 이동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잉크데이터를 이동시켜 상기 판서화면의 이동을 완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판서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빈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방법은 판서 행위 중 여분의 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에 판서한 글이나 그림을 지울 필요 없이 판서화면을 이동시킴으로써 여분의 빈 공간을 무한히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판서화면 영역을 무한히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 짐으로써, 판서 과정에서 필기한 글이나 그림을 지우지 않아도 되어 예전에 필기한 화면영역으로 무한히 되돌아 가는 것도 가능해 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판서화면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스크롤바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간단히 두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 판서동작과 이동동작을 자연스럽게 이어 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방법과 시각적으로 단순해진 무한판서 표현 효과로 인해 전자칠판을 이용한 수업 진행시에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수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판서화면의 이동방식의 이해를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터치다운, 터치무브, 터치업 동작의 이해를 위한 설명도.
도 4는 잉크 데이터의 이동방식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벡터 데이터로 구성된 잉크 데이터의 내부 구조도.
도 6은 판서과정에서 생성되는 잉크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 구조도.
도 7은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방법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터치다운, 터치무브, 터치업 동작의 이해를 위한 설명도이며, 도 4는 잉크 데이터의 이동방식에 대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벡터 데이터로 구성된 잉크 데이터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6은 판서과정에서 생성되는 잉크데이터의 리스트 데이터 구조도이며, 도 7은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200)은 판서화면(210),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On/Off) 플래그(221),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 및,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판서화면(210)에 손가락 또는 전자펜과 같은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 접촉될 시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며,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될 시에 터치무브 신호가 발생하며,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서 접촉을 땔 시에 터치업 신호가 발생한다. 이러한 터치 신호, 터치무브 신호 및, 터치업 신호가 터치입력 신호이며, 상기 터치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칠판의 판서가 작동되는데, 판서화면(210)에 판서가 진행하는 동안에는 터치 신호 또는 터치무브 신호가 발생하며, 판서를 마치고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서 띄워졌을 시에 터치업 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했을 때,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 1을 가산하여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시키며, 터치업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서 1을 감산시켜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판서화면(210)을 터치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는 1이 기록되고, 터치업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는 0이 기록된다.
또한,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는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 의해 온/오프된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는 상기 판서화면(210)에서 발생된 터치 신호 및 터치업 신호와 같은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기록하는데, 초기화 과정에서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는 숫자 0으로 세팅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 의해 가산 및 감산되어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상기 판서화면(210)에 접촉된 손가락이나 물체의 갯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240)는 터치 판서동작 실행부(241)와, 터치 무브 판서동작 실행부(242), 터치업 판서동작 실행부(243) 및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244)로 구성되어, 상기 터치 신호, 터치무브 신호 및, 터치업 신호의 발생에 따라 각기 터치 판서동작과, 터치 무브 판서동작 및, 터치업 판서동작을 실행시키거나, 판서화면 이동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가 2 이상 인지 또는 2 미만 인지에 따라,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판서동작인지 또는 판서화면 이동 동작인지를 파악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터치무브 신호가 발생했을 시에,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온시키고,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가 몇개 인지를 파악한다. 이때,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가 2 이상이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이를 판서화면 이동 동작으로 파악하여 상기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244)를 통해 판서화면의 이동을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가 2 미만이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이를 판서동작으로 파악하여 상기 터치판서 동작 실행부(241)를 통해 판서동작을 실행시킨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판서화면(210)에서 발생하는 터치입력 신호에 대한 처리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무한판서 기능을 위한 판서 데이터의 구도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판서화면(210)에 표기하는 글이나 그림과 같은 선 데이터는 판서화면(210)의 X,Y 좌표 상의 위치 값에 대한 벡터 데이터로 처리 및 저장된다(이하, 이러한 좌표 상의 위치 값을 "잉크데이터"라 총칭함).
