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53B1 -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53B1
KR101238653B1 KR1020100102727A KR20100102727A KR101238653B1 KR 101238653 B1 KR101238653 B1 KR 101238653B1 KR 1020100102727 A KR1020100102727 A KR 1020100102727A KR 20100102727 A KR20100102727 A KR 20100102727A KR 101238653 B1 KR101238653 B1 KR 10123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ascara
heating
terminal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320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10010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53B1/ko
Priority to PCT/KR2011/005936 priority patent/WO2012053735A2/ko
Priority to CN201110292167.6A priority patent/CN102450810B/zh
Publication of KR2012004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Enhancing with he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6Brushes with heads on opposite sides or ends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카라를 회전시키는 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속눈썹을 고데할 수 있는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하나의 배터리로 가능하게 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Tongs and Electric Mascara applicator}
본 발명은 마스카라를 회전시키는 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속눈썹을 고데할 수 있는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하나의 배터리로 가능하게 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속눈썹 고데 겸용 고정 마스카라 도포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2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2는 고데기에 마스카라를 일체로 형성하여 속눈썹 화장도구인 마스카라와 고데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함은 물론 마스카라 브러쉬를 이용하여 속눈썹에 마스카라액을 바른 후, 속눈썹에 묻은 마스카라액을 고데기로 가열하여 말려 줌으로써, 속눈썹 화장을 더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마스카라 브러쉬를 사용자가 직접 돌려가면서 속눈썹 화장을 해야하기 때문에 화장을 자주 하지 않는 사람은 속눈썹을 올리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일 뿐만 아니라, 위로 둥글게 올려지지 않아 아름다운 속눈썹을 창출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마스카라 브러쉬를 돌리면서 속눈썹을 빗는 일이 서툴러 마스카라를 균일하게 도포하지 못하고 뭉침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전동식 마스카라가 특허문헌3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3은 마스카라 브러쉬를 전동기로 회전시켜 누구든지 아름다운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게 한 전동식 마스카라 브러쉬이다.
그러나, 특허문헌3은 고데기가 없는 전동식 마스카라이기 때문에 위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1,2와 특허문헌3을 결합하더라도 두 개의 배터리를 사용해야 하고, 그로 인한 배선이 복잡하고 두 개의 배터리 교체를 위한 레이아웃도 복잡하게 된다.
특허문헌1 : 등록실용신안 제20-0397146호 공보 특허문헌2 : 공개특허 제2010-0022366호 공보 특허문헌3 : 등록실용신안 제20-0334143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카라를 회전시키는 전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속눈썹을 고데할 수 있는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하나의 배터리로 가능하게 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본체관; 상기 본체관의 일측에 장착되며, 속눈썹성형부의 내부에 있는 전열선에 (+)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홈에 수납한 고데기; 상기 본체관의 타측에 수납 장착되는 전동부와, 상기 전동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를 갖는 마스카라용기부로 이루어진 전동 마스카라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관의 중심 내측에는 (-)단자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데기를 상기 본체관의 일측에 장착하면 상기 배터리의 (-)극이 상기 (-)단자부와 접속하고, 상기 전동 마스카라를 상기 본체관의 타측에 장착하면 상기 배터리의 (+)극과 상기 (-)단자부에 접속한다.
