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9355B1 -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9355B1
KR100499355B1 KR10-2002-0058500A KR20020058500A KR100499355B1 KR 100499355 B1 KR100499355 B1 KR 100499355B1 KR 20020058500 A KR20020058500 A KR 20020058500A KR 100499355 B1 KR100499355 B1 KR 10049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rotating
cotton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877A (ko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농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농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3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5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컵라면과 같은 면용기(1)들을 포장상자(100)에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낱개 포장된 면용기(1)가 일련의 이송과정에서 면용기(1)들의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좌,우가 자동으로 서로 엇바꿈되어 배열된 뒤 최종적으로 포장상자(100) 내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noodles vessel}
본 발명은 컵라면과 같은 면용기들을 포장상자에 자동으로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낱개 포장된 면용기가 일련의 이송과정에서 면용기들의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좌,우가 자동으로 서로 엇바꿈되어 배열된 뒤 최종적으로 포장상자 내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식품인 면류를 제조하는 회사 등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 작업인원의 수급 등의 어려움이 발생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컵라면과 같은 식품의 면용기들을 박스에 포장하는 공장에서는 포장공정을 자동화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면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에 생산되는 통상의 면용기(1)는 높이 및 크기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모두가 용기를 개봉하는 상부가 넓고 바닥면 즉,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상기 면용기(1)들이 포장상자(100)내에 수용될 때 포장상자(100)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포장상자(100)의 크기를 최대한 축소하고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립 및 도립상태에서 면용기(10의 같은 부위가 상하로 접하고 좌우가 서로 엇갈리게 접하도록 포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정수의 열(늘어선 줄)과 오(앞뒤로의 한 조)를 이루는 면용기(1)들이 포장상자(100)내에 상하 다단으로 포장되게 되는데, 도면에서는 3열, 5오를 이루면서 2단으로 포장상자(100)내에 포장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면용기(1)와 포장상자(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포장단위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근래에 상기와 같은 면용기의 포장공정은 점차 자동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인 포장을 위해 면용기(1)들을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좌.우가 서로 엇바꿈되도록 하여 포장상자(100)내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면용기(1)들을 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근래 상기 면용기(1)들이 서로 엇바꿈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장치가 일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포장단위에 따른 호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낱개 포장된 면용기가 일련의 이송과정에서 면용기들의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좌,우가 자동으로 서로 엇바꿈되어 배열된 뒤 최종적으로 포장상자 내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낱개 포장된 복수개의 면용기를 그의 뚜껑부분이 이송라인에 재치되게 하여 연속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면용기들을 일정각도 좌우 회동하는 가이드편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유로가이드판을 따라 다열로 분배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분배부와, 상기 복수개의 유로가이드판에 의해 안내되어 공급되는 각 열의 면용기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킨 뒤 이동되도록 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면용기들의 좌우 및 앞뒤의 간격을 바르게 정렬함과 아울러 각 열의 면용기가 일정수가 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일정 포장단위의 면용기들을 다수의 흡착구가 구비된 흡착수단이 흡착하여 별도로 공급되는 포장상자내에 담아질 수 있도록 하는 포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반전부는 상기 유로가이드판에 의해 분배된 면용기들을 이동시키도록 다수개로 분할된 각 분할벨트의 좌우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회전원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각 회전원판의 내측면상에서 서로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방향을 향해 수직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받침브라켓트와, 상기 각 회전원판의 중앙부에서 회전원판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가스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토퍼가 구비되는 고정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원판의 외측면상에 고정 구비되고 그 둘레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의 하측 수직선상에 피동기어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종속기어와, 상기 종속기어와 역시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원판이 설치된 각 분할벨트의 선단부에는 공급되는 면용기를 정지 및 통과시키기 위한 걸림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분할벨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가스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그 양측면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랙기어부에 각각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중심에 고정된 채로 상부로 수직 연장된 중심축의 일측에 상기 중심축과 수직되게 고정 부착되어 상기 중심축이 회전됨에 따라 분할벨트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된 각 받침브라켓트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된 선상에 위치한 회전원판 원주면에는 감지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회전원판의 중심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된 선상의 회전원판 원주면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의 반전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의 반전부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는 컵라면 등과 같이 면과 스프류를 담은 면용기(1)가 일차로 낱개 포장된 상태에서 포장상자(100)에 포장하기 위하여 이송라인(4)에 의해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면용기(1)의 뚜껑부분이 바닥면에 