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075B1 -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 Google Patents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075B1
KR101399075B1 KR1020120124629A KR20120124629A KR101399075B1 KR 101399075 B1 KR101399075 B1 KR 101399075B1 KR 1020120124629 A KR1020120124629 A KR 1020120124629A KR 20120124629 A KR20120124629 A KR 20120124629A KR 101399075 B1 KR101399075 B1 KR 10139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ap
handle
cap portion
root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071A (ko
Inventor
류현석
Original Assignee
(주)메타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메타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2012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0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37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이 구비된 캡이 핸들에 회전지지되고, 특히 캡을 잡아서 회전시키게 되면 니들과 함께 그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들을 근관 충전기에 끼워 장착하더라도 캡만 잡아서 돌리게 되면 니들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시술 중에도 니들의 회전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과 핸들이 요철 결합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쉽고 신속하게 손으로 캡부를 회전시켜서 각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는,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니들을 통해 압송하는 캡부, 그리고 이 캡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핸들을 통해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는 핸들이 끼워지는 부분에 원주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에는 캡부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의 내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철부가 돌출되어 상기 요홈에 억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NEEDLE MEMBER FOR FILLING ROOT CANAL}
본 발명은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들이 구비된 캡부가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핸들에 손으로 돌리면서 니들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시술 위치에 따라 시술자가 니들의 위치를 임의로 쉽고 신속하게 돌려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신경치료는, 가능하면 치아를 빼지 않고 치아 내부의 연조직인 치수만 제거하여 통증이나 기타 증상을 없애고, 치아가 제자리에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존하는 치료를 말한다.
이러한 신경치료에는 주로 이의 뿌리(치근) 부분의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대체 재료를 채울 수 있도록 치근관의 모양을 다듬어서 충전하는 과정(근관 치료과정)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근관 치료 과정에서 치근에 충전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근관 충전기를 이용한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근관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근관 충전기는, 근관 충전기의 선단에 설치되는 니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근관 충전기의 선단측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히터와; 상기 가열히터의 선단에 결합되며, 중공을 가지는 니들 홀더와; 상기 니들 홀더의 중공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히터는, 내부에 피스톤부재가 설치되며, 중공형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선단에 상기 니들홀더가 결합되는 히터 몸체와; 상기 히터몸체의 선단부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구동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근관 충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종래의 근관 충전기는 니들이 구비된 캡이 핸들과 함께 움직이도록 형성되고, 이 핸들이 근관 충전기에 장착하는 위치에 따라서 시술 위치에 맞게 니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2) 이 때문에, 니들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캡과 함께 핸들을 근관 충전기로부터 분리한 다음, 이 핸들을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시킨 뒤에 다시 근관 충전기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3) 따라서, 시술자가 근관 충전중 충전 위치에 맞도록 니들의 위치를 조절하려면 근관 충전기로부터 핸들을 분리한 다음 각도 조절후 다시 근관 충전기에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에 집중할 수 없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0956호(2010.10.2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니들이 구비된 캡이 핸들에 회전지지되고, 특히 캡을 잡아서 회전시키게 되면 니들과 함께 그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들을 근관 충전기에 끼워 장착하더라도 캡만 잡아서 돌리게 되면 니들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시술 중에도 니들의 회전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한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과 핸들이 요철 결합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쉽고 신속하게 손으로 캡부를 회전시켜서 각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는,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니들을 통해 압송하는 캡부, 그리고 이 캡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핸들을 통해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는 핸들이 끼워지는 부분에 원주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에는 캡부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의 내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철부가 돌출되어 상기 요홈에 상기 핸들을 돌려서 강제로 회전시킬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는,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니들을 통해 압송하는 캡부, 그리고 이 캡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핸들을 통해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는 핸들이 끼워지는 부분에 원주면을 따라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에는 캡부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의 내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철부에 상기 핸들을 돌려서 강제로 회전시킬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는,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니들을 통해 압송시켜 주고, 한쪽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에는 직경이 줄어드는 쪽에 니들이 장착되는 캡부, 그리고 이 캡부의 테이퍼진 부분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테이퍼진 앞쪽으로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에는 테이퍼진 부분과 걸림턱 사이에 끼워지도록 회전지지구멍이 형성되되, 이 회전지지구멍의 직경이 작은 출구측에는 걸림턱을 밀어 가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할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철부에는 요홈과 마주보는 면의 일측 테두리가 모따기(Chamfering)되어 요철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니들의 단부에는 캡부의 안쪽면과 밀착되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 및 여기에 접하는 캡부의 안쪽면에는 각각 요부 와 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니들과 캡부는 각각 황동으로 제작되고 그 표면이 은도금 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니들이 구비된 캡이 핸들에 손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돌려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캡부 부분만 잡아서 돌리면 니들의 각도를 쉽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 특히, 캡이 핸들에 요철 결합을 통해 캡을 잡아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의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된다.
