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657B1 -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 Google Patents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657B1
KR101397657B1 KR1020130093418A KR20130093418A KR101397657B1 KR 101397657 B1 KR101397657 B1 KR 101397657B1 KR 1020130093418 A KR1020130093418 A KR 1020130093418A KR 20130093418 A KR20130093418 A KR 20130093418A KR 101397657 B1 KR101397657 B1 KR 10139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late
hydraulic pressure
hydraulic cylinder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Priority to KR102013009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fluid lif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 B62B2301/25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by using roller-shap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면판이 구비되고 상면판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전,후방측면판이 전후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며 전,후방측면판 사이의 하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베이스판이 고정설치되고 좌우측 전,후방측면판 사이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가 좌우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와, 상기 트롤리부의 베이스판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상부가 상면판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상단부에는 상면판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적재판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승강적재부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유압호스가 구비되며 유압호스는 베이스판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끝부분이 전,후방측면판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유압호스의 끝부분에는 외부유압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구와 유압공급의 단속을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Safe transport trolley of height adjustment type for sub-precise equipment and distribution}
본 발명은 각종 소형운반물을 비롯하여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대형운반물 및 각종 물류를 상부에 적재하여 적재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전하게 이송하는 운반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면판이 구비되고 상면판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전,후방측면판이 전후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며 전,후방측면판 사이의 하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베이스판이 고정설치되면서 상면판의 하부에 베이스판이 위치되고 좌우측 전,후방측면판 사이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가 좌우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상부가 상면판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상단부에는 상면판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적재판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승강적재부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유압호스가 구비되며 유압호스는 베이스판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끝부분이 전,후방측면판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유압호스의 끝부분에는 외부유압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구와 유압공급의 단속을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공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는 대부분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크린룸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장비 등이 투입될 수 없어 무게가 대략 수십톤정도로 대형이면서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각종 설비를 크린룸에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반가능하도록 수톤정도의 소형크기로 각종 설비를 분해 및 해체하고 운반트롤리(trolley)에 이를 적재하여 수동식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였으며,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운반트롤리는 상부에 각종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수동식으로 이송하는 통상의 손수레나 운반차로서, 상부에 각종 물품이 적재된 상태로 구름이동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전방에 연결 장착되면서 적재부를 수동식으로 견인하는 핸들부로 구성되어 있어 적재부에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부로 운반트롤리를 수동식으로 견인하여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수동식 운반트롤리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190771호에서는 수평으로 위치되는 상면판이 구비되고 상면판의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복수개의 측면판이 고정부착되며 복수개의 측면판 사이의 전후방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와, 수평으로 위치되는 판형상으로 상면부 전후방에는 각각 좌우수평방향으로 직선형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나사봉장착홀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베이스판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트롤리부의 상면판 위에 부합되게 결합장착되는 장착판이 고정설치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나사봉장착홀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개재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외주면에는 오른나사선이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왼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과, 전후수평방향으로 위치된 막대형상으로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하면부 전후방에는 베이스판의 가이드레일에 부합되게 삽입되는 가이드블럭이 고정부착되고 하면부 가운데부분에는 나사봉과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는 나사봉체결블럭이 고정부착된 좌우측 고정클램프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봉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좌우측 고정클램프가 베이스판의 상면부에서 서로 좌우로 벌어지거나 근접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되는 운반물을 파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 하부고정식 안전운반트롤리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운반트롤리의 상부에 운반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운반물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베이스부재 위에 별도의 받침목이나 받침판 등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위에 운반물을 적재하여 운반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 운반물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운반과정에서 충격과 흔들림 등에 의해 적재부 위에 올려진 받침목이나 받침판이 틀어지거나 베이스부재로부터 이탈하여 그 상부에 올려지는 운반물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유동되어 