재치되도록 하여 공급하는 공급부(A)와, 상기 공급부(A)에서 공급되는 면용기(1)들을 다열로 분배하는 분배부(B)와, 상기 면용기(1)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키는 반전부(C)와, 상기 반전부(C)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면용기(1)들을 정렬하는 정렬부(D)와, 상기 면용기(1)들이 이동후 정지될 때 흡착하여 포장상자(100)에 담는 포장부(E)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라인(4)은 다수의 구동모터 및 센서들에 의하여 후술되는 공급부(A), 분배부(B), 반전부(C), 정렬부(D)까지 이어져 면용기(1)를 이송 및 정지되는 동작을 반복적/연속적으로 행하게 되며, 이러한 이송라인(4)의 이송 및 정지동작을 제어하는 전기적장치 및 기계적장치는 이미 자동이송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생략하고, 또 이송라인(4)의 길이 및 면용기(1)의 포장단위에 따라 다수개로 분할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상기 공급부(A)에는 낱개 포장된 면용기(1)들의 뚜껑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일정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송벨트(6)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벨트(6)의 끝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이송벨트(6) 사이를 가로질러 걸림롤러(8)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벨트(6)에 걸려 그 뚜껑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이송되는 면용기(1)들은 이송벨트(6)의 끝단부에서 낙하될 때, 상기 걸림롤러(8)에 면용기(1)들의 바닥부위가 걸리면서 반전되어 면용기(1)들은 그의 뚜껑부분이 이송라인(4)에 재치된 상태로 계속해서 이동되게 된다.
상기 공급부(A)를 통과한 면용기(1)들은 이송라인(4)을 따라 계속해서 분배부(B)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분배부(B)의 선단부에는 가스실린더(10)의 작동에 의해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가이드편(12)이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면용기(1)들을 상기 가이드편(12)이 좌우로 회동하면서 이송라인(4)의 좌,우측으로 분배하게 된다.
이는 면용기(1)가 포장상자(100)에 담아지는 포장단위에 따라 면용기(1)를 다열로 분배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가이드편(12) 동작에 의해 면용기(1)들은 2열로 나뉘어 분배되며, 상기 2열로 분배되어 이송되는 각 렬의 이송라인(4)상에 또 다시 좌우 회동이 가능한 가이드편(12)이 설치 구비됨으로써 상기 공급부(A)를 통해 공급되는 면용기(1)들을 원하는 만큼의 열로 분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단부와 후단부에 2단의 가이드편(12)이 설치되어 총 4열로 분배 가능한 구조를 일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편(12)의 회동을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3열로 분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편(12)의 좌우 회동에 의해 다열로 분배되는 면용기들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편(12)의 후측에는 이송라인(4)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유로가이드판(14)이 설치되어 면용기(1)들의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분배부(B)에서 가이드편(12)에 의해 다열로 분배된 뒤 유로가이드판(14)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되는 면용기(1)들은 계속해서 반전부(C)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반전부(C)에는 상기 유로가이드판(14)에 의해 안내되는 각 열의 면용기(1)들을 이동시키도록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벨트(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분할벨트(20)의 선단부에는 분배부(B)에서 공급되는 면용기(1)를 정지 및 통과시키기 위한 걸림수단이 구비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분할벨트(2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가스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이동부재(24)와, 상기 이동부재(24)의 양측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26)와, 상기 피니언기어(26)의 중심축(27) 일측에 고정 부착되는 걸림편(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24)는 가스실린더(22)에 결합되어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기어치를 갖는 랙기어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24)의 양측면에 형성된 랙기어부(23)에는 피니언기어(26)가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24)가 전후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26)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26)의 중심축(27)은 상부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분할벨트(20)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놓이게 되며, 상기 각 중심축(27)의 상부 일측에는 중심축(27)과 수직된 방향으로 걸림편(28)이 고정 부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스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이동부재(24)가 전후 이동하면, 그 양측면의 랙기어부(23)에 맞물린 피니언기어(26)가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그 중심축(27)이 회전되게 되고, 중심축(27)의 상부 일측에 부착된 걸림편(28)은 분할벨트(20)의 양측면부에서 내,외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즉, 상기 걸림편(28)이 분할벨트(20)의 내측으로 회동된 경우에는 상기 분할벨트(20)를 따라 이동되는 면용기(1)의 진로를 막아 면용기(1)의 공급을 정지시키게 되고, 상기 걸림편(28)이 분할벨트(2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양측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면용기(1)를 통과시켜 계속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걸림수단 후측에는 각 분할벨트(20)의 좌우 양측부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회전원판(3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원판(30)은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부재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30)의 외측면상에 고정 구비되는 피동기어(32)와, 상기 피동기어(3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속기어(34) 및 구동기어(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속기어(34)는 상기 피동기어(32)의 하측 수직선상에 구비되어 피동기어(32)와 제2 타이밍벨트(39)에 의해 연결되고, 계속해서 상기 종속기어(34)는 구동모터(35)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기어(36)와 제1 타이밍벨트(38)에 의해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모터(35)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어(36)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은 제1 타이밍벨트(38) 및 제2 타이밍벨트(39)에 의해 종속기어(34) 및 피동기어(32)로 전달되게 되며, 상기 피동기어(32)가 회전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회전원판(30)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벨트(20)의 양측면부에 위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30)의 내측면상에는 서로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방향을 향해 수직 돌출되도록 한쌍의 받침브라켓트(40)가 고정 부착된다.
