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651A -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651A
KR20090077651A KR1020080072512A KR20080072512A KR20090077651A KR 20090077651 A KR20090077651 A KR 20090077651A KR 1020080072512 A KR1020080072512 A KR 1020080072512A KR 20080072512 A KR20080072512 A KR 20080072512A KR 20090077651 A KR20090077651 A KR 2009007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blackboard
program
determination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자훈
Original Assignee
코리아판서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판서시스템(주) filed Critical 코리아판서시스템(주)
Publication of KR2009007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08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f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e.g. watches, p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계,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현재 윈도우 화면 캡쳐,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3 단계,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4 단계,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기본 칠판 로드,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7 단계,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8 단계,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9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인 경우엔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0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강의자가 타블렛 모니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강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보면서 전자펜으로 심볼을 선택해서 선택된 심볼을 스크린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되어 정지된 심볼을 다시 선택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강의용 판서장치로 보다 자유로운 강의를 진행할 수 있고, 듣는 사람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타블렛 모니터, PC본체, 전자펜, 프로젝터, 스크린, 심볼

Description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A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OF BOARD FOR A LECTURE}
본 발명은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PC본체와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타블렛 모니터, 그리고 보드에 영상을 발산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된 강의용 판서장치에 있어서, 강의자가 타블렛 모니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강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보면서 전자펜으로 심볼을 선택해서 선택된 심볼을 스크린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되어 정지된 심볼을 다시 선택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은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 기능들도 다양하여 많은 제품들이 특허로 등록이 되어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는 이유는 고전적인 칠판의 판서 방법에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분필과 같은 판서 도구로 사용할 때에는 강의자가 직접 분필을 손에 쥐 고 칠판에 판서를 하면서 일일이 설명하고 다시 판서를 할 때는 지우개로 칠판에 표기된 분필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분필은 가루가 생성되어 분필 가루가 날리고 손에 묻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성펜으로 쓰고 지울 수 있는 필기도구가 개발되었다.
한동안 수성펜에 의한 필기도구는 인기리에 시판되었는데, 이 수성펜에 의한 필기도구도 쓰고 지워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전자 칠판이 개발되게 되었다.
현재의 전자 칠판은 그 기능이 다양하고 고도해져서 강의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거의 갖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 전자 칠판은 단순히 심볼을 터치해서 선택하고 스크린상에 문자나 도형을 그리는 정도에 그치고, 다양한 이동이나 디스플레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의자가 타블렛 모니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강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보면서 전자펜으로 심볼을 선택해서 선택된 심볼을 스크린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되어 정지된 심볼을 다시 선택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계,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현재 윈도우 화면 캡쳐,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3 단계,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4 단계,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기본 칠판 로드,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7 단계,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8 단계,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9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인 경우엔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0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11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판서인 경우엔 상기 제7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종료인 경우엔 상기 제6 단계로 가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상기 제7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윈도우인 경우엔 상기 제2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상기 제3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종료인 경우엔 상기 제11 단계로 가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판서인 경우엔 상기 제3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종료인 경우엔 상기 제11 단계로 가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의자가 타블렛 모니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강의용 응용 프로그램을 보면서 전자펜으로 심볼을 선택해서 선택된 심볼을 스크린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되어 정지된 심볼을 다시 선택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강의용 판서장치로 보다 자유로운 강의를 진행할 수 있고, 듣는 사람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체적인 장치를 제어하고 연산하는 역할을 하는 PC본체(2),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PC본체(2)로 전송하는 키보드(3),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를 동작시키며 심볼(10)을 이동시키고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입력 기능을 보유한 타블렛 모니터(1), 상기 PC본체(2)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된 도형이나 글씨 및 기능키 심볼과 다양한 심볼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7), 상기 타블렛 모니터(1)의 상기 스크린(7)상에서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를 동작시키며, 심볼을 이동시키고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전자펜(4), 상기 PC본체(2)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영상을 발산하는 프로젝터(5), 상기 프로젝터(5)에서 발산된 영상이 잘 보이도록 이미지를 맺혀 표시하는 보드(6), 상기 전자펜(4) 대신 상기 스크린(7)상에서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우스(8)를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타블렛 모니터(1)는 상기 전자펜(4)으로 상기 스크린(7)상에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를 동작시키며 심볼(10)을 이동시키고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 레이하며, 입력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PC본체(2)에 전송한다.