떨어지면서 운반물에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트롤리부에 구비된 전,후방측면판 사이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을 고정설치하고 베이스판의 상면부에는 유압실린더를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하면서 유압실린더의 상부가 상면판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적재판을 고정설치하여 적재판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운반물의 정밀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에는 끝부분에 체결구와 밸브가 구비된 유압호스를 연결하여 운반물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만 유압호스의 체결구에 외부의 유압라인을 연결장착하여 높이조절되게 하고 피스톤이 승강조절된 상태에서 유압호스를 밸브로 차단함에 따라 적재판이 일정높이로 유지된 상태로 운반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눕혀진 상면판이 구비되고 상면판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전,후방측면판이 전후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며 전,후방측면판 사이의 하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베이스판이 고정설치되면서 상면판의 하부에 베이스판이 위치되고 좌우측 전,후방측면판 사이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가 좌우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상부가 상면판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상단부에는 상면판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적재판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승강적재부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유압호스가 구비되며 유압호스는 베이스판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끝부분이 전,후방측면판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유압호스의 끝부분에는 외부유압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구와 유압공급의 단속을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공급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롤리부에 구비된 전,후방측면판 사이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고정설치되고 베이스판의 상면부에는 유압실린더가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유압실린더의 상부가 상면판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는 적재판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에 의해 승강작동되어 운반물의 정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에는 끝부분에 체결구와 밸브가 구비된 유압호스가 연결설치되어 있어 운반물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만 유압호스의 체결구에 외부의 유압라인을 연결장착하여 높이조절하고 피스톤이 승강조절된 상태에서 유압호스를 밸브로 차단함에 따라 적재판이 일정높이로 유지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의 승강적재부가 승강작동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도 2의 A-A'선의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의 적재판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고 상승작동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의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판 상부에 복수개의 승강적재부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의 적재판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어 높이조절된 상태에서 운반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소형운반물을 비롯하여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대형운반물 및 각종 물류를 상부에 적재하여 적재높이를 조절하면서 안전하게 이송하는 운반수단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상면판(3)이 구비되고 상면판(3)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전,후방측면판(4)(5)이 전후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며 전,후방측면판(4)(5) 사이의 하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베이스판(9)이 고정설치되면서 상면판(3)의 하부에 베이스판(9)이 위치되고 좌우측 전,후방측면판(4)(5) 사이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6)가 좌우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면서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2)와, 상기 베이스판(9)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상부가 상면판(3)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 상단부에는 상면판(3)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적재판(15)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15)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피스톤(14)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승강적재부(12)와, 상기 유압실린더(13)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유압호스(20)가 구비되며 유압호스(20)는 베이스판(9)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끝부분이 전,후방측면판(4)(5)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유압호스(20)의 끝부분에는 외부유압라인(21)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구(22)와 유압공급의 단속을 위한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공급부(19)로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부(2)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가운데부분에 승강적재부(12)가 설치되도록 하면서 지면위에서 구름이동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금속재질의 상면판(3)이 구비되고 상기 상면판(3)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전,후방측면판(4)(5)이 전후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방측면판(4)(5) 사이의 하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베이스판(9)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좌우측 전방측면판(4) 사이 및 좌우측 후방측면판(5) 사이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6)가 좌우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각각 회동축(7)에 의해 관통개재되면서 일체로 축설되어 지면위에서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판(3)은 가운데부분에 개구부(8)가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판(9)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의 상부가 개구부(8)를 통해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면서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적재판(15)이 상면판(3)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되어 원활하게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판(3)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부분 좌우양측에 각각 가이드홀(10)이 천공되어 있어 승강적재부(12)의 적재판(15) 하면부 좌우양측에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봉(17)이 상면판(3)의 가이드홀(10)에 부합되게 관통 삽입되면서 적재판(15)위에 하중이 큰 운반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적재판(15)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않고 안정되게 