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120B1 - 단열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단열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120B1
KR101396120B1 KR1020130162185A KR20130162185A KR101396120B1 KR 101396120 B1 KR101396120 B1 KR 101396120B1 KR 1020130162185 A KR1020130162185 A KR 1020130162185A KR 20130162185 A KR20130162185 A KR 20130162185A KR 101396120 B1 KR101396120 B1 KR 10139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er
receiving sheet
inle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쉘
Priority to KR102013016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4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2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 B29C66/0224Mechanical pre-treatments, e.g. reshaping with removal of material
    • B29C66/02241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sawing
    • B29C66/02242Perforating or b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절개홈이 배열된 수용시트를 안내하도록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롤러; 상기 수용시트의 절개홈에 인입되는 인입부가 표면에 배열되는 인입시트를 수용시트의 상측으로 안착되면서 인입시트의 인입부가 수용시트의 절개홈에 인입되도록 안내하여 이송롤러와 더불어 수용시트 및 인입시트를 가압하는 인입롤러; 상기 인입롤러의 일측에서 고온의 열기를 배출하여 인입시트의 인입부가 인입된 수용시트의 절개홈에 열기를 제공하여 인입부와 절개홈을 융착하는 제1융착수단; 수용시트에 융착된 인입시트의 상측으로 마감시트가 안착되도록 마감시트를 안내하면서 수용시트, 인입시트, 마감시트를 가압하는 안내롤러; 상기 안내롤러의 옆으로 마감시트가 인입시트에 안착될 때 마감시트와 인입시트 사이에 열기를 제공하여 마감시트와 인입시트를 융착하는 제2융착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용도폐기된 폐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양질의 단열재로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폐기물로 소각하던 폐발포수지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고 환경적인 문제점이 사라지며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단열재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of insulator}
본 발명은 단열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홈이 형성된 수용시트와 상기 절개홈에 인입되는 인입부가 표면에 배열되는 인입시트를 각각 안내시킴과 동시에 절개홈과 인입부를 융착시키고, 상기 인입시트가 융착된 수용시트에 마감시트를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발포시트는 석재, 목재, 금속 등과 비교하여 가볍고, 단열성, 방음성, 충격흡수성 및 방수성이 우수하므로, 토목 건축재, 건축용 판재, 포장재, 자동차용 내장재, 가구, 완구, 문구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본 출원인이 개발한 등록특허 10-1249724호에서 제조되는 포장재에 사용되는 발포시트와 등록특허 제10-1202855호의 포장재로 사용되는 발포시트는 표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발포시트는 각각의 제품 형상에 따라 발포시트를 성형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발포시트의 사용량이 너무 많게 되고 또한 성형된 발포시트를 재단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폐기되는 양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이미 사용된 발포시트는 재활용시설을 통해 재활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재활용시설물의 건립에 대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어느 정도의 물량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초기비용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더러 폐발포수지의 수거에 따른 운반비 및 인건비와 같은 유지비가 소요되어 재활용시설물의 유지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이미 사용된 발포시트는 재활용시설을 통해 재활용되는 경우보다 그냥 폐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되는데 이 또한 발포시트가 폐기되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활용될 수 있는 자원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엄청난 손실을 야기시키는 것으므로 이미 사용된 발포시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202855호(2012. 11. 20) 등록특허 제10-1249724호(2013. 04. 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홈이 형성된 수용시트와 상기 절개홈에 인입되는 인입부가 표면에 배열되는 인입시트를 각각 안내시킴과 동시에 절개홈과 인입부를 융착시키고, 상기 인입시트가 융착된 수용시트에 마감시트를 융착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재를 제조하여 폐발포수지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고 환경적인 문제점을 해소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절개홈이 배열된 수용시트를 안내하도록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롤러; 상기 수용시트의 절개홈에 인입되는 인입부가 표면에 배열되는 인입시트를 수용시트의 상측으로 안착되면서 인입시트의 인입부가 수용시트의 절개홈에 인입되도록 안내하여 이송롤러와 더불어 수용시트 및 인입시트를 가압하는 인입롤러; 상기 인입롤러의 일측에서 고온의 열기를 배출하여 인입시트의 인입부가 인입된 수용시트의 절개홈에 열기를 제공하여 인입부와 절개홈을 융착하는 제1융착수단; 수용시트에 융착된 인입시트의 상측으로 마감시트가 안착되도록 마감시트를 안내하면서 수용시트, 인입시트, 마감시트를 가압하는 안내롤러; 상기 안내롤러의 옆으로 마감시트가 인입시트에 안착될 때 마감시트와 인입시트 사이에 열기를 제공하여 마감시트와 인입시트를 융착하는 제2융착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인입롤러의 일측에는 이송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수용시트가 인입롤러에 의해 인입시트의 인입부가 절개홈에 인입될 때 수용시트를 양측에서 인장시켜 절개홈을 확장시키는 인장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수단은 이송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수용시트의 양 옆 지면에서 직립되는 지지체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인장실린더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인장실린더의 