이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고데기와 전동 마스카라를 본체관에 장착하기만 하면 하나의 배터리로 히팅 및 전동 회로를 형성하여 구조가 매우 간소화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상기 마스카라용기부는 상기 본체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마스카라용기부를 스타일에 따라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상기 고데기에는 상기 전열선과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하는 히팅PCB부와, 상기 히팅PCB부를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마스카라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동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동PCB부와, 상기 전동PCB부를 온/오프시키는 전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상기 히팅PCB부는 상기 히팅스위치와 접속하는 히팅PCB와, 일단은 상기 히팅PC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의 (+)극에 접촉되는 히팅(+)단자편과, 일단은 상기 히팅PC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는 히팅(-)단자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PCB부는 상기 전동스위치와 접속하는 전동PCB와, 일단은 상기 전동PCB에 연결되는 전동(+)단자편과, 상기 전동(+)단자편과 상기 히팅(+)단자편을 연결하는 전동(+)연결단자편과, 일단은 상기 전동PC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는 전동(-)단자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상기 히팅(-)단자편과 상기 전동(+)단자편은 상기 수납홈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의 교체할 때 간섭을 받지 않을 뿐 아니라 고데기와 전동부를 장착함으로써 회로를 간단히 형성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상기 본체관에는 상기 전동부와 상기 전동PCB를 장착한 전동지지브라켓이 수납되되, 상기 전동지지브라켓의 배면에는 상기 전동(-)단자편이 인출되는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동지지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전동(+)단자편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부를 본체관에 삽입하면 단자 간의 접속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는,
상기 마스카라용기부는 상기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와 마스카라액이 담긴 마스카라용기로 구성되되, 상기 마스카라용기의 입구에는 블레이드패킹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블레이드패킹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돌기가 솔대의 외주면에 접촉 눌리기 때문에 마스카라액의 누수를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관의 중심측에 (-)단자부를 고정하여 고데기와 전동부를 장착하면 하나의 배터리로 히팅 회로와 전동 회로를 구현시킴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도포장치로 마스카라를 회전시키고 고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스카라용기부의 탈착이 가능하여 마스카라액의 종류에 따라 교체하면서 회전시켜 속눈썹을 화장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패킹의 내주면에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마스카라액의 외부로의 누수를 완전히 차단하면서 솔대와의 선접촉을 통해 접촉면적이 작아 마스카라용기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캡과 마스카라용기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마스카라용기부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전동부를 상하에서 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전동지지브라켓을 상하에서 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고데기에서 주요 부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캡과 마스카라용기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3-3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데 겸용 전동마스카라 도포장치는 크게 외형을 이루는 본체관(100)과, 본체관(100)의 일측과 타측에 장착되는 고데기(300)와 전동 마스카라(500)를 포함한다.
본체관(100)은 그 중심측에 (-)단자부(110)가 배치 고정되어 있다.
(-)단자부(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111)과, 이 (-)스프링(111)의 타측을 지지한 채 본체관(100)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고정단자편(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편(113)은 배터리(350)의 (-)극을 히팅과 전동 쪽으로 분기시키면서 본체관(100) 내부에 지지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같이, (-)스프링(111)의 일측은 배터리(350)의 (-)극에 접촉하고, (-)고정단자편(113)은 후술되는 히팅(-)단자편(343)과 전동(-)단자편(543)이 접촉하게 되어, (-) 히팅 및 전동 회로를 구성한다.
고데기(30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눈썹성형부(311)를 갖는 케이스(310)와, 케이스(310)에 설치되는 히팅부재(320)를 포함한다.
케이스(310)는 상부케이스(310a)와 하부케이스(310b)로 이루어진다.
손눈썹성형부(311)는 케이스(310)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전열선(330)이 놓여있다.
히팅부재(320)는 전열선(330)이 접속된 히팅PCB부와, 상기 히팅PCB부를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360)로 구성하여 있다.
상기 히팅PCB부는 히팅스위치(360)와 접촉하는 히팅PCB(340)와, 히팅(+)단자편(341)과 히팅(-)단자편(343)으로 구성된다.
히팅PCB(3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50)의 전원 온/오프는 히팅스위치(36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히팅PCB(340)는 속눈썹성형부(311)와 배터리(350) 사이의 공간에 탑재되어 있다.
배터리(350)는 케이스(310)의 후단측에 형성된 수납홈(313)에 수납된다. 즉 배터리(350)는 뒤에서 앞으로 밀어 넣으면 되고, 빼낼 때는 거꾸로 기울이면 된다.
수납홈(313)측 케이스는 본체관(100)의 일측에 삽입 장착되고, 케이스(310)를 빼낼 때는 본체관(100)의 걸림공(101)에 걸린 걸림편(315)을 눌러 앞으로 당기면 빠진다.
또한, 수납홈(313)측 케이스는 본체관(100)의 일측에 삽입 장착되면, 배터리(350)의 (-)극이 (-)스프링(111)에 접촉한다.
히팅PCB(340)와 배터리(350)의 히팅 회로는 도 3,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은 히팅PCB(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터리(350)의 (+)극에 접촉될 히팅(+)단자편(341)과, 일단은 히팅PCB(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단자부(110)의 (-)고정단자편(113)과 접촉되는 히팅(-)단자편(3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히팅(+)단자편(341)을 통해 히팅PCB(340)에 (+)전류를 공급하고, (-)스프링(111), (-)고정단자편(113), 히팅(-)단자편(343)을 통해 히팅PCB(340)에 (-)전류를 공급하여 히팅 전류 회로를 이룬다.
