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368B1 -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 Google Patents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368B1
KR101399368B1 KR1020130144403A KR20130144403A KR101399368B1 KR 101399368 B1 KR101399368 B1 KR 101399368B1 KR 1020130144403 A KR1020130144403 A KR 1020130144403A KR 20130144403 A KR20130144403 A KR 20130144403A KR 101399368 B1 KR101399368 B1 KR 10139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ube
vacuum
heating furnace
pip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엘피
Priority to KR102013014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73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관체용 착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투입구(D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고열을 공급하는 가열로(H)와;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가열로(H)의 전방을 향해 수평설치되는 레일(40)과; 상기 레일(4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색무늬(5)가 형성된 열전사필름(3)이 감겨진 금속관체(1)가 밀봉필름(13)으로 밀봉되어 수평상태로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금속관체(1)와 함께 상기 투입구(D1)를 통해 상기 가열로(H)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차(50)와;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관체(1)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13)의 선단 및 후단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시켜서 상기 열전사필름(3)을 상기 금속관체(1)의 표면에 기밀상태로 밀착시키는 진공기와; 상기 대차(50)가 삽입된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를 개폐하는 투입구 도어(52); 및 상기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레일(40)을 따라 상기 대차(50)를 이동시키는 대차이동수단;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관체(1)를 용이하게 착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Apparatus of Coloring a Metal Tube and a Metal tube colored thereby}
본 발명은 금속관체 착색장치 및 그에 따라 착색된 금속관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색무늬가 형성된 열전사필름을 금속관체에 감은 상태에서 가열하여 금속관체에 열전사필름의 착색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금속관체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등 가로나 차로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지주로 사용되는 금속관체는 주로 주철에 의해 제작되는 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230℃ 이상의 온도에서 분체도장을 하고, 유기용제를 이용해 분체도장 면을 액상코팅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금속관체 표면에 도포되는 액상코팅은 대기 오염이나 수질 오염 등을 일으키고, 도막에 결함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능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하고 섬세한 무늬를 금속관체에 만들어 넣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금속관체의 표면에 열전사필름을 감아 고온에서 가열하여 열전사필름에 도색된 무늬를 금속관체의 표면에 착색하는 방법이 국내 특허등록 제10-0821352호에 열전사 필름을 이용한 요철면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코팅된 가로등 지주로 제안된 바 있다.(전술한 국내 등록특허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현재의 권리자임)
전술한 등록특허에 의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관체(101)의 둘레에 열전사필름(103)을 감싸고, 가열로에 장입한 후 가열로의 내부에서 열전사필름(103)의 양단에 진공흡착관(115)을 끼운 체로 열전사필름(103)의 주둥이 부분을 죄어 밀폐한 다음, 진공흡착관(115)을 통해 진공을 걸어 도 1의 (b)와 같이 열전사필름(103)이 금속관체(101)의 몸통(107)과 축경부(111)에 밀착되도록 한 뒤, 가열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열전사필름(103)의 무늬가 금속관체(101)의 표면에 착색되도록 하였다.
즉, 전술한 종래기술은 등주와 같은 금속관체(101)에 열전사필름(103)을 감싸고, 작업자가 들어올려 미도시된 가열로의 내부에 투입해서 내부의 세팅위치에 등주를 올려놓은 후, 열전사필름(103)의 양측에 진공흡착관(115)을 끼운 후 열전사필름(103)의 내부를 흡기하여 진공시킨 다음, 가열로를 차폐한 상태로 가열함으로써 열전사필름(103)의 무늬를 금속관체(101)의 표면에 착색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금속관체(101)를 작업자 2명이 들어올려서 가열로의 내부에 투입할 때 작업자가 고개를 숙여서 가열로의 내부로 금속관체(101)의 일단부를 삽입시킨 후, 금속관체(101)를 밀어서 가열로의 바닥에 설치된 롤러(미도시)를 통해 가열로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시키므로 금속관체(101)의 삽입이 매우 불편할 뿐만아니라 금속관체(101)에 감겨진 열전사필름(103)이 종종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착색되는 금속관체(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에 의한 확경부(109)나 아암이나 폴대를 장착하기 위한 축경부(111)가 형성된 등주로 구성될 경우, 확경부(109) 및 축경부(111)에 의해 열전사필름(103)이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확경부(109) 및 축경부(111)와 근접한 부분의 열전사필름(103)이 표면과 이격되면서 폭(N-1, N-2)이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관체(101)는 폭(N-1, N-2)으로 인하여 열전사필름(103)이 들뜸에 따라 폭(N-1,N-2)이 형성된 부분에 착색이 안되는 경우가 종종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금속관체(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도장된 표면의 도색층(123)이 거칠게 분체도장될 경우 열전사필름(103)이 진공시의 진공압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진공압이 해제되므로 열전사필름(103)의 진공도를 충분히 높힐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열전사필름(103)이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체(101)의 요철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구석 부분에 기포(A)가 발생되거나 들뜸이 생겨 발색이 떨어지고, 표면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관체(101)를 열전사필름(103)으로 밀봉하여 금속관체(101)의 표면을 착색할 경우 전체 열전사필름(103) 중에서 금속관체(101)의 포장에만 사용되고 착색에는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부분이 넓어 착색작업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08213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관체를 가열로의 외부에서 세팅하여 세팅된 상태로 가열로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자동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금속관체를 가열로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금속관체 착색장치를 제공한다.
