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150B1 -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150B1
KR101396150B1 KR1020120099704A KR20120099704A KR101396150B1 KR 101396150 B1 KR101396150 B1 KR 101396150B1 KR 1020120099704 A KR1020120099704 A KR 1020120099704A KR 20120099704 A KR20120099704 A KR 20120099704A KR 101396150 B1 KR101396150 B1 KR 10139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fixing
unit
tens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358A (ko
Inventor
이병수
문성일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20099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1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챔버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챔버에 설치된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인원과 작업 공수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ENSION OF DIAPHRAGM}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미네이트 장치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조절하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가 배열된 유리기판 위에 충진재 및 보호시트가 적층되어 밀봉되는 형태로 제조된다.
충진재는 태양전지와 보호시트층의 접착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습기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시트는 태양전지 및 충진재가 충격, 습기, 산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화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태양전지 모듈은 충진재와 우리기판 등을 적층한 피라미네이트체를 라미네이트 장치의 내부로 이송시켜 진공, 가압 및 가열에 의한 압착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41592호(2008년 5월 13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라미네이트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는: 챔버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챔버에 설치된 상기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상기 조절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위치가 조절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다이어프램의 장력이 커지도록 당기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챔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챔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챔버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인원과 작업 공수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의 장력 조절 작업이 정량적인 수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의 장력 조절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되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하기 위해 충진재와 유리기판 등을 적층한 피라미네이트체(미도시)를 압착하는 라미네이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 장치는 상부챔버(10)와 하부챔버(미도시)를 포함하고,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상부챔버(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1)은 평상시 수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라미네이트 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상부챔버(10)와 하부챔버 간의 압력차로 인해 팽창되면서 피라미네이트체를 가압한다. 그리고 라미네이트 장치의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수축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어프램(1)은 상부챔버(10)의 하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부챔버(10)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1)은 상부챔버(10)의 하부면과 마주보는 일측면이 상부챔버(10)의 하부면에 지지된다. 또한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부챔버(10)의 하부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경계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챔버(10)의 측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고정부(110)와, 조절부(120)와, 안내부(130) 및 고정프레임부(14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챔버, 즉 상부챔버(10)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1)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10)는 상부챔버(10)의 측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고정부(110)는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고정부(110)는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고정부(110)는 상부챔버(10)의 측부 측으로 절곡된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을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다이어프램(1)을 상부챔버(10) 상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10)는 베이스부(111)와 클램핑부(1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구비되되, 상부챔버(10)의 측부와 마주보는 다이어프램(1)의 일측면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11)는 클램핑부(115)와 함께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고정시키며, 후술할 조절부(120)의 동작에 연동되어 위치가 조절된다.
클램핑부(115)는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구비되되, 다이어프램(1)의 일측면의 반대측 면인 다이어프램(1)의 타측면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클램핑부(115)는 다이어프램(1)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111)와 결합됨으로써, 베이스부(111)와 클램핑부(115) 사이에 위치된 다이어프램(1)을 고정시킨다.
아울러, 고정부(110)는 가압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17)는 클램핑부(115)를 베이스부(111)에 결합시키며, 클램핑부(115)를 베이스부(1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다이어프램(1)이 베이스부(111)와 클램핑부(115) 사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부(120)는 고정부(110)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챔버, 즉 상부챔버(10)에 설치된 다이어프램(1)의 장력을 조절한다. 조절부(120)는 고정부(110)와 대응되도록 상부챔버(10)의 측부 측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각각의 조절부(120)는 이동부(121)와 위치조절부(125)를 포함한다.
이동부(121)는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구비되며, 고정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111)와 결합된다. 이동부(121)는 위치조절부(12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위치조절부(125)의 동작에 연동되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121)는,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고정부(110)를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상부챔버(10)에 설치되어 고정부(110)에 의해 고정된 다이어프램(1)의 장력이 커지도록 다이어프램(1)을 당기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되며, 제2방향은 제1방향과 반대 방향, 즉 다이어프램(1)의 장력이 작아지도록 다이어프램(1)을 느슨하게 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방향은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인 것으로 예시되며, 제2방향은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인 것으로 예시된다.