이러한 잉크데이터는 선(510)이 각각의 점 좌표(400)의 리스트 형태(510)로 관리되어 상ㆍ하ㆍ좌ㆍ우 이동을 산술연산을 통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은 무한판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된 크기의 판서화면(210)상에서 잉크데이터를 표시하지 않는다. 단지 판서화면(210)은 디스플레이 장치 해상도에 맞추어 벡터 좌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판서화면(210)의 이동 과정은 잉크데이터의 이동(420)에 의해 처리된다. 즉 본 발명에선, 판서화면(210)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잉크데이터를 이동시킴으로써 판서화면(210)이 이동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한판서 기능의 핵심은 이러한 잉크데이터의 구조와 판서화면(210)이 아닌 잉크데이터의 이동(420)으로 이동 효과를 처리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벡터데이터와, 이동과 관련된 산술연산으로 처리되는 잉크데이터 및, 판서화면(210) 이동 기술은 상기 판서화면(210)에서 발생하는 터치입력 신호에 따라 새로운 벡터데이터를 생산하는 과정인 판서동작과, 잉크데이터의 산술연산 과정인 판서화면(210) 이동 동작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이하에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터치입력 신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판서화면(210)에 손가락이나 전자펜과 같은 물체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터치입력 신호는 상기 판서화면(210)에 손가락이나 전자펜과 같은 물체가 접촉되었을 때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되엇을 때 발생하는 터치무브 신호 및, 접촉한 손가락이나 물체가 떼어졌을 때 발생하는 터치업 신호가 있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손가락이나 물체를 접촉하여 터치무브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서는 이 신호를 판서화면 이동 동작으로 판단하여 판서화면(210)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를 위하여 판서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시작시 초기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판서프로그램의 시작시 실행되는 프로그램 초기화 과정에서는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기록하기 위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가 숫자 0으로 세팅되고,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false 값으로 지정하게 된다.
여기서,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손가락이나 전자펜과 같은 물체가 판서화면(210)에 접촉되거나 떼어졌을 때,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그 숫자를 기록시키는데, 터치 신호의 발생시에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 1을 가산시키고, 터치업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서 1을 감산시킨다.
이후,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이는 판서프로그램 시작시 초기화 과정을 거치며 0의 값으로 설정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가 2 이상의 값을 갖고 있으면 터치 신호가 두번 이상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며, 이는 두개 이상의 손가락이나 물체가 터치화면(210)에 접촉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2 이상의 값이 기록되었을 경우,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true 값으로 바꾸고 과정이 마무리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즉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2 미만의 값이 기록되었을 경우, 통상적인 판서기능을 위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판서 동작 실행부(241)를 통해 터치판서 과정이 진행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업 신호가 발생 되었을 때,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서 1을 감산시킨다. 이후,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확인하게 된다. 이는 터치업 신호가 발생 되었을 때의 상태가 판서화면 이동모드 상태라면 판서화면 이동 동작을 마무리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상기 터치업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의 상태가 판서화면 이동모드 상태라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에 false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과정이 마무리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즉 상기 터치업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의 상태가 판서동작 상태라면, 통상적인 판서기능을 위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업 판서동작 실행부(243)를 통해 터치업 판서 과정이 진행되게 한다.
따라서, 터치화면(210)에서 터치무브 신호가 발생 되었을 때,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서는 우선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의 값을 확인하며, 그 값이 true 값일 경우에만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244)를 통해 판서화면(210)의 이동이 진행되게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즉,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의 값이 false 값일 경우에는, 통상적인 판서기능을 위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무브 판서동작 실행부(242)를 통해 터치무브 판서 과정이 진행되게 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방법에 대한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터치화면(210) 상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한다(S711).
이후,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 1을 가산시킨다(S712).
그 후,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713).
이후,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미만이면, 터치판서 동작이라고 판단하여 터치판서동작 실행부(241)를 통해 터치판서 동작을 실행시키고(S714),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이면, 판서화면 이동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온(on)시킨다(S715). 이때, 상기 터치무브 신호는 이동한 거리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한 거리 데이터는 후술할 잉크데이터를 이동시켜야 할 경우 필요한 값이다.