상기 한쌍의 받침브라켓트(4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을 이루도록 회전원판(30)의 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부착되며, 서로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원판(30)의 내측면상에는 복수의 결합공(43)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브라켓트(40)는 결합부재(42)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결합공(43)에 택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30)의 중앙부에는 회전원판(30)과의 사이에 베어링(45)을 매개로 고정원판(48)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원판(48)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원판(48)의 둘레를 따라 회전원판(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원판(48)의 중심부에는 가스실린더(50)의 작동에 의해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토퍼(52)가 고정원판(48)의 내측을 향한 상태로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스실린더(5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52)는 고정원판(48)으로부터 인출되어 분할벨트(2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된다.
상기 회전원판(30)에 고정 부착된 한쌍의 받침브라켓트(40)는 면용기(1)가 이동되는 분할벨트(20)에 대해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원판(30)의 위치가 제어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원판(30)의 중심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된 선상의 회전원판(30) 원주면(31) 상측에는 위치감지센서(5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센서(5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감지부재(54)가 각 받침브라켓트(40)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된 선상에 위치한 회전원판(30)의 원주면(31)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원판(30)이 회전하여 그 원주면(31)상에 부착된 상기 감지부재(54)가 위치감지센서(56) 설치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회전원판(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5)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회전원판(30)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원판(30)의 원주면(31)에 부착된 감지부재(54)가 위치감지센서(56)의 위치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면 회전원판(30)의 내측면에 부착된 각 받침브라켓트(40)는 분할벨트(20)에 대해 각각 평행을 유지하며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원판(30)은 분할벨트(20)의 양측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작동하게 되므로, 외관이나 안전상의 이유로 그 양측으로 외부케이스(58)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보호케이스(5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케이스(59)는 상기 회전원판(30)의 작동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원판(30)이 설치된 부위를 지난 면용기(1)는 계속해서 분할벨트(20)를 따라 이동하여 정렬부(D)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정렬부(D)는 분할벨트(20)의 유로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수단(70a,70b)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수단(70a,70b)은 앞서 설명한 반전부(C)에 설치된 걸림수단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할벨트(20)의 양측면부에서 내외측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걸림편에 의해 분할벨트(20)를 따라 공급되는 면용기(1)를 정지 및 통과시키게 되며, 그 작동구조는 반전부(C)의 그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실시예에 의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할벨트(20)의 유로상에 설치된 걸림수단(7Oa,70b)의 작동에 의해 각 열의 분할벨트(20)를 따라 공급되는 면용기(1)를 일정수가 되도록 조절하여 계속해서 다음 단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면용기(1)들의 좌우 및 앞뒤의 간격을 바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렬부(D)에서 일정수 및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포장단위로 공급되는 면용기(1)들은 계속해서 포장부(E)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포장부(E)에는 다수개의 흡착구(80)가 구비된 흡착수단(8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흡착수단(82)에 구비된 다수개의 흡착구(80)는 면용기(1)의 뚜껑 및 바닥면을 에어의 흡착에 의하여 흡착하며, 상기 흡착된 면용기(1)들은 이송라인(4)의 측면부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포장상자(100)측으로 이동되어 담아지게 된다.
상기 흡착수단(82)은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상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는 공급부(A), 분배부(B), 반전부(C), 정렬부(D), 포장부(E)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면과 스프류 등이 담아진 면용기(1)는 외부에 합성수지 표피가 열수축되는 과정을 통해 낱개 포장된 뒤 이송라인(4)을 따라 상기 공급부(A)로 공급되며, 공급부(A)에 구비된 이송벨트(6)와 걸림롤러(8)에 의해 그 뚜껑부분이 이송라인(4)에 재치된 상태로 이송라인(4)을 따라 자동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공급부(A)에서 공급되는 면용기(1)들은 분배부(B)의 선단에 설치된 가이드편(12)에 의해 분배되는 과정을 통해 다열로 분배되며, 다열로 나뉘어진 면용기(1)들은 각각 유로가이드판(14)에 안내되어 이동되게 된다.