위치조절부(125)는 이동부(121)와 마찬가지로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구비되며, 이동부(121)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이동부(12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조절부(125)는 원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위치조절부(125)는 그 길이 방향이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며,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부(121)는 위치조절부(125)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일례로서, 이동부(121)와 위치조절부(125)는, 이동부(121)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부호생략)과 위치조절부(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호생략) 간의 나사 결합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121)와 위치조절부(125)의 결합 관계에 따르면, 이동부(121)는 위치조절부(125)의 일 방향 회전시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위치조절부(125)의 타 방향 회전시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형태로 그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부(121)는, 베이스부(111)를 통해 이동부(121)에 결합된 고정부(110)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시키며 고정부(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121)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고정부(110)는,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며 다이어프램(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안내부(130)는 고정부(110)의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부(130)는 고정부(110)와 대응되도록 상부챔버(10)의 측부 측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안내부(130)는 안내봉(131) 및 슬라이딩부재(13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각각의 안내부(130)는 그 길이 방향이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안내봉(131)을 포함한다. 이 한 쌍의 안내봉(131)은 조절부(120)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슬라이딩부재(135)는 각각의 안내봉(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135)는 베이스부(111)와의 결합을 통해 고정부(110)와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35)는 고정부(110)를 양측에서 지지하면서 고정부(110)의 이동을 안내한다.
고정프레임부(140)는 다이어프램(1)을 상부챔버(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프레임부(140)는 프레임부(141)와 프레임고정부(145)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41)는 다이어프램(1)을 상부챔버(10)에 고정시킨다. 프레임부(141)는 상부챔버(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챔버(10)의 하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부(141)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프레임부(141)는 다이어프램(1)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부챔버(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다이어프램(1)을 상부챔버(10)에 고정시킨다. 다이어프램(1)은 이러한 프레임부(141)에 의해 상부챔버(10)의 하부 측에 고정되며, 이와 같이 상부챔버(10)의 하부 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부(14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프레임부(141)의 외부, 즉 상부챔버(10)의 하부 측으로 노출된다.
프레임고정부(145)는 프레임부(141)가 상부챔버(10)에 밀착되도록 프레임부(141)를 상부챔버(10) 상에 고정시킨다. 프레임고정부(145)는 프레임부(141)를 상부챔버(10) 상에 고정시키거나 그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고정부(145)의 고정 및 고정해제 동작을 위한 구성은 당업자가 충분히 구현 가능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위치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표시부(150)는 상부챔버(10)의 측면에 이동부(121)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는 눈금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위치표시부(150)는 위치조절부(125)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는 눈금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위치표시부(150)는 작업자가 이동부(121)의 위치에 해당되는 눈금을 보고 이동부(121)의 위치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위치표시부(150)를 통해 고정부(110)가 어느 정도 이동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0)의 이동 정도와 다이어프램(1)의 장력 변화가 비례한다고 가정하면, 상기와 같이 위치표시부(150)에 의해 파악되는 고정부(110)의 이동 거리를 통해 다이어프램(1)의 장력 변화를 수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치표시부(150)는 고정부(110)의 위치 조절 및 이에 따른 다이어프램(1) 장력 변화가 수치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의 장력 조절이 정량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표시부(150)를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다이어프램(1)의 장력 조절 작업이 정량적인 수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1)의 장력 조절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되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이어프램(1)은 고정프레임부(140)에 의해 상부챔버(10)의 하부 측에 고정됨으로써, 상부챔버(1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부챔버(10)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부챔버(10)의 하부면과 측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경계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챔버(10)의 측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곡된 다이어프램(1)의 가장자리 부분은 고정부(11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부챔버(10)의 측부 측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은 상부챔버(10) 상에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다이어프램(1)이 상부챔버(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절부(120)의 