수직으로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9)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상면판(3)의 가운데부분 하부에 상하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판(9)의 상면부 전후양측에는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보강판(11)이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되 전후방 보강판(11)의 상면부는 상면판(3)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전후방 보강판(11)의 좌우양측끝단은 좌우측 전,후방측면판(4)(5)과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적재부(12)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상하 높이조절되는 부분으로, 상기 트롤리부(2)에 구비된 베이스판(9)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상부가 상면판(3)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13)에 구비된 피스톤(14)의 상단부에는 상면판(3)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된 상태로 수평으로 눕혀진 적재판(15)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적재판(15)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면서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3)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통상의 실린더나 유압잭(hydraulic jack), 유압 램(hydraulic ram) 등으로 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13)의 상부는 상면판(3)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개구부(8)를 통해 상면판(3)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3)의 외주면 하부에는 복수개의 브라켓(16)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판(9)의 상면부에는 유압실린더(13)의 브라켓(16)이 설치된 부분에 부합되게 통상의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6)과 암나사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일체로 조립체결하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판(9)의 하부에서 복수개의 고정볼트가 상방으로 관통되면서 유압실린더(13)의 하면부에 나사체결되어 일체로 조립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판(15)은 도 1 내지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된 수평으로 눕혀진 원판형상이나 사각판 또는 오각판 등의 다각판형상으로 상면부에 운반물이 적재되도록 되어 있으며 피스톤(14)의 상단부에 적재판(15)의 하면부 중심부분이 일체로 용접부착되거나 볼트 등으로 통해 일체로 고정설치되면서 트롤리부(2)의 상면판(3) 상부 외측에서 피스톤(14)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고 적재판(15)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가이드봉(17)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봉(17)은 상면판(3)의 가운데부분 좌우양측에 각각 천공된 가이드홀(10)에 관통 삽입되면서 적재판(15)이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되게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적재판(15)은 상면부에 합성고무나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완충패드(18)가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그 위에 적재되는 운반물의 충격을 흡수하여 운반도중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압공급부(19)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3)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유압공급을 단속하는 부분으로, 상기 유압실린더(13)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유압호스(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호스(20)는 베이스판(9)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끝부분이 전,후방측면판(4)(5)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호스(20)의 끝부분에는 외부유압라인(21)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구(22)와 유압공급의 단속을 위한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호스(20)는 유압실린더(13)의 하부 외주면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면서 유압실린더(13)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유압을 회수하여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이 승강작동되도록 하되, 상기 유압호스(20)는 베이스판(9)의 상면부를 따라 배치된 상태로 고정클립(24) 등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고정설치되고 유압호스(20)의 끝부분에는 통상의 체결구(22)가 설치되어 있어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유압라인(21)에 구비된 커플러(25)와 끼움결합식으로 연결되면서 외부유압라인(21)에 연결된 유압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피스톤(14)이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이 적재된 적재판(15)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호스(20)의 끝부분에는 밸브(23)가 함께 설치되어 있어 외부유압라인(21)으로부터의 유압공급으로 피스톤(14)이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이 적재된 적재판(15)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23)를 차단하여 유압실린더(13) 내부의 유압이 배출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외부유압라인(21)을 체결구(22)로부터 분리하여 적재판(15)이 일정높이로 고정된 상태에서 운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9)의 상면부에는 복수개의 승강적재부(12)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각 승강적재부(12)의 유압실린더(13)에는 유압공급부(19)가 각각 별도로 연결설치되어 복수개의 승강적재부(12)가 각각의 유압공급부(19)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일정높이로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전운반트롤리(1)를 이용하여 각종 소형운반물 및 수톤정도의 크기로 분해되어 크린룸(clean room) 등으로 반입되는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로 된 대형운반물을 상부에 적재하여 운반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안전하게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적재부(12)에 구비된 적재판(15)의 상부에 운반물을 적재하고 적재판(15)위에 적재된 운반물을 밀어 이송 운반하되, 운반과정에서 장애물에 운반물이 닿거나 걸리는 경우 유압실린더(13)에 구비된 피스톤(14)의 승강작동에 따라 운반물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공급부(19)의 유압호스(20)에 구비된 체결구(22)에 외부유압라인(21)의 커플러(25)를 연결하고 외부유압라인(21)에 연결된 유압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유압을 공급하여 승강적재부(12)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이 트롤리부(2)에 구비된 상면판(3)의 상부 외측으로 승강작동되도록 하면서 운반물이 적재된 적재판(15)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외부유압라인(21)으로부터의 유압공급으로 피스톤(14)이 승강작동됨에 따라 운반물이 적재된 적재판(15)의 높낮이가 일정높이로 조절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호스(20)의 밸브(23)를 차단하여 유압실린더(13) 내부의 유압이 배출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외부유압라인(21)을 체결구(22)로부터 분리하여 적재판(15)이 일정높이로 고정된 상태에서 운반되도록 한다.
1. 안전운반트롤리 2. 트롤리부
3. 상면판 4. 전방측면판
5. 후방측면판 6. 롤러
7. 회동축 8. 개구부
9. 베이스판 10. 가이드홀
11. 보강판 12. 승강적재부
13. 유압실린더 14. 피스톤
15. 적재판 16. 브라켓
17. 가이드봉 18. 완충패드
19. 유압공급부 20. 유압호스
21. 외부유압라인 22. 체결구
23. 밸브 24. 고정클립
25. 커플러

Claims (5)