선단에는 수용시트의 옆을 흡착하여 인장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수용시트의 양 옆을 인장시키는 흡착체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의 제조장치는, 용도폐기된 폐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양질의 단열재로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폐기물로 소각하던 폐발포수지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고 환경적인 문제점이 사라지며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장수단으로 하여금 수용시트의 표면으로 형성된 절개홈이 확장됨과 동시에 수용시트를 용이하게 늘인 상태에서 인입시트의 인입부를 인입함으로서 수용시트에 인입시트의 인입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제조하는 단열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넓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의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단열재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장수단이 취부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장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의한 인입롤러 및 안내롤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되는 단열재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단열재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의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시트(1)를 안내하는 이송롤러(10), 인입시트(5)를 안내하는 인입롤러(20), 수용시트(1)와 인입시트(5)를 융착하는 제1융착수단(30), 마감시트(9)를 안내하는 안내롤러(40), 마감시트(9)와 인입시트(5)를 융착하는 제2융착수단(50)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송롤러(10)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표면에 다수의 절개홈(2)이 배열된 수용시트(1)를 각각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용시트(1)는 단열재에 형태에 따라 바닥시트(7)를 이루는 다수의 시트가 하부에 접지되어 이송롤러(10)를 통해 후공정으로 안내될 수 있고, 수용시트(1)만 이송롤러(10)를 통해 후공정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인입롤러(20)는 상기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인입되는 인입부(6)가 표면에 배열되는 인입시트(5)를 수용시트(1)의 상측으로 안착되면서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인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이송롤러(10)와 더불어 수용시트(1) 및 인입시트(9)를 가압하여 절개홈(2)과 인입부(6)로 하여금 인입시트(5)와 수용시트(1)를 상호 고정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시트(1) 및 인입시트(5)는 사용되고 난 폐발포시트, 가공과정에서 발생된 불량품, 가공된 일반 발포시트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제1융착수단(30)은 상기 인입롤러(20)의 일측에서 고온의 열기를 배출함으로서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인입된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열기를 제공하여 인입부(6)와 절개홈(2)을 융착시켜 인입시트(5)와 수용시트(1)의 상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안내롤러(40)는 상기 제1융착수단(30)에 의해 인입부(5)와 절개홈(2)이 융착되어 수용시트(1)에 융착된 인입시트(5)의 상측으로 마감시트(9)가 안착되도록 마감시트(9)를 안내하면서 이송롤러(10)와 더불어 수용시트(1), 인입시트(5), 마감시트(9)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롤러(20) 및 안내롤러(40)의 내부에는 일측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에서 유동된 후 타측으로 유입된 고온의 유체가 배출되는 유동관(21, 4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동관(21, 41)에 유동되는 고온의 유체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인입롤러(20) 및 안내롤러(40)의 표면으로 전달되어 인입롤러(20)가 수용시트(1) 및 인입시트(9)를 가압할 때와 안내롤러(40)가 수용시트(1), 인입시트(5), 마감시트(9)를 가압할 때 고온의 열기가 수용시트(1)와 인입시트(5) 그리고 수용시트(1), 인입시트(5), 마감시트(9)로 전달되어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융착수단(50)은 상기 안내롤러(40)의 옆으로 마감시트(9)가 인입시트(5)에 안착될 때 마감시트(9)와 인입시트(5) 사이에 열기를 제공하여 마감시트(9)와 인입시트(5)를 융착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완성된 단열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로 사용하여도 되고 콘크리트, 대리석, 알루미늄 판넬 등 다양한 단열재료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용도폐기된 폐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양질의 단열재로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폐기물로 소각하던 폐발포수지의 처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고 환경적인 문제점이 사라지며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10) 중 인입롤러(20)의 앞에서 수용시트(1)를 이송하는 이송롤러(10)와 인입시트(5)를 안내하는 인입롤러(20) 사이에는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인입될 때 수용시트(1)를 양측에서 인장시켜 절개홈(2)을 확장시키는 인장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인장수단(60)은 이송롤러(10)에 의해 안내되는 수용시트(1)의 양 옆 지면에서 직립되는 지지체(61)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61)의 상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인장실린더(63)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인장실린더(63)의 선단에는 수용시트(1)의 옆을 흡착하여 인장실린더(63)의 작동에 따라 수용시트(1)의 양 옆을 인장시키는 흡착체(6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인장실린더(63)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유, 공압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체(65)는 공지의 진공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물체를 흡착하는 구성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함을 알려둔다.