또, 진공압을 분산상태로 제공하여 금속관체를 밀봉하고 있는 밀봉필름의 양측에서 밀봉필름의 내부를 진공할 수 있고, 여러개의 밀봉필름을 동시에 진공시킬 수 있으며, 밀봉필름을 진공시키는 부재를 금속관체의 길이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금속관체 착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금속관체를 진공이 용이한 상태로 세팅할 수 있고, 진공이 완료된 후에는 진공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금속관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금속관체 착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고열을 공급하는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의 상기 투입구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가열로의 전방을 향해 수평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색무늬가 형성된 열전사필름이 감겨진 금속관체가 밀봉필름으로 밀봉되어 수평상태로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금속관체와 함께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가열로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관체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의 선단 및 후단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밀봉필름의 내부를 진공시켜서 상기 열전사필름을 상기 금속관체의 표면에 기밀상태로 밀착시키는 진공기와; 상기 대차가 삽입된 상기 가열로의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투입구 도어; 및 상기 대차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는 대차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기는, 상기 대차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금속관체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의 일측이나 양측에 관통삽입되어 진공압으로 상기 밀봉필름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밀봉필름의 내부를 진공시키는 복수의 진공흡착관과; 상기 진공흡착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산시켜서 복수의 상기 진공흡착관에 공급하는 분산챔버와; 상기 진공흡착관의 관로를 단속하는 흡착관밸브; 및 상기 진공흡착관의 일부분을 개폐하여 상기 진공흡착관의 진공을 해제하는 밴트밸브유닛;을 포함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금속관체용 착색장치에 의해 제조되어 표면에 상기 열전사필름의 상기 착색무늬가 인쇄된 금속관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용 착색장치는 금속관체가 세팅된 대차가 롤러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가열로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금속관체를 가열로의 외부에서 세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관체의 세팅시 발생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전사필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대차가 슬라이딩 바디 및 롤러로 구성되므로 대차를 단순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대차가 모터에 의해 레크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기어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대차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대차를 이동시키는 대차이동수단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진공펌프의 진공압이 진공챔버에 의해 분산되므로 진공흡착관이 복수로 구성될 경우 용이하게 진공압을 분산시켜서 공급할 수 있고, 진공흡착관이 대차의 양측에 구비됨에 따라 금속관체를 밀봉하고 있는 밀봉필름의 양측에서 밀봉필름의 내부를 진공할 수 있으므로 밀봉필름을 용이하게 진공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진공흡착관이 폐쇄형 중공관으로 형성된 분산챔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챔버에 연통상태로 설치되므로 한꺼번에 복수의 진공흡착관을 진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여러개의 밀봉필름을 동시에 진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록킹부재를 통해 분산챔버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진 다양한 금속관체를 착색할 수 있고, 분산챔버가 금속관체를 안착시키도록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므로 금속관체를 진공흡착관과 근접한 위치에 세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관체를 밀봉하는 밀봉필름을 용이하게 진공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진공기에 밴트밸브유닛이 구비되므로 금속관체의 착색이 완료된 후 진공흡착관의 진공이나 밀봉필름의 진공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열전사필름이 감싸진 후 밀봉필름으로 밀봉된 금속관체를 진공 및 가열하여 금속관체의 표면을 착색무늬로 착색하므로, 열전사필름을 착색부위에만 사용하면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열전사필름을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밀봉필름이 열전사필름과 별개로 구비되므로 밀봉필름의 재질이나 치수를 달리 하여, 진공도를 강화시킬 수 있고, 더욱이 모서리덮개로 확경부 모서리가 직접 밀봉필름을 지지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밀봉필름 내에 걸리는 진공도를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밀봉필름에 의해 금속관체의 표면에 밀착되는 열전사필름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금속관체의 확경부 인접부위에서 발생되는 들뜸이나 조도가 높은 요철부위에서 발생되는 기포 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착색에 따른 금속관체의 외관이나 발색도 및 내구강도 등 착색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금속관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착색장치에 의해 밀봉필름의 내부를 진공시켜서 착색무늬가 형성된 열전사필름을 금속관체의 표면에 기밀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착색할 수 있으므로 열전사필름의 밀착도가 높아져서 고품질로 다양한 무늬가 착색된 금속관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전사필름에 의한 금속관체 착색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라 착색된 금속관체의 표면을 