  1. 가운데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판, 전,후방측면판, 롤러, 유압실린더와 유압호스가 설치되는 유압공급부,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면서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 적재판이 유압실린더 상부에 설치되는 승강적재부, 가이드봉이 부합되게 관통삽입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는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에 있어서, 수평으로 눕혀진 상면판(3)이 구비되고 상면판(3)의 좌우양측 하면부에는 각각 수직하방으로 전,후방측면판(4)(5)이 전후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며 전,후방측면판(4)(5) 사이의 하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베이스판(9)이 고정설치되면서 상면판(3)의 하부에 베이스판(9)이 위치되고 베이스판(9)의 상면부 전후양측에는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보강판(11)이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되 전후방 보강판(11)의 상면부는 상면판(3)의 하면부에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전후방 보강판(11)의 좌우양측끝단은 좌우측 전,후방측면판(4)(5)과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으며 좌우측 전,후방측면판(4)(5) 사이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6)가 좌우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구름이동되는 트롤리부(2)와, 상기 베이스판(9)의 상면부에 수직상방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상부가 상면판(3)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3)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 상단부에는 상면판(3)의 상부 외측으로 위치되게 적재판(15)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판(3)은 가운데부분 좌우양측에 각각 가이드홀(10)이 천공되어 있어 적재판(15)의 하면부 좌우양측에 수직하방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봉(17)이 상면판(3)의 가이드홀(10)에 부합되게 관통 삽입되면서 가이드이동되고 적재판(15)의 상부에 운반물이 적재되어 피스톤(14)에 의해 승강작동되는 승강적재부(12)와, 상기 유압실린더(13)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유압호스(20)가 구비되며 유압호스(20)는 베이스판(9)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면서 끝부분이 전,후방측면판(4)(5)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유압호스(20)의 끝부분에는 외부유압라인(21)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구(22)와 유압공급의 단속을 위한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공급부(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적재부(12)는 유압실린더(13)의 외주면 하부에 복수개의 브라켓(16)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베이스판(9)의 상면부에는 유압실린더(13)의 브라켓(16)이 설치된 부분에 부합되게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16)과 암나사공을 통해 고정볼트로 조립체결되며, 상기 적재판(15)은 수평으로 눕혀진 원판형상이나 다각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적재판(15)의 상면부에는 합성고무나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완충패드(18)가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부(19)는 유압실린더(13)의 하부 외주면에 유압호스(20)가 관통하여 연결설치되면서 유압실린더(13)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거나 유압을 회수하여 유압실린더(13)의 피스톤(14)이 승강작동되도록 하되, 상기 유압호스(20)의 체결구(22)는 외부유압라인(21)에 구비된 커플러(25)와 끼움결합식으로 연결되면서 외부유압라인(21)에 연결된 유압공급장치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고 유압호스(20)의 밸브(23)는 외부유압라인(21)으로부터의 유압공급으로 피스톤(14)이 승강작동되면서 운반물이 적재된 적재판(15)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밸브(23)를 차단하여 유압실린더(13) 내부의 유압이 배출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외부유압라인(21)을 체결구(22)로부터 분리하여 적재판(15)이 일정높이로 고정된 상태에서 운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9)은 상면부에 복수개의 승강적재부(12)가 좌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각 승강적재부(12)의 유압실린더(13)에는 유압공급부(19)가 각각 별도로 연결설치되어 복수개의 승강적재부(12)가 각각의 유압공급부(19)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20130093418A 2013-08-07 2013-08-07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139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418A KR101397657B1 (ko) 2013-08-07 2013-08-07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418A KR101397657B1 (ko) 2013-08-07 2013-08-07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657B1 true KR101397657B1 (ko) 2014-05-26

Family

ID=5089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418A KR101397657B1 (ko) 2013-08-07 2013-08-07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0083U (ko) * 1988-01-18 1989-07-25
JP2006182401A (ja) * 2004-12-27 2006-07-13 Fuji Photo Film Co Ltd 積載台、シート状物包装方法、およびシート状物包装構造
KR20100065820A (ko) * 2008-12-09 2010-06-17 이준열 중량물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0083U (ko) * 1988-01-18 1989-07-25
JP2006182401A (ja) * 2004-12-27 2006-07-13 Fuji Photo Film Co Ltd 積載台、シート状物包装方法、およびシート状物包装構造
KR20100065820A (ko) * 2008-12-09 2010-06-17 이준열 중량물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771B1 (ko) 정밀설비 하부고정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DK177585B1 (en)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Transport Beds with Wheels
KR101389953B1 (ko) 정밀설비물류용 적재판이동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1913156B1 (ko) 전도방지형 운반지그장치
KR101322891B1 (ko) 전동차량의 하부장치 교환용 리프트장치
KR101307979B1 (ko)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US20070163843A1 (en) Forklift guard, fork rack, and associated methods
CN212174380U (zh) 一种高安全性的搬运车
KR101303034B1 (ko) 핸들조절형 지게차용 안전로드포스트
KR101374128B1 (ko) 물류운반용 접이식 안전곤돌라
CN107293979B (zh) 互感器更换及装运辅助装置
KR101710031B1 (ko) 랙모듈 상하차용 리프트 및 상차 방법
KR101397657B1 (ko)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식 안전운반트롤리
KR20120114106A (ko) 대차 레일 이동용 지그
KR101796643B1 (ko) 트롤리커넥터용 승강식 이동셋팅장치
KR101764168B1 (ko) 정밀설비 운반트롤리용 커넥터
KR101635454B1 (ko) 물류운반용 도킹지그이동형 안전곤돌라
KR101307977B1 (ko) 정밀설비물류용 승강작동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1410863B1 (ko) 물류운반용 자동반출입식 안전곤돌라
KR101203620B1 (ko) 초정밀설비 셋업용 슬라이딩식 위치조절장치
JP2010254197A (ja) リフト機能付きキャスター装置
KR200464351Y1 (ko) 정밀설비용 높이조절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1218607B1 (ko) 초정밀설비셋업용 유압푸쉬식 위치조절장치
KR101246772B1 (ko) 관절식핸들부가 구비된 정밀설비용 안전운반트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