히팅(-)단자편(343)의 타단측은 수납홈(313)의 내측벽에 지지 밀착되어 있어, 고데기(300)를 장착하면 히팅(-)단자편(343)의 타단측에 (-)고정단자편(113)이 끼워지면서 접속되기 때문에, 배터리(350)의 인출 삽입할 때 히팅(-)단자편(343)이 방해되지 않는다.
후술된 전동(+)연결단자편(542)도 수납홈(313)의 내측벽에 지지 밀착되어 있어, 배터리(350)의 인출 삽입할 때 히팅(-)단자편(343)이 방해되지 않는다.
히팅스위치(360)는 케이스(310)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히팅PCB(340)에 온/오프 신호를 주어 배터리(350)를 단속시킨다.
본체관(100)의 일측에 돌출한 부분의 고데기(300)에는 캡(370)을 씌워 사용할 때에만 분리한다.
전동 마스카라(500)는 전동부(510)와, 마스카라용기부(570)로 이루어진다.
전동부(510)는 전동모터(511)와 감속기어(513)로 이루어진다. 감속기어(513)는 유성기어로서 전동모터(5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모터(511)는 배터리(350)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동PCB부와, 상기 전동PCB부를 온/오프시키는 전동스위치(56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상기 전동PCB부는 전동스위치(560)와 접속하는 전동PCB(540)와, 일단은 전동PCB(540)에 연결되는 전동(+)단자편(541)과, 전동(+)단자편(541)과 히팅(+)단자편(341)을 연결하는 전동(+)연결단자편(542)과, 일단은 전동PCB(5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단자부(110)의 (-)고정단자편(113)과 접촉되는 전동(-)단자편(5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히팅(+)단자편(341), 전동(+)연결단자편(542), 전동(+)단자편(541)을 통해 전동PCB(540)에 (+)전류를 공급하고, (-)단자부(110)와 전동(-)단자편(543)을 통해 전동PCB(54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동회로를 이룬다.
전동스위치(560)는 크게 온/오프로 이루어지고, 온(ON)은 다시 전동모터(511)의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나뉜다. 따라서, 전동스위치(560)가 중간에 있으면 오프, 오프에서 앞으로 밀면 정회전, 오프에서 뒤로 당기면 역회전시킨다.
전동부(510)와 전동PCB(54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지지브라켓(550)에 장착되어 있다.
전동지지브라켓(550)은 상부가 개방된 제1전동지지브라켓(551)과 관 형상의 제2전동지지브라켓(55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전동지지브라켓(551)에는 전동부(510)가 안착되는 안착홈(552)과, 전동부(510)의 전동PCB(540)를 안착 고정시키는 안착고정돌기(553)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제1전동지지브라켓(551)의 배면에는 전동(-)단자편(543)이 인출되는 인출홈(551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전동(+)단자편(541)이 인출되는 인출공(551b)이 형성되어 안정적이면서 레이아웃을 깨끗하게 형성한다.
또한, 제1전동지지브라켓(551)의 하면에는 외팔보 형태의 걸림돌기(554)가 형성되어, 전동지지브라켓(550)을 본체관(100)에 삽입 장착시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미도시)에 걸려 앞으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시 방지한다.
제2전동지지브라켓(556)은 본체관(10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03)에 걸림단턱(557)이 걸려 무리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스카라용기부(570)의 탈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마스카라용기부(570)는 크게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580)와 마스카라액이 담긴 마스카라용기(590)로 이루어진다.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58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에 마스카라브러쉬(582)를 갖는 솔대(581), 전동부(510)의 회전력을 솔대(58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83), 솔대(581)의 후단측과 동력전달부(583)의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585)로 구성하여 있다.
솔대(581)의 후단측에는 지지부(585)의 상걸림돌기(585a)에 걸리는 걸림턱(581a)과 동력전달부(583)의 전달축(583a)이 삽입되는 삽입홈(581b)이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부(583)에는 전술한 전달축(583a)과 유성기어(513)가 끼워지는 전달홈(583b)이 형성되어 있다. 전달홈(583b)의 외주면은 지지부(585)의 하걸림돌기(585b)에 걸려 더 이상 앞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지지부(585)는 내측에 암나사(586a)가 형성된 지지외통(586)과, 상걸림돌기(585a)와 하걸림돌기(585b)가 형성되고 그 사이로 솔대(581)의 후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지지내상통(587)과, 전달홈(583b)의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지지내하통(588)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외통(586)과 지지내상통(587) 사이에는 입구(591)가 체결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585)에는 동력전달부(583)와 솔대(581)가 서로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와 같이 지지된 지지부(585)는 제2전동지지브라켓(556)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된다.
