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111B1 -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111B1
KR101398111B1 KR1020130027335A KR20130027335A KR101398111B1 KR 101398111 B1 KR101398111 B1 KR 101398111B1 KR 1020130027335 A KR1020130027335 A KR 1020130027335A KR 20130027335 A KR20130027335 A KR 20130027335A KR 101398111 B1 KR101398111 B1 KR 10139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boost
input
boos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미텍
Priority to KR102013002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WM제어와 이중화 DC-DC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솔라셀과 같은 발전장치에서 생성되어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안정적으로 승압 출력시킬 수 있는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는 일정범위의 입력전압에서 PWM IC 및 드라이브IC 구동용 정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정전압IC를 포함하는 입력전원부와, 일정범위의 입력전압을 커패시터 및 인덕터로 받아 병렬구조의 파워FET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파워FET의 스위칭에 의해 부스트된 출력전압을 생성하고 이때 부스트된 출력전압을 정류다이오드와 커패시터로 평활 및 정류하여 출력하며 입력단 및 출력단에 각각 마련된 전압분압회로를 통하여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을 검출출력하는 1차부스트출력부와, 상기 입력전원부의 정전압출력으로 동작하며 1차부스트출력부의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펄스폭제어 듀티를 조정 출력하는 PWM제어부와, 상기 PWM제어부의 제어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 내의 파워FET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버퍼기능의 드라이브와, 부스트IC를 포함하는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의 출력전압을 2차 부스트하여 출력하는 2차부스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Dual boost output of the DC voltage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PWM제어와 이중화 DC-DC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솔라셀과 같은 발전장치에서 생성되어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안정적으로 승압 출력시킬 수 있는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화석에너지의 사용 증가에 따른 탄소배출로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해지자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태양열을 이용하려는 대체에너지 기술이 전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태양열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집광 및 발전장치, 발전전압 변환 처리장치 및 저장장치를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17653호(2007년05월07일 등록)는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복합 전자식 안정기 제어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위의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복합 전자식 안정기 제어장치 선행 특허발명의 목적은 솔라셀 패널-배터리 충/방전제어기능과, DC-DC 컨버터 및 인버터 기능과, 고압 방전등의 시동과 점등을 위한 전자식안정기 기능, 부조 일수 대응 및 솔라셀/배터리 자기진단기능과, 년간 일몰 및 출몰시각과 점등 및 소등 데이터관리/통신 및 제어기능 등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보드를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용 가로등 및 기타 전등시스템의 구성을 간결하게 하는 측면과 전력변환회로 간의 최적 효율을 구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에서 출력된 전기 에너지를 충전 및 방전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솔라셀과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충방전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DC-DC 컨버터부와, 상기 컨버터부로부터의 승압된 전압을 방전등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부와, 상기 인버터 회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방전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방전 제어부, 상기 DC-DC컨버터 부 및 상기 인버터회로부를 통합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는 통합 제어부가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또는 마이크로컨트롤 칩보드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복합 전자식 안정기 제어장치의 핵심기술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칩 또는 마이크로컨트롤 칩보드을 활용하여 통합 환경 하에 구성됨으로써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가로등 기타 전등시스템의 간결성을 유도하고 상기 시스템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시스템 상호간의 최적 효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성능 제품을 기존의 독립형 태양광 발전용 가로등 시스템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1635호(2013년01월30일 공개) 솔라 인버터 시스템이 있다.
