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221B1 - 정수식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정수식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221B1
KR101398221B1 KR1020110133901A KR20110133901A KR101398221B1 KR 101398221 B1 KR101398221 B1 KR 101398221B1 KR 1020110133901 A KR1020110133901 A KR 1020110133901A KR 20110133901 A KR20110133901 A KR 20110133901A KR 101398221 B1 KR101398221 B1 KR 10139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hot water
filter memb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068A (ko
Inventor
엄태식
조웅기
박오현
Original Assignee
(주)삼성홈코리아
박오현
조웅기
엄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홈코리아, 박오현, 조웅기, 엄태식 filed Critical (주)삼성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13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2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트리지형 물통을 역상으로 삽입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필터를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의 냉온수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손쉽게 필터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역상의 카트리지형 물통(1) 입구(1a)를 수용하는 물통장착부(100)와,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하부 외주연에 냉각코일(500)이 권선되며, 바닥면에 냉수 배출구(210) 및 온수 배출구(220)가 형성된 저수부(200)와, 상기 저수부(20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그 중앙 상부의 물을 상기 온수 배출구(220)로 안내하는 구획판(300)과, 상기 온수 배출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400)를 포함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는 필터(600)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판(300)의 상측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600)가 위치하는 직립 파이프 형상의 격벽(330)이 추가 구성되어, 기존의 냉온수기에 필터를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기존의 냉온수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손쉽게 필터를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쉽게 필터 교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수식 냉온수기{Cold and hot water supplier for purifying}
본 발명은 정수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트리지형 물통을 역상으로 삽입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에 필터를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의 냉온수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손쉽게 필터를 적용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손쉽게 필터 교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물 공급원인 상수도와 인접해 있지 않은 장소, 예를 들어 공사장, 혹은 사무실의 탕비실 등에 비치되며, 이미 정수된 물이 담겨진 카트리지형 물통을 장착한 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냉온수기의 경우, 물통이 장착되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분류된다.
하나는, 물통에 형성된 밀폐커버를 떼어낸 후, 물통을 들어 올려 물통장착부 내로 물통의 입구를 삽입하는 형태(spill type)와, 다른 하나는 물통장착부 내에 첨예부를 형성하여 물통의 밀폐커버를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물통의 입구를 물통장착부 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물통장착부 내에서 물통의 밀폐커버가 첨예부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non-spill type)이다.
이러한 냉온수기에는 냉수 콕과 온수 콕이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상기 냉수 콕을 통한 냉수 공급과 상기 온수 콕을 통한 온수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냉온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상의 카트리지형 물통(1) 입구(1a)를 수용하는 물통장착부(10)와, 상기 물통장착부(10)의 하측에 마련되어 하부 외주연에 냉각코일(50)이 권선되며, 바닥면에 냉수 배출구(21) 및 온수 배출구(22)가 형성된 저수부(20)와, 상기 저수부(2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그 상부의 물을 상기 온수 배출구(22)로 안내하는 구획판(30)과, 상기 온수 배출구(2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의 냉온수기는 카트리지형 물통(1) 내부의 물이 자중에 의하여 상기 물통장착부(10)를 통해 상기 저수부(2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저수부(20)의 하부 외주연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냉각사이클을 구성하는 일부인 냉각코일(50)이 권선되어 있어, 상기 저수부(20) 내의 하부측 물을 냉각시키기 된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60은 상기 냉각사이클의 압축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저수부(20) 내에는 구획판(30)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저수부(20) 내부는 상기 구획판(30)을 기준으로 그 상측의 상온수 영역과 상기 그 하측의 냉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저수부(20) 하부에서 냉각이 실시되는 동시에, 상기 저수부(20) 내에서는 자연대류가 발생하여, 상온수는 상기 구획판(30)의 상측에 모이게 되고, 냉수는 상기 구획판(30)의 하측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저수부(20)의 바닥면에는 편심된 위치에 냉수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저수부(20) 내부의 구획판(30) 하측의 냉수를 상기 냉수 배출구(21)를 통해 냉온수기 전면에 마련된 도 1에 도시한 냉수 콕(71)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부(20)의 바닥면 중앙에는 온수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저수부(20) 내부의 구획판(30) 상측의 상온수를 상기 온수 배출구(22)를 통해 가열장치(40)로 보내며, 이 가열장치(40)에서 가열된 온수는 도 1과 같이 냉온수기 전면에 마련된 온수 콕(72)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냉온수기에 카트리지형 물통(1)을 장착함에 따라, 냉온수기 전면에 마련된 냉수 콕(71)과 온수 콕(72)을 통해 각각 냉수와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냉온수기에 있어서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카트리지형 물통 내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물통으로 유입된 이물질 및 유해물질을 여과시킬 수 없었다.