확대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금속관체의 착색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름타공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필름배치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진공준비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진공압착단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열전사단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도 3의 착색방법에 따라 착색된 금속관체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 착색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 착색장치의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 착색장치의 분산챔버에 설치되는 록킹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 착색장치의 가열로에 대차가 투입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용 착색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관체(1)의 표면을 다양한 무늬로 착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속관체용 착색장치는 상기 금속관체(1)의 착색과정을 알아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착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금속관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배치단계(S10), 진공준비단계(S20), 진공압착단계(S30), 및 열전사단계(S40), 필름타공단계(S50) 및 모서리 보호단계(S60)에 의해 착색된다. 상기 금속관체(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된 중간의 몸통(7)과 이 몸통(7) 하단의 확경부(9) 그리고 상단의 축경부(11)로 이루어지는 등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난간에 사용되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금속관체(1)는 금속재의 모든 강관이 해당된다. 설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체(1)는 상기 몸통(7)과 상기 축경부(11)의 표면이 착색되는 등주를 그 예로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상기 필름배치단계(S10)는 착색 대상이 되는 금속관체(1)의 둘레에 착색할 착색무늬(5)가 그려져 있는 열전사필름(3)을 감아 배치하는 단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체(1)의 몸통(7) 중 착색할 면의 크기 즉, 높이에 따라 재단된 열전사필름(3)을 도시된 것처럼, 금속관체(1)의 둘레에 감고, 겹치는 모서리 부분에 스프레이 접착제(10)를 분사하거나 접착테이프를 붙여, 감긴 상태로 고정한다. 따라서, 착색이 곤란한 금속관체(1)의 플랜지 등 확경부(9)에까지 굳이 열전사필름(3)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착색을 필요한 몸통(7) 부분에만 열전사필름(3)을 감으면 된다. 이에 따르면, 도 5의 금속관체(1)는 상단부분에서부터 확경부(9)의 리브(12) 상단까지 열전사필름(3)이 감겨, 몸통(7)과 축경부(11) 전체에 착색무늬(5)가 착색된다. 이때, 금속관체(1)의 상하측 말단까지 착색을 하지 않고 상하단 일부를 착색하지 않을 때는 착색할 지점의 경계 부분에 띠를 감거나 하여 표시를 해두는 것이 열전사필름(3)의 배치작업에 편리하다.
한편, 열전사필름(3)은 융점이 낮은 열용융성 잉크로 다양한 착색무늬(5)를 그려 넣어, 가열 압착 시 도색된 상기 착색무늬(5)가 압착면에 옮겨져 착색되도록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색무늬(5)로 금속관체(1)가 가로등의 기둥이나 난간의 지주 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나무 줄기 등과 같은 자연친화적인 무늬를 채용한다.
상기 진공준비단계(S20)는 열전사필름(3)을 진공 압착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단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필름배치단계(S10)에서 둘레에 열전사필름(3)이 감겨 고정된 금속관체(1) 외부를 밀봉필름(13)에 의해 포장한다. 이때, 금속관체(1)는 분체도장으로 인해 표면 조도가 거칠어져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표면에 심한 요철이 발생되는 바, 밀봉필름(13)은 진공흡착 시 요철 부위에 밀착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것이면 어떤 재료로도 제작이 가능하나, 후술되는 가열로(H)의 열기를 견딜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열전사필름(3)과 같은 재질의 필름을 채용한다. 다만, 밀봉필름(13)으로 사용되는 열전사필름은 당연히 무늬를 갖지 않는 즉, 민무늬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위와 같이 금속관체(1)를 포장하는 상기 밀봉필름(13)은 진공흡착관(57)을 배치하도록 개방된 주둥이 부분을 후술되는 진공흡착관(57)을 끼운 채 와이어나 밴드클램프와 같은 체결끈(17)으로 죄어 완전하게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진공흡착관(57)을 배치하기 위해 개방된 주둥이는 적게는 하나에서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6과 같이 앞뒤로 하나씩 두 개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상기 진공준비단계(S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상기 열전사필름(3)이 감겨진 상기 금속관체(1)의 외측에 상기 밀봉필름(13)을 감은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필름(13)의 길이향향 양단부를 접착제나 테이프로 부착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밀봉필름(13)의 양단부에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흡착관(57)을 삽입한 다음, 상기 진공흡착관(57)이 삽입된 상기 밀봉필름(13)의 양단부를 전술한 접착제(10)나 테이프(미도시) 또는 체결끈(17)을 이용하여 밀봉시킨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압착단계(S30)는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상기 열전사필름(3)을 금속관체(1)의 표면에 밀착시키는 단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착관(57)을 통해 위 진공준비단계(S20)에서 밀폐된 밀봉필름(13) 내부의 공기를 빼낸다. 이에 따라 위 진공준비단계(S20)에서 열전사필름(3)이 감긴 채로 밀봉필름(13)에 의해 포장된 금속관체(1)의 주위로 진공 분위기가 조성되어, 밀봉필름(13)에 진공부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밀봉필름(13)은 금속관체(1)의 표면에 흡착되어 장력이 커지면서 도 8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필름(3)을 금속관체(1)의 표면으로 누르게 되고, 이렇게 눌린 열전사필름(3)은 들뜨는 부분없이 전체가 밀봉필름(13)과 함께 금속관체(1)에 완전히 밀착된다.