(3) 시술자가 근관 충전기를 편한 자세로 잡은 상태에서 충전위치에 따라 캡부의 방향만 회전시켜서 바꾸어 주면 되기 때문에, 시술자가 편리하게 근관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4)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니들과 캡부를 각각 황동으로 제작한 다음 그 표면을 은 도금 처리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니들 부재가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니들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니들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니들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핸들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니들 부재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니들 부재는, 도면과 같이, 근관 충전기(100)에 장착되는 캡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부(20)는 내부에 충전재(F)가 구비되고 일단에는 니들(1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캡부(20)는 근관 충전기(10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30)과 결합되며, 이때 캡부(20)는 핸들(30)과 요철 결합되어 시술자가 손으로 회전시켜 임의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0"은 통상의 근관 충전기를 나타낸다. 근관 충전기(100)에는 일단에 캡부(20)가 구비된다. 캡부(20)에는 일단에 니들(10)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핸들(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캡부(20)는 그 내부에 충전재(F)를 구비하고 상기 근관 충전기(100)에 삽입하여 장착된다. 이때의 장착은 충전재(F) 부분이 근관 충전기(100)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핸들(30)의 일면이 근관 충전기(100)와 맞닿게 하고, 이 핸들(30)을 잡아 회전시킴에 따라 그 하부에 구성된 스톱퍼(33)가 근관 충전기(100)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캡부(20)는 핸들(3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캡부(20)에는 외주면에 요홈(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30)에는 캡부(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끼움구멍(31)에는 그 내측면에 상기 요홈(24)과 요철 결합이 가능하도록 철부(3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24)과 철부(31a)는 캡부(20)를 끼움구멍(31)에 끼워서 누르게 되면 요철 결합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캡부(20)를 시술자가 강제로 돌려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전 시술중 시술자가 이 캡부(20)를 잡아 돌림에 따라 그 단부에 장착된 니들(10)의 회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철부(31a)에는 일측 테두리를 모따기(31b) 가공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따기(31b)는 캡부(20)에 핸들(30)을 끼울 때에 캡부(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함으로써, 요홈(24)과 철부(31a)의 결합시 결합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니들(10)과 캡부(20)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니들(10)은 근관에 충전재(F)가 충전되도록 분출시켜 주는 일종의 바늘로서, 일단에는 플랜지부(11)가 형성된다. 특히, 이 플랜지부(11)는 니들(10)이 캡부(20)에 끼워졌을 때에 충전재(F)의 가압력에 의하여 캡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형성한다. 이러한 플랜지부(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전등갓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니들(10)의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퍼지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1)에는 니들(10)과 맞닿는 외주면에 요철결합을 위하여 요부(12)가 형성된다. 이 요부(12)는 니들(10)을 캡부(20)에 끼움에 따라 캡부(20)와 요철결합되어 고정시켜 주게 된다.