이 기술은 솔라셀 어레이에서 발전된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부스트 컨버터, 인버터, 컨트롤러부 및 필터부 등의 부속설비 등이 케이스 내에 일체형으로 실장됨으로써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비되며, 솔라셀 어레이에서 전달될 수 있는 실시간 최대전력에 따라 펌프모터 등의 전력수용부의 부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수용부의 구동시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솔라 인버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핵심 기술 수단은 솔라셀 어레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솔라셀 어레이에서 발전된 낮은 전압을 소정의 크기로 승압하는 부스트 컨버터; 상기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복수 개의 스위칭 소자가 구비되어 PWM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부스트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전력수용부에 공급되기 위한 전원의 헝태 및 주파수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입력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상기 전력수용부의 부하의 변동에 따라 상기 솔라셀 어레이가 최대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최대전력 동작점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된 최대전력 동작점의 추출데이터에 따라 상기 부스트 컨버터 및 인버터를 PWM 제어하여 상기 전력수용부의 부하의 크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부스트 컨버터, 인버터 및 컨트롤러부가 회로구성된 PCB가 안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각 구성을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하우징하며, 외부에는 상기 솔라셀 어레이에서 생성된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와 변환된 전원이 출력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된 케이스이며,
이를 통하여 첫째, 솔라셀 어레이에서 발전된 전원을 변환하기 위한 부스트 컨버터, 인버터, 컨트롤러부 및 필터부 등의 부속설비 등이 케이스 내에 일체형으로 실장되면서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비되므로, 각 부속설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력 라인을 구축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며, 종래의 컨버터 및 인버터에서 스위칭 소자와 같이 동일한 전자부품을 통합하여 회로구성함으로써 시스템 설계를 위한 전자부품의 소요량이 최소화되어 정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솔라 인버터 시스템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둘째, 솔라셀 어레이에서 전달될 수 있는 실시간 최대전력에 따라 펌프모터 등의 전력수용부의 부하를 조절하여 상기 전력수용부의 구동시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셋째, 펌프모터 등의 전력수용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배관의 내부를 소통하는 유체의 이송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부스트 컨버터 및 인버터를 PWM 제어할 수 있으므로, 펌프모터의 토출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넷째, 부스트 컨버터에 의해 승압된 전원,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전원의 각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원감지 데이터와 설정된 기준 전원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할 경우 차이가 발생한 정도를 보상하여 상기 부스트 컨버터 및 인버터를 PWM 제어하므로 승압 및 변환된 전원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다섯째, 필터부에 의해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전원에 포함된 반송파 주파수 및 서지 주파수를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솔라 인버터 시스템와 전력수용부를 상호 연결하는 선로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전력수용부와 인버터의 회로구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필터를 외부에 장착하는 비용을 줄임으로써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하고 있다.
위의 선행기술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솔라셀을 이용한 태양열 발전에서는 솔라셀을 통해 얻어진 태양에너지 발전전압의 PWM제어 및 전압변환회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솔라셀에 의한 추출전압의 컨버팅 또는 인버팅 기술은 기존의 상용화된 컨버터 또는 인버터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기존의 일반적인 컨버터회로 또는 인버터회로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태양열 발전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기존의 태양열발전시스템 기술에서는 솔라셀에 의해 획득한 전압을 PWM제어와 DC-DC컨버터 변환처리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태양열발전시스템의 입력전압(솔라셀의 발전출력전압)의 변화가 있게 될 경우 DC-DC컨버터의 출력전압에 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태양에너지에 의한 부하전력의 공급이 불안정하게 된다.
특히, 태양열발전전압을 저장시 태양열 발전출력전압이 낮을 경우에는 DC-DC컨버터의 구동이 중단되어 충전이나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되게 되므로 태양열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열 발전 입력전압과 같이 그 입력전압의 레벨이 불안정하여 DC-DC 변환 출력전압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DC-DC변환회로를 이중화로 설계하여 컨버터의 입력전압이 낮을 경우에도 컨버터의 출력이 나타나게 함으로써 부하측에 대한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는 일정범위의 입력전압에서 PWM IC 및 드라이브IC 구동용 정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정전압IC를 포함하는 입력전원부와, 일정범위의 입력전압을 커패시터 및 인덕터로 받아 병렬구조의 파워FET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파워FET의 스위칭에 의해 부스트된 출력전압을 생성하고 이때 부스트된 출력전압을 정류다이오드와 커패시터로 평활 및 정류하여 출력하며 입력단 및 출력단에 각각 마련된 전압분압회로를 통하여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을 검출출력하는 1차부스트출력부와, 상기 입력전원부의 정전압출력으로 동작하며 1차부스트출력부의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펄스폭제어 듀티를 조정 출력하는 PWM제어부와, 상기 PWM제어부의 제어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 내의 파워FET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버퍼기능의 드라이브와, 부스트IC를 포함하는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의 출력전압을 2차 부스트하여 출력하는 2차부스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WM제어와 이중화 DC-DC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솔라셀과 같은 발전장치에서 생성되어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안정적으로 승압 출력시킬 수 있다.
