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220B1 -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220B1
KR101398220B1 KR1020060105552A KR20060105552A KR101398220B1 KR 101398220 B1 KR101398220 B1 KR 101398220B1 KR 1020060105552 A KR1020060105552 A KR 1020060105552A KR 20060105552 A KR20060105552 A KR 20060105552A KR 101398220 B1 KR101398220 B1 KR 10139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vitro
oocytes
egfp
embry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549A (ko
Inventor
이훈택
엄상준
무케쉬 쿠마르 굽타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0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2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89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using microinj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873Techniques for producing new embryos, e.g. nuclear transfer, manipulation of totipotent cells or production of chimeric embryos
    • C12N15/877Techniques for producing new mammalian cloned embryos
    • C12N15/8777Rabbit embryos

Landscapes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질전환 포유류 배아의 제작에 관한 것으로서, 형질전환 포유류 배아 생산 시 사용되는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비정상 적인 배아의 지표인 모자이시즘(mosaicism)을 줄임으로서 보다 좋은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개발에 관한 것이다.
형질전환, 배아, 미세주입법, 중기(M) II 단계

Description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METHODS FOR PRODUCING TRANSGENIC EMBRYOS}
도 1은 중기(M) II 단계에서 DNA 미세주입법에 따른 체외수정에 의하여 생성된 돼지 배아들에서 EGFP 발현을 나타내는 사진. 배아들을 표준 FITC 필터 셋을 사용한 형광 현미경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패널 1: 비형광 광 하에서의 배아들, 패널 2: EGFP 양성 할구들을 보이는 형광 하에서의 배아들. 배반포 뿐 아니라 2-세포에서도 모자이시즘은 없는 것을 확인 가능. 청색 화살표: 비 형질전환 배반포; 붉은 화살표: 형질전환 배반포.
본 발명은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질전환 가축을 생성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고 비용과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낮은 형질전환 효율 및 높은 모자이시즘(mosaicism) 등을 보인다.
MII 난모세포들(oocytes)은 DNA-결합된 정자의 난자내 정자주입술(ICSI)에 의하여 형질전환 배아를 생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이 방법을 정자 매개된 유전자 전달(Sperm Mediated Gene Transfer) 또는 MII 형질전환이라 함). 그러나 본 발명 은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DNA를 수정 전에 MII 난모세포들에 삽입하여 초기 유전자 인터그레이션을 가능케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자익 배아의 발생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 ICSI 대신에, 본 발명자들은 수정에 체외수정(IVF)을 사용하여 단일 실험에서 단일 연구자에 의하여 여러 개의 난모세포를 수정하게 하였다.
포유류의 경우 2세 생산을 위해 많은 수의 배아를 이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정상적인 2세 생산률의 면에서 형질전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포유류 형질전환 방법은 전핵(PN) 주입법에 비하여 몇 가지 유리한 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약 100배 더 큰 팁 입구를 가지는 피펫을 사용하여 효모 또는 포유류 인공 크로모좀과 같은 큰 구조물들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합체들(zygotes)은 그들의 지질 풍부함이 그들을 불투명하게 만들 때 전핵 주입법에서 어려운 기질들인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핵을 위치하는 것이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이시즘이 없는 형질전환 포유류 배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수정된 중기 난모세포(oocyte) 에 DNA 구조물을 미세주입법을 이용하여 미세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형질전환 포유류 배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DNA를 수정 전에 MII 난모세포들에 삽입하여 초기 유전자 인터그레이션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이렇게 삽입된 DNA는 초기 DNA 주기에 