상기 열전사단계(S40)는 금속관체(1)를 가열하여 표면에 밀착된 열전사필름(3)의 착색무늬(5)를 전사시켜 금속관체(1) 표면에 착색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진공압착단계(S30)에서 조성된 진공을 유지하여, 열전사필름(3)과 밀봉필름(13)을 표면에 압착시킨 상태로 금속관체(1)를 가열로(H)에 장입한다. 이 가열로(H)로 내에서 금속관체(1)는 230도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되며, 이에 따라, 가열된 열전사필름(3)은 내부에 포함된 착색무늬(5)가 금속관체(1)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착색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금속관체(1)에 대한 착색을 완료함에 있어, 상기 필름타공단계(S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배치단계(S10) 전에 또는 진공준비단계(S20) 전에 실시되어 열전사필름(3)에 다수의 세공(21)을 천공한다. 이를 위해, 필름타공단계(S50)에서 열전사필름(3)은 필름배치단계(S10)에서 금속관체(1)의 둘레에 배치되기 전에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넓게 편 상태에서 타공롤러(20) 등을 이용해 다수의 세공(21)이 천공된다.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진공준비단계(S20) 전에 필름배치단계(S10)에서 금속관체(1)에 감겨 있는 상태로 열전사필름(3)을 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세공(21)이 천공된 열전사필름(3)은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사전 도색층(23) 또는 금속관체(1) 표면과 열전사필름(3) 사이에 기포(A)가 발생하더라도, 열전사필름(3)이 밀봉필름(13)에 의해 가압되는 도중에 화살표(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세공(21)을 통해 흡착되어 제거되므로, 금속관체(1)의 표면에 생성된 요철에도 불구하고 표면 전체를 빠짐없이 착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 보호단계(S60)는 위 진공압착단계(S30)에서 금속관체(1)의 확경부(9) 모서리로 인해 밀봉필름(13)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착단계(S30)를 실시하기 전 진공준비단계(S20)에서 금속관체(1)에 모서리덮개(31)를 결합한다. 이때, 모서리덮개(31)는 확경부(9)가 하단 플랜지와 같이 금속관체(1)의 일단에 형성될 때는 도 7에 B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몸체부(33)와 돌출부(35)로 구성되는 바, 상기 몸체부(33)는 확경부(9)와 닮은꼴의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어느 정도의 두께를 확보하여, 말단측 모서리에 충분한 곡률반경의 둥근 모서리(37)를 곡면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35)는 몸체부(33) 일측면에 동축 상으로 돌출되어, 금속관체(1)의 말단에서 축공에 삽입됨으로써 모서리덮개(31)가 금속관체(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35)의 벽체에는 안쪽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체결볼트(39)를 관통 삽입하여, 체결볼트(39)를 조절함으로써 모서리덮개(31)를 금속관체(1) 내주면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금속관체(1)의 확경부(9)가 말단이 아닌 중간 부분에 형성된 때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모서리덮개(31)를 금속관체에 끼워 확경부(9)에 인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모서리덮개(31)는 최소한 확경부(9)의 지름과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지름을 가짐으로써, 밀봉필름(13)이 각진 확경부(9) 모서리(25)에 닿지 않고 둥근 모서리(37)에 의해 직접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모서리덮개(31)가 확경부(9)에 인접하여 설치되면, 진공압착단계(S30)에서 조성된 진공으로 인해 금속관체(1) 표면에 밀착된 밀봉필름(13)이 앞뒤로 당겨지면서 장력이 상승하더라도, 금속관체(1)의 확경부(9) 모서리(25)가 아닌 모서리덮개(31)의 둥근 모서리(37)에 의해 지지되므로 확경부(9) 모서리(25)로 인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경부(9) 모서리(25)에 의해 밀봉필름(13)을 지지할 때보다 일층 강한 진공압으로 밀봉필름(13)을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밀봉필름(13)에 의해 금속관체(1)에 밀착되는 열전사필름(3)은 밀착력이 더욱 높아져, 도 10에 도시된 금속관체(1)의 몸통(7)과 축경부(11) 사이의 각진 경계부위에도 쉽게 밀착되며, 궁극적으로 열전사필름(3)의 착색품질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 착색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H), 레일(40), 대차(50) 및 투입구 도어(52)를 포함하고, 후술되는 진공기 및 대차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로(H)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투입구(D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고열을 공급하는 미도시된 히터가 내장된 통상의 함체형 로(爐)이다. 이러한 상기 가열로(H)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D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후방에 후방출입구(D2)가 필요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로(H)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상기 대차(50)가 내부에 완전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대차(50)의 길이(L1)에 대응하는 길이(L2), 즉 같거나 좀더 긴 길이(L2)를 갖는다.