그리고 수용시트(1)의 하단에 부착된 바닥시트(7)는 수용시트(1)와 동일하게 인장을 주면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기 때문에 수용시트(1)가 인장될 때 연동되어 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수단(60)으로 하여금 수용시트(1)의 양 옆을 인장함으로서 수용시트(1)의 표면으로 형성된 절개홈(2)이 확장됨과 동시에 수용시트(1)를 늘인 상태에서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절개홈(2)에 인입됨으로서 수용시트(1)에 인입시트(5)의 인입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제조하는 단열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넓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의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용시트(1)의 절개홈(2)으로 바인더를 침지시켜 침지된 바인더에 의해 절개홈(2)에 인입되는 인입시트(5)의 인입부(6)를 보다 용이하게 절개홈(2)으로 인입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인더는 물과 벤토나이트 분말이 90 ~ 97 : 3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벤토나이트용액 81 ~ 87중량%, 난연제 13 ~ 1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인더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벤토나이트용액은 바인더의 주성분이 되며 벤토나이트가 가지는 특유의 다른 물질과 혼합하여 다른 물질을 화학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서로 점결시키는 성질로 인해 기존에 시트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던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난연제는 수용시트(1)의 절개홈(2)과 인입시트(5)의 인입부(6) 간에 난연화를 도모하여 수용시트(1), 인입시트(5)의 연소를 최소화하여 단열재로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10 : 이송롤러 20 : 인입롤러
21 : 유동관 30 : 제1융착수단
40 : 안내롤러 41 : 유동관
50 : 제2융착수단 60 : 인장수단
61 : 지지체 63 : 인장실린더
65 : 흡착체

Claims (5)

  1. 표면에 다수의 절개홈(2)이 배열된 수용시트(1)를 안내하도록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송롤러(10);
    상기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인입되는 인입부(6)가 표면에 배열되는 인입시트(6)를 수용시트(1)의 상측으로 안착되면서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인입되도록 안내하면서 이송롤러(10)와 더불어 수용시트(1) 및 인입시트(5)를 가압하는 인입롤러(20);
    상기 인입롤러(20)의 일측에서 고온의 열기를 배출하여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인입된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 열기를 제공하여 인입부(5)와 절개홈(2)을 융착하는 제1융착수단(30);
    상기 수용시트(1)에 융착된 인입시트(5)의 상측으로 마감시트(9)가 안착되도록 마감시트(9)를 안내하면서 이송롤러(10)와 더불어 수용시트(1), 인입시트(5), 마감시트(9)를 가압하는 안내롤러(40);
    상기 안내롤러(40)의 옆으로 마감시트(9)가 인입시트(5)에 안착될 때 마감시트(9)와 인입시트(5) 사이에 열기를 제공하여 마감시트(9)와 인입시트(5)를 융착하는 제2융착수단(50);
    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롤러(20)의 일측에는 이송롤러(10)에 의해 안내되는 수용시트(1)가 인입롤러(20)에 의해 인입시트(5)의 인입부(6)가 절개홈(2)에 인입될 때 수용시트(1)를 양측에서 인장시켜 절개홈(2)을 확장시키는 인장수단(6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60)은 이송롤러(10)에 의해 안내되는 수용시트(1)의 양 옆 지면에서 직립되는 지지체(61)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61)의 상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어 작동되는 인장실린더(63)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인장실린더(63)의 선단에는 수용시트(1)의 옆을 흡착하여 인장실린더(63)의 작동에 따라 수용시트(1)의 양 옆을 인장시키는 흡착체(65)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롤러(20) 및 안내롤러(40)의 내부에는 일측으로 고온의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에서 유동된 후 타측으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유동관(21, 41)이 각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10)에 의해 이송되는 수용시트(1)의 절개홈(2)에는 바인더를 침지시키고, 상기 바인더는 물과 벤토나이트 분말이 90 ~ 97 : 3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벤토나이트용액 81 ~ 87중량%, 난연제 13 ~ 19중량%가 각각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장치.
