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887B1 -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887B1
KR101398887B1 KR1020120047906A KR20120047906A KR101398887B1 KR 101398887 B1 KR101398887 B1 KR 101398887B1 KR 1020120047906 A KR1020120047906 A KR 1020120047906A KR 20120047906 A KR20120047906 A KR 20120047906A KR 101398887 B1 KR101398887 B1 KR 10139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 additive
alfalfa
laying hens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642A (ko
Inventor
이재연
강경돈
박영식
조용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조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조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조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88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3Nucleic acids; Hydrolysis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 생산성과 계란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과 가축 기호성이 뛰어난 목초인 알팔파 및 천연 성장촉진제인 L-페닐락트산 칼슘염을 10% 함유한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산란계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첨가제를 사료에 배합하여 산란계에게 공급함으로써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항병력이 우수하고, 산란율이 개선될 수 있는 산란계의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사육된 건강한 닭에게서 얻어지는 양양소 및 품질이 개선된 계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사료 첨가제로 개발하여 산란계 사료에 이용함으로써 고품질 계란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 사료로 이용되기 어려운 알팔파를 녹색 사료로써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재배농가 소득의 기회를 높여줄 수 있다. 또한, 항생제 대체효과가 있는 천연 유기산 페닐락트산을 급여한 건강한 닭에서 생산된 고품질 계란생산으로 계란의 소비를 촉진시켜 양계농장의 소득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Feed additive comprising alfalfa and powder containing Phenyllactic acid and the method of producing egg using the said feed additive}
본 발명은 난 생산성과 계란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양과 가축 기호성이 뛰어난 목초인 알팔파 및 천연 성장촉진제인 L-페닐락트산 칼슘염을 10% 함유한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산란계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첨가제를 사료에 배합하여 산란계에게 공급함으로써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항병력이 우수하고, 산란율이 개선될 수 있는 산란계의 사육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사육된 건강한 닭에게서 얻어지는 양양소 및 품질이 개선된 계란에 관한 것이다.
국민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식생활이 개선되어 축산물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따라 점차 부가가치가 높은 축산물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양계업에서도 마찬가지로 계란 하나의 선택에도 이제는 건강을 고려하게 되고 이에 부응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이 부여된 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urk와 Barnett(1972)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본으로 하는 사료에 알팔파를 첨가하여 난황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하였고, McNaugton(1978)은 백색레그혼 종에 84일간 알팔파박(alfalfa meal)을 급여하였는데, 옥수수-대두박 만을 급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난황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밝혔으나, Weiss와 Scott(1979)는 알팔파박을 산란률 사료에 50% 수준으로 3개월간 투여하여도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는 상반된 보고를 하였다. 알팔파박은 단위 면적당 단백질 생산량이 대두의 2배 정도로 높지만(Stahmann, 1968), 섬유소 함량이 높고, 가소화 에너지 함량이 낮으며, 단백질의 소화율이 낮고, saponin과 같은 저해인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알팔파를 고수준으로 첨가할 때 기호성이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단위 가축에게는 많이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Myer와 Cheeke, 1975)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난황이 잘 착색된 계란을 선호하는데 알팔파박은 옥시카로티노이드(cxycarotenoids)들이 kg당 198-306 mg 정도 함유되어 있어(North, 1884), 황색옥수수, 콘 글루텐 박(corn gluten meal) 같은 식물성 원료와 함께 착색소를 조절하는 자연 착색제로 잘 알려져 있으며, 투여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착색도가 양호해진다고 보고하였다.(Sunde, 1962; Carlson 등, 1962; Kingan과 Sullivan, 1964). 난황 착색도사료 중의 잔토필(xanthophyll)의 함량과 흡수 정도, 난소에서의 축적량에 따라 달라지는데(Guenthner 등, 1973), 잔토필 중에서도 난황 착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루테인(lutein)이 알팔파박의 잔토필 내에 약 3/4 정도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Livingston 등, 1969).
유기산은 가축 영양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가축 성장용 항생제 대체물질로써 인정되는 가장 중요한 물질 중의 하나이며(Gauthier, 2005), 식물과 동물 조직의 천연 구성물질이다. 사료첨가제로써의 이용 효과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염 형태는 사료 요구율 개선의 목적으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가축 사료 내 주로 사용되는 유기산은 개미산(formic acid), 프로피오닉산(propionic acid), 젖산(lactic acid), 구연산(citric acid)과 푸마르산(fumaric acid) 등이 있으며, 이들 유기산은 장내 pH를 낮추어 장내 미생물총의 변화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ddecki 등, 1988). 유기산은(염 형태 포함) 사료와 가축의 소화관 내의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며, 생화학적 특성에 따라 병원균의 세포막 내로 투과되어 세포 내부의 pH를 낮춰 대사 에너지 고갈, 세포막 대사 저하, 세포액 유출과 영양소 이용 차단 등의 작용으로 병원균을 사멸시킨다고 보고되었다(Kirchgesser과 Roth, 1982).
