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39B1 -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39B1
KR101396439B1 KR1020070093717A KR20070093717A KR101396439B1 KR 101396439 B1 KR101396439 B1 KR 101396439B1 KR 1020070093717 A KR1020070093717 A KR 1020070093717A KR 20070093717 A KR20070093717 A KR 20070093717A KR 101396439 B1 KR101396439 B1 KR 10139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images
image
brightness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52A (ko
Inventor
이강의
최원희
이성덕
송현철
권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3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를 각각 조절하고, 각 영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성하는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장치는 입사된 광 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을 생성하는 광 수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휘도 제어부 및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한다.
영상, 휘도, 가중치, 합성

Description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를 각각 조절하고, 각 영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성하는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및 카메라 폰 등과 같이 카메라를 장착한 장치들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렌즈 및 영상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렌즈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광을 모으는 역할을 하며, 영상 센서는 렌즈에 의해 모아진 광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센서는, 크게 촬상관과 고체 영상 센서로 나뉠 수 있으며, 고체 영상 센서의 대표적인 예로써,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와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를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하고자 할 때 해당 장면이 높은 대비(contrast)의 영상인 경우, 영상의 밝은 부분은 과포화(over-saturation)되고 영상의 어두운 부분은 불포화(under-saturation)되어 영상의 정보가 올바르게 표현되 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영상 센서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조절하거나 좁은 대역의 동적 범위로 하나의 장면에 대한 복수 개의 영상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복수 개의 영상을 합성할 수 있다.
영상 센서에서 동적 범위(Dynamic Range)는 영상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광 신호 크기의 범위로서, 동적 범위의 크기에 따라 강한 광 신호 및 약한 광 신호의 감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동적 범위가 작으면 입사되는 광 신호 세기를 모두 감지할 수 없으므로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두운 영상이 생성되는 것이다.
물론, 입사되는 광 신호에 대한 노출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구별할 수도 있으나, 노출 시간 조절만으로 확장된 동적 범위의 영상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강한 광 신호가 입사되는 경우 노출 시간을 짧게 하고, 약한 광 신호가 입사되는 경우 노출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신호 레벨을 유지함과 동시에 확장된 동적 범위를 구현할 수 있으나, 강한 광 신호와 약한 광 신호가 동시에 입사되는 경우 이는 노출 시간 조절만으로는 충분히 신호 레벨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생성된 영상은 전체적인 대비(contrast)의 불균일로 인하여 자연스럽지 않을 수 있으며, 하나의 영상으로 획득된 것에 비하여 세밀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함에 있어서 대비의 불균일을 해소하고 선명도를 개선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를 각각 조절하고, 각 영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장치는 입사된 광 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을 생성하는 광 수신부와,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휘도 제어부 및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방법은 입사된 광 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촬상 장치에 따르면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촬영된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를 각각 조절하고 각 영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성함으로써, 대비의 불균일을 해소하고 선명도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영상이 하나로 합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생성된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은 동일한 광 신호(100)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즉, 동일한 장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영상이 생성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간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에는 도시된 합성 전 영상(111, 112)이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동일한 장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생성된 영상들(111, 112)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짧은 노출 시간(SET; Short Exposure Time)으로 생성된 영상(111)과 긴 노출 시간(LET; Long Exposure Time)으로 생성된 영상(112)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짧은 노출 시간으로 생성된 영상(이하, 짧은 노출 영상이라 한다)(111)은 노출 시간이 짧기 때문에 영상 영역 중 밝은 부분은 올바르게 표현되지만 어두운 부분은 부족한 휘도 정보로 인하여 올바르게 표현되지 않고 어두운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긴 노출 시간으로 생성된 영상(이하, 긴 노출 영상이라 한다)(112)은 노출 시간이 길기 때문에 영상 영역 중 어두운 부분은 올바르게 표현되지만 밝은 부분은 과도한 휘도 정보로 인하여 올바르게 표현되지 않고 밝은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는 서로 다른 휘도 분포를 갖는 광 신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210은 어두운 영역을 나타내고 220은 밝은 영역을 나타낸다.