KR1020130162185A 2013-12-24 2013-12-24 단열재의 제조장치 KR10139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85A KR101396120B1 (ko) 2013-12-24 2013-12-24 단열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85A KR101396120B1 (ko) 2013-12-24 2013-12-24 단열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120B1 true KR101396120B1 (ko) 2014-05-19

Family

ID=5089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185A KR101396120B1 (ko) 2013-12-24 2013-12-24 단열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166B1 (ko) 2016-11-03 2017-07-26 채수찬 복합시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919B1 (ko) * 1993-05-03 1997-04-30 정상국 보온 방습용 시이트지의 제조방법
KR100893077B1 (ko) 2007-11-05 2009-04-10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KR101135136B1 (ko) 2011-11-17 2012-04-16 주식회사 폴리쉘 포장용 완충재의 제조장치
KR101249724B1 (ko) 2013-01-15 2013-04-03 주식회사 폴리쉘 포장재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919B1 (ko) * 1993-05-03 1997-04-30 정상국 보온 방습용 시이트지의 제조방법
KR100893077B1 (ko) 2007-11-05 2009-04-10 연일화섬공업(주)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KR101135136B1 (ko) 2011-11-17 2012-04-16 주식회사 폴리쉘 포장용 완충재의 제조장치
KR101249724B1 (ko) 2013-01-15 2013-04-03 주식회사 폴리쉘 포장재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166B1 (ko) 2016-11-03 2017-07-26 채수찬 복합시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5962B (zh) 结构复合材料和方法
FI82637C (fi) Foerfarande foer kontinuerlig tillverkning av produkter av termoplastmaterial och anordning foer genomfoerfarande av foerfarandet.
WO2011107476A3 (en) Method for recycling sheet material coated with a release agent and uses of the thus recycled material
KR101396120B1 (ko) 단열재의 제조장치
NO320278B1 (no) Laminerte skummede plater av fenolharpiks og fremstilling derav
ATE237458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innenpanelen für fahrzeuge
KR101542445B1 (ko) 폐 조립식 판넬의 재활용 장치
KR101882180B1 (ko) 변기 히트시트 재활용장치
EP0019998B2 (en) Reinforced foam laminates and a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CN106079163B (zh) 一种汽车内饰件边角料模压制品的制备方法
ITRM20120118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feltri da fibre di carbonio di riciclo.
KR101757166B1 (ko) 복합시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EP29867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discontinuous fibres
KR101546907B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다중 압출 패널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23991B1 (ko) 단열재의 제조장치
KR880007216A (ko) 코어와 외부커버로 구성되는 일정단면을 갖는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장치,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복합체
KR101181559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구조재의 제조를 위한 인발성형장치
CN104441701A (zh) 一种玻璃纤维板生产树脂涂覆与固化装置
CN203680464U (zh) 一种纤维板预压机
KR101632600B1 (ko) 방수시트 제조장치
CN206394193U (zh) 膜复合机的收料整平装置
CN203994986U (zh) 一种制造带有玻璃纤维聚氨酯复合板的生产线
KR101421496B1 (ko) 폐발포시트를 이용한 단열재
CN105082711A (zh) 一种镂空天窗顶棚干法pu基材的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KR101568963B1 (ko) 섬유합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