가금에 있어서 유기산제는 사료내의 살모넬라 오염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Berchieri와 Barrow, 1996; Thompson과 Hinton, 1997), L등(2004)은 육계에 복합유기산제의 이용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고 Skinner 등(1991)은 육계에 푸마르산(fumaric acid)의 사료 내 첨가 급여는 체중과 사료섭취량을 개선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유기산은 사료 오염 방지, 영양소 이용률 향상, 소화 기관 내 유해균 증식 억제, 장점막 발달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작용기전이 성장촉진용 항생제와 유사하여 항생제 대체제 중에서도 이용가능성이 크다고 하였다(Dibner와 Buttin, 2002).
페닐락트산(Phenyllactic acid, PLA)은 페닐알라닌 대사의 부산물로써 생산되며(Thierry와 Malliard, 2002), 넓은 범위의 다양한 곰팡이 균주들과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과 같은 병원성 세균들을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ieuleveux 등, 1998; Strm 등, 2002 ; Lavermicocca 등, 2003). 또한,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항균활성이 다르게 나타나며 다른 항균 물질들과의 병행요법으로 상승효과 등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페닐락트산은 우수한 항균물질로써 사료 및 식품 등으로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다(Lavermicocca 등, 2003; Schruer 와 Magnusson, 2005). 페닐락트산를 가축사료로 적용하였을 때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은 우수(Lee 등 2002; Lavermicocca 등, 2003; Schruer와 Magnusson, 2005)하지만 페닐락트산와 그 염을 가축에 대해 적용한 연구가 아직 적은 편이다. 몇 가지 예로써 페닐락트산를 산란계 사료내 0.3% 첨가하였을 때 난생산성을 증가시키고 백혈구, 림프구 등의 농도를 증가시켰다(Wang 등, 2009b). 페닐락트산은 병아리와 생쥐의 퍼포먼스를 촉진시키며 페닐알라닌의 70.1%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Boebel과 Baker, 1982; Wang 등, 2009). 게다가 페닐락트산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초산과는 달리 이취가 덜 발생하여 기호성 및 사료섭취량 등에 영향을 덜 미치리라 예상된다(Wang 등, 200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영양과 가축 기호성이 뛰어난 목초인 알팔파와 기존의 항균활성, 가축 성장촉진 및 생산성 향상하는 것으로 알려진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조성물이 산란계에 급여하였을 때 난 생산성과 계란품질의 개선 효과가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며, 항균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산란계용 녹색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천연제제의 산란계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산란계용 사료를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산란계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산란계에게 급여함으로써 난질 및 난각질 등의 품질이 향상된 계란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여서 산란율을 증가시키고, 난황색이 개선되며 유통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품질이 개선된 계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계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여 사료내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에 인해 난 생산성, 난질, 장내균총 및 혈액성상 등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유기산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평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며, 항균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산란계용 녹색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항균성이 우수한 천연제제의 산란계용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산란계용 사료를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산란계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산란계에게 급여함으로써 난질 및 난각질 등의 품질이 향상된 계란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여서 산란율을 증가시키고, 난황색이 개선되며 유통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품질이 개선된 계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물,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사료 첨가제로 개발하여 산란계 사료에 이용함으로써 고품질 계란생산이 가능하고, 종래에 사료로 이용되기 어려운 알팔파를 녹색 사료로써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재배농가 소득의 기회를 높여줄 수 있다. 또한, 항생제 대체효과가 있는 천연 유기산 페닐락트산을 급여한 건강한 닭에서 생산된 고품질 계란생산으로 계란의 소비를 촉진시켜 양계농장의 소득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란계에서 유산균 수는 증가하는데 반해 대장균, 살모넬라 등 장내 세균총 콜리폼(coliforms) 세균을 감소시켜 산란율을 개선시키고 난황색 및 호그 위니트(Haugh unit) 개선효과를 나타내 생산성 및 난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된 계란을 생산하는 방법 및 계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급여가 산란계 맹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녹색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페닐락트산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된 분말 건조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초산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4 중량%, 개미산 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6 중량%, 페닐락트산 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유산균 배양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보리 맥아(barely malt)는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30 중량%, 효모 배양물(Yeast culture)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40 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고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분쇄한 알팔파는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90 중량%, 페닐락트산을 함유한 분말 건조물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포함하는 난 생산성 및 난질 저하를 예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란계용 사료첨가제를 사료 전체 중량대비 1 내지 4 중량%로 첨가하여 제조된 산란계용 사료인 것이다.