상기 레일(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가열로(H)의 전방을 향해 상기 가열로(H)의 양측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레일(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로(H)의 내부에서 상기 후방출입구(D2)까지 설치된다.
상기 대차(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대차(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등주나 난간의 파이프와 같은 금속관체(1)가 수평상태로 뉘어져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금속관체(1)는 표면에 착색되는 착색무늬(5)가 형성된 열전사필름(3)이 감겨진 후 밀봉필름(13)으로 밀봉되어 수평상태로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대차(50)는 상기 금속관체(1)가 수평상태로 안착된 후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금속관체(1)와 함께 상기 투입구(D1)를 통해 상기 가열로(H)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대차(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바디(51) 및 롤러(51a)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바디(51)는 상기 레일(40)에 안착이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 사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0)에 안착되고, 상기 레일(4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열로(H)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롤러(5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51a)는 도 12에 확대된 바와 같이 측방에 상기 레일(4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판(51b)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50)는 안정적으로 상기 레일(40)을 활주한다.
상기 대차(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선단부에 후술되는 판상의 상기 투입구 도어(5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후단부에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후방출입구(D2)를 밀폐하는 판상의 출입구 도어(53)가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TS)가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TS)는 상기 대차(50)가 상기 가열로(H)에 삽입될 경우 상기 가열로(H)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로(H)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미도시된 상기 가열로(H)의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TS)에서 인가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로(H)의 미도시된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 투입구 도어(52)는 상기 대차(50)가 삽입된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를 개폐한다. 이러한 상기 투입구 도어(52)는 상기 가열로(H)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보다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의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 도어(5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가 상기 가열로(H)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에 정합되면서 상기 투입구(D1)를 밀폐한다. 이때, 전술한 상기 출입구 도어(5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출입구(D2)를 밀폐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진공기는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관체(1)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13)의 선단 및 후단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시켜서 상기 열전사필름(3)을 상기 금속관체(1)의 표면에 기밀상태로 밀착시키는 기기이다. 상기 진공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착관(57), 진공펌프(P), 흡착관밸브(57a) 및 밴트밸브유닛(57b)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앞서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것으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밀봉필름(13)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상기 금속관체(1)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13)의 일측이나 양측에 관통삽입된 후 진공압으로 상기 밀봉필름(13)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시킨다.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전술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의 관체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관체형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진공압이 확산되어 원활한 진공이 가능하도록,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 형태로 구성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펌프(P)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파이프(PP)로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진공압을 제공한다. 상기 진공펌프(P)는 후술되는 상기 분산챔버(55)를 통해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챔버(55)는 상기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분산시켜서 복수의 상기 진공흡착관(57)에 공급한다. 상기 분산챔버(5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착관(57)과 함께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설치되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형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진공흡착관(57)이 연통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분산챔버(5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태가 사각의 틀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금속관체(1)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챔버(5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관체(1)를 지지하는 지지대(5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5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관체(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막대로 구성되는 것 보다는 원통형의 관체나 드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관밸브(57a)는 도 12에 확대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착관(57)에 레버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를 단속한다. 상기 흡착관밸브(57a)는 확대된 바와 같이 콕밸브형태로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설치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를 개폐하면서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를 단속한다. 이러한 상기 흡착관밸브(57a)는 상기 밀봉필름(13)을 진공시킬 경우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를 개방하고, 상기 밀봉필름(13)의 진공이 완료될 경우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를 폐쇄한다.
