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20B1 -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 Google Patents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20B1
KR101395920B1 KR1020130012248A KR20130012248A KR101395920B1 KR 101395920 B1 KR101395920 B1 KR 101395920B1 KR 1020130012248 A KR1020130012248 A KR 1020130012248A KR 20130012248 A KR20130012248 A KR 20130012248A KR 101395920 B1 KR101395920 B1 KR 10139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leg
occupational therapy
side wall
tra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아
안현기
방선혜
박지연
김선희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내측벽, 그에 대향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을 연결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U자형 트랙부; 상기 트랙부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부; 상기 트랙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벨크로테잎; 및 상기 트랙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원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치료용 롤링트랙{ROLLING TRACK FOR OCCUPATIONAL THERAPY}
본 발명은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나 노인이 팔을 뒤로 젖혀서 트랙에 위치한 공을 굴려서 이동시킴으로써, 손의 협응 능력, 인지능력 및 손 조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에 관한 것이다.
작업치료란 질병, 질환, 장해로 인한 장애, 사회 활동의 제한, 사회 참여의 위축 때문에 일상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자가 일상 생활, 가정 생활 및 직업 생활 등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환자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작업치료용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치료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기간 지속되는 질병이다. 뇌졸중 환자의 경우는 팔, 다리가 마비되거나 감각 이상이 생기고 말이 어눌하며 잘 걸을 수가 없고 몸의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여러 질병으로 인해 팔과 어깨의 ROM(관절가동범위)제한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인지뿐만 아니라 손 조작 능력과 ROM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도구나 기술은 많지만 이 정도로는 모든 증상을 치료하는데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나 팔과 어깨를 뒤로 뻗는 동작에서의 ROM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환자나 노인들을 위해서 손쉽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용 도구가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따라서 환자 또는 노인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손쉽게 사용가능하면서도 인지와 손 조작 능력, 어깨와 팔의 ROM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보조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팔을 뒤로 젖히기가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에게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눈과 손의 협응 능력, 인지 능력 및 손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은, 내측벽, 그에 대향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을 연결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U자형 트랙부; 상기 트랙부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부; 상기 트랙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벨크로테잎; 및 상기 트랙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원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부는 일부분이 절단된 원형틀의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반원형 내지 270°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원형공에는 제 2벨크로테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트랙부의 저면에 설치된 내측다리, 상기 내측다리가 삽입되는 외측다리, 및 상기 외측다리로부터 내측다리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길이조절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팔을 뒤로 젖히기가 어려운 환자나 노인들에게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눈과 손의 협응 능력, 인지 능력 및 손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링트랙과 그 위에 배치되는 공에 벨크로테잎(찍찍이)을 장착하여 공굴리기에 소정의 저항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링트랙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링트랙에 의자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링트랙에 의자를 설치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은 크게, 트랙부(10)와 상기 트랙부(1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부(10)는 일부분이 절단된 원형틀의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트랙부(10)는 적어도 반원형 내지 270°원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랙부(10)는 'U'자형 구조를 갖는데, 내측벽(11)과 그에 대향하는 외측벽(13) 및 상기 내측벽(11)과 외측벽(13)을 연결하는 바닥면(15)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랙부(10)의 바닥면(15)에는 제 1벨크로테잎(33)이 전제 트랙부에 걸쳐서 설치된다.
상기 트랙부(10)에는 다수의 원형공(3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원형공(30)에는 제 2벨크로테잎(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공(30)의 제 2벨크로테잎(35)는 상기 제 1벨크로테잎(33)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재질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트랙부(10)에 제 1벨크로테잎(33)을 설치하고, 원형공(30)에 제 2벨크로테잎(35)을 설치함으로써, 원형공(30)이 트랙부(10)에서 쉽게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를 통해서 환자나 노인들이 팔을 뒤로 젖혀서 공을 굴릴 때에 운동효과 또는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다리부(20)는 상기 트랙부(10)의 저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리를 접는 구조는 당업계에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어떠한 방식을 사용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10)는 상기 트랙부(10)의 저면에 설치된 내측다리(23), 상기 내측다리(23)가 삽입되는 외측다리(21), 및 상기 외측다리(21)로부터 내측다리(23)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길이조절볼트(25)를 구비한다.
즉, 상기 내측다리(23)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다리(21)에도 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볼트(25)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면서 내측다리와 외측다리를 결합시켜서 다리부(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치료용 롤링트랙은 환자가 의자(40)에 앉아서 팔을 뒤로 젖혀서 제 1벨크로테잎(33)이 부착된 트랙부(10)의 길을 따라 원형공(30)을 굴려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의자(40)에 앉아서 오른쪽팔을 뒤로 젖혀서 트랙부(10)의 중앙부에 있는 원형공(30)을 트랙부(10)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형공(30)을 중앙부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대로, 환자가 왼팔을 뒤로 젖혀서 트랙부(10)의 중앙부에 있는 원형공(30)을 트랙부(10)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형공(30)을 중앙부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팔을 뒤로 젖히기가 어려운 환자는 롤링트랙을 앞에 높고 연습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앉은 키에 맞도록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장시간 계속해서 진행하면, 스트래칭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관절가동범위가 증진될 수 있는 것이다.
10: 트랙부 11: 내측벽
13: 외측벽 15: 바닥면
20: 다리부 21: 외측다리
23: 내측다리 25: 길이조절볼트
30: 원형공 33: 제 1벨크로테잎
35: 제 2벨크로테잎 40: 의자