특히, 솔라셀을 이용한 발전 및 전원공급장치는 기후변화에 따라 전압의 레벨이 불안정하여 이를 전력원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운점이 발생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DC-DC변환회로를 이중화로 설계하여 컨버터의 입력전압이 낮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컨버터의 출력이 나타나게 함으로써 기존의 DC-DC 변환 출력전압값 불안정에 따른 전력공급 중단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회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된 PWM제어IC의 내부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의 회로블록 구성을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구성은 크게 입력전원부(10)와 1,2차부스트출력부(20,50) 및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PWM제어부(30)이며, 솔라셀(100)은 입력전압원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의 DC입력은 솔라셀의 출력전압 외에 어떠한 전원공급장치 또는 전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음을 선언한다.
상기 입력전원부(10)는 20V-40V 범위의 DC입력전압을 받아 에서 PWM IC 및 드라이브IC 구동용 정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PWM제어부 입력전원부의 정전압 동작전압을 받아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입출력단 전압을 검출하여 PWM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그 출력값으로 하고 1차부스트출력부의 출력전압을 상승제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는 전원입력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PWM제어부(30)의 듀티에 의거 부스트를 실행하여 자체의 출력전압값을 상승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2차부스트출력부(50)는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에서 정격전압까지 충분한 전압상승이 이루어진 경우 그때의 1차부스트전압을 그대로 출력하고, 1차부스트출력부(20)에서 충분한 전압상승이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전압부스트를 실행하여 정격전압(40-48V)에 도달시켜 출력하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2차부스트출력부(50)는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전압출력이 낮아서 2차부스트출력부에 내장된 자체의 부스트IC가 정상동작을 못하게 됨에 따른 출력전압공급중단 사고를 고려하여 이 2차부스트출력회로에 병렬로 측로용 정류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출력전압이 차단되는 현상이 배제되도록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회로구성도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입력전원부(10)는 정전압IC(U1)와 이 정전압IC의 입력단(Vin)에 접속된 저항(R2) 및 커패시터(C10)와 상기 정전압IC의 출력단(Vout)에 접속된 커패시터(C11)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정범위(20-40V)의 입력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전원부(10)는 그 입력전압에서 PWM IC 및 드라이브IC 구동용 정전압을 생성 출력하고, 후단의 1차부스트출력부(20)측에는 입력전압 그대로 인가한다.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정전압IC(U1)는 7815 IC칩을 이용하였으며, 이 경우 15V의 정전압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PWM제어부(30)와 드라이브(40)에 동작전압으로 공급되었다.
1차부스트출력부(20)는 입력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범위의 입력전압(20V-40V)을 커패시터 (C1), 인덕터(L1) 및 측로저항(R1)으로 받아 병렬구조의 파워FET(Q1,Q2)에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워FET(Q1,Q2)에 의해 부스트된 출력전압은 정류다이오드(D1), 커패시터(C2) 및 측로저항(R10)에 의해 각각 평활 및 정류되어 출력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입력단에는 저항(R3,R4,R6,R12)및 출력조정기(VR1)의 조합으로 입력전압 분압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출력단에는 저항(R9,R11)및 출력조정기(VR2)의 조합으로 출력전압 분압회로를 구성하여, 이들 입,출력 전압 분압회로에 의해 검출된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은 PWM제어부(30)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게 구성한다.
PWM IC(U2)에 저항(R13,R14,R15)과 커패시터(C14,C15,C17,C18)의 정수회로가 부가된 상기 PWM제어부(30)는 상기 입력전원부(10)의 정전압출력을 동작전압단(Vcc)으로 공급받아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의 검출값을 처리하여 1차부스트출력부의 입출력 전압레벨 검출값에 따라 듀티가 조정된 펄스폭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동작전압단(Vcc)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전원노이즈 차단용 커패시터(C12)접속하여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PWM IC(U2)는 도시바사의 SG3525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구성을 이해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는 상기 SG3525의 구체적인 내부회로 불록 구성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드라이브IC(U3)를 포함하는 드라이브(40)는 상기 입력전원부(10)의 정전압출력을 동작전압단(VDD)으로 하여 상기 PWM제어부(30) 펄스폭 제어 출력값을 받아 입출력분리된 상태로 상기 파워FET(Q1,Q2)의 게이트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이 드라이브IC(U3)의 동작전압단(VDD)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전원노이즈 차단용 커패시터(C13)접속하여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드라이브IC(U3)로 TC4427을 사용하였다.