마스카라용기(590)의 입구(591)에는 외주면에 수나사(593)가 형성되어 암나사(586a)와 체결된다.
또한, 입구(591)에는 입구(591)의 끝면과 내주면에 밀착되는 블레이드패킹(595)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블레이드패킹(595)은 마스카라액이 체결되었을 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스카라브러쉬(582)가 들어가고 나올 때 걸려서 적당량의 마스카라액이 묻어나도록 한다.
블레이드패킹(595)의 내주면에는 돌기(596)가 형성되어, 후술된 솔대(581)의 후단측에 선접촉을 통해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잘 열리게 하면서도 실링 효과도 우수하게 한다.
돌기(596)와 접촉되는 솔대(581)의 후단측은 앞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581d)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81d)은 마스카라용기(590)를 체결할 때 다 체결되기 전까지 돌기(596)가 솔대(581)의 후단측(581c) 끝에서 접촉하도록 하여 체결을 쉽게 한다. (즉 경사면이 없는 경우에는 돌기가 체결 초기부터 체결 완료될 때 계속 접촉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매우 뻑뻑하게 체결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본체관 101 : 걸림공
103 : 걸림턱 110 : (-)단자부
111 : (-)스프링 113 : (-)고정단자편
300 : 고데기 310 : 케이스
310a,b : 상하부케이스 311 : 속눈썹성형부
313 : 배터리수납홈 315 : 걸림편
320: 히팅부재 330 : 전열선
340 : 히팅PCB 341 : 히팅(+)단자편
343 : 히팅(-)단자편 350 : 배터리
360 : 히팅스위치 370 ; 캡
500 : 전동 마스카라 510 : 전동부
511 : 전동모터 513 : 유성기어(감속기어)
540 : 전동PCB 541 : 전동(+)단자편
542 : 전동(+)연결단자편 543 : 전동(-)단자편
550 : 전동지지브라켓 551 : 제1전동지지브라켓
551a : 인출홈 551b : 인출공
552 : 안착홈 553 : 안착고정돌기
554 : 걸림돌기 556 : 제2전동지지브라켓
560 : 전동스위치 570 : 마스카라용기부
580 :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 581 : 솔대
581a : 걸림턱 581b : 삽입홈
583c : 후단측 581d : 경사면
582 : 마스카라브러쉬 583 : 동력전달부
583a : 전달축 583b : 전달홈
585 : 지지부 585a : 상걸림돌기
585b : 하걸림돌기 586 : 지지외통
586a : 암나사 587 :지지내상통
588 : 지지내하통 590 : 마스카라용기
591 : 입구 593 : 수나사
595 : 브레이드패킹 596 : 돌기

Claims (7)

  1. 본체관;
    상기 본체관의 일측에 장착되며, 속눈썹성형부의 내부에 있는 전열선에 (+)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수납홈에 수납한 고데기;
    상기 본체관의 타측에 수납 장착되는 전동부와, 상기 전동부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를 갖는 마스카라용기부로 이루어진 전동 마스카라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관의 중심 내측에는 (-)단자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데기를 상기 본체관의 일측에 장착하면 상기 배터리의 (-)극이 상기 (-)단자부와 접속하고,
    상기 전동 마스카라를 상기 본체관의 타측에 장착하면 상기 배터리의 (+)극과 상기 (-)단자부에 접속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용기부는 상기 본체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데기에는 상기 전열선과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하는 히팅PCB부와, 상기 히팅PCB부를 온/오프시키는 히팅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 마스카라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동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동PCB부와, 상기 전동PCB부를 온/오프시키는 전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PCB부는 상기 히팅스위치와 접속하는 히팅PCB와, 일단은 상기 히팅PC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의 (+)극에 접촉되는 히팅(+)단자편과, 일단은 상기 히팅PC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는 히팅(-)단자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PCB부는 상기 전동스위치와 접속하는 전동PCB와, 일단은 상기 전동PCB에 연결되는 전동(+)단자편과, 상기 전동(+)단자편과 상기 히팅(+)단자편을 연결하는 전동(+)연결단자편과, 일단은 상기 전동PC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단자부와 접촉되는 전동(-)단자편으로 구성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단자편과 상기 전동(+)단자편은 상기 수납홈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관에는 상기 전동부와 상기 전동PCB를 장착한 전동지지브라켓이 수납되되,
    상기 전동지지브라켓의 배면에는 상기 전동(-)단자편이 인출되는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동지지브라켓의 하면에는 상기 전동(+)단자편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용기부는 상기 회전마스카라브러쉬부와 마스카라액이 담긴 마스카라용기로 구성되되,
