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25B1 - 물품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반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6225B1 KR101396225B1 KR1020120155043A KR20120155043A KR101396225B1 KR 101396225 B1 KR101396225 B1 KR 101396225B1 KR 1020120155043 A KR1020120155043 A KR 1020120155043A KR 20120155043 A KR20120155043 A KR 20120155043A KR 101396225 B1 KR101396225 B1 KR 101396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article
- bucket unit
- bucket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25—Orienta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물품 반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는 동력원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몸체; 회전몸체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비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는 버킷유닛; 및 버킷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버킷유닛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규칙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까지도 용이하게 물품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규칙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까지도 용이하게 물품을 반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품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물품의 반전이 필요한 경우, 규칙적인 물품의 반전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인 반전까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물품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공정에서 생산된 물품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송되는데, 최근에는 물류 자동화 라인을 통해 물품이 이송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생산 공정에서 생산된 물품은 이송 과정 중 반전된 형태로 이송되어져야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반전'이란 물품이 최초 진행되던 형태에서 반대의 위치로 정렬 내지 배치되는 것으로서, 일례로, 바닥과 덮개를 가지는 물품의 바닥이 하측에 위치하고 덮개가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이송되던 중, 물품의 반전 후에는 물품의 바닥이 상측에 위치하고 덮개가 하측에 위치하게 배치되어 이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내용물이 내재된 용기를 포장하는 데 있어서, 용기의 바닥과 덮개의 길이가 다른 경우, 복수의 용기를 일렬로 배열 후 포장하게 되면, 용기의 바닥과 덮개의 길이 차이로 인해 공간이 생기게 된다.
즉, 용기의 덮개가 바닥보다 긴 경우 복수의 용기를 일렬로 배열하면, 일측에 놓여진 용기의 바닥과 타측에 놓여진 용기의 바닥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틈을 줄이기 위해, 복수의 용기 중 교대로 배치된 용기의 덮개와 바닥을 뒤집어 배치하면, 즉, 교대로 배치된 용기를 반전된 형태로 배치하면, 비반전 형태의 용기의 덮개와, 반전 형태의 용기의 바닥이 맞닿을 수 있으므로, 용기와 용기 사이의 틈이 발생되지 않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의 이송 중 특정 용기에 대해 반전된 형태로 뒤집어 배열할 필요가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경우, 물품을 반전시킴에 있어, 정해진 규칙에 의해 반전되는 경우가 아닌 불규칙적인 반전의 경우에는 이를 위한 설비를 추가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킷유닛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유닛을 통해 규칙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까지도 용이하게 물품을 반전시키며, 이에 의해, 추가설비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품 반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력원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기초하여 비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거나, 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는 버킷유닛; 및 상기 버킷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킷유닛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킷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비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몸체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원형판; 및 상기 원형판의 둘레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마련되는 캠구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구조부재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한 후, 다시 높이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구조부재의 둘레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킷유닛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팔로우유닛;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에 연결되고, 상기 버킷유닛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래크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버킷유닛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피니언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크가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래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상기 버킷유닛에는 탄성회복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이 상기 원형판 또는 상기 캠구조부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킷유닛의 근접한 위치에는 물품을 자동으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킷유닛은 복수의 다리부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된 간격을 통해 상기 버킷유닛이 상기 컨베이어를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재에는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버킷유닛의 일측에 배치된 가이드유닛을 통해 규칙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까지도 용이하게 물품을 반전시키며, 이에 의해, 추가설비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물품이 반전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물품이 반전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버킷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안내되는 모습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가이드팔로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가이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물품이 반전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버킷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안내되는 모습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가이드팔로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가이드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물품이 반전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물품이 반전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버킷유닛이 가이드유닛에 안내되는 모습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가이드팔로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에서 가이드유닛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100)는 동력원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몸체(200)와, 회전몸체(200)에 회전축(310)을 통해 결합되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비반전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반전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는 버킷유닛(300)과, 버킷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몸체(200)는 동력원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몸체(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은 전기를 사용하는 모터이거나,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몸체(20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버킷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버킷유닛(300)은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몸체(200)에 결합된다.
즉, 회전몸체(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버킷유닛(300)은 회전몸체(200)의 둘레에 결합된 회전축(310)에 결합되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몸체(200)에 결합된 버킷유닛(300)에 물품(600)이 안착되면 회전몸체(200)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몸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하는지 여부에 따라 물품(600)의 반전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회전몸체(200)는 버킷유닛(300)에 물품(600)을 적재하기 위해 스텝동작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유닛(300)이 8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버킷유닛(300)이 수직선(A)을 기준으로 45°씩 이동되도록 회전몸체(200)가 회전할 수 있다.