도 2와 같은 휘도 분포를 갖는 광 신호(200)가 입사되는 경우 짧은 노출 영상(111)에서 밝은 영역(220)은 올바르게 표현되지만 어두운 영역(210)은 형체가 불 명확할 정도로 어두운 색으로 표현되며, 긴 노출 영상(112)에서 어두운 영역(210)은 올바르게 표현되지만 밝은 영역(220)은 형체가 불명확할 정도로 밝은 색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노출 시간을 갖는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을 하나의 영상(120)으로 합성함에 있어서, 합성 전 영상(111, 112)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휘도의 불포화 및 과포화에 따른 대비 불균형을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영상 촬상 장치(300)는 광 수신부(310), 휘도 제어부(320), 영상 합성부(330) 및 압축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수신부(310)는 광 신호(100)를 수신하여 광 신호(100)에 대한 영상(111, 112)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광 수신부(3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광 수신부(310)는 렌즈부(311), 필터부(312) 및 영상 생성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부(311)는 입사하는 빛을 집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의 개수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렌즈는 동일 평면 상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거나 가로×세로의 행렬 형태로도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부(312)는 렌즈부(311)에 의해 집광된 광 신호(100)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필터부(312)는 렌즈부(311)에 의해 집광된 광 신호(100) 중에서 소정 파장 대역의 광 신호(100)만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영상 생성부(313)는 입사된 광 신호(100)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입사된 광 신호(100)에 대하여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서로 다른 노출 시간(예를 들어, 짧은 노출 시간 및 긴 노출 시간)에 따른 영상(111, 112)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시간적인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서로 다른 광 신호(100)에 대한 영상(111, 112)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광 수신부(310)에는 렌즈부(311)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노출 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휘도 제어부(320)는 광 수신부(310)로부터 전달받은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휘도 제어부(32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휘도 제어부(320)는 임계치 감지부(321) 및 휘도 조절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계치 감지부(321)는 영상(111, 112)의 휘도 분포를 검출하고,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광 신호의 고휘도 부분과 저휘도 부분을 구분하는 임계치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휘도 분포는 각 영상의 최소 휘도, 최대 휘도 및 평균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임계치 감지부(321)는 짧은 노출 영상(111)의 최소 휘도 및 최대 휘도의 중간값을 임계치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임계치 감지부(321)는 영상(111, 112)에 포함된 모든 화소를 스캔하여 각 화소의 최소 휘도 및 최대 휘도를 검출하고 전체 휘도의 합을 전체 화소의 수로 나누어 평균 휘도를 검출하며 휘도의 임계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한편, 임계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될 수도 있는데 이 때, 사용자로부터 임계치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미도시)이 영상 촬상 장치(300)에 구비될 수 있다.
임계치 감지부(321)의 검출 결과는 휘도 조절부(322)로 전달되고, 휘도 조절부(322)는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킨다. 즉, 휘도 조절부(322)는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의 평균 휘도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영상(111, 112)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영상(111, 112)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 휘도를 나머지 영상의 평균 휘도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휘도 조절부(322)는 전달받은 모든 영상(111, 112)의 평균 휘도를 조절하여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하거나, 일부 영상의 평균 휘도만을 조절하여 전체 영상(111, 112)의 평균 휘도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짧은 노출 영상(111)과 긴 노출 영상(112)을 전달받은 경우 휘도 조절부(322)는 짧은 노출 영상(111)의 평균 휘도 및 긴 노출 영상(112)의 평균 휘도를 모두 조절하거나 둘 중 하나의 평균 휘도만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휘도 조절부(322)는 임계치를 기준으로 고휘도 부분에 대한 휘도만을 조절하여 복수 개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 휘도를 나머지 영상의 평균 휘도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이는 저휘도 부분에 대한 휘도를 조절하는 경우 저휘도 부분의 증폭에 따라 노이즈(noise)까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휘도 조절부(322)에 의하여 휘도가 조절된 영상(511, 512)은 영상 합성부(330)로 전달되고, 영상 합성부(330)는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 상(511, 512)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120)으로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영상 합성부(3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영상 합성부(330)는 가중치 생성부(331) 및 합성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중치 생성부(331)는 영상 생성부(313)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111, 112)의 휘도를 참조하여 노출 시간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가중치 생성부(331)에 의한 가중치 생성 과정은 다음 수학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6820395-pat00001
Figure 112007066820395-pat00002
여기서, N은 생성된 영상(111, 112)의 휘도 레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8인 경우 영상의 휘도 범위는 0~255가 된다. 또한, S(x,y)는 짧은 노출 영상(111)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L(x,y)는 긴 노출 영상(112)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의 휘도를 나타내며, WS(x,y)는 짧은 노출 영상(111)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내고 WL(x,y)는 긴 노출 영상(112)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합성부(332)는 가중치가 부여된 각각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120)으로 합성하 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합성부(332)는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영상(511, 512)에 노출 시간별로 생성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성을 수행하는 것이다.