그 후, 상기 터치무브 신호를 발생되면(S716),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이동한 거리를 산술연산시킨다(S717). 이때, 상기 산술연산된 거리가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244)에 저장된다.
그 후, 판서동작을 취소시킨다(S718). 이때, 이러한 판서동작 취소는 터치입력 신호로 발생한 잉크데이터가 판서동작이 아닌 판서화면 이동 동작으로 판별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잉크데이터를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상기 산술연산에 의해 잉크데이터가 이동을 시작한다(S719). 이때, 판서화면(210)에 표시된 잉크데이터의 리스트(510) 형태로 존재하는 모든 글이나 그림은 상기 산술연산된 거리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벡터좌표가 재계산되어야 한다.
그 후,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20).
이후,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상기 잉크데이터를 이동시키고(S721),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었다면, 판서화면 이동이 완료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판서화면 이동이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은 간단한 조작방법과 시각적으로 단순해진 무한판서 표현 효과로 인해 전자칠판 장치를 이용한 수업 진행시에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전자칠판 장치를 의식하지 않고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두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판서화면 이동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한 손의 두개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판서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터치입력신호 해석부 내에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가 통합되었고,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는 통합되지 않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 내에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가 모두 통합되거나, 모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판서화면 220: 터치업 입력 해석부
221: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
230: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
240: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
241: 터치 판서 동작 실행부 242: 터치무브 판서 동작 실행부
243: 터치업 판서 동작 실행부 244: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

Claims (12)

  1. 손가락이나 전자펜과 같은 물체가 판서화면(210)에 접촉될 시에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할 시에 발생하는 터치 무브신호 및, 상기 물체가 상기 판서화면(210)에서 접촉이 떼어졌을 시에 발생되는 터치업 신호와 같은 터치입력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판서화면(210)과;
    상기 판서화면(210)상에서 발생된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종류를 해석하기 위한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와;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판서동작인지 또는 판서화면 이동 동작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와;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를 기록하기 위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 및;
    상기 터치 신호, 터치 무브신호 및, 터치업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240)로 구성되어, 판서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빈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는 초기화 과정에서 숫자 0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 의해 가산 및 감산되어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갯수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상기 판서화면(210)에 접촉된 손가락이나 물체의 갯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서화면 이동 및 판서동작 실행부(240)는 상기 터치 신호 발생에 따라 터치 판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터치 판서 동작 실행부(241)와;
    상기 터치무브 신호 발생에 따라 터치 무브 판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터치 무브 판서 동작 실행부(242)와;
    상기 터치업 신호 발생에 따라 터치업 판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터치업 판서 동작 실행부(243) 및;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에 의해 판서화면(210)을 이동시키기 위한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2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터치 신호가 발생했을 때,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 1을 가산하여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시키며, 상기 터치업 신호가 발생했을 때,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서 1을 감산시켜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가 2 이상 인지 또는 2 미만 인지에 파악하여, 상기 터치입력 신호의 갯수가 2 이상이면, 판서화면 이동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7. 판서화면(210)상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711)와;
    상기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에서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에 1을 가산시키는 단계(S712)와;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13)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미만이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터치판서 동작이라고 판단하여 터치판서 동작을 실행시키는 단계(S714)와;
    상기 터치입력 신호 갯수 기록부(230)에 기록된 숫자가 2 이상이면, 상기 터치입력신호 해석부(220)는 판서화면 이동모드로 판단하여, 판서화면 이동모드 온/오프 플래그(221)를 온(on)시키는 단계(S715)와;
    터치무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S716)와;
    상기 터치무브 신호가 이동한 거리를 산술연산하는 단계(S717)와;
    판서동작을 취소하는 단계(S718)와;
    상기 산술연산에 의해 잉크데이터가 이동을 시작하는 단계(S719)와;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720) 및;
    상기 잉크데이터가 모두 이동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잉크데이터를 이동시켜 상기 판서화면(210)의 이동을 완료시키는 단계(S721)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S720에서, 상기 판서화면이 직접 이동되지 않고, 상기 판서화면(210) 상에 판서된 잉크데이터를 이동시켜 빈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판서화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15에서, 상기 터치무브 신호는 이동한 거리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16에서, 상기 산술연산된 거리가 판서화면 이동 실행부(244)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17에서, 상기 판서동작 취소는 상기 터치입력 신호로 발생한 잉크데이터가 판서동작이 아닌 판서화면 이동 동작으로 판별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잉크데이터를 삭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18에서, 상기 판서화면(210)에 표시된 상기 잉크데이터의 리스트(510) 형태로 존재하는 모든 글이나 그림은 상기 산술연산된 거리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벡터좌표가 재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방법.