캡부(20)는 충전재(F)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23)가 형성된다. 특히, 이 공간부(23)에는 안쪽이 니들(10)이 캡부(2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구멍(23a)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구멍(23a)의 안쪽 즉 상술한 플랜지부(11)와 맞닿는 안쪽에는 이 플랜지부(11)와의 밀착이 잘 될 수 있도록 갓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23a)에는 입구측과 끝단부 사이에 철부(21)가 안쪽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철부(21)는 상기 니들(10)의 요부(12)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니들부재는 니들(10)을 캡부(20)에 끼워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의 조립은, 플랜지부(11)가 형성되지 않는 쪽으로 니들(10)을 공간부(23)에 끼운 다음, 삽입구멍(23a)으로 빼내게 되면 수행된다. 이때, 플랜지부(11)는 삽입구멍(23a)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충전재(F)에 의해 눌려져서 밀착성능이 향상되게 될 뿐만 아니라 삽입구멍(23a)을 니들(10)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부(12)와 철부(21)는 서로 요철결합되어 니들(10)과 캡부(20)의 이탈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캡부(20)는 끼움구멍(31)에 끼워짐에 따라 핸들(30) 내부에 형성된 철부(31a)가 요홈(24)과 요철결합하게 된다. 이때, 요철 결합은 소정의 힘, 바람직하기로는 시술자가 손으로 돌림에 따라 캡부(20)가 돌아갈 수 있을 정도로 억지끼움 형태가 되어, 시술자가 임의로 캡부(20)를 돌려 회전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니들부재는, 니들(10)과 캡부(20)는 각각 황동으로 제작하여 그 표면을 은도금 처리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전재(F)를 가압함에 따라 견딜 수 있는 경도와 강도를 가지면서도 살균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니들부재를 쉽게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니들부재는, 도 3과 같이, 요철 결합 부분이 형성 위치에 있어서, 실시예1과 다르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생략하고, 실시예2에서 필요한 도면부호를 기재한다.
즉, 실시예2는, 캡부(20)의 외주면에 철부(25)를 형성하고, 핸들(30)의 끼움구멍(31')에 요홈(3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핸들(30)은 캡부(20)에 끼움구멍(31')을 끼움에 따라 철부(25)와 요홈(32)의 결합에 의하여 강제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요철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5a"는 철부(25)의 일측 테두리를 모따기한 것으로, 요홈(32)에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니들부재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캡부(20')에 형성된 테이퍼진 부분과 걸림턱(26) 사이에, 핸들(30')이 끼워져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되 분할편(35)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하여 소정의 세기 이상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 니들을 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부호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캡부(20')는 내부에 충전재(F)가 충전되게 되는데, 그 직경이 니들(10)의 직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캡부(20')의 일단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니들(1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캡부(20')에는 이처럼 테이퍼진 캡부(20')에 테이퍼진 부분의 앞쪽으로 걸림턱(26)이 형성된다. 걸림턱(26)은 캡부(2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의 띠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분할편(35)이 항상 이 걸림턱(26)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30')은 일면에 회전지지구멍(34)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이 회전지지구멍(34)은 상기 캡부(20')의 테이퍼진 부분과 동일 유사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핸들(30')을 캡부(20')에 끼웠을 때에 서로 밀착되어 핸들(30')이 빠지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구멍(34)에는 출구측, 즉 직경이 작은 부분의 테두리 부분에 복수의 분할편(35)이 형성된다. 분할편(35)은 회전지지구멍(34)에 캡부(20')를 끼움에 따라 걸림턱(26)을 타고 넘어가면서 변형되게 되고, 변형 후인 완전하게 걸림턱(26)을 타고 넘은 후에는 이 걸림턱(26)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분할편(35)은 걸림턱(26)에 걸려 핸들(30')이 캡부(2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걸림턱(26)을 가압하여 소정의 힘 이상으로 니들(10)을 돌려야만 캡부(20')와 함께 니들(10)이 회전할 수 있는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핸들에 캡부를 손으로 돌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철결합함으로써, 시술자가 시술 도중에라도 쉽게 캡부만 잡아서 돌림에 따라 여기에 구비된 니들의 시술 각도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과 캡부로 분리된 니들부재가 서로 요철결합방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니들부재의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니들이 캡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충전 위치에 따라 쉽게 니들을 돌려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니들
11 : 플랜지부
12, 22 : 요부
13, 21 : 철부
20 : 캡부
23 : 공간부
23a : 삽입구멍
24, 32 : 요홈
25, 31a : 철부
30 : 핸들
31, 31' : 끼움구멍

Claims (6)

  1. 내부에 충전재(F)가 충전되어 니들(10)를 통해 압송하는 캡부(20), 그리고 이 캡부(2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핸들(30)을 통해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있어서,
    상기 캡부(20)에는 핸들(30)이 끼워지는 부분에 원주면을 따라 요홈(24)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30)에는 캡부(20)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31)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31)의 내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철부(31a)가 돌출되어 상기 요홈(24)에 상기 핸들(30)을 돌려서 강제로 회전시킬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2. 내부에 충전재(F)가 충전되어 니들(10)를 통해 압송하는 캡부(20), 그리고 이 캡부(2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핸들(30)을 통해 근관 충전기에 장착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에 있어서,