2차부스트출력부(50)는 부스트IC(U4)와 정류다이오드(D2), 인덕터(L2), 커패시터(C16,C20,C21,C22), 저항(R17,R18,R19) 및 출력조정기(VR3)로 구성하며, 이렇게 구성한 2차부스트출력회로에 대해 병렬상태로 전원공급중단 방지용 정류다이오드(D3)를 접속하여, PWM제어를 통해 입력전압을 승압한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출력이 부스트IC(U4)를 포함하는 2차부스트출력회로에 의해서 필요한 수준의 출력전압(40V-48V)에 도달하도록 재차 부스트가 되고, 또한 입력전압이 지나치게 낮아서 부스트IC(U4)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1차부스트출력회로의 출력전압값이 정류다이오드(D3)를 통해 그대로 출력되게 구성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부스트IC(U4)로 LM2577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터미널을 통해 입력되는 솔라셀 등에 의한 20V-40V의 전압의 일부는 정전압IC(U1)에 의해 정전압화 되어 PWM제어부(30)와 드라이브(40)의 IC회로동작전압으로 인가되고 일부는 1차부스트출력부(20)에 인가된다.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의 병렬접속된 파워FET(Q1,Q2) 각각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압에 의해 고속 스위칭되면서 커패시터 (C1), 인덕터(L1) 및 측로저항(R1)으로 이루어지는 충방전 및 (인덕티브에서의)승압으로 파워FET(Q1,Q2)의 드레인 출력단에는 입력전압(20V-40V)보다 4V 내지 8V상승된 24V 내지 48V의 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상승된 전압은 정류다이오드(D1), 커패시터(C2) 및 측로저항(R10)에 의해 각각 평활 및 정류되어 2차부스트출력부(50)측으로 출력된다.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입력단에 마련된 저항(R3,R4,R6,R12) 및 출력조정기(VR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입력전압 분압회로와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출력단에 마련된 저항(R9,R11) 및 출력조정기(VR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출력전압 분압회로에서는 각각 입,출력측의 전압레벨이 검출되어 PWM제어부(30)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게 되고, 이렇게 PWM제어부(30)에 입력된 입력단 및 출력단 측 전압레벨에 따라 PWM제어신호의 듀티가 조정되어 드라이브(40)를 거쳐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내 파워FET(Q1,Q2)의 동작이 제어된다.
여기서 출력조정기(VR1,VR2)를 조절하는 것으로 원하는 레벨로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출력전압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PWM IC(U2)와 드라이브IC(U3)의전압입력단에 마련된 각각의 커패시터(C12,C13)는 PWM제어과정에서 신호 피드백에 따른 노이즈 유입을 그라운드측으로 바이패스시켜주게 되므로 회로동작의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만일, 1차부스트출력부(20)에서 입력전압에 대해 원하는 만큼의 승압을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에서 2차부스트출력부(50)에서 다시 한번 승압을 실행하여 설정된 만큼의 출력전압(예를 들면, 24V-48V)으로 부스트 출력하게 된다. 이때의 부스트 수준은 출력조정기(VR3)의 조정을 통해 달성되며, 이렇게 승압된 전압은 다이오드(D2)와 커패시터(C16)에 의해 각각 정류 및 평활되어 최종 DC출력이 된다.
또한 1차부스트출력부(20)에서 충분한 승압이 이루어지진 경우라면 2차부스트출력부(50)는 그 부스트 동작을 수행할 필요 없이 1차부스트출력부의 전압을 그대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다이오드(D3)는 2차부스트출력회로와 병렬로 구성되고 있어 2차부스트출력부(50)가 낮은 게이트전압에 의해 동작을 하지 못하거나 1차부스트만으로 설정된 출력전압값에 도달한 경우에 측로역할을 수행한다. 즉, 다이오드(D3)는 2차부스트출력회로 디스에이블시 1차부스트출력부의 출력전압을 그대로 입력전압 부스트 출력 장치의 출력단에 내보내게 된다.