  12. 삭제
KR1020120070867A 2012-06-29 2012-06-29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KR10139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67A KR101399662B1 (ko) 2012-06-29 2012-06-29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867A KR101399662B1 (ko) 2012-06-29 2012-06-29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41A KR20140003841A (ko) 2014-01-10
KR101399662B1 true KR101399662B1 (ko) 2014-05-27

Family

ID=5014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867A KR101399662B1 (ko) 2012-06-29 2012-06-29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4015B2 (en) 2018-12-24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writing across a plurality of layers displayed on a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464A (ja) * 1992-11-06 1994-05-27 Oki Electric Ind Co Ltd スタイラスにおける画面スクロール方法
JP2004118752A (ja) 2002-09-27 2004-04-15 Ricoh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上書き制御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7010704A1 (ja) 2005-07-22 2007-01-25 Pioneer Corporation 電子黒板装置、電子黒板装置の書き込み位置調整方法及び書き込み位置調整プログラム
KR20090089201A (ko) * 2008-02-18 2009-08-21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화면 표시기 및 화면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9464A (ja) * 1992-11-06 1994-05-27 Oki Electric Ind Co Ltd スタイラスにおける画面スクロール方法
JP2004118752A (ja) 2002-09-27 2004-04-15 Ricoh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上書き制御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7010704A1 (ja) 2005-07-22 2007-01-25 Pioneer Corporation 電子黒板装置、電子黒板装置の書き込み位置調整方法及び書き込み位置調整プログラム
KR20090089201A (ko) * 2008-02-18 2009-08-21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화면 표시기 및 화면 표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4015B2 (en) 2018-12-24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writing across a plurality of layers displayed on a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41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176B2 (en) Multi-touch uses, gestures, and implementation
KR101382928B1 (ko) 전자 서적의 책갈피 설정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3493117A (zh) 电子书导航系统和方法
JP5677623B1 (ja) プログラム編集用プログラム
KR20120040970A (ko) 디스플레이에서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33547A (ko)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934356A (zh) 智能交互平板的显示操作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91891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determine an area of a display screen to which an input operation belongs
CN110362217B (zh) 一种触摸交互式电子黑板板擦系统及擦除方法
CN105144065A (zh) 显示装置、图像形成装置和显示控制方法
EP2712433B1 (en) User interface for drawing with electronic devices
KR101399662B1 (ko) 전자칠판의 무한판서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CN103150118A (zh) 一种基于多点触控技术的内容选择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13849106B (zh) 翻页笔迹处理方法、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334295B2 (en) Transparent interactive interface for ballot mark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60069909A (ko) 전자칠판장치 및 그 장치를 위한 기록매체
CN10387001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5908326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KR100998764B1 (ko) 전자칠판용 판서 지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EP40736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id-aligned inking
KR20090077651A (ko)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JP2018077343A (ja) 表示制御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73680B2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KR20120005153A (ko) 컨텐츠재생장치 및 컨텐츠재생장치의 동작 방법
CN117289835A (zh) 触控屏幕中板擦工具的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