이때, 산란계용 사료첨가제의 첨가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효과가 약하고, 첨가량이 4 중량%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첨가제를 산란계용 사료에 혼합하여 산란계에게 공급하고, 이 산란계로부터 계란을 수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생산방법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산란계용 사료첨가제의 주요성분과 그 약리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알팔파(Medicago sativa)는 속명의 Medicago는 그리스어 ‘medicus(약)’와 ‘agere(사용하다)’의 합성어로 약용으로 사용한 데서 유래하였고 서남아시아 원산이며 옛날부터 사료작물로 재배하였다. 유럽에서는 루선(lucern)이라고 불렀으나, 미국에서는 아랍어로 '가장 좋은 사료'라는 뜻으로 앨팰퍼라고 한다. 높이 20~80cm 정도 자라는 다년초이며 사람에게도 좋은데,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이 있어 특히 육류와 함께 먹으면 좋으며,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페닐락트산은 페닐알라닌과 같은 영양 성분의 대체가 일부 가능하며, 다른 유기산들과는 달리 pH에 덜 의존적이며, 포도당보다 작은 분자량 166 Da의 저분자성 항균물질로써 간, 폐 등 조직에 대한 침투능력 또한 우수하다. 따라서 기존의 항균활성, 가축 성장촉진 및 생산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잠재적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준비한 후, 알팔파는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90 중량%,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를 혼합한 다음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사료첨가제를 산란계용 사료 전체 중량대비 1 ~ 4 중량%를 첨가하여 산란계용 사료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산란계를 사육한 결과, 장내 유산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장내 콜리폼 세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산란율을 개선시켰으며, 내부 난질에서 난황색 및 호그 위니트 개선효과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란계용 사료첨가제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주)바이오토피아(춘천)에서 공급을 받아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초산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4중량%, 개미산 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6중량%, 페닐락트산 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10중량%, 유산균 배양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10중량%, 보리 맥아(barely malt)는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30중량%, 효모 배양물(Yeast culture)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40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분쇄하여 분말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10중량%, 알팔파는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90중량%를 혼합한 다음 산란계용 녹색 사료첨가제(실험군)를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에서 제조된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의 양성대조군으로써 복합유기산은 (주)바이오토피아(춘천)에서 공급을 받아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복합유기산은 초산칼슘염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5중량%, 개미산 칼슘염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12중량%, 젖산 칼슘염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10중량%, 시트르산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25중량%, 푸마르산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8중량%, 인산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5중량%, 규산염은 복합유기산 전체 중량대비 36중량%를 교반기에 넣고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분쇄하여 분말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페닐락트산 함유 복합유기산 분말 건조물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10중량%, 알팔파는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90중량%를 혼합한 다음 산란계용 사료첨가제(실험군)(양성대조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사료첨가제를 첨가한 산란계용 사료의 제조
산란계 사육시, 사료는 옥수수 대두박을 기초로 하였고 대사 에너지 2780kcal, 조단백질 16%에 NRC(1994)에 기타 영양소 수준을 맞추거나 상회하는 수준으로 실험사료를 배합하였다. 실험사료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양계용 사료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을 1, 2, 4%를 첨가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실험군 양계용 사료를 제조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써 양계용 사료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알팔파와 복합유기산 분말 건조물을 1, 2%를 첨가한 다음, 교반 혼합하여 양성대조군 양계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주성분 (%) %
옥수수 43.20
대두박 13.50
12.00
주정박 8.00
카노라박 3.00
미강 3.00
옥수수글루텐박 2.00
가죽박 2.00
루핀 1.00
지방(Tallow) 0.80
라이신염산염 (78.4%) 0.14
디엘-메틸오닌 (98.5%) 0.08
중조(석회석) 10.30
타조알 껍질 0.50
0.20
탄산수소나트륨 0.08
비타민믹스1 0.10
미네랄믹스2 0.10
100
계산식
총대사에너지, kcal/kg 2,750
조단백, % 17.00
조지방, % 4.30
조섬유, % 3.30
조회분, % 14.00
칼슘, % 4.30
가용성 인, % 0.45
메티오닌 + 시스테인, % 0.65
실험예 1: 난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1.실험동물 및 사료
실험동물은 62주령의 하이라인 변종 브라운(Hy-Line Variety Brown) 산란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면적의 케이지에 모두 6처리구 4반복, 반복당 9수씩 총 216수를 선발하여 2주간 일반 시판 사료로 예비사육 하였으며, 처리구별 산란율과 체중이 유사하도록 재배치 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하절기(8월~9월)에 총 42일간 충주시 소재 건국대학교 실습농장 내 육계 실험동에서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험군 양계용 사료와 양성대조군 양계용 사료를 실험군 산란계에 급여하였다. 대조군은 양계용 사료를 그대로 급여하였다.