조작을 통해 고정부(1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이어프램(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125)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부(121)는 위치조절부(125)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이동부(121)의 위치가 조절되면, 베이스부(111)를 매개로 이동부(121)와 결합된 고정부(110)는 이동부(121)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10)의 위치가 조절됨에 따라, 고정부(110)에 고정된 다이어프램(1)은 고정부(110)에 의해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은 팽팽하게 당겨져 장력이 커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부(110)의 위치는 위치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는 이동부(121)의 위치를 통해 파악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이와 같이 파악된 고정부(110)의 위치를 통해 다이어프램(1)의 장력 변화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이동부(121)를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부(1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이어프램(1)의 장력을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다이어프램(1)을 상부챔버(10)의 측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이어프램(1)을 분리시키거나 재조립할 필요 없이 조절부(120)의 조작만으로 다이어프램(1)의 장력 조절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100)는, 다이어프램(1)의 장력을 조절하는데 소요되는 인원과 작업 공수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이어프램(1)의 장력 조절 작업이 정량적인 수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1)의 장력 조절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되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하고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110 : 고정부
111 : 베이스부 115 : 클램핑부
117 : 가압부 120 : 조절부
121 : 이동부 125 : 위치조절부
130 : 안내부 131 : 안내봉
135 : 슬라이딩부재 140 : 고정프레임부
141 : 프레임부 145 : 프레임고정부
150 : 위치표시부

Claims (7)

  1. 챔버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챔버에 설치된 상기 다이어프램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다이어프램의 장력이 커지도록 당기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를 이동시키도록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위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위치조절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안내봉; 및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봉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절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위치가 조절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챔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을 상기 챔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챔버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7. 삭제
KR1020120099704A 2012-09-10 2012-09-10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KR10139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04A KR101396150B1 (ko) 2012-09-10 2012-09-10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04A KR101396150B1 (ko) 2012-09-10 2012-09-10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58A KR20140034358A (ko) 2014-03-20
KR101396150B1 true KR101396150B1 (ko) 2014-05-20

Family

ID=5064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04A KR101396150B1 (ko) 2012-09-10 2012-09-10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1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61B1 (ko) * 2008-12-09 2009-10-30 씨디에스(주) 태양전지모듈용 라미네이트 장치
KR101146916B1 (ko) * 2010-09-17 2012-05-23 (주)와이에스썸텍 다이어프램 설치를 위한 라미네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61B1 (ko) * 2008-12-09 2009-10-30 씨디에스(주) 태양전지모듈용 라미네이트 장치
KR101146916B1 (ko) * 2010-09-17 2012-05-23 (주)와이에스썸텍 다이어프램 설치를 위한 라미네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58A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2425B2 (ja) ワークを湾曲状に貼合する貼合装置、および貼合方法
EP2684825B1 (en) Sheet material supplying device
US10232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mming photovoltaic modules
KR101115363B1 (ko) 이동식 레스트를 구비한 용지 절단 장치
KR102247443B1 (ko) 필름 부착 장치
JP6018151B2 (ja) テープ貼付ユニット、テープ貼付方法及びテープ貼付装置
JP2009111513A5 (ko)
KR20130001153A (ko) 점착 테이프 롤의 절단 장치
JP5913322B2 (ja) 表紙貼付機および該表紙貼付機を備えた製本装置
JP7407884B2 (ja) 枠体及びスクリーン版
KR101396150B1 (ko) 다이어프램 장력조절장치
IT201600083221A1 (it) Attrezzatura per la lavorazione meccanica di elementi lastriformi
CN113359337A (zh) Lcd模组的侧边包覆设备
CN102879937A (zh) 液晶面板的裂片装置及方法
KR20110136356A (ko) 스마트 제본기
US20120241072A1 (en) Component press-bonding apparatus and component press-bonding method
KR101545498B1 (ko) 기능성 필름 커팅장치
US8916017B2 (en) Glass sheet laminating system
JP2014144509A (ja) 保護フィルム裁断装置
KR20120117554A (ko) 도광판 라미네이팅 포장장치
US8042590B2 (en) Protection mechanism for dry film laminator
CN206671709U (zh) 一种隔离式光学贴附机构及隔离式光学贴附装置
CN112721392A (zh) 送膜机构及覆膜装置
CN109641441B (zh) 制造光学面板的方法以及设备
WO2012144851A3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ing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