Claims (4)

  1. 내측벽, 그에 대향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을 연결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U자형 트랙부;
    상기 트랙부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부;
    상기 트랙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벨크로테잎; 및
    상기 트랙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원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는 일부분이 절단된 원형틀의 구조를 가지며, 적어도 반원형 내지 270°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원형공에는 제 2벨크로테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트랙부의 저면에 설치된 내측다리, 상기 내측다리가 삽입되는 외측다리, 및 상기 외측다리로부터 내측다리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길이조절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KR1020130012248A 2013-02-04 2013-02-04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KR10139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48A KR101395920B1 (ko) 2013-02-04 2013-02-04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48A KR101395920B1 (ko) 2013-02-04 2013-02-04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920B1 true KR101395920B1 (ko) 2014-05-16

Family

ID=5089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248A KR101395920B1 (ko) 2013-02-04 2013-02-04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95A (ja) 2001-03-14 2002-09-24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上肢の運動機能回復訓練サポートシステム
JP2004008751A (ja) 2002-06-06 2004-01-15 Kensei Go 遠隔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
JP2004008744A (ja) 2002-06-06 2004-01-15 Kensei Go 上肢リハビリアシスト装置
JP2012005523A (ja) 2010-06-22 2012-01-12 Kazusuke Abe 上肢回転運動用のリハビリ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795A (ja) 2001-03-14 2002-09-24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上肢の運動機能回復訓練サポートシステム
JP2004008751A (ja) 2002-06-06 2004-01-15 Kensei Go 遠隔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
JP2004008744A (ja) 2002-06-06 2004-01-15 Kensei Go 上肢リハビリアシスト装置
JP2012005523A (ja) 2010-06-22 2012-01-12 Kazusuke Abe 上肢回転運動用のリハビリ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9469T3 (es) Dispositivo para soporte de equilibrio y orientación corporal.
ES2874134T3 (es) Ayuda a la locomoción
US20100274165A1 (en) Multi-roller massage device
CN204709198U (zh) 骨科椅
JP2006288784A (ja) エクササイズチェア
US10130835B1 (en) Three exercise combination device to alleviate sciatica and low back pain
Yun et al. The effects of combined complex exercise with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on expiratory abdominal muscles activation and forced pulmonary function for post stroke patients
CN206380973U (zh) 一种新型舒适办公椅
Pan et al. A vibrotactile feedback device for balance rehabilitation in the EksoGT™ robotic exoskeleton
KR102042474B1 (ko)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KR101395920B1 (ko) 작업치료용 롤링트랙
McDonald et al. Yoga for patients and carers in a palliative day care setting
JP2013150655A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Hasegawa et al. Wearable assistive device for physical load reduction of caregiver-adaptive to caregiver's motion during transferring support
Han et al. Effects of foot position of the nonparetic side during sit-to-stand training on postural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Yang et al. Sliding and lower limb mechanics during sit-stand-sit transitions with a standing wheelchair
KR101841012B1 (ko) 편마비 환자용 수동형 보행재활 훈련장치
Fletcher et al. Moving between sitting and standing
KR20210072653A (ko) 침대 이동 보조 휠체어
JP2021065327A (ja) 起立着座動作支援装置および起立着座動作支援方法
Biały et al. Functional asymmetry of the spine in standing and sitting positions
Shenoy et al. Effect of chair design on feed-forward postural control in sitting
JP2011136135A (ja) 構造物と一対の運動用具
KR102643028B1 (ko) 이동 보조 장치
JP200510294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