2. 사양관리
사양관리는 가로x세로x높이가 각각 45× 62× 66 cm인 3단 철제 케이지에 케이지당 3수씩 배치하여 사육하였으며, 사료 급이기와 니플의 숫자는 반복구별로 동일하게 배치하였다.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및 자유음수 시켰고, 점등은 17L : 7D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기타 사양관리는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3. 난 생산성
난 생산성은 실험 기간 동안 매일 오후 2시에 수집한 정상 산란 개수와 연란, 파란 등을 합한 총 산란 개수를 사육두수로 나누어 산란율을 구하였으며, 수집한 정상란 전부를 칭량하여 정상 계란 수로 나누어 평균 난중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항 목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1% 실험군 2% 실험군 4% 실험군 평균 표준오차 P-값
난 생산성
(%)
74.13c 76.25abc 79.03ab 74.94bc 78.70abc 80.49a 1.56 0.0290
난중
(g/egg)
64.02b 65.65a 62.84c 65.40a 64.00b 63.95b 0.32 0.0001
일산란량 (g/bird/day) 48.94 50.10 49.68 48.44 49.78 51.22 1.05 0.5247
abc, P < 0.05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4% 실험군에서 산란율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 < 0.05), 난중은 1% 실험군 및 1% 양성대조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5), 일산란량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의 산란율이 74% 정도로 낮은 것은 8월 하절기 시험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외부 환경 온도가 높아 하절기 스트레스에 의한 것으로 낮아졌으나 실험군에서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실험사료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을 1주 간격으로 수집하여 난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색, 난백 높이 및 난황색을 측정하였고 호그 유니트(Haugh unit)을 산출하였다. 난각 강도는 난각 강도계(FHK, Fujihira., Tokyo, 일본)를 이용하여 계란의 둔단부를 위로하고 수직으로 고정한 후 압력을 가하여 파각되는 순간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난각 두께는 계란의 중앙부 난각 파편을 채취하여 난각 후도계(Digimatic micrometer, Series 293-330, Mitutoyo, Japan)를 통해 측정한 두께의 평균치로 하였다. 난각색, 난백 높이 및 난황색은 각각 TSS(Technical Services and Supplies Ltd., York, 영국)의 종합난질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호그 유니트는 호그 유니트공식(Haugh, 1937)에 따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항 목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1% 실험군 2% 실험군 4% 실험군 평균표준오차 P-값
난각색(S.C) 29.05 28.62 29.25 29.67 28.83 28.60 0.64 0.8426
난황색(R.C.F) 5.48b 5.88a 5.65ab 5.55ab 5.85a 5.82ab 0.11 0.0499
난각두께(0.01 ㎜) 33.38 33.84 33.86 33.08 33.44 32.92 0.41 0.4874
난각강도(kg/㎠) 2.46 2.56 2.50 2.55 2.61 2.43 0.10 0.7844
호그 유니트 68.33b 67.43b 66.31b 69.04ab 71.83ab 74.86a 2.02 0.0387
abc, P < 0.05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난각두께, 난각강도 및 난각색 모두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부 난질 항목에서는 난황색이 2%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호그 유니트는 4% 실험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실험군이 대조군과 양성대조군보다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한편,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이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는 산란율을 증진시키는 효과와 연관시켜볼 때 하절기 스트레스로 인한 생산성 및 난질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맹장 내 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실험 종료시에 도계한 개체에서 채집한 맹장 내용물내의 균총을 조사하였다. 