상기 밴트밸브유닛(57b)은 상기 진공흡착관(57)의 일부를 개폐하여 상기 흡착관밸브(57a)에 의해 관로가 폐쇄된 상기 진공흡착관(57)의 진공을 해제한다. 즉, 상기 밴트밸브유닛(57b)은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에 존재하는 진공압을 해제시킬 경우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밴트밸브유닛(57b)은 상기 금속관체(1)의 착색이 완료되어 상기 밀봉필름(13)의 진공을 해제할 경우 사용된다.
상기 밴트밸브유닛(57b)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는 레버식의 개폐밸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밴트밸브유닛(57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관밸브(57a)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착관(57)의 단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챔버(55)를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록킹부재(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재(5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볼트(58a) 및 밀착판(58c)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볼트(58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상기 분산챔버(55)에 나사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승강볼트(58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챔버(55)를 관통한다. 상기 승강볼트(58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N)에 의해 상기 분산챔버(55)에 나사고정되어 정회전이나 역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승강한다.
상기 밀착판(58c)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챔버(55)를 관통한 상기 승강볼트(58a)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밀착판(58c)은 상기 승강볼트(58a)의 상승에 의해 상기 대차(50)의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분산챔버(55)를 상기 대차(5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58c)은 상기 승강볼트(58a)의 하강시 상기 대차(50)의 하부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분산챔버(55)는 상기 대차(50)의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산챔버(55)는 상기 록킹부재(58)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금속관체(1)의 길이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므로 상기 금속관체(1)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도 상부에 수용(안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대차이동수단은 상기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상기 대차(50)에 제공하여 상기 레일(40)을 따라 상기 대차(5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대차이동수단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크기어(LG), 상기 레크기어(LG)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PG) 및 상기 피니언기어(PG)를 회전시키는 모터(M)로 구성된다. 즉, 상기 대차이동수단은 상기 레크기어(LG), 상기 피니언기어(PG) 및 상기 모터(M)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M)는 상기 대차(50)와 함께 이동되도록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대차(50)가 상기 가열로(H)에 투입될 경우 상기 가열로(H)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에 설치된 상기 투입구 도어(5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차이동수단은 상기 모터(M)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기어(PG)가 회전하면서 상기 레크기어(LG)를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대차(50)를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가 개폐된 것을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로(H)에 설치되는 가열로센서(15b) 및 상기 대차(50)에 설치되는 대차센서(15a)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로센서(15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와 인접한 곳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대차센서(15a)와 대응되는 위치이면 상기 가열로(H)의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대차센서(1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의 상기 투입구 도어(52)에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가열로센서(15b)와 대응되는 위치이면 상기 대차(50)의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상기 대차(50)가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의 상기 투입구 도어(52)가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를 차폐할 경우, 상기 대차센서(15a) 및 상기 가열로센서(15b)가 서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가 상기 투입구 도어(52)로 차폐되었음을 확인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대차(50)가 상기 레일(40)을 따라 상기 가열로(H)에서 이탈되어 상기 투입구 도어(52)가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에서 이격될 경우 상기 대차센서(15a) 및 상기 가열로센서(15b)가 서로 감지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가 개방되었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감지센서는 전술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가열로(H)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러한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인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체용 착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공기를 구성하는 사각 틀형태의 상기 분산챔버(55)는 상기 금속관체(1)의 길이에 따라 상기 대차(50)의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에서 수평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분산챔버(55)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58)의 상기 승강볼트(58a)가 상기 너트(N)에 체결된 상태로 역회전하여 하강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58)의 상기 밀착판(58c)이 도 1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하부에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에서 분리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분산챔버(55)는 이동 후 상기 승강볼트(58a)가 다시 조여져서 도 1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판(58c)이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하부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에 다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대차(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관체(1)가 착색을 위한 상기 열전사필름(3)이 감겨진 후 상기 밀봉필름(13)으로 밀봉된 상태로 상부에 수평안착된다. 이때, 상기 금속관체(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챔버(55)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분산챔버(55)에 설치된 상기 지지대(59)에 일부분이 지지된다.