해당 되기 때문에 Germline transmisssion에 원하는 유전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모자이시즘이 전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든 포유류에게 적용 가능하며, 그 중에서 상기 포유류는 인간, 돼지, 소, 말, 개, 토끼, 또는 고양이인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포유류는 가축이 바람직하며, 돼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주입된 난모세포를 정자를 사용하여 체외수정하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추후에 인 비트로에서 수정될 비수정된 메타페이스 난모세포(oocyte)에 DNA 구조물을 미세주입하여 단순화된 형질전환 배아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프리푸버탈(prepubertal) 돼지 난소들로부터 얻은 난모세포를 인 비트로에서 42-44시간 성숙시키고, 험토젯 마이크로인젝터(Eppendorf, Hamburg, Germany)를 사용하여 DNA 용액(10ng/㎕)으로 마이크로인젝션하였다. 그 DNA(4.7 kb)는 pEGFP-C1 plasmid(Clontech Laboratories Inc., CA, USA)로부터 유래하였고, 사이토메칼로바이러스 프로모터의 조절하에서 트랜스진을 코딩하는 인헨스드 녹색 형광 단백질(EGFP)을 포함하고, ApaLI 제한효소로 리니어라이즈되었다. 그 후 주입된 난모세포들을 돼지 고환으로부터 얻은 부고환(epididymal) 정자를 사용하여 인 비트로에서 수정하여, 0.4% BSA를 포함하는 NSCU23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형질전환의 효율은 EGFP 필터 세트를 이용하여 UV 조사하에서 녹색 형광의 시각화(visualization)에 의하여 모니터하였다. 데이터는 student's t-테스트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들은 비록 높은 비율의 인젝트된 난모세포들이 2-4 세포 단계에서 발생학적 불럭을 보이지만, 인젝트된 난모세포의 절단 속도(68.7±0.5%)는 비-인젝트된 난모세포의 것(67.8±0.4%)과 비슷한 것을 보인다. 주사된 난모세포의 부분으로 발현될 때, 2-4 세포 단계에서 EGFP 발현률은 17.2±0.1%이었다. 흥미롭게도 모자이시즘은 관찰되지 않았다. EGFP 발현률은 DNA 농도를 40ng/㎕로 증가시킴에 따라 26.7±0.1%로 증가하였다. 난모세포의 메타페이스 플레이트 근처에 DNA 용액을 주사한 경우에는 EGFP 발현률(22.2±0.1%)은 개선되지 않았다(P < 0.05). 따라서 본 발명은 난모세포 매개된 유전자 전달을 형질전환 가축을 생산하는데 우수한 방법이라는 것을 보였다.
DNA 용액 (10 ng/㎕)으로 미세주입한 후 체외수정 돼지 난모세포의 발생력
난모
세포수
생존 사멸 8-16 세포 배반포 EGFP 발현
대조군 292 100.0a±0.0
(292)
67.9a±6.7
(198)
50.8 a±5.6
(148)
29.3a ±0.1
(86)
0.0a ±0.0
(0)
주입군 963 81.4b ±0.6
(770)
68.7a ±0.5
(531)
27.0b ±0.3
(207)
0.0b ±0.0
(0)
17.2b ±0.1
(133)
상기 표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배아들의 수를 나타내고, 컬럼 내에 다른 윗첨자(a,b)를 가지는 값은 차이(p<0.05)를 나타내며, EGFP 발현률은 2-4 세포 단계에서 측정하였다.
미세주입한 후 체외수정 돼지 난모세포의 EGFP 형질전환의 발현률에 대한
DNA 농도의 효과
농도
(ng/μl)
난모세포 수
생존 사멸 배반포 EGFP 발현
10 543 85.3a ±0.6
(465)
70.9a ±0.3
(338)
22.0a ±0.1
(101)
17.6a ±0.1
(80)
40 481 85.9a ±0.4
(405)
72.8a ±0.6
(299)
19.2a ±0.1
(78)
26.7b ±0.1
(107)
상기 표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배아들의 수를 나타내고, 컬럼 내에 다른 윗첨자(a,b)를 가지는 값은 차이(p<0.05)를 나타내며, EGFP 발현률은 2-4 세포 단계에서 측정하였다.
미세주입한 후 체외수정 돼지 난모세포의 EGFP 형질전환의 발현률에 대한
미세주입 자리의 효과
주입 위치 난모세포 수
생존 사멸 배반포 EGFP 발현
랜덤 417 91.5a ±0.2
(386)
74.5a ±0.2
(284)
24.6a ±0.1
(93)
19.3a ±0.1
(75)
PB 근처 304 84.8a ±0.6
(239)
65.9a ±0.3
(155)
22.8a±0.1
(54)
22.2a ±0.1
(53)
상기 표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배아들의 수를 나타내고, 컬럼 내에 다른 윗첨자(a,b)를 가지는 값은 차이(p<0.05)를 나타내며, EGFP 발현률은 2-4 세포 단계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난모세포 복구(retrieval)회수 및 체외 성숙
성년 이전(Prepubertal) 돼지 난소들을 지역 도살장으로부터 모아서 실험실로 가져와서 30 ∼ 37℃ 식염수에서 보존하였다. 난구 난모세포 복합체들(Cumulus oocyte complexes;COCs) 18 G 니들을 가지는 10ml 주사기를 사용하여 3-6mm 지름의 난포로부터 빨아내었다. 그 COCs를 1mg/ml BSA(낮은 카보네이트 TALP)를 포함하는 TL-HEPES 배지로 3회 세척하고, 25mM NaHCO3, 10%(v/v) 돼지 난포액, 0.57mM cysteine, 0.22μg/ml sodium pyruvate, 25μg/ml gentamicin sulfate, 0.5㎕/ml p-FSH(Folltropin V; Vetrepharm, Canada), 1μg/ml estradiol-17β 및 10ng/ml 표피 성장 인자(EGF; E-4127, Sigma)가 보충된 Earle's salts(TCM-199; Gibco BRL, Grand Island, NY)를 가지는 500㎕의 Tissue Culture Medium 199에서 50개의 군으로 광유 하에서 39℃, 5% CO2 습도 환경에서 42-44시간 성숙시켰다.