상기 PC본체(2)는 전체적인 장치를 제어하고 연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키보드(3)는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PC본체(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자펜(4)은 상기 타블렛 모니터(1)의 상기 스크린(7)상에서 사용자가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를 동작시키며, 심볼을 이동시키고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상기 프로젝터(5)는 상기 PC본체(2)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보드(6)에 영상을 발산하여 사용자가 강의하는 내용을 수강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드(6)는 상기 프로젝터(5)에서 발산된 영상이 잘 보이도록 이미지를 맺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7)은 상기 PC본체(2)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자펜(4)으로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 심볼과 다양한 심볼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우스(8)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펜(4) 대신 상기 스크린(7)상에서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PC본체(2)는 전자펜(4)으로 스크린(7)상에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를 동작시키며, 심볼을 이동시키고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입력기능을 보유한 타블렛 모니터(1),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PC본체(2)로 전송하는 키보드(3), 상기 타블렛 모니터(1)의 상기 스크린(7)상에서 사용자가 도형이나 글씨를 쓰고 기능키를 동작시키며 심볼을 이동시키고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상기 전자펜(4),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전자펜(4) 대신 상기 스크린(7)상에서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8)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발생된 제어명령을 각 장치에 보내는데, 사용자가 상기 전자펜(4)이나 상기 키보드(3) 또는 상기 마우스(8)를 이용하여 입력한 정보를 상기 타블렛 모니터(1)로 디스플레이하고, 이 디스플레이된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터(5)로 전송하여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스크린상에서 심볼을 조작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크린(7)상의 일측에는 각종 심볼(10)들이 배열되어 있는 심볼 정렬부(20)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7)상의 타측에는 장치를 종료하고 도형을 저장하고 지우며 선의 굵기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기능키 정렬부(30)가 위치해 있다.
상기 심볼 정렬부(20)는 상기 전자펜(4)이나 상기 마우스(8)의 선택에 의해 사라졌다 나타났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볼 정렬부(20)의 일측 모서리에는 정지 심볼(40)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정지 심볼(40)을 전자펜(4)이나 마우스(8)로 선택을 하면 상기 심볼 정렬부(20)가 사라지지 않고 정지해 있는다.
그리고, 상기 심볼 정렬부(20)에 배열되어 있는 심볼(10)은 상기 전자펜(4)이나 상기 마우스(8)로 선택하여 이동하면, 상기 심볼(10)이 상기 전자펜(4)이나 상기 마우스(8)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되고, 이동된 마지막 위치에 정지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되어 위치한 심볼(10)은 사용자가 상기 전자펜(4)이나 상기 마우스(8)로 선택하여 다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PC본체(2)는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타블렛 모니터(1)상에 인터넷 창을 띄워 놓을 수 있는데, 이처럼 인터넷을 띄워 놓은 상태에서 그 스크린상에 도형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수 있으며, 스크린의 일측에 배열되어 있는 심볼을 선택하여 인터넷 창에 옮겨 놓을 수도 있고, 옮겨져 있는 심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계(S11),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S12), 상기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현재 윈도우 화면 캡쳐,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3 단 계(S13),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4 단계(S14),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S15), 상기 제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6 단계(S1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은 기본 칠판 로드,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7 단계(S20),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8 단계(S21),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9 단계(S22),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인 경우엔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0 단계(S23),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11 단계(S24)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시작하게 되면(S10), 상기 PC본체(2)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11). 그 다음으로,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며(S12), 그 판단 결과, 판서인 경우엔 ①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고, 칠판인 경우엔 현재 윈도우 화면 캡쳐,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 단계(S13)로 가서 실행되며,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S16), 종료하게 된다(S17).
그 다음엔,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 단계(S14)로 가서 실행되는데, 여기서, 부연 설명하자면, 기본 그리기 동작은 펜 쓰기, 형광펜 쓰기, 사각 그리기, 원 그리기의 동작이며, 심볼 이미지 동작은 심볼 끌어서 판서 이미지에 올리기, 화면 심볼 끌어서 이동하기, 화면 심볼 그룹 이동의 동작이고, 공통 처리 동작은 지우개, 전체 지우개, 파워 포인트 로드, 작업화면 저장, 웹캠 실행, 작업 동영상 녹화, 동영상 재생, 환경 설정의 동작이다.
그 다음으론, 상기 PC본체(2)는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며(S1 5), 그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①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고, 윈도우인 경우엔 상기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로 가서 다시 실행되며,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S16), 종료하게 된다(S17).
상기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에서의 판단 결과, 판서인 경우엔 ①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고, 상기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에서의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에도 ①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는데, 상기 ① 번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즉, 기본 칠판 로드,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 단계(S20)로 가서 실행된 다음,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 단계(S21)로 가서 실행되는데, 여기서, 부연 설명하자면, 기본 그리기 동작은 펜 쓰기, 형광펜 쓰기, 사각 그리기, 원 그리기의 동작이며, 심볼 이미지 동작은 심볼 끌어서 판서 이미지에 올리기, 화면 심볼 끌어서 이동하기, 화면 심볼 그룹 이동의 동작이고, 공통 처리 동작은 지우개, 전체 지우개, 파워 포인트 로드, 작업화면 저장, 웹캠 실행, 작업 동영상 녹화, 동영상 재생, 환경 설정의 동작이다.
그 다음으론, 상기 PC본체(2)는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며(S2 2), 그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②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고, 윈도우인 경우엔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로 가서 실행되며,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S23), 종료하게 된다(S25).
그리고, 상기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의 판단단계(S24)에서, 판서인 경우엔 ②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며, 칠판인 경우엔 다시 ① 번 단계로 가서 실행되고,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S23), 종료하게 된다(S2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스크린 상에서 심볼을 조작하는 동작 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타블렛 모니터 2: PC본체
3: 키보드 4: 전자펜
5: 프로젝터 6: 보드
7: 스크린 8: 마우스
10: 심볼 20: 심볼 정렬부
30: 기능키 정렬부 40: 정지 심볼