이뿐 아니라, 상술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를 추가적으로 부가하고자 하여도 냉온수기의 구조적 특성상 저수부 내에 필터를 설치할 공간, 특히 필터의 설치 높이가 확보되어 있지 않아, 냉온수기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 변경 없이는 필터를 적용할 수 없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냉온수기에 필터를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기존의 냉온수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손쉽게 필터를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쉽게 필터 교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역상의 카트리지형 물통 입구를 수용하는 물통장착부와, 상기 물통장착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하부 외주연에 냉각코일이 권선되며, 바닥면에 냉수 배출구 및 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그 중앙 상부의 물을 상기 온수 배출구로 안내하는 구획판과, 상기 온수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를 포함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의 저면에는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판의 상측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가 위치하는 직립 파이프 형상의 격벽이 추가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격벽이 형성되는 위치에 계단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의 저면에는 가이드홈이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상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이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물이 통과하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그리고 제3필터부재의 3가지 필터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터부재는 2차 균을 살균하는 활성탄 필터이고; 상기 제2필터부재는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부직포이고;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환원반응을 통해 각종 균류의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제3필터부재, 그리고 제2필터부재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물통장착부의 물이 상기 필터에 길이 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저수부 측의 법선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가 30~40 중량%, 아연이 50~6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이거나, 구리가 40~50 중량%, 아연이 40~5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가 50~60 중량%, 아연이 30~4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이어도 좋고, 구리가 60~70 중량%, 아연이 20~3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냉온수기에 필터를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기존의 냉온수기에도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손쉽게 필터를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쉽게 필터 교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냉온수기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구획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통장착부와 필터의 결합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제3필터부재의 합금 금속사 형상을 예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구획판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물통장착부와 필터의 결합 형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에 있어서 제3필터부재의 합금 금속사 형상을 예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상의 카트리지형 물통(1) 입구(1a)를 수용하는 물통장착부(100)와,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하부 외주연에 냉각코일(500)이 권선되며, 바닥면에 냉수 배출구(210) 및 온수 배출구(220)가 형성된 저수부(200)와, 상기 저수부(200)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그 중앙 상부의 물을 상기 온수 배출구(220)로 안내하는 구획판(300)과, 상기 온수 배출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400)를 포함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는 필터(600)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판(300)의 상측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600)가 위치하는 직립 파이프 형상의 격벽(330)이 추가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의 가장 큰 특징은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 필터(600)를 추가 구성하고, 이 필터(600)를 저수부(200)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구획판(300)을 변형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는 카트리지형 물통(1)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카트리지형 물통(1)에는 입구(1a)가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물통(1)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의 본체에 있어서 그 상측면에는 물통장착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물통장착부(100)의 중앙 저면에는 첨예부(120)가 직립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통장착부(100)에 카트리지형 물통(1)을 거꾸로 뒤집어 그 입구(1a)를 삽입하면, 상기 카트리지형 물통(1)의 입구(1a)를 밀봉하고 있는 밀폐커버(미도시)를 상기 첨예부(120)가 뚫어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는 상기 카트리지형 물통(1)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내려오는 물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600)가 추가로 마련된다.
상기 필터(600)는 기본적으로 카트리지형 물통(1)의 물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여과시키는 것으로, 이 필터(600)의 설치 구조와 필터부재의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하도록 한다.