    상기 마스카라용기의 입구에는 블레이드패킹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블레이드패킹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KR1020100102727A 2010-10-21 2010-10-21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KR10123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27A KR101238653B1 (ko) 2010-10-21 2010-10-21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PCT/KR2011/005936 WO2012053735A2 (ko) 2010-10-21 2011-08-12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CN201110292167.6A CN102450810B (zh) 2010-10-21 2011-09-29 睫毛卷烫及电动睫毛膏涂抹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727A KR101238653B1 (ko) 2010-10-21 2010-10-21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320A KR20120041320A (ko) 2012-05-02
KR101238653B1 true KR101238653B1 (ko) 2013-02-28

Family

ID=4597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727A KR101238653B1 (ko) 2010-10-21 2010-10-21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38653B1 (ko)
CN (1) CN102450810B (ko)
WO (1) WO20120537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93B1 (ko) * 2021-07-21 2023-01-18 정주영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기능을 갖는 속눈썹 고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620B1 (ko) 2006-02-15 2006-11-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마스카라
JP2009183341A (ja) 2008-02-04 2009-08-20 Satomi Abe 電動マスカラ塗布装置
KR200446130Y1 (ko) 2007-11-30 2009-09-28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 겸용 속눈썹 고대기
KR20100022366A (ko) * 2008-08-19 2010-03-02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마스카라 고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3460B1 (fr) * 2003-12-16 2007-05-18 Oreal Procede et dispositif pour recourber les cils
KR200396785Y1 (ko) * 2005-06-10 2005-09-27 주식회사 태평양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KR200397146Y1 (ko) * 2005-07-14 2005-09-28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겸용 속눈썹 고대기
KR101055399B1 (ko) * 2008-08-19 2011-08-08 한경희 급속가열 마스카라 고데기 및 마스카라 고데기의 급속가열 방법
CN201445095U (zh) * 2009-06-19 2010-05-05 李里洋 一种可旋转的睫毛膏涂刷电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620B1 (ko) 2006-02-15 2006-11-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동마스카라
KR200446130Y1 (ko) 2007-11-30 2009-09-28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 겸용 속눈썹 고대기
JP2009183341A (ja) 2008-02-04 2009-08-20 Satomi Abe 電動マスカラ塗布装置
KR20100022366A (ko) * 2008-08-19 2010-03-02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마스카라 고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93B1 (ko) * 2021-07-21 2023-01-18 정주영 마스카라 어플리케이터 기능을 갖는 속눈썹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3735A2 (ko) 2012-04-26
CN102450810A (zh) 2012-05-16
KR20120041320A (ko) 2012-05-02
CN102450810B (zh) 2014-11-12
WO2012053735A3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002Y1 (ko) 전동식 마스카라
JP6846173B2 (ja) 美容器
JP5946154B2 (ja) ブラシ及びブラシ体
KR101238653B1 (ko)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CN210296766U (zh) 一种防脱落电源适配器
HUE034479T2 (en) Hand held device for electrically operated skin treatment
US2582404A (en) Toothbrush
CN210007442U (zh) 一种自带传输线收纳结构的移动电源
KR101164569B1 (ko) 사용이 편리한 피부미용장치의 이온헤드 손잡이
KR200477063Y1 (ko) 헤어브러시
CN104643502A (zh) 全自动多功能卷发器
KR101474324B1 (ko) 전동 마스카라
KR200484159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 마스카라
CN213550312U (zh) 一种电动旋转的化妆刷
TWM293006U (en) Improved structure of shower brush
KR200483326Y1 (ko) 받침가드를 가지는 마스카라 어셈블리
JP2018520811A (ja) 化粧品のための加温用アプリケータ
CN218390145U (zh) 一种全方位擦拭海绵粉扑
CN205650362U (zh) 一种普通花洒用毛刷
TWM583272U (zh) 洗澡刷裝置
WO2023051122A1 (zh) 化妆用具
CN211428958U (zh) 一种便于紧固充电插头的暖手宝充电器
JP3156963U (ja) 化粧品容器用漏れ止め構造
WO2012026948A1 (en) Hair styler
KR200199988Y1 (ko) 치간 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