합성부(332)에 의한 영상 합성 과정은 다음 수학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HDR(x,y) = SET(x,y)WS(x,y) + LET(x,y)WL(x,y)
여기서, HDR(x,y)는 휘도 조절된 복수 개의 영상(511, 512)이 하나로 합성됨에 따라 생성된 광대역 영상(120)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다. 또한, SET(x,y)는 휘도가 조절된 짧은 노출 영상(511)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의 휘도를 나타내고, LET(x,y)는 휘도가 조절된 긴 노출 영상(512)의 좌표 (x,y)에 위치하는 화소의 휘도를 나타낸다.
한편, 휘도 조절된 복수 개의 영상(511, 512)이 하나로 합성됨에 따라 합성된 영상(120)의 비트 레벨은 생성된 영상(111, 112) 또는 휘도 조절된 복수 개의 영상(511, 512)의 비트 레벨보다 높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생성된 영상(111, 112)의 비트 레벨이 N인 경우 합성된 영상(120)의 비트 레벨은 N+1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합성된 영상(120)의 비트 레벨을 최초 생성된 영상(111, 112)의 비트 레벨로 동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압축부(340)는 합성이 수행됨에 따라 휘도 범위가 증가된 합성된 영상(120)의 휘도 범위를 생성된 영상(111, 112)의 휘도 범위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합성된 영상(120)의 휘도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압축부(340)는 합성된 영상(120)에 포함된 각 화소의 휘도를 2로 나누어 전체 영상(120)의 휘도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합성된 영상(120)의 대비 불균일을 해소하고, 선명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 촬상 장치(300)의 광 수신부(310)는 우선 광 신호(100)를 수신하여 광 신호(100)에 대한 영상(111, 112)을 생성한다(S710). 이 때, 광 수신부(310)는 입사된 광 신호(100)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은 휘도 제어부(320)로 전달되고, 휘도 제어부(320)는 복수 개의 영상(111, 112)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킨다(S720).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휘도 제어부(320)는 산출된 임계치를 기준으로 고휘도 부분에 대한 휘도만을 조절하여 복수 개의 영상(111, 112)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 휘도가 나머지 영상의 평균 휘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합성부(330)는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120)으로 합성한다(S730). 여기서, 영상 합성부(330)는 노출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영상 중 짧은 노출 시간에 따른 영상에 적용하기 위한 가중치와 긴 노출 시간에 따른 영상에 적용하기 위한 가중치가 별도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영상 합성부(330)에 의하여 합성된 영상(120)의 휘도 범위는 광 수신부(310)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111, 112)의 휘도 범위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압축부(340)는 합성된 영상(120)의 휘도 범위를 최초 생성된 영상(111, 112)의 휘도 범위로 감소시킨다(S74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생성된 복수 개의 영상이 하나로 합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로 다른 휘도 분포를 갖는 광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 수신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휘도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영상 합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광 수신부 320 : 휘도 제어부
330 : 영상 합성부 340 ; 압축부

Claims (18)

  1. 입사된 광 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을 생성하는 광 수신부;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휘도 제어부; 및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동기화는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평균 휘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상기 휘도 분포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상기 광 신호의 고휘도 부분과 저휘도 부분을 구분하는 임계치를 산출하는 임계치 감지부; 및
    상기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휘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는 상기 각 영상의 최소 휘도, 최대 휘도 및 평균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조절부는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휘도 부분에 대한 휘도만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 휘도를 나머지 영상의 평균 휘도와 동기화시키는 영상 촬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 생성부;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각각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영상의 휘도를 참조하여 노출 시간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생성하는 영상 촬상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부는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영상에 노출 시간별로 생성 된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합성을 수행하는 영상 촬상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이 수행됨에 따라 휘도 범위가 증가된 상기 합성된 영상의 휘도 범위를 상기 생성된 영상의 휘도 범위로 감소시키는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상 장치.