상기 분배부(B)에서 다열로 분배된 면용기(1)들은 계속해서 반전부(C)로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반전부(C)에서는 포장상자에 적재되는 포장방법에 맞춰 면용기(1)들이 상호 교호적으로 엇바꿈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인 포장을 위해 면용기(1)들은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좌,우 가 서로 엇바꿈되도록 포장상자(100)내에 담겨지게 되며, 이를 위해 각 열의 분할벨트(20)를 지나는 면용기(1)들은 상호 교호적으로 상,하 위치가 반전되게 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분할벨트(20)를 따라 이동되는 면용기(1)들 중 하나는 그 뚜껑부분이 분할벨트의 바닥면에 재치된 상태로 그대로 이동되고, 뒤이어 이동되는 다른 하나의 면용기(1)는 분할벨트(20)의 양측면부에 설치된 회전원판(30)이 180°회전됨에 따라 그 내측면에 고정 부착된 받침브라켓트(40) 중 하측에 위치하는 받침브라켓트(40)에 의해 면용기(1)의 뚜껑부분이 상부로 위치되고 그 바닥부분이 분할벨트(20)에 재치되도록 상,하 반전된다.
즉, 상기 면용기(1)들이 상기 회전원판(30)이 설치된 부위를 지날 때, 면용기(1)들 중 하나는 그대로 통과하여 계속해서 분할벨트(20)를 따라 이동되고, 뒤이어 이동되는 면용기(1)는 고정원판(48)의 중심부에 설치된 스토퍼(52)가 가스실린더(50)의 작동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걸리게 된다.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면용기(1)가 걸려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원판(30)이 180°회전하게 되면, 회전원판(30)의 내측 하부에 고정 부착된 받침브라켓트(40)가 면용기(1)의 바닥부분을 들어올리면서 반전시키게 된다.
상기 반전된 면용기(1)는 계속해서 분할벨트(20)를 따라 이동되고, 뒤이어 상기 회전원판(30)이 설치된 부위로 이동되는 면용기(1)는 상기 스토퍼(52)가 고정원판(48)의 안쪽으로 인입됨에 따라 다시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반전부(C)를 지나는 각 열의 면용기(1)들은 상호 교호적으로 그 상,하 위치가 엇바꿈된 상태로 분할벨트(20)를 따라 계속해서 다음 정렬부(D)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전부(C)의 선단에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원판(30)이 설치된 측으로 공급되는 면용기(1)의 수량 등을 적당히 조절 가능하게 됨에 따라 상기 회전원판(30)의 회전에 의한 면용기(1)의 반전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면용기(1)들은 각 열방향 뿐만 아니라 각 오방향에 대해서도 상호 엇바꿈되도록 배열되어야 하는데, 이는 각 열에 설치된 회전원판(30)의 회전동작이 상호 엇갈리도록 제어됨으로써 실현 가능하게 되며, 여기서 그 제어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반전부(C)를 지나면서 열방향 및 오방향에 대해 서로 엇바꿈되어 공급되는 면용기(1)들은 정렬부(D)로 공급된 뒤, 정렬부(D)에 설치된 다수개의 걸림수단(70a,70b)에 의해 각 오방향의 면용기(1) 수량를 조절하여(열방향의 면용기 수량은 분배부에서 결정됨) 일정 포장단위의 면용기(1)들이 계속해서 포장부(E)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정렬부(D)에서 공급되는 일정 포장단위의 면용기(1)들은 흡착수단(82)의 흡착구(80)에 의해 흡착되어 별도로 공급되는 포장상자(100) 측으로 이동된 뒤 포장상자(100)내에 자동으로 담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에 의하면, 낱개 포장된 면용기가 일련의 이송과정에서 면용기들의 열방향 및 오방향에서 상,하,좌,우가 자동으로 서로 엇바꿈되어 배열된 뒤 최종적으로 포장상자 내에 포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에 따른 모든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면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의 반전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의 반전부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공급부 B : 분배부
C : 반전부 D : 정렬부
E : 포장부 1 : 면용기
4 : 이송라인 8 : 걸림롤러
12 : 가이드편 14 : 유로가이드판
20 : 분할벨트 30 : 회전원판
40 : 받침브라켓트 48 : 고정원판
52 : 스토퍼 56 : 위치감지센서
82 : 흡착수단 100 : 포장상자

Claims (5)

  1. 삭제
  2. 개별적으로 낱개 포장된 복수개의 면용기를 그의 뚜껑부분이 이송라인에 재치되게 하여 연속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면용기들을 일정각도 좌우 회동하는 가이드편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유로가이드판을 따라 다열로 분배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분배부와; 상기 복수개의 유로가이드판에 의해 안내되어 공급되는 각 열의 면용기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킨 뒤 이동되도록 하는 반전부와; 상기 반전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면용기들의 좌우 및 앞뒤의 간격을 바르게 정렬함과 아울러 각 열의 면용기가 일정수가 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정렬부와; 상기 정렬부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일정 포장단위의 면용기들을 다수의 흡착구가 구비된 흡착수단이 흡착하여 별도로 공급되는 포장상자내에 담아질 수 있도록 하는 포장부로 이루어진 면용기 포장장치 있어서,
    상기 반전부는, 상기 유로가이드판에 의해 분배된 면용기들을 이동시키도록 다수개로 분할된 각 분할벨트의 좌우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회전원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각 회전원판의 내측면상에서 서로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 방향을 향해 수직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받침브라켓트와;
    상기 각 회전원판의 중앙부에서 회전원판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가스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토퍼가 구비되는 고정원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원판의 외측면상에 고정 구비되고 그 둘레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의 하측 수직선상에 피동기어와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종속기어와;