    상기 캡부(20)에는 핸들(30)이 끼워지는 부분에 원주면을 따라 철부(25)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30)에는 캡부(20)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31')이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31')의 내면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요홈(32)이 형성되어 상기 철부(25)에 상기 핸들(30)을 돌려서 강제로 회전시킬수 있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3. 내부에 충전재(F)가 충전되어 니들(10)을 통해 압송시켜 주고, 한쪽에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에는 직경이 줄어드는 쪽에 니들(10)이 장착되는 캡부(20), 그리고 이 캡부(20)의 테이퍼진 부분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30)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20)에는 테이퍼진 앞쪽으로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26)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30)에는 테이퍼진 부분과 걸림턱(26) 사이에 끼워지도록 회전지지구멍(34)이 형성되되, 이 회전지지구멍(34)의 직경이 작은 출구측에는 걸림턱(26)을 밀어 가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할편(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25,31a)에는 요홈과 마주보는 일측 테두리가 모따기(Chamfering)되어 요철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0)의 단부에는 캡부(20)의 안쪽면과 밀착되도록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1) 및 여기에 접하는 캡부(20)의 안쪽면에는 각각 요부(12) 와 철부(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10)과 캡부(20)는 각각 황동으로 제작되고 그 표면이 은도금 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KR1020120124629A 2012-11-06 2012-11-06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KR10139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629A KR101399075B1 (ko) 2012-11-06 2012-11-06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629A KR101399075B1 (ko) 2012-11-06 2012-11-06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071A KR20140058071A (ko) 2014-05-14
KR101399075B1 true KR101399075B1 (ko) 2014-05-27

Family

ID=508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629A KR101399075B1 (ko) 2012-11-06 2012-11-06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024B1 (ko) * 2022-03-14 2023-06-29 이재영 측방 가압 및 수직 가압이 가능한 근관 치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16B1 (ko) 2005-03-28 2010-05-03 이인환 완전가열식 근관 치료용 무선형 충전기
KR100972647B1 (ko) 2008-07-23 2010-07-28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
KR100990956B1 (ko) 2008-11-12 2010-10-29 (주)디엑스엠 니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근관 충전기
KR101077387B1 (ko) 2010-03-22 2011-10-2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근관충전용 니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616B1 (ko) 2005-03-28 2010-05-03 이인환 완전가열식 근관 치료용 무선형 충전기
KR100972647B1 (ko) 2008-07-23 2010-07-28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
KR100990956B1 (ko) 2008-11-12 2010-10-29 (주)디엑스엠 니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근관 충전기
KR101077387B1 (ko) 2010-03-22 2011-10-2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근관충전용 니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071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8811B2 (ja) 注射針アセンブリ
KR20180057502A (ko) 미용기
US20150105771A1 (en) Steerable electrode catheter assembly
EP2922511B1 (en) Eyelid treatment device
WO2005120624A1 (fr) Dispositif d'injection a mecanisme d'extraction
US20160198689A1 (en) Movable hood for reel seat, reel seat,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KR101399075B1 (ko) 근관 충전용 니들부재
US11020538B2 (en) Anesthesia needle assembly and methods
JP2020195853A (ja) 内視鏡用鉗子の製造方法
JP7182972B2 (ja) 美容器
KR101270513B1 (ko) 근관충전용 니들부재
WO2007013594A1 (ja) 穿刺器具
CA2835773A1 (fr) Accessoire pour seringue
KR101221484B1 (ko) 카테터
FR3065881A1 (fr) Systeme de bridage et de guidage d'un faisceau d'aiguilles sur un tube de tatouage
KR101549696B1 (ko) 헤어 셋팅기구
KR101580913B1 (ko) 튜브밀착형 튜브클립
JP5191364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20110105111A (ko) 손잡이 코바늘
KR200481949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JP6781916B2 (ja) 温熱器
EP2979572A1 (fr)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tête distributrice et un applicateur de produit cosmétique, têt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tube comprenant une telle tête et applicateur associé
KR101238653B1 (ko)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CN205322784U (zh) 一种电项针
KR102135046B1 (ko)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