  10. (a) 입사된 광 신호에 대하여 서로 다른 노출 시간에 따른 복수 개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각 영상의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복수 개의 영상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동기화는 상기 복수 개의 영상의 평균 휘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휘도 분포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분포를 참조하여 상기 광 신호의 고휘도 부분과 저휘도 부분을 구분하는 임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는 상기 각 영상의 최소 휘도, 최대 휘도 및 평균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분포 범위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 고휘도 부분에 대한 휘도만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 휘도를 나머지 영상의 평균 휘도와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각각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영상의 휘도를 참조하여 노출 시간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분포 범위가 동기화된 영상에 노출 시간별로 생성된 상기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합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이 수행됨에 따라 휘도 범위가 증가된 상기 합성된 영상의 휘도 범위를 상기 생성된 영상의 휘도 범위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상 방법.
KR1020070093717A 2007-09-14 2007-09-14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KR10139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17A KR101396439B1 (ko) 2007-09-14 2007-09-14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17A KR101396439B1 (ko) 2007-09-14 2007-09-14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52A KR20090028252A (ko) 2009-03-18
KR101396439B1 true KR101396439B1 (ko) 2014-05-20

Family

ID=4069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717A KR101396439B1 (ko) 2007-09-14 2007-09-14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00B1 (ko) 2009-06-25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KR102443281B1 (ko) * 2016-06-29 2022-09-15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공 이미지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15738B1 (ko) * 2016-10-06 2023-12-19 한화비전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541061B1 (ko) * 2018-04-02 2023-06-13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공 이미지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039A (ko) * 1996-04-17 1997-11-07 김광호 밝기보상기능을 가진 평균 분리 히스토그램 등화를 이용한 화질 개선방법과 그 회로
JP2004064165A (ja) 2002-07-25 2004-02-26 Hitachi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5176173A (ja) 2003-12-15 2005-06-30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
KR20090028040A (ko) * 2007-09-13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출 시간 설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039A (ko) * 1996-04-17 1997-11-07 김광호 밝기보상기능을 가진 평균 분리 히스토그램 등화를 이용한 화질 개선방법과 그 회로
JP2004064165A (ja) 2002-07-25 2004-02-26 Hitachi Ltd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5176173A (ja) 2003-12-15 2005-06-30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
KR20090028040A (ko) * 2007-09-13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노출 시간 설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52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983B1 (ko) 촬상 장치
KR101407849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고체 촬상 장치
US8237854B2 (en) Flash emission method and flash emission apparatus
US8818108B2 (en) Digital pixel addi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lurality of images
JP201416098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157402A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7486884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JP5857444B2 (ja) 撮像装置
WO2016129405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82408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WO2019225071A1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2009017213A (ja) 撮像装置
KR101396439B1 (ko) 영상 촬상 장치 및 방법
JP525748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378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117184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629002B2 (ja) 撮像装置
JP624212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515795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11131667B (zh) 进行闪烁检测的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6519625B2 (ja) 撮像装置
JP2012239076A (ja) 撮像装置及び方法
JP690057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69519B2 (ja) 撮像装置
JP2011199860A (ja) 撮像装置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