Claims (6)

  1.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단계,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현재 윈도우 화면 캡쳐,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3 단계,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4 단계,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본 칠판 로드, 기본 펜 쓰기 모드 시작, 심볼 이미지 로드(load), 기본환경 설정 로드(load)하는 제7 단계,
    기본 그리기, 심볼 이미지, 공통 처리하는 제8 단계,
    윈도우,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9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윈도우인 경우엔 판서, 칠판, 종료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0 단계,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종료인 경우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제11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판서인 경우엔 상기 제7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종료인 경우엔 상기 제6 단계로 가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상기 제7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윈도우인 경우엔 상기 제2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9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칠판인 경우엔 상기 제3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종료인 경우엔 상기 제11 단계로 가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판서인 경우엔 상기 제3 단계로 가서 이하의 단계들을 실행하고, 종료인 경우엔 상기 제11 단계로 가서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KR1020080072512A 2008-01-11 2008-07-25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KR20090077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282 2008-01-11
KR20080003282 2008-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651A true KR20090077651A (ko) 2009-07-15

Family

ID=4133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512A KR20090077651A (ko) 2008-01-11 2008-07-25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76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639B1 (ko) * 2013-03-26 2014-02-04 타임디지탈 주식회사 3차원 전자 판서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전자 판서 방법
KR101986210B1 (ko) * 2018-02-28 2019-06-05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스마트종이를 이용한 pdf 문서 기반의 3d객체 제어 및 멀티미디어 구현을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639B1 (ko) * 2013-03-26 2014-02-04 타임디지탈 주식회사 3차원 전자 판서 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전자 판서 방법
KR101986210B1 (ko) * 2018-02-28 2019-06-05 주식회사 이지시스템 스마트종이를 이용한 pdf 문서 기반의 3d객체 제어 및 멀티미디어 구현을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42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virtual whiteboard using a mobile phone device
JP4412737B2 (ja) 情報表示装置
KR10154852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상의 교육 애니메이션들의 렌더링
JP4389090B2 (ja) 情報表示装置
EP3418867A1 (en) Touch operation method based on interactive electronic white board and system thereof
CN110297550B (zh) 一种标注显示方法、装置、投屏设备、终端和存储介质
US20050015731A1 (en) Handling data across different portions or regions of a desktop
WO2020010775A1 (zh) 电子白板的界面元素操作方法、装置及交互智能设备
JP544037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05783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WO2023030117A1 (zh) 书写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362217B (zh) 一种触摸交互式电子黑板板擦系统及擦除方法
US20110285639A1 (en) Computing Device Writing Implement Techniques
TW201322103A (zh) 多人觸控電腦虛擬物件之控制方法及其系統
CN103870142A (zh) 触控笔弹出方法、电子设备、触控笔和容纳装置
EP2712433B1 (en) User interface for drawing with electronic devices
KR20090077651A (ko) 강의용 판서장치의 운영방법
KR20160069909A (ko) 전자칠판장치 및 그 장치를 위한 기록매체
JP2015018310A (ja) 入出力端末装置
CN210091134U (zh) 一种教育一体机
Yamada et al. A reactive presentation support system based on a slide object manipulation method
KR20090089201A (ko) 화면 표시기 및 화면 표시 방법
CN110032317B (zh) 一种无线演示设备及其标注控制方法和装置
JP5760887B2 (ja) 端末装置、電子ペ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6218819A (ja) ペン入力システム、タッチペン、及び、ペン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