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814B1 -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 Google Patents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814B1
KR101398814B1 KR1020130089245A KR20130089245A KR101398814B1 KR 101398814 B1 KR101398814 B1 KR 101398814B1 KR 1020130089245 A KR1020130089245 A KR 1020130089245A KR 20130089245 A KR20130089245 A KR 20130089245A KR 101398814 B1 KR101398814 B1 KR 10139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oss
gate
driv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현
Original Assignee
백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진현 filed Critical 백진현
Priority to KR102013008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부재가 회전하면서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수문을 구동시키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축 중, 어느 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구동축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구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드럼부가 형성된 작동기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부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스; 상기 드럼부와 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슈; 상기 보스와 슈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라이닝; 및 상기 드럼부와 슈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에 설치되는 롤러로 구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럼부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슈의 외주면에는, 상기 롤러가 삽입되는 홈이 슈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일측단과 타측단이 서로 다른 깊이로써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홈 깊이가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Floodgate winch with sliding apparatus driven by overload}
본 발명은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과 장애물의 간섭 또는 수압에 의하여 수문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권양기에 구비된 동력전달부품간에 슬립을 발생시켜 과부하의 발생으로 인한 수문 및 권양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이라 함은 유량 조절이나 수심 유지를 위하여 수로에 설치되는 문을 일컫는 것으로, 수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라 인양식 수문과 전도식 수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인양식 수문은 수문이 상하로 이동하며 수로를 개폐하는 방식의 수문으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상단부에 권양기가 설치되고, 상기 권양기와 수문이 랙크바를 매개로 연결된 것으로 구성되며, 권양기의 구동에 의해 랙크바가 상하로 이동하며 수문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전도식 수문은 수문이 전도하거나 기립하면서 수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수문으로, 수로의 양측 또는 수문의 하단부에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 수문을 전도 또는 기립시키거나,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상단부에 권양기를 설치하고, 상기 권양기와 수문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수문을 전도 또는 기립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인양식 수문 또는 전도식 수문에 사용되는 권양기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다수개의 기어들을 이용하여 감속한 뒤, 수문과 연결된 구동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수문을 승하강시키거나, 전도 또는 기립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 인양식 수문의 경우, 수로의 폐쇄를 위하여 수문이 하강할 때, 수로에 모래가 쌓여 있거나 나무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여 수문의 하강을 방해하게 되면, 수문에 큰 충격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권양기의 모터나 동력전달부품에 큰 부하가 발생되어 수문이나 권양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도식 수문의 경우, 폭우로 인하여 담수의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써, 수문 및 구동장치(권양기 또는 액추에이터)에 큰 부하가 가해질 것이 예상될 때, 수문을 전도시켜 담수를 방류하고 있으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관리자의 부재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담수를 방류하지 못하게 되면, 수문 및 구동장치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4143호 (2012.12.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39790호 (2010.0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에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담수의 급격한 수위 상승 등으로 인하여 수문이나 권양기에 큰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권양기에 구비된 동력전달부품간에 슬립을 발생시켜 과부하의 발생으로 인한 수문 및 권양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부재가 회전하면서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수문을 구동시키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축 중, 어느 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구동축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구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드럼부가 형성된 작동기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부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스; 상기 드럼부와 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슈; 상기 보스와 슈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라이닝; 및 상기 드럼부와 슈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에 설치되는 롤러로 구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럼부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슈의 외주면에는, 상기 롤러가 삽입되는 홈이 슈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홈은 일측단과 타측단이 서로 다른 깊이로써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홈 깊이가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슈가 두 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슈는 보스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구조로 설치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스는 구동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재는 인양식 수문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랙크바와 맞물려 랙크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프라켓으로 구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재는 수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드럼으로 구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문의 움직임을 구동축을 통해 전달받도록 구동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수문이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신호를 발생하는 인디게이터; 및;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인디게이터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문 권양기로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기가 더 포함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작동기어→슈→라이닝→보스를 통하여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구동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정상적인 구동이 가능한 반면, 수로에 잔류하는 장애물로 인하여 수문의 이동이 방해를 받는 경우, 라이닝과 보스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어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과부하의 발생으로 인한 수문이나 권양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담수의 급격한 수위 상승으로 인하여 전도식 수문에 큰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라이닝과 보스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어 수문이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수위 상승으로 인한 과부하 발생으로 인하여 수문이나 권양기가 손상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계통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슬라이딩장치의 세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