DNA 미세주입법
DNA 미세주입법을 위하여, 체외 성숙된 난모세포들을 0.1% 히알루노니다제가 보충된 TL-HEPES 내에서 난구 세포들로부터 떼어내어서 0.1% BSA를 함유하는 TL-HEPES에서 3회 세척하였다. 그 후에 미세주입될 떼어낸 난모세포들을 40㎕ 드롭의 10% FBS가 보충된 HEPES 버퍼 TCM 199(HTCM-199; Gibco BRL, Grand Island, NY)로 광 유하에서 위치하고 스테이지 셋을 가지는 미세조작기가 부착된 femtojet microinjector(Eppendorf, Hamburg, Germany)를 사용하여 35℃에서 미세주입하였다. 그 DNA(4.7 kb)는 pEGFP-C1 plasmid(Clontech Laboratories Inc., CA, USA)로부터 유래하였고, 사이토메칼로바이러스 프로모터의 조절하에서 트랜스진을 코딩하는 인헨스드 녹색 형광 단백질(EGFP)을 포함하고, ApaLI 제한효소로 리니어라이즈되었다. 각 난모세포는 약 5pl의 sp RNA로 주입되었다. DNA 용액의 주입은 세포 팽윤으로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체외 수정( IVF )
생존한 난모세포들의 체외 수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난모세포들을 1mM 카페인 소디움 벤조에이트 및 0.1% BSA를 함유하는 수정 배지(변형된 Tris-버퍼 배지)로 3회 세척하고, 50㎕의 수정 배지 당 10에서 15(대조군) 또는 25에서 30 (주입군) 난모세포들의 군으로 놓았다. 돼지 고환을 도살장으로부터 모아서 실험실로 가져와서 75 μg/ml penicillin G와 50 μg/ml streptomycin sulfate가 보충된 0.9%(w/v)식염수에서 30에서 35℃에서 보관하였다. 정자를 미부 부고환으로부터 TL-HEPES에 회수하여 8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펠렛화하였다. 그 후 부드러운 펠렛을 Sp-TALP 배지에서 10분간 스윔-업을 수행하였다. 그 상등액을 모아서 8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2회 세척하였다. 세척 과정의 말기에 정자 펠렛을 수정 배지에서 재부유하고 5×105(대조군) 또는 5×105(주입군) 정자/ml의 최종 정자 농도를 얻기 위하여 수정 드로프렛에 첨가하였다. 정자 및 난모세포들은 39℃, 5% CO2 습도 환경에서 6시간(대조군) 또는 5시간(주입군).
배아의 인 비트로 배양
추정적 접합체들을 0.4% 지방산 없는 소 혈청 알부민(BSA; Sigma; A6033)이 보충된 NCSU23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사멸률은 2일째 측정하였고, 배반포 률은 배양 7일째 측정하였다.
EGFP 발현 측정
형질전환의 효율은 EGFP 필터 세트를 이용하여 UV 조사하에서 녹색 형광의 시각화(visualization)에 의하여 모니터하였다. 형질전환된 배아들은 녹색 형광을 보이는 반면에 비 형질전환된 것들은 비형광을 나타내었다.