맹장내용물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용액과 혼합한 이후 균질기(AM 77 model, Nissi)로 균질화 하였고, 10- 1 부터 10- 7 까지 각각의 비율로 희석하였다. 장내 총균, 콜리폼 박테리아 및 유산균의 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람바크(Rambach, Merck, Germany), 브레인 하트 인퓨전 (Brain Heart Infusion; BHI, BD, USA), 엠알에스(MRS,BD, USA) 등 배지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제조된 한천 배지에 도말하여 엠알에스 한천배지와 람바크 한천배지는 호기적으로 배양하였고, 브레인 하트 인퓨전 한천배지는 이산화탄소로 치환하여 7 L 혐기성 자(복성엔지니어링)에서 혐기적으로 37℃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브레인 하트 인퓨전 한천배지에 자란 생균수를 총 세균수로 나타내었고, 엠알에스 한천배지에서 자란 콜로니 중 유산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람바크 한천배지에서 자란 콜로니 중 대장균수, 살모넬라수 등을 측정하였다. 각 균수를 로그 콜로니 형성단위(log CFU/g)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항 목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1% 실험군 2% 실험군 4% 실험군 평균 표준오차 P-값
----------------------log10 cfu/g----------------------
총세균수 8.13 d 8.66b 8.16d 8.95a 8.80ab 8.39c 0.05 <0.001
유산균 5.74d 6.74d 6.09c 6.59b 6.65b 7.16a 0.05 <0.001
콜리폼 박테리아 6.48a 6.62a 6.31a 6.49a 6.00b 5.55b 0.19 0.005
abc, P < 0.05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총세균수의 변화에 있어서 0.2% 양성대조군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군들이 전체적으로 높은 총세균수를 나타냈으며(P < 0.05), 1%, 2%, 4% 첨가시에 각각의 총세균수는 급여량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수의 경우 실험군은 급여농도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였으며, 4%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대장균, 살모넬라 등 장내 세균총 콜리폼 세균의 분석결과 실험군의 경우 2%, 4% 처리군에서 대조군 6.48 log cfu/g보다 유의하게 낮은 6.00, 5.55 log cfu/g을 각각 나타냈다(P<0.05). 그러나 1%를 처리한 양성대조군은 대조군의 콜피폼 세균수인 6.48 log cfu/g보다 더 많은 수인 6.62 log cfu/g을 각각 나타냈다. 콜피폼 세균들 중에서 이콜라이 균주는 람바크 한천배지상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나 살모넬라 종들은 모든 실험군들에서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4: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실험 6주차에 각 처리군에서 유사한 체중을 지닌 개체를 각각 8수씩 선발하여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원심분리(2,000rpm, 10분) 후 혈청을 분리하였고,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GOT) 및 glutamic-pyruvic transaminase(GPT)의 활성분석을 위해 GOT-GPT kit (GOT-GPT kit, 아산제약)를 사용하여 비색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신장 기능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크레아틴은 Jaffe reaction method에 따라 clinimate crea (DAIICHI, 중외제약)을 사용하여 생화학자동분석기 (HITACHI 7600-110, Japan)로 측정하였고, 신장 질환과 관계 깊은 질소대사산물인 blood urea nitrogen (BUN) 농도는 urease-glutamate dehydrogenase kinetic method에 따라 pureauto S-UN (DAICHI, 중외제약)을 사용하여 생화학자동분석기 (HITACHI 7600-110, Japan)로 측정하였다. 칼슘은 Clinimate CA(DAIICHI, 중외제약)을 사용하여 비색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은 Clinimate IP(DAIICHI, 중외제약)을 사용하여 생화학자동분석기 (HITACHI 7600-110, Japan)로 측정하였다.