상기 진공기는 상기 분산챔버(55)에 안착된 상기 금속관체(1)의 상기 밀봉필름(13) 양측으로 상기 진공흡착관(57)이 각각 삽입된다.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상기 밀봉필름(13)의 양단부가 와이어나 밴드클램프와 같은 체결끈(17)으로 묶임에 따라 상기 밀봉필름(13)의 양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진공흡착관(57)은 고정이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흡착관밸브(57a)에 의해 관로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진공펌프(P)는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진공압을 제공한다.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측 공기를 모두 흡기하여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시킨다. 이때, 상기 금속관체(1)는 진공에 의해 상기 열전사필름(3)이 표면에 기밀상태로 밀착된다.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상기 밀봉필름(13)의 진공이 완료되면 상기 흡착관밸브(57a)에 의해 관로가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필름(13)은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대차(50)는 상기 밀봉필름(13)의 진공이 완료되고, 상기 흡착관밸브(57a)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가 폐쇄되면,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로(H)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대차(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 도어(52)가 상기 가열로(H)의 투입구를 차폐하고, 상기 출입구 도어(53)가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후방출입구(D2)를 차폐한다.
여기서, 상기 대차(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이동수단의 상기 모터(M)가 구동하여 상기 피니언기어(PG)가 상기 레일(40)을 따라 설치된 상기 레크기어(LG)를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레일(40)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대차(50)는 상기 롤러(51a)의 측방을 상기 가이드판(51b)이 상기 레일(40)의 외측에서 가이드함에 따라 상기 레일(4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가열로(H)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가 투입되어 상기 대차(50)의 상기 대차센서(15a)가 상기 가열로센서(15b)와 마주함에 따라 상기 투입구(D1)가 차폐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상기 가열로(H)는 상기 투입구(D1)가 차폐된 후 내부의 미도시된 히터를 작동시켜서 상기 금속관체(1)를 감싸는 상기 열전사필름(3)을 가열시키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50)에 설치된 상기 온도센서(TS)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열전사필름(3)은 상기 가열로(H)의 열기에 의해 상기 착색무늬(5)가 상기 금속관체(1)의 표면에 열전사되어 착색된다.
상기 대차(50)는 상기 금속관체(1)의 착색이 완료되면, 상기 레일(40)을 따라 다시 반대로 이동하여 상기 가열로(H)의 외부로 이탈된 후 상기 금속관체(1)의 냉각을 위해 일정시간 동안 방치된다.
상기 진공기의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상기 밴트밸브유닛(57b)이 작동됨에 따라 진공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밀봉필름(13)은 내부의 진공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필름(13) 및 상기 열전사필름(3)은 진공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금속관체(1)에서 용이하게 제거된다.
한편, 상기 금속관체(1)는 상기 열전사필름(3)의 상기 착색무늬(5)가 표면에 혼연일체로 착색된다. 이러한 상기 금속관체(1)는 상기 착색무늬(5)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착색될 수 있으며, 무늬가 착색된 등주나 난간 등의 파이프로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금속관체 3 : 열전사필름
5 : 착색무늬 7 : 몸통
9 : 확경부 10 : 스프레이 접착제
11 : 축경부 13 : 밀봉필름
17 : 체결끈 20 : 타공롤러
21 : 세공 23 : 도색층
25 : 모서리 31 : 모서리덮개
37 : 둥근 모서리 40; 레일
50; 대차 51; 슬라이딩 바디
51a; 롤러 52; 투입구 도어
55; 분산챔버 57; 진공흡착관
58; 록킹부재 58a; 승강볼트
58c; 밀착판 59; 지지대
PG; 피니언기어 M; 모터
H; 가열로 D1; 투입구

Claims (10)

  1. 전방에 투입구(D1)가 형성되고, 내부에 고열을 공급하는 가열로(H)와;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가열로(H)의 전방을 향해 수평설치되는 레일(40)과;
    상기 레일(4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색무늬(5)가 형성된 열전사필름(3)이 감겨진 금속관체(1)가 밀봉필름(13)으로 밀봉되어 수평상태로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4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금속관체(1)와 함께 상기 투입구(D1)를 통해 상기 가열로(H)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차(50)와;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관체(1)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13)의 선단 및 후단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시켜서 상기 열전사필름(3)을 상기 금속관체(1)의 표면에 기밀상태로 밀착시키는 진공기와;
    상기 대차(50)가 삽입된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를 개폐하는 투입구 도어(52); 및
    상기 대차(5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레일(40)을 따라 상기 대차(50)를 이동시키는 대차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기는,
    상기 대차(50)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금속관체(1)를 밀봉하는 상기 밀봉필름(13)의 일측이나 양측에 관통삽입되어 진공압으로 상기 밀봉필름(13)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밀봉필름(13)의 내부를 진공시키는 복수의 진공흡착관(57)과;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P)와;
    상기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분산시켜서 복수의 상기 진공흡착관(57)에 공급하는 분산챔버(55)와;
    상기 진공흡착관(57)의 관로를 단속하는 흡착관밸브(57a); 및