도 5 는 수문의 상승이나 기립시 고부하 슬라이딩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수문의 하강이나 전도시 고부하 슬라이딩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게이터의 구조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계통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구조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슬라이딩장치의 세부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권양기는 권양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모터(10)의 회전력을 구동부재(20)로 전달하는 경로상에 설치된 동력전달부품의 사이에 슬립을 발생시켜 과부하로 인하여 수문이나 권양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재(2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어느 한 구동축(31)에 과부하 슬라이딩장치(100)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수문 권양기는 모터(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다수개의 구동축(31,32,33)과 다수개의 기어들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비율로 감속되고, 이처럼 감속된 회전력을 구동부재(20)로 전달하여 수문(30)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수문 권양기의 구조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지 관용된 기술이므로, 수문 권양기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언급된 구동부재(20)는, 수문 권양기가 적용되는 수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인양식 수문의 경우 수문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랙크바(21)와 맞물려 랙크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프라켓이 구동부재(20)에 해당되고, 전도식 수문의 경우 수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드럼이 구동부재(20)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권양기의 요부인 과부하 슬라이딩장치(100)는 작동기어(110), 보스(120), 슈(130), 라이닝(140), 롤러(15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어(110)는 구동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은 구동부재(20)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부재(20)로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축을 매개로 구동부재(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재(2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는 2개의 축(32,33)과 4개의 기어를 통하여 구동부재(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된 구동축(31)에 작동기어(110)가 설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기어(110)가 구동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동기어(110)를 설치함에 있어서, 작동기어(110)가 구동축(31)과 무관하게 모터(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축(31)과 작동기어(110)를 분리된 구조로 설치하게 된다. 예컨대 구동축(31)과 작동기어(110)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별도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작동기어(1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거나, 또는 구동축(31)과 작동기어(110)의 사이에 부쉬나 베어링을 설치하여 구동축(31)과 작동기어(110)가 서로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동축(31)에 설치되는 작동기어(110)의 일측면에는 구동축(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드럼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부(111)는 구동축(31)과 이격된 구조를 가지며, 구동축(31)과 드럼부(111)의 사이에 보스(120)와 슈(130) 및 라이닝(14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동축(31)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작동기어(110)는 모터(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11)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스(120)는 일부분이 드럼부(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동축(31)에 설치되며, 구동축(31)과 미도시된 키를 매개로 결합되어 구동축(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보스(120)는 구동축(31)과 구동부재(20)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구동축(31)의 회전력을 또 다른 구동축(32)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슈(130)는 드럼부(111)와 보스(1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슈(130)는 원호의 구조로 보스(120)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보스(120)를 기준으로 두개의 슈(130)가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드럼부(111)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슈(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롤러(150)가 삽입되는 홈(1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131)은 슈(130)의 원주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일측단(131a)과 타측단(131b)이 서로 다른 깊이로써 일측단(131a)으로부터 타측단(131b)까지의 깊이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언급된 홈(131)의 일측단(131a)은 수문을 하강시키거나 전도시킬 때 작동기어(110)가 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하는 것이고, 홈(131)의 타측단(131b)은 수문을 하강시키거나 전도시킬 때 작동기어(110)가 회전하는 방향과 역방향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라이닝(140)은 보스(120)와 슈(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13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라이닝(140)은 보스(12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결국, 슈(130)와 보스(120)는 라이닝(140)과 보스(120)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결속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롤러(150)는 드럼부(111)와 슈(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홈(131)에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롤러(150)는 드럼부(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홈(131)의 일측단(131a) 또는 타측단(131b)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형성된 홈(131)의 타측단(131b)으로 롤러(150)가 이동하는 경우, 슈(130)는 라이닝(130)을 보다 강하게 가압하여 라이닝(140)과 보스(120)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 홈(131)의 일측단(131a)으로 롤러(150)가 이동하는 경우, 라이닝(140)으로부터 슈(130)로 전달되는 압력이 약해짐에 따라 라이닝(140)과 보스(120)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 또한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로 인하여 기대되는 작용효과를 명확히 하도록 한다.