10 : 입력전원부 20 : 1차부스트출력부
30 : PMW제어부 40 : 드라이브
50 : 2차부스트출력부 100: 솔라셀
U1 : 정전압IC U2 : PWM IC
U3 : 드라이브IC U4 : 부스트IC
Q1,Q2 : 파워FET D1,D2,D3 : 정류다이오드
L1,L2 : 인덕터 VR1,VR2,VR3 : 출력조정기

Claims (6)

  1. 일정범위의 입력전압에서 PWM IC 및 드라이브IC 구동용 정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정전압IC(U1)를 포함하는 입력전원부(10)와, 일정범위의 입력전압을 커패시터 (C1)및 인덕터(L1)로 받아 병렬구조의 파워FET(Q1,Q2)에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파워FET의 스위칭에 의해 부스트된 출력전압을 생성하고 이때 부스트된 출력전압을 정류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2)로 각각 평활 및 정류하여 출력하며 입력단 및 출력단에 각각 마련된 전압분압회로를 통하여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을 검출출력하는 1차부스트출력부(20)와, 상기 입력전원부의 정전압출력으로 동작하며 1차부스트출력부(20)의 입력전압레벨 및 출력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펄스폭제어 듀티를 조정 출력하는 PWM제어부(30)와, 상기 PWM제어부의 제어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 내의 파워FET(Q1,Q2)를 스위칭시키기 위한 드라이브IC(U3)를 포함하는 버퍼기능의 드라이브(40)와, 부스트IC(U4)를 포함하는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의 출력전압을 2차 부스트하여 출력하는 2차부스트출력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의 범위는 20V 내지 4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부스트출력부(20)에 의한 부스트전압범위는 입력전압 대비 플러스 4V 내지 8V인 상승된 24V 내지 48V로 정하여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부스트출력부(50)에서의 부스트 출력전압범위는 24V 내지 48V가 되도록 정하여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부스트출력부(50)에는 부스트IC(U4)의 최소한 작동입력전압값 미만인 때의 전압공급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2차부스트출력회로와 병렬로 1차부스트출력을 다이렉트로 출력하기 위한 측로용 정류다이오드(D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WM제어부(30)와 드라이브(40)의 각각의 동작전압단과 그라운드 사이에는 각각 전원노이즈 방지용 커패시터(C12)와 커패시터(C13)을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전압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KR1020130027335A 2013-03-14 2013-03-14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KR10139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35A KR101398111B1 (ko) 2013-03-14 2013-03-14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335A KR101398111B1 (ko) 2013-03-14 2013-03-14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111B1 true KR101398111B1 (ko) 2014-05-27

Family

ID=5089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335A KR101398111B1 (ko) 2013-03-14 2013-03-14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1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286A (ja) * 1994-11-10 1996-05-31 Fujitsu Ltd 電池内蔵の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JP2002223139A (ja) 2001-01-29 2002-08-09 Oki Electric Ind Co Ltd 弾性表面波フィルタの金属膜の製造方法
KR20070086054A (ko) * 2004-11-12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력 변환기, 모바일 장치 및 무선 송신 시스템
US20110120860A1 (en) 2008-05-26 2011-05-26 Yoshikuni Horishita Bipolar pulsed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bipolar pulsed power supplie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286A (ja) * 1994-11-10 1996-05-31 Fujitsu Ltd 電池内蔵の電子装置の電源制御回路
JP2002223139A (ja) 2001-01-29 2002-08-09 Oki Electric Ind Co Ltd 弾性表面波フィルタの金属膜の製造方法
KR20070086054A (ko) * 2004-11-12 2007-08-27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력 변환기, 모바일 장치 및 무선 송신 시스템
US20110120860A1 (en) 2008-05-26 2011-05-26 Yoshikuni Horishita Bipolar pulsed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bipolar pulsed power supplie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0117B2 (en) Buck boost function based on a capacitor bootstrap input buck converter
JP448187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479055B2 (en) DC-DC converter
US9935464B2 (en) Smart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solar power modules with novel power supply circuits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US9331583B2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US8488340B2 (en) Power converter with boost-buck-buck configuration utilizing an intermediate power regulating circuit
JP357169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用半導体装置
US109109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switch-mode power converters
KR101309899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US20100308751A1 (en) Led power source and dc-dc converter
US9258858B2 (en) Active capacitor circuit
US20120175956A1 (en) Dc power supply feeding system
EP1820077A2 (en) High efficiency dc-to-dc synchronous buck converter
KR20150067510A (ko) 배터리용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10960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充放電装置
US20130033110A1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low-voltage control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N111555643B (zh) 开关电源控制器、开关电源系统及开关电源系统供电方法
US6307359B1 (en) DC-DC converter powered by doubled output voltage
US9780690B2 (en) Resonant decoupled auxiliary supply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controller
US9823677B2 (en) Power converter
US7688044B2 (en) Device for transforming and stabilizing a primary AC voltage for supplying an electric load
KR101398111B1 (ko) 직류전압의 이중화 부스트 출력 제어 장치
CN112510997B (zh) 一种用于能量收集系统的混合型升压电路及控制方法
JP2017123261A (ja) Led用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JP4609285B2 (ja) 電源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