즉, 물품(600)을 적재하기 위해 버킷유닛(300)이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 정지하게 되면 물품(600)이 버킷유닛(300) 내부로 안착된다. 이 때,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의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정지하고 있는 버킷유닛(300)으로부터는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를 통해 물품(600)이 유출된다.
그리고, 회전몸체(200)가 회전하여 버킷유닛(300)이 정지 후,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를 통해 다음 버킷유닛(300)에 물품(600)이 안착되고,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를 통해 다음 버킷유닛(300)으로부터 물품(600)이 유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버킷유닛(300)은 회전몸체(200)에 회전축(310)을 통해 결합되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기초하여 비반전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거나, 반전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버킷유닛(300)은 회전몸체(200)에 회전축(310)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비반전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반전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 형태의 경우,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를 통해 버킷유닛(300)에 물품(600)이 안착되면 회전몸체(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몸체(200)에 회전축(310)을 통해 결합된 버킷유닛(300) 역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를 통해 물품(600)이 유입된 버킷유닛(300)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할 때까지 버킷유닛(300)은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180°회전하게 되며, 버킷유닛(300)으로 유입될 때와 동일한 위치로 배열되어 물품(600)이 반전되지 않은 형태로 유출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반전 형태의 경우,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를 통해 버킷유닛(300)에 물품(600)이 안착된 후 회전몸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버킷유닛(300)은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하게 되며, 물품(600)은 반전된 형태로 유출되게 된다.
즉,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는 버킷유닛(300)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물품(600)의 반전 이송과 비반전 이송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까지도 용이하게 물품(600)을 반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버킷유닛(300)의 근접한 위치에는 물품(600)을 자동으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5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500)는 물품(600)이 버킷유닛(300)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와, 컨베이어(500)로부터 물품(600)이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 물품(600)이 올려지면, 컨베이어(500)가 작동하여 물품(600)이 버킷유닛(300)측으로 이동하여 버킷유닛(300)에 안착되며, 이후, 회전몸체(200)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물품(600)이 안착된 버킷유닛(300)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하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가 작동하며, 물품(600)이 버킷유닛(300)으로부터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를 통해 다른 위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버킷유닛(300)은 회전몸체(2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컨베이어(500)를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버킷유닛(300)은 복수의 다리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의 다리부재(3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격된 간격은 컨베이어(500)의 폭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회전몸체(200)가 회전하는 경우, 버킷유닛(300)이 이격된 간격을 통해 컨베이어(50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버킷유닛(300)은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물품(600)을 내려놓은 후에도 계속 회전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버킷유닛(300) 중 복수의 다리부재(320)에는 물품(600)이 안착될 수 있는 상부커버(321) 및 하부커버(3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로부터 버킷유닛(300)측으로 이동되는 물품(600)은 다리부재(320)에 형성된 상부커버(321) 및 하부커버(322)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물품(600)은 버킷유닛(300)에 안착되며, 회전몸체(200)와 버킷유닛(300)이 회전하더라도 물품(600)이 버킷유닛(300)의 다리부재(320)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버킷유닛(3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몸체(200)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버킷유닛(300)이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유닛(400)은 회전몸체(200)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원형판(410)과, 원형판(410)의 둘레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마련되는 캠구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원형판(410)은 회전몸체(200)와 중심이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회전몸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버킷유닛(300)이 원형판(4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캠구조부재(4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캠구조부재(42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캠구조부재(420)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한 후, 다시 높이가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한, 캠구조부재(420)의 둘레부(421)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캠구조부재(420)의 둘레부(421)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캠구조부재(420)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버킷유닛(300)이 캠구조부재(4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연속적인 과정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310)이 무리없이 회전가능하여 회전축(310)의 수명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킷유닛(300)에는 버킷유닛(300)의 회전을 위해 가이드팔로우유닛(330), 래크(340) 및 피니언(35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버킷유닛(300)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나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버킷유닛(300)을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력의 제공없이 구성의 구조적인 결합을 통해 버킷유닛(300)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킷유닛(300)에 결합되는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이동에 연동되어 버킷유닛(300)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은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이동 경로에 따라 버킷유닛(300)의 회전여부가 결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가이드유닛(400) 중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캠구조부재(420)를 따라 이동(도 3의 화살표 B 참조)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가이드팔로우유닛(330)에는 래크(3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이동에 연동되어 래크(3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래크(340)는 피니언(350)에 연결되므로, 래크(340)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 피니언(350)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피니언(350)은 버킷유닛(300)이 