    상기 진공흡착관(57)의 일부분을 개폐하여 상기 진공흡착관(57)의 진공을 해제하는 밴트밸브유닛(57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50)는 상기 레일(40)에 안착되고, 상기 레일(4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열로(H)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바디(51);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51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입구 도어(52)는 상기 슬라이딩 바디(51)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디(51)가 상기 가열로(H)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가열로(H)의 상기 투입구(D1)에 정합되면서 상기 투입구(D1)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관(57)은 상기 대차(5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대차(50)에 대향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밀봉필름(13)의 양측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밀봉필름(13)을 진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챔버(55)는 상기 진공흡착관(57)과 함께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설치되고, 폐쇄형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져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진공흡착관(57)이 연통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공기는 상기 분산챔버(55)를 상기 대차(5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록킹부재(5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58)는 상기 분산챔버(55)에 나사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고정되는 승강볼트(58a); 및
    상기 승강볼트(58a)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승강볼트(58a)의 상승에 의해 상기 대차(50)의 하부에 밀착되어 상기 분산챔버(55)를 상기 대차(50)에 고정하는 밀착판(58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챔버(55)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금속관체(1)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트밸브유닛(57b)는 상기 진공흡착관(57)에 연통되는 연통관; 및
    상기 연통관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이동수단은 상기 레일(4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크기어(LG)와;
    상기 레크기어(LG)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PG); 및
    상기 피니언기어(PG)를 회전시키는 모터(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10. 청구항 1에 의한 금속관체용 착색장치에 의해 제조되어 표면에 상기 열전사필름(3)의 상기 착색무늬(5)가 인쇄된 금속관체.
KR1020130144403A 2013-11-26 2013-11-26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KR10139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03A KR101399368B1 (ko) 2013-11-26 2013-11-26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03A KR101399368B1 (ko) 2013-11-26 2013-11-26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368B1 true KR101399368B1 (ko) 2014-05-27

Family

ID=5089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403A KR101399368B1 (ko) 2013-11-26 2013-11-26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7751A (zh) * 2021-06-25 2021-09-24 安徽百商百德电缆有限公司 一种卷桶电缆护套真空抽气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36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도일인텍 내.외장재 표면에 열전사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8765B1 (ko) 2006-06-27 2007-03-26 오광열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36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도일인텍 내.외장재 표면에 열전사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8765B1 (ko) 2006-06-27 2007-03-26 오광열 열전사 방식으로 무늬 등을 피도물에 전사시키는 열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7751A (zh) * 2021-06-25 2021-09-24 安徽百商百德电缆有限公司 一种卷桶电缆护套真空抽气装置
CN113427751B (zh) * 2021-06-25 2024-04-16 安徽百商百德电缆有限公司 一种卷桶电缆护套真空抽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961B1 (ko) 금속관체 착색방법 및 그에 따라 착색된 금속관체
KR101399368B1 (ko) 금속관체용 착색장치 및 이에 의해 착색된 금속관체
KR940009663B1 (ko) 용기상에 라벨을 열 수축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2020032526A (ja) 予め成形されたシールキャップ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7416998B2 (en) Air-curtain forming apparatus for wafer hermetic container in semiconductor-fabrication equipment of minienvironment system
KR20110049650A (ko) 증착장치 및 증착방법
JP2022062727A (ja) 複合材プリフォームに樹脂注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862662B (zh) 多功能连续式真空等离子体镀膜系统
KR101246987B1 (ko) Uv 진공전사 인쇄장치
US5846602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tube for lining pipe conduits and sewer systems
CN102534558B (zh) 一种能实现上、下进气切换的化学气相沉积炉及其应用
KR100824690B1 (ko) 분말융착식 폴리에틸렌피복 이형관 삼중 코팅장치
JP5081392B2 (ja) 充填剤充填装置
CN219483162U (zh) 一种自动喷漆装置
JP3831494B2 (ja) 木材乾燥装置における木材搬入口の扉密閉構造
US20210129419A1 (en) Mechanized inverter for pipe liners
CN113294623B (zh) 一种收放卷设备及管道修复材料牵引绳穿绳工艺
CN209541314U (zh) 一种药物受热均匀的高效真空干燥箱
KR101749973B1 (ko) Oled 봉지용 박막 경화 시스템
JP4316076B2 (ja) 複合材部品修理装置
KR101187265B1 (ko) 보강재 부착 장치
CN220418018U (zh) 一种烫金纸烘干装置
CN218133058U (zh) 一种温度可控的uv固化装置
CN217835057U (zh) 滚动烘干的全自动丝印机
CN218691232U (zh) 用于汽车内饰包覆件的固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