항 목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1% 실험군 2% 실험군 4% 실험군 평균표준오차 P-값
GOT, IU/L 202.13 160.00 174.88 162.75 179.38 179.75 19.62 0.7059
GPT, IU/L 1.25 2.00 2.13 1.25 3.00 2.50 0.71 0.4624
알부민, g/dL 1.42 1.51 1.54 1.48 1.48 1.49 0.05 0.6226
BUN, mg/dL 0.96 1.18 1.20 0.98 1.13 1.21 0.09 0.2019
크레아틴, mg/dL 0.33 0.33 0.33 0.35 0.35 0.33 0.01 0.7988
B/C ratio, % 3.04 3.66 3.80 3.18 3.24 3.71 0.35 0.5276
칼슘, mg/dL 24.35 27.91 26.69 25.19 26.31 25.35 1.72 0.7409
인, mg/dL 5.74 5.56 5.81 6.14 6.26 6.06 0.35 0.7227
* 약어 :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BUN, blood urea nitrogen
B/C ratio, BUN to creatine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군 및 양성대조군 급여가 혈중 GOT, GPT 활성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급여시 혈액 내 간의 손상을 나타내는 지표인 GOT, GPT, BUN, 알부민 및 크레아틴에서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로운 사료 원료나 첨가제의 이용시 안전성을 판단하는 지표인 BUN, 크레아틴, 알부민 수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사료첨가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GPT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은 사료 내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의 첨가에 의한 간 및 조직의 손상이 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며,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의 첨가급여가 생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알팔파는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90 중량%,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로 이루어진 사료첨가제로서, 상기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 건조물의 조성은 초산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4 중량%, 개미산 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6 중량%, 페닐락트산 칼슘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유산균 배양물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10 중량%, 보리 맥아(barely malt)는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30 중량%, 효모 배양물(Yeast culture)은 분말 건조물 전체 중량대비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4. 제3항의 사료첨가제는 산란계용 사료 전체 중량대비 1 내지 4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용 사료.
  5. 제4항의 사료를 산란계에게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의 사육방법.
  6. 제5항의 방법으로 사육된 산란계로부터 계란을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생산방법.
  7. 제6항의 방법으로 생산된 계란.
KR1020120047906A 2012-05-07 2012-05-07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KR10139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06A KR101398887B1 (ko) 2012-05-07 2012-05-07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06A KR101398887B1 (ko) 2012-05-07 2012-05-07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42A KR20130124642A (ko) 2013-11-15
KR101398887B1 true KR101398887B1 (ko) 2014-05-30

Family

ID=4985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906A KR101398887B1 (ko) 2012-05-07 2012-05-07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826A (ko) 2019-09-02 2021-03-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의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917A (ja) * 2000-12-07 2002-06-18 Kyodo Shiryo Kk 養鶏用飼料及びそれを用いて養鶏生産物の色調を調整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1917A (ja) * 2000-12-07 2002-06-18 Kyodo Shiryo Kk 養鶏用飼料及びそれを用いて養鶏生産物の色調を調整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림수산식품부 연구보고서(2009.04) *
농림수산식품부 연구보고서(2009.0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826A (ko) 2019-09-02 2021-03-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의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42A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4550B (zh) 一种保育猪浓缩饲料
CN102599358B (zh) 一种可提高家禽产蛋率的营养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027187A (zh) 抗应激发酵蛋白饲料及其生产方法
EP2371226B1 (en) Bile salt adjuvant for animals for improving fat utilization efficiency in the bodies of animals
CN109362987B (zh) 一种家禽无抗桑叶发酵浓缩料及制备方法
CN105029127A (zh) 一种肉鸡开口饲料
CN105410338A (zh) 无抗仔猪日粮及其制备方法
CN104982734A (zh) 一种不含抗生素的肉兔生长育肥预混料及饲料
Syahruddin et al. Effect of fermented katuk leaf (Sauropus androgynus L. Merr.) in diets on cholesterol content of broiler chicken carcass
CN108967666A (zh) 一种抗菌饲料添加剂及其用途
Haryuni et al.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Joper chickens with fermented soy milk waste (SMW)
KR20130032485A (ko) 벌꿀 및 녹차가 혼합된 액상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05325729A (zh) 一种复合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2696920A (zh) 一种养鳖饲料及其制备方法
Sugiharto et al. Effect of a Fermented Mixture of Papaya Leaf and Seed Meal on Production Traits and Intestinal Ecology of the Indonesian Indigenous Crossbred Chickens.
CN104585552B (zh) 一种蛋鸡生物预混料载体及其制备方法、基于该载体的预混料和全价配合饲料
Koshchaev et al. Effect of probiotic cultures of the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on the livability of broiler chickens
KR101398887B1 (ko) 알팔파와 페닐락트산 함유 분말건조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 급여에 의한 계란의 생산방법
KR20130107477A (ko) 무항생제 가축용 단미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82669A (zh) 添加于家兔高纤维饲粮的有机复合酸化剂及其制备方法
CN108576467A (zh) 一种以枫香叶、黄花梨叶、沉香叶为原料的鸡饲料及其制作方法
KR101052917B1 (ko) 돼지사육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7975B1 (ko) 민들레를 함유한 양계용 발효 사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10037196A (zh) 一种无抗养殖用肉鸽饲料配方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