결합되는 회전축(310)에 연결되므로, 피니언(35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버킷유닛(30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버킷유닛(300)에 구동력의 제공없이, 회전몸체(200)가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버킷유닛(30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캠구조부재(42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버킷유닛(300)은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180°회전하게 되므로, 물품(600)은 비반전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캠구조부재(420)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판(410)의 둘레을 따라 이동(도 4의 화살표 C 참조)하면, 도 4를 기준으로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은 동일한 위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캠구조부재(420)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판(41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에 연결된 래크(340)는 직선운동을 하지 않으며, 또한, 래크(340)에 연결된 피니언(350)도 회전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350)에 연결된 회전축(310) 역시 회전하지 않으므로, 버킷유닛(300)은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은 형태로 물품(600)을 이송하게 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캠구조부재(420)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판(41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버킷유닛(300)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물품(600)은 반전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물품(600)의 반전 이송과 비반전 이송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추가설비의 제공없이도 규칙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경우까지도 용이하게 물품(600)을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캠구조부재(420)를 통해 형성되는 원주길이와, 원형판(410) 중 캠구조부재(420) 내부에 형성되는 원주길이는 상이한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과 래크(3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70)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전술한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경로 선택시,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원형판(410) 또는 캠구조부재(420)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팔로우유닛(330)에는 실린더(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실린더(미도시)를 통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가이드팔로우유닛(330)가 전술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래크(340)가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경우 래크(34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버킷유닛(300)에는 탄성부재(36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한 후, 다시 높이가 감소하도록 마련되는 캠구조부재(42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캠구조부재(420)의 높이가 감소하게 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캠구조부재(420)에 계속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기 위해, 가이드팔로우유닛(330) 또는 래크(340)에 캠구조부재(420) 방향으로의 힘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여기서, 버킷유닛(300)에는 가이드팔로우유닛(330) 또는 래크(340)에 탄성회복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3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탄성부재(360)는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반전 장치(100)에 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물품(600)이 비반전된 형태로 이송되어져야 하는 경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로부터 버킷유닛(300)을 향해 물품(600)이 이송된다.
여기서, 버킷유닛(300) 중 복수의 다리부재(320)에는 물품(600)이 안착될 수 있는 상부커버(321) 및 하부커버(3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로부터 이송된 물품(600)이 상부커버(321) 및 하부커버(322)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유입된 후 안착된다.
그리고, 상부커버(321) 및 하부커버(322) 사이에 물품(600)이 안착되면, 회전몸체(200)가 도 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몸체(200)에 회전축(310)을 통해 결합된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서 시작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할 때까지 버킷유닛(30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회전하게 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실린더(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캠구조부재(420)측으로 옮겨져 캠구조부재(42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상부에서 좌측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때, 가이드팔로우유닛(330)에는 래크(3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의 이동에 연동되어 래크(340)도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래크(340)에는 피니언(350)이 연결되어 있는데, 래크(340)의 직선운동에 따라 피니언(350)이 회전운동하게 되므로, 피니언(350)에 연결된 회전축(310) 및 버킷유닛(300)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버킷유닛(300)이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서 시작해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할 때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회전하게 되므로, 물품(600)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할 때에는,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 유입될 때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배열된다.
즉, 도 1에서처럼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물품(600)은 비반전형태로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하게 된다.
이후, 회전몸체(200)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올려진 물품(600)이 다른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물품(600)이 반전된 형태로 이송되어져야 하는 경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로부터 버킷유닛(300)을 향해 물품(600)이 이송되고, 여기서, 버킷유닛(300) 중 복수의 다리부재(320)에 형성된 상부커버(321) 및 하부커버(322) 사이에 물품(600)이 안착된 후, 회전몸체(200)가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은 전술한 비반전 형태의 물품(600) 이송과 공통된다.
여기서, 회전몸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버킷유닛(30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이 실린더(미도시)의 구동력에 의해 캠구조부재(420)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판(410)으로 옮겨진 후, 캠구조부재(420)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판(41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팔로우유닛(330)에 연결된 래크(340)는 직선운동을 하지 않으며, 또한, 래크(340)에 연결된 피니언(350)도 회전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버킷유닛(300)이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서 시작해 가이드유닛(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할 때까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물품(600)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할 때에는, 물품 유입 컨베이어(510)에 유입될 때의 위치와 반전된 위치로 배열된다.
즉, 도 2에서처럼 버킷유닛(300)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면, 물품(600)은 반전형태로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도착하게 된다.