상술한 필터(6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은 그 하측에 위치하는 용기 형상의 저수부(200)에 모이게 되며, 이 저수부(200)의 바닥면에는 두 개의 배출구, 즉 냉수 배출구(210) 및 온수 배출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수 배출구(210)는 상기 저수부(200)의 바닥면에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배출구(220)는 상기 저수부(20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저수부(200)의 하부 외주연에는 냉각코일(500)이 권선되어 있어, 상기 저수부(200)의 하부에 대하여 냉각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냉각코일(500)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사이클에 있어서 증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내부로 냉매가 흘러 냉각이 이루어지며, 이때 도면부호 700은 냉각사이클의 압축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부(200)의 오직 하부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에는 구획판(300)이 마련된다.
상기 구획판(300)은 대략 날개형 원판(310)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축에 상하 길이방향의 유로(3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원판(310)은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게 되며, 이때 상기 원판(310)의 높이는 상기 냉각코일(500)이 감겨진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에 상술한 필터(600)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원판(310)의 높이에 제한이 있다.
즉, 상기 저수부(200) 내에 필터(600)를 위치시킬 경우 상기 필터(600) 보다 낮게 상기 원판(310)의 설치 높이가 제한되는데, 이 원판(310)의 높이가 냉각코일(500)이 권선된 높이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코일(500)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상기 온수 배출구(220)로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획판(300)의 상측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600)가 위치하는 직립 파이프 형상의 격벽(330)이 추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부(200)의 내부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구획판(300)의 하부에 냉온수 영역(C), 그리고 상기 구획판(300)의 상부 중 상기 격벽(330)의 외부에 중온수 영역(M), 마지막으로 상기 구획판(300)의 상부 중 상기 격벽(330)의 내부에 상온수 영역(N)으로 구획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원판(310)의 외경은 상기 저수부(200)의 내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원판(310)에는 도 7과 같이 절흠부(3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저수부(200) 내부의 물은 상기 원판(310)의 외주연과 상기 저수부(200)의 내주연 사이 틈새 및 상기 절흠부(311)를 통해 상기 구획판(300)의 상하로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부(200) 내부의 물 중 냉수는 상기 구획판(300)의 원판(310) 아래쪽 영역(C)에 위치하며, 중온수는 상기 구획판(300)의 원판(310) 위쪽 중 격벽(330)의 바깥 영역(M)에 위치하게 되고, 상온수는 상기 구획판(300)의 원판(310) 위쪽 중 격벽(330)의 안쪽 영역(N)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300)의 하측에 위치하는 냉수는 냉수 배출구(210)를 통해 냉온수기의 전면에 마련된 냉수 콕(도 1의 도면부호 71참조)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300) 상측의 격벽(330) 안쪽에 위치하는 상온수는 그 중앙에 위치하는 유로(320)를 통해 온수 배출구(220)로 보내지게 되며, 이 온수 배출구(220)는 그 하측에 위치하는 가열장치(400)와 연결되어 있어, 상온수가 상기 가열장치(400)에서 온수로 가열되어 냉온수기의 전면에 마련된 온수 콕(도 1의 도면부호 72 참조)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저수부(200) 내에 필터(600)를 추가 구성함에 따라 상기 구획판(300)의 원판(310) 높이를 다소 낮게 변경하더라도 상기 온수 배출구(220)로는 오직 상온수만이 공급되기 때문에 필터(600)가 부가되더라도 온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판(300)은 상기 격벽(330)이 형성되는 위치에 계단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300)의 원판(310)을 2단의 계단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원판(310)의 바깥쪽 높이는 상기 냉각코일(500)보다 높게 위치시키고, 상기 원판(310)의 안쪽 높이는 상기 필터(600)의 하단 보다 낮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필터(600)를 부가하더라도 상기 저수부(200) 내부의 냉수 영역과 상온수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구획하여 냉수와 온수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 필터(600)를 설치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 상기 필터(600)를 단순히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물통장착부(100)에 상기 필터(600)를 손쉽게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는 가이드홈(110)이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600)의 상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10)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640)이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홈(110)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110) 대응하는 가이드레일(640)을 상기 필터의 상측면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저면에 상기 필터(600)의 상측면을 밀착시킨 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가이드홈(110)과 상기 필터(600)의 가이드레일(640) 상호 결합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필터(600)의 교환 주기에 사용주가 