도 5는 수문의 상승이나 기립시 고부하 슬라이딩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6은 수문의 하강이나 전도시 고부하 슬라이딩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디게이터의 구조를 보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인양식 수문에서 수로의 개방을 위하여 수문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리고 전도식 수문에서 수로의 폐쇄를 위하여 수문을 기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과부하 슬라이딩장치(100)의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위의 두 가지 경우 모두 수문을 하강시키거나 전도시킬 때 보다 큰 힘이 요구되는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 모터(10)는 작동기어(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작동기어(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슈(130)에 형성된 홈(131)에 설치되어 드럼부(111)의 내주면에 닿아 있는 롤러(150)는 드럼부(111)와의 마찰에 의하여 상대적은 깊이가 낮은 홈(131)의 타측단(131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롤러(150)가 홈(131)의 타측단(131b)으로 이동하게 되면, 슈(130)가 롤러(150)에 의해 보스(120)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라이닝(140)이 보스(120)에 보다 큰 압력으로 밀착되므로, 라이닝(140)과 보스(120)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수문을 안정적으로 상승시키거나 기립시킬 수 있다.
반면, 인양식 수문에서 수로의 폐쇄를 위하여 수문을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리고 전도식 수문에서 수로의 개방을 위하여 수문을 전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과부하 슬라이딩장치(100)의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10)는 작동기어(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작동기어(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롤러(150)는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은 홈(131)의 일측단(131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롤러(150)가 홈(131)의 일측단(131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슈(130)를 보스(120)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점차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라이닝(140)과 보스(120) 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마찰력이 발생된다. 참고로 수문의 하강이나 전도시에는 수문의 자중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수문의 전도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또 일반적으로 수문이 하강하거나 전도될 때의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브레이크장치(40)가 권양기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라이닝(140)과 보스(120) 사이로 회전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더라도 수문의 하강이나 전도동작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수로의 폐쇄를 위해 하강하는 수문이 수로에 잔류된 장애물에 닿아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수문으로부터 연장된 랙크바와 맞물린 구동부재(20)의 회전이 정지되고, 구동부재(2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구동축(31)의 회전 또한 정지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모터의 회전력이 정지된 구동부재로 계속해서 전달됨에 따라 모터나 동력전달부품 및 수문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모터(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슈(130)에 설치된 라이닝(140)과 정지된 보스(120) 사이에 완화된 마찰력에 의하여 라이닝(140)과 보스(120)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면서 슈(130)가 보스(120)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고 보스(120)를 중심으로 헛돌게 되므로, 결국 과부하의 발생으로 인하여 모터(10)나 동력전달부품 및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슬립 현상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권양기로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비상등이나 경고음을 통하여 관리자에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권양기에는 인디게이터(160)와, 전원 차단기능을 갖는 제어기(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인디게이터(160)는 수문이 수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는 위치로 완전하게 이동하였을 때, 이러한 수문의 움직임을 구동축을 통해 감지하는 것으로, 스크류축(161)과, 이동블록(162)과, 제1 리미트스위치(163)와, 제2 리미트스위치(164)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축(161)은 구동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162)은 스크류축(161)에 결합되어 스크류축(161)의 회전시 스크류축(16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163)는 스크류축(16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블록(162)과 특정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스크류축(161)의 일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163)는 수문이 수로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이동블록(162)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스크류축(161)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리미트스위치(164)는 수문이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이동블록(162)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스크류축(161)의 타측에 배치된다.
참고로, 이상상황의 발생으로 인하여 라이닝(140)과 보스(120)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는 경우, 구동축(31)의 회전은 정지되고, 이로 인하여 이동블록(162)이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되므로, 수문의 완전한 개방이나 폐쇄를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제1 리미트스위치(163) 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164)는 신호를 발생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170)는 수문 권양기는 제어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인디게이터(16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문 권양기로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참고로, 수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수문의 개방동작이나 폐쇄동작은 수문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수문 마다 일정시간 내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해당 수문의 개방동작이나 폐쇄동작에 요구되는 시간을 제어기(170)에 미리 설정해 놓고, 그 시간 내에 제1 리미트스위치(163) 또는 제2 리미트스위치(164)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문 권양기로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고, 소리나 빛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권양기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관리자에게 수문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 알리게 된다.