통계 분석
데이터는 student's t-테스트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P=0.05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상기의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NA를 수정 전에 MII 난모세포들에 삽입하여 초기 유전자 인터그레이션을 가능케 하여, 모자익 배아의 발생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 기존 방법에 비하여, 본 발명자들은 수정에 체외수정(IVF)을 사용하여 단일 실험에서 단일 연구자에 의하여 여러 개의 난모세포를 수정하게 하였다. 포유류의 경우에 살아 있는 2세를 생산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배아를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2세 생산률의 면에서 형질전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5)

  1. 프리푸버탈(prepubertal) 돼지 난소들로부터 얻은 난구 난모세포 복합체들(Cumulus oocyte complexes;COCs)을 인 비트로에서 42-44시간 성숙시키고,사이토메칼로바이러스 프로모터의 조절하에서 인헨스드 녹색 형광 단백질(EGFP)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DNA 용액을 40ng/㎕로 상기 체외성숙된 난구 난모세포 복합체로부터 떼어낸 난모세포에 마이크로인젝션한 후, 상기 DNA가 주입된 난모세포들을 돼지 고환으로부터 얻은 부고환(epididymal) 정자를 사용하여 인 비트로에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NA 미세주입법에 따른 체외수정 돼지 난모세포에서 인헨스드 녹색 형광 단백질(EGFP) 발현률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105552A 2006-10-30 2006-10-30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KR10139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552A KR101398220B1 (ko) 2006-10-30 2006-10-30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552A KR101398220B1 (ko) 2006-10-30 2006-10-30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549A KR20080038549A (ko) 2008-05-07
KR101398220B1 true KR101398220B1 (ko) 2014-05-22

Family

ID=3964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552A KR101398220B1 (ko) 2006-10-30 2006-10-30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2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149A (ko) * 1995-08-31 1999-06-25 로슬린 인스티튜트(에딘버러) 핵 이식용 세포질체 수용체로서의 불활성화된 난모세포
KR19990044148A (ko) * 1995-08-31 1999-06-25 로슬린 인스티튜트(에딘버러) 핵 이식을 위한 휴지기의 세포 모집단
KR20040065214A (ko) * 2001-11-06 2004-07-21 샹하이 세컨드 메디컬 유니버시티 토끼 난모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배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149A (ko) * 1995-08-31 1999-06-25 로슬린 인스티튜트(에딘버러) 핵 이식용 세포질체 수용체로서의 불활성화된 난모세포
KR19990044148A (ko) * 1995-08-31 1999-06-25 로슬린 인스티튜트(에딘버러) 핵 이식을 위한 휴지기의 세포 모집단
KR100533476B1 (ko) 1995-08-31 2006-04-21 로슬린 인스티튜트(에딘버러) 핵이식용의 휴지기 세포 모집단
KR20040065214A (ko) * 2001-11-06 2004-07-21 샹하이 세컨드 메디컬 유니버시티 토끼 난모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배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549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0161B (zh) 基于CRISPR/Cas9技术的制备无嵌合基因敲除动物的方法
Li et al. Cloned ferrets produc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Nagai Parthenogenetic activation of cattle follicular oocytes in vitro with ethanol
Reed et al. In vitro culture of pig embryos
Zhou et al. A simplified method for the reconstruction of fully competent mouse zygotes from adult somatic donor nuclei
Pereyra-Bonnet et al. Efficiency of sperm-mediated gene transfer in the ovine by laparoscopic insemination, in vitro fertilization and ICSI
US20080268419A1 (en) Supplementation for Embryo and/or Cell Manipulation Media
RU2391817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лонированного представителя семейства псовых
Umeyama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ICSI‐mediated gene transfer method in the production of transgenic pigs
CN105505879A (zh) 一种培养转基因动物胚胎细胞或转基因动物的方法及培养基
Wu et al. Factors affecting the efficiency of producing porcine embryos expressing enhanced green fluorescence protein by ICSI-mediated gene transfer method
KR101398220B1 (ko) 형질전환 배아 생성방법
CN1814750A (zh) 一种哺乳动物体细胞核移植方法
Brochard et al. Somatic reprograming by nuclear transfer
CN1735338A (zh) 利用体细胞核转移胚胎作为细胞供体进行附加核转移的方法和系统
Tomioka et al. Spindle formation and microtubule organization during first division in reconstructed rat embryos produc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Devgan et al. Successful development of viable blastocysts from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transgene‐microinjected mouse embryos: Comparison of culture media
Kurd et al. Production of cloned mice by nuclear transfer of cumulus cells
Wu et al. The effects of delayed activation and MG132 treatment on nuclear remodeling and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embryos cloned by electrofusion are correlated with the age of recipient cytoplasts
Zhu et al. Increasing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results in delivery of viable transgenically cloned Guangxi Bama mini-pigs
Nakajima et al. Treatment with proteasome inhibitor MG132 during cloning improves survival and pronuclear number of reconstructed rat embryos
Thomas et al. Effects of cumulus cells on culture of bovine embryos derived from oocytes matured and fertilized in vitro
KR101169762B1 (ko) 신규한 난모세포 매개된 유전자 이식 방법 및 그를 통한 형질전환 배아 생산방법
Ju et al. In vivo development and microinjection of rabbit zygotes
CN1500384A (zh) 一种提高哺乳动物核移植胚胎早期发育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