손쉽게 필터(600)를 교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600)를 구성하는 필터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는 물이 통과하는 제1필터부재(610), 제2필터부재(620), 그리고 제3필터부재(630)의 3가지 필터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터부재(610)는 2차 균을 살균하는 활성탄 필터이고; 상기 제2필터부재(620)는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부직포이고; 상기 제3필터부재(630)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환원반응을 통해 각종 균류의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필터(600)는 제1필터부재(610), 제2필터부재(620), 제3필터부재(630), 그리고 제2필터부재(620)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물통장착부(100)의 물이 상기 필터(600)에 길이 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저수부(200) 측의 법선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에는 3종의 필터부재인 제1필터부재(610), 제2필터부재(620), 그리고 제3필터부재(630)가 적용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중, 상기 제1필터부재(610)는 활성탄 필터로서 물에 포함된 2차 균을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필터부재(620)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필터부재(630)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성형의 특성상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물과의 환원반응을 통하여 곰팡이 균을 포함한 각종 균류의 살균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6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외주면 및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통장착부(100)를 통하여 상측으로부터 필터(600)의 중앙 내부로 들어오는 물은 먼저 제1필터부재(610)를 통과하게 되며, 이후 상기 필터(600)의 내부에 상기 제2필터부재(620) 및 이에 의하여 감싸지게 충진된 제3필터부재(630)를 통과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필터부재(620)를 다시 통과한 후 저수부(200)로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제3필터부재(630)는 염소 성분 제거, 수은을 포함한 중금속 제거, 악취 제거, 브롬(Br), 불소(F), 칼슘(Ca), 특히 질산성 질소까지도 제거할 수 있어, 물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630)를 구성하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합금은 그 다양한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제3필터부재(630)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해 보면서 시험해 본 결과 아래와 같은 중량%로 구성되었을 때 최적의 정수 효과를 얻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1실시예)
구리가 30~40 중량%, 아연이 50~6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제2실시예)
구리가 40~50 중량%, 아연이 40~5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제3실시예)
구리가 50~60 중량%, 아연이 30~4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제4실시예)
구리가 60~70 중량%, 아연이 20~3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
즉, 본 발명의 제3필터부재(630)는 구리, 아연, 은의 기본 소재에 더하여 망간, 니켈, 알루미늄 등의 미량 원소가 첨가되어 산화, 환원반응의 속도 및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종 균류의 살균, 조류(藻類)·이끼 및 곰팡이의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스케일 부착 방지, 배관의 녹 발생 방지, 유화(乳化), 염소 성분 제거, 수은 등 중금속 제거, 철이온 제거, 황화합물(H2S) 및 알데히드 성분의 악취물질 제거, 브롬(Br) 및 불소(F)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과량의 염소 성분 제거 및 스케일 방지에 가장 효과적이며, 상기 제3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데 최적의 조합이고, 상기 제4실시예는 살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수식 냉온수기는 기존의 냉온수기에 필터(600)를 부가하여 이물질 및 기타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어 양질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도 필터(600)를 부가할 수도 있으며, 필터(600)의 교환 또한 용이해진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물의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각종 균류의 살균과 곰팡이의 살균은 물론,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여 염소 성분 제거, 수은 및 중금속 제거, 악취 제거, 브롬, 불소, 칼슘, 특히 질산성 질소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 또한 가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카트리지형 물통 1a : 입구
100 : 물통장착부 110 : 가이드홈
120 : 첨예부 200 : 저수부
210 : 냉수 배출구 220 : 온수 배출구
300 : 구획판 310 : 원판
311 : 절흠부 320 : 유로
400 : 가열장치 500 : 냉각코일
600 : 필터 610 : 제1필터부재
620 : 제2필터부재 630 : 제3필터부재
700 : 압축기

Claims (9)

  1. 삭제
  2. 역상의 카트리지형 물통 입구를 수용하는 물통장착부와, 상기 물통장착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하부 외주연에 냉각코일이 권선되며, 바닥면에 냉수 배출구 및 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며 그 중앙 상부의 물을 상기 온수 배출구로 안내하는 구획판과, 상기 온수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를 포함한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의 저면에는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판의 상측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필터가 위치하는 직립 파이프 형상의 격벽이 추가 구성되되;