    상기 종속기어와 역시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동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이 설치된 각 분할벨트의 선단부에는 공급되는 면용기를 정지 및 통과시키기 위한 걸림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분할벨트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가스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그 양측면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랙기어부에 각각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중심에 고정된 채로 상부로 수직 연장된 중심축의 일측에 상기 중심축과 수직되게 고정 부착되어, 상기 중심축이 회전됨에 따라 분할벨트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된 각 받침브라켓트의 중심부에서 수직 연장된 선상에 위치한 회전원판 원주면에는 감지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재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회전원판의 중심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된 선상의 회전원판 원주면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KR10-2002-0058500A 2002-09-26 2002-09-26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KR10049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500A KR100499355B1 (ko) 2002-09-26 2002-09-26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500A KR100499355B1 (ko) 2002-09-26 2002-09-26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877A KR20040026877A (ko) 2004-04-01
KR100499355B1 true KR100499355B1 (ko) 2005-07-04

Family

ID=3732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500A KR100499355B1 (ko) 2002-09-26 2002-09-26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3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337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두부용 낱개 포장용기의 자동 포장시스템
KR102179336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자동 포장시스템용 두부 포장용기 반전장치
KR20210071433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정렬 시스템
KR20210071430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업사이드 다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74B1 (ko) * 2012-03-27 2013-12-02 진견영 스프 분배 공급장치
KR101867992B1 (ko) * 2016-11-14 2018-07-23 (주)메카테크시스템 컵용기 포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33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정렬 시스템
KR20210071430A (ko) 2019-12-06 2021-06-16 정진석 포장용기의 업사이드 다운장치
KR102179337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두부용 낱개 포장용기의 자동 포장시스템
KR102179336B1 (ko) 2020-07-02 2020-11-16 이래용 자동 포장시스템용 두부 포장용기 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877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0876B2 (ja) 薬剤フィーダ
EP0797525B1 (en) System for feeding articles to blisters of a blister band
EP3316846B1 (en) Medicine feeding canister for an automat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EP2671807B1 (en) A device for transferring pharmaceutical articles from a counter to continuously advancing containers
KR100499355B1 (ko) 면용기 자동 포장장치
KR102299616B1 (ko) 삼면 포장기
CN105620820B (zh) 高速袋整列装盒落仓机构
CN109353591A (zh) 一种食品包装设备的工作方法
KR20150141799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EP1992562A1 (en) Unit for forming groups of products for packaging lines and related method
US3477557A (en) Container moving and metering apparatus
EP3221219B1 (en) A plant for packaging products inside respective containers
JP3620611B2 (ja) 自動充填包装装置
JP4088882B2 (ja) 物品搬送装置
KR10055782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 공급장치
SU76543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садки паковок к аппарату дл жидк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д давлением
WO2014029855A1 (en) Conveyor and method for rotating a product
CN111959897B (zh) 一种一机多用带整形功能的落差式装箱机
CN211519997U (zh) 一种药剂包装装置的锭剂分配器
EP43200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products in boxes
SU14935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зделий в полочные контейнеры
CN207243421U (zh) 一种双头全自动灌装机
JP2003081225A (ja) 個装袋の分配装置
KR20150141800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KR20190052873A (ko) 카드형 방습제 자동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