한편, 전도식 수문이 수로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폭우 등으로 인하여 담수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 수문과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부재(20)에는 큰 하중이 전달되고, 이처럼 구동부재(20)로 전달되는 하중은 구동축(31)으로 전달되며, 구동축(31)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라이닝(140)과 보스(12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 보다 큰 경우, 라이닝(140)과 보스(120)의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되면서 구동축(31)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권양기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은 경우에도 수문이 자동으로 전도되며 담수를 방류함에 따라 과부하로 인한 수문이나 권양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터 20: 구동부재
30: 수문 31: 구동축
100: 슬라이딩장치 110: 작동기어
111: 드럼부 120: 보스
130: 슈 131: 홈
140: 라이닝 150: 롤러

Claims (7)

  1. 모터(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부재(20)가 회전하면서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수문을 구동시키는 수문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10)에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축(31,32,33) 중, 어느 한 구동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구동축(31)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에 구동축(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드럼부(111)가 형성된 작동기어(110);
    상기 구동축(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31)에 설치되며, 상기 드럼부(111)의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는 보스(120);
    상기 드럼부(111)와 보스(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슈(130);
    상기 보스(120)와 슈(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13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라이닝(140); 및
    상기 드럼부(111)와 슈(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슈(130)에 설치되는 롤러(150)로 구성된 과부하 슬라이딩장치(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럼부(111)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슈(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롤러(150)가 삽입되는 홈(131)이 슈(130)의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홈(131)은 일측단(131a)과 타측단(131b)이 서로 다른 깊이로써 상기 일측단(131a)으로부터 타측단(131b)까지의 홈(131) 깊이가 연속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슈(130)는 두 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슈(130)는 보스(12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스(120)는 구동부재(20)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20)는 인양식 수문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랙크바와 맞물려 랙크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프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20)는 수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드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움직임을 구동축(31)을 통해 전달받도록 구동축(31)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수문이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신호를 발생하는 인디게이터(160);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인디게이터(16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문 권양기로 인가되는 전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기(1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디게이터(160)는,
    상기 구동축(31)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축(161);
    상기 스크류축(16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도록 스크류축(161)에 결합된 이동블록(162);
    상기 수문이 수로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동블록(162)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리미트스위치(163); 및
    상기 수문이 수로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동블록(162)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리미트스위치(1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KR1020130089245A 2013-07-29 2013-07-29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KR10139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245A KR101398814B1 (ko) 2013-07-29 2013-07-29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245A KR101398814B1 (ko) 2013-07-29 2013-07-29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814B1 true KR101398814B1 (ko) 2014-05-27

Family

ID=5089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245A KR101398814B1 (ko) 2013-07-29 2013-07-29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988A (ko) *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84B1 (ko) 2009-02-10 2009-06-24 (주) 대유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KR100939790B1 (ko) 2009-09-14 2010-02-04 백진현 원심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수문 권양기
KR101036581B1 (ko) 2010-11-12 2011-05-24 장태영 수문 권양기
KR101274565B1 (ko) 2012-09-11 2013-06-18 우일산업 주식회사 모터 속도조절 및 낙뢰보호 제어 패널을 구비한 속도 가변형 권양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84B1 (ko) 2009-02-10 2009-06-24 (주) 대유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KR100939790B1 (ko) 2009-09-14 2010-02-04 백진현 원심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수문 권양기
KR101036581B1 (ko) 2010-11-12 2011-05-24 장태영 수문 권양기
KR101274565B1 (ko) 2012-09-11 2013-06-18 우일산업 주식회사 모터 속도조절 및 낙뢰보호 제어 패널을 구비한 속도 가변형 권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988A (ko) *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
KR101722200B1 (ko) * 2015-03-09 2017-04-0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전도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736B1 (ko)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0799351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20110097538A (ko)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2002795B1 (ko) 수문 권양장치
KR101398814B1 (ko)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KR100939790B1 (ko) 원심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수문 권양기
KR101642040B1 (ko) 수문권양기 및 이의 작동방법
JP2011102482A (ja) 取水装置及び取水装置において用いられる補助ゲート装置
KR101179213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823211B1 (ko) 수문 권양기
JP5926152B2 (ja) 親子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945995B1 (ko) 드럼 권양기용 안전장치
KR101005862B1 (ko)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KR101068406B1 (ko)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JP2009041340A (ja) 防水扉装置
KR100982528B1 (ko) 전도 게이트용 권양장치
KR101181496B1 (ko) 셔터식 침수방지게이트
KR200386588Y1 (ko) 원격 개도식 수문 개폐용 전동권양기
KR101031810B1 (ko) 랙크형 권양기의 구동장치
KR100586435B1 (ko) 와이어로프식 다단전도수문용 권양기의 수동핸들역회전방지장치
KR100480016B1 (ko) 다단식 수문용 권양장치
KR101036581B1 (ko) 수문 권양기
KR101646220B1 (ko) 수문 개폐용 윈치
KR20180115982A (ko) 수문 강하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