    상기 구획판은 원판을 2단의 계단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원판의 바깥쪽 높이는 상기 냉각코일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원판의 안쪽 높이는 상기 필터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격벽이 형성되는 위치에 계단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의 저면에는 가이드홈이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상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이 방사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물이 통과하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그리고 제3필터부재의 3가지 필터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필터부재는 2차 균을 살균하는 활성탄 필터이고;
    상기 제2필터부재는 물의 찌꺼기를 여과시키는 부직포이고;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 아연, 은, 망간, 니켈, 알루미늄, 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에서 실로 뽑아내 응고시킨 합금 금속사로 이루어져 환원반응을 통해 각종 균류의 살균 및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제3필터부재, 그리고 제2필터부재가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물통장착부의 물이 상기 필터에 길이 방향으로 들어와 상기 저수부 측의 법선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가 30~40 중량%, 아연이 50~6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가 40~50 중량%, 아연이 40~50 중량%, 은이 2~5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가 50~60 중량%, 아연이 30~4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구리가 60~70 중량%, 아연이 20~30 중량%, 은이 1~3 중량%, 망간이 1~3 중량%, 니켈이 1~3 중량%, 알루미늄이 1~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식 냉온수기.
KR1020110133901A 2011-12-13 2011-12-13 정수식 냉온수기 KR10139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01A KR101398221B1 (ko) 2011-12-13 2011-12-13 정수식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901A KR101398221B1 (ko) 2011-12-13 2011-12-13 정수식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068A KR20130067068A (ko) 2013-06-21
KR101398221B1 true KR101398221B1 (ko) 2014-05-23

Family

ID=4886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901A KR101398221B1 (ko) 2011-12-13 2011-12-13 정수식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30B1 (ko) 2016-08-22 2018-09-11 김동호 냉온수기
CN108014543A (zh) * 2018-01-02 2018-05-11 关险峰 一种铜锌合金水处理滤丝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317Y1 (ko) * 1996-07-05 1999-03-20 고화진 외1인 냉온수기용 정수장치
KR200400275Y1 (ko) * 2005-08-23 2005-11-03 방지섭 동과 은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의료용 정수기
KR20090117990A (ko) * 2008-05-12 2009-11-17 유겐가이샤 안딕스 냉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317Y1 (ko) * 1996-07-05 1999-03-20 고화진 외1인 냉온수기용 정수장치
KR200400275Y1 (ko) * 2005-08-23 2005-11-03 방지섭 동과 은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의료용 정수기
KR20090117990A (ko) * 2008-05-12 2009-11-17 유겐가이샤 안딕스 냉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068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64B1 (ko) 정수기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7267769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a carbon block pre-filter
US6090285A (en) Tank treatment assembly
DE69737983T2 (de) Kühlschrank mit Wasserspender mit im Kühlabteil untergebrachtem Wasserfilter
JP2006519357A (ja) 冷温水兼用ディスペンサを備えた冷蔵庫
US10773191B2 (en) Filter assembly
KR102304266B1 (ko) 정수기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H1094708A (ja)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101398221B1 (ko) 정수식 냉온수기
JP4616163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2002350021A (ja) 冷蔵庫
CN100498163C (zh) 冰箱用净水装置及其利用净水装置的冰箱
JP3665260B2 (ja) 冷蔵庫
EP0933337B1 (en) Water softening assembly
JP2005008225A (ja) 飲料供給装置
KR100487789B1 (ko) 냉장고용 정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US20090283458A1 (en) Regeneration tank for water softeners
KR100487817B1 (ko) 냉장고용 정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KR100487815B1 (ko) 냉장고의 온수공급장치
KR10048779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KR100487767B1 (ko) 냉장고용 정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냉장고
JP4543965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装置
KR20110030133A (ko) 정수기
KR100487787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KR100545296B1 (ko) 필터 및 그 필터를 장착한 정수기용 저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