이후, 회전몸체(200)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면, 물품 유출 컨베이어(520)에 올려진 물품(600)이 다른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물품 반전 장치 200 : 회전몸체
300 : 버킷유닛 310 : 회전축
320 : 다리부재 321 : 상부커버
322 : 하부커버 330 : 가이드팔로우유닛
340 : 래크 350 : 피니언
360 : 탄성부재 400 : 가이드유닛
410 : 원형판 420 : 캠구조부재
421 : 둘레부 500 : 컨베이어
510 : 물품 유입 컨베이어 520 : 물품 유출 컨베이어
600 : 물품
300 : 버킷유닛 310 : 회전축
320 : 다리부재 321 : 상부커버
322 : 하부커버 330 : 가이드팔로우유닛
340 : 래크 350 : 피니언
360 : 탄성부재 400 : 가이드유닛
410 : 원형판 420 : 캠구조부재
421 : 둘레부 500 : 컨베이어
510 : 물품 유입 컨베이어 520 : 물품 유출 컨베이어
600 : 물품
Claims (11)
- 동력원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회전축을 통해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기초하여 비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거나, 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는 버킷유닛; 및
상기 버킷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킷유닛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유닛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비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고,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반전 형태로 물품을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회전몸체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원형판; 및
상기 원형판의 둘레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되,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마련되는 캠구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조부재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한 후, 다시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조부재의 둘레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유닛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팔로우유닛;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는 래크; 및
상기 래크에 연결되고, 상기 버킷유닛에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래크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버킷유닛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피니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가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래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상기 버킷유닛에는 탄성회복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이 상기 원형판 또는 상기 캠구조부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팔로우유닛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유닛의 근접한 위치에는 물품을 자동으로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유닛은 복수의 다리부재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격된 간격을 통해 상기 버킷유닛이 상기 컨베이어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재에는 물품이 안착될 수 있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반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5043A KR101396225B1 (ko) | 2012-12-27 | 2012-12-27 | 물품 반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5043A KR101396225B1 (ko) | 2012-12-27 | 2012-12-27 | 물품 반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6225B1 true KR101396225B1 (ko) | 2014-05-19 |
Family
ID=5089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5043A KR101396225B1 (ko) | 2012-12-27 | 2012-12-27 | 물품 반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62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588B1 (ko) * | 2016-12-26 | 2017-11-06 | 이래용 | 포장용기 반전장치가 포함된 자동 포장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702618A (ko) * | 1995-03-02 | 1998-08-05 | 올리비에 프란시스 | 플라스틱 프리폼의 취입성형에 의한 용기제조장치 |
JPH10338342A (ja) * | 1997-06-05 | 1998-12-22 | Shibuya Mach Kk | 回転式物品移送装置 |
JP2012096861A (ja) * | 2010-10-29 | 2012-05-24 | Shibuya Kogyo Co Ltd | 集積移送装置 |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5043A patent/KR1013962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702618A (ko) * | 1995-03-02 | 1998-08-05 | 올리비에 프란시스 | 플라스틱 프리폼의 취입성형에 의한 용기제조장치 |
JPH10338342A (ja) * | 1997-06-05 | 1998-12-22 | Shibuya Mach Kk | 回転式物品移送装置 |
JP2012096861A (ja) * | 2010-10-29 | 2012-05-24 | Shibuya Kogyo Co Ltd | 集積移送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3588B1 (ko) * | 2016-12-26 | 2017-11-06 | 이래용 | 포장용기 반전장치가 포함된 자동 포장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93649B (zh) | 多方向的辊组件 | |
CN102405691B (zh) | 用于输送待处理的扁平材料的方法、保持装置、设备和系统以及装载或卸载设备 | |
JP6649383B2 (ja) | ローラアセンブリを備えたコンベヤシステム | |
KR101310837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 |
ITBO20060377A1 (it) | Convogliatore rotante. | |
SI3066043T1 (en) | Procedure and containers machine tool for the treatment of containers | |
EP1915305A1 (en) | Carousel for the warehousing of goods | |
JP7385587B2 (ja) | パッケージング機械における連続循環容器コンベア装置 | |
JP5129951B2 (ja) | パレット搬送装置 | |
KR101396225B1 (ko) | 물품 반전 장치 | |
KR101368279B1 (ko) |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 |
WO2007049145A1 (en) | Handling system for containers for feeding parcelling machines | |
CN201321266Y (zh) | 一种水平垂直双向精确定位输送机 | |
JP6109509B2 (ja) | 物品整列供給装置 | |
KR20120114113A (ko) | 롤러체인 컨베이어 | |
KR101346277B1 (ko) | 컨베이어 가이드 이송 장치 | |
US9828122B2 (en) | Container filling apparatus | |
US11745955B2 (en) | Product engagement system for grouping and moving containers,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
JP5915883B2 (ja) | 物品仕分方法と物品仕分装置 | |
KR100499355B1 (ko) |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 |
JP2006273364A (ja) | 容器整列装置、及び容器整列方法 | |
KR100681876B1 (ko) | 자동 이송장치 | |
US20140014478A1 (en) | Method and transport device for returning empty packaging, particularly bottles and cans | |
CN108698721B (zh) | 用于容器消毒设备的运输组 | |
JP6429879B2 (ja) | 搬送輪ならびに搬送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