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817B1 -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817B1
KR101395817B1 KR1020120117489A KR20120117489A KR101395817B1 KR 101395817 B1 KR101395817 B1 KR 101395817B1 KR 1020120117489 A KR1020120117489 A KR 1020120117489A KR 20120117489 A KR20120117489 A KR 20120117489A KR 101395817 B1 KR101395817 B1 KR 10139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989A (ko
Inventor
김정환
박주희
이장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8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될 시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승인되면, NFC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지 않으면,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 기기 (이하 “휴대 단말”이라 칭함)가 늘어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휴대 단말에 통화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스마트 폰의 경우, 음성 통화 외에도 정보 검색, 음악 및 동영상 재생, 쇼핑, 금융 업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결제를 위한 수단으로써, NFC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NFC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은 상기 NFC 기능을 활성화시켜 내부에 저장된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을 이용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은 NFC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NFC 칩을 구비한다. 이 경우 NFC 기능이 활성화될 시, 휴대 단말은 전원 온/오프와 무관하게 NFC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즉 NFC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은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교통 카드, 신용 카드로써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NFC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을 분실한 경우, 상기 분실한 휴대 단말에 의해 원치 않는 신용 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NFC 기능은 전력 온/오프 여부와 무관하게 이용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안감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NFC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이 상태를 고려하여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FC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서 분실, 통신 가능 여부, 전원 공급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전원 차단 요청이 접수될 시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공급 전력이 소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시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최소 전력을 충전하고,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될 시 상기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의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는 과정과,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승인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할 시 사용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승인될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NFC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NFC 기능의 활성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NFC 기능을 이용한 신용 거래가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한 전원 오프 요청이 접수되거나 공급 전력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NFC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써, 휴대 단말은 공급 전력을 이용하여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최소 전력을 충전하고,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충전된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충전된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에서는 휴대 단말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여하는 최소한의 요소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110)은 휴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 모듈(110)은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NFC 기능을 이용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110)은 배터리(1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제어 모듈(110)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 모듈(110)은 NFC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아니면 비활성화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휴대 단말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User Interface)를 제어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UI를 통해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NFC 기능을 활성화시킬 것을 승인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NFC 기능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인증 절차의 일 예로써, 제어 모듈(110)은 UI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NFC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의 입력을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상기 제어 모듈(110)은 NFC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한다.
그렇지 않고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모듈(110)은 NFC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비활성화가 요청될 시에도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는 개인 식별 번호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배터리(120)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 모듈(110)은 보조 전력 공급 모듈(140)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한다. 상기 제어 모듈(110)은 상기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상기 배터리(120) 또는 외부로부터 전력 공급이 재개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 전력 공급 모듈(140)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110)은 그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AP: Application processor)(112)와 통신 프로세서 (CP: Communication Processor)(11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AP(112)는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에 상응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CP(114)는 휴대 단말이 소정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이 아이들 모드로 진입할 시, 상기 AP(11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되고, CP(114)만 주기적으로 깨어 호출을 확인하기 위한 전력만이 공급된다. 특히 상기 CP(114)는 NFC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 또는 상기 배터리(120)가 강제로 분리될 시에 NFC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120)는 휴대 단말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120)는 소정의 연결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120)는 휴대 단말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충전 장치에 장착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배터리(120)는 휴대 단말로부터 자유롭게 분리/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그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개될 수 있다.
NFC 모듈(130)은 상기 제어 모듈(110)의 제어에 의해 NFC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NFC 기능에 의해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결제 서비스는 휴대 단말에 구비된 전자 결제 수단에 의해 결제를 처리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결제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교통 카드, 신용 카드 등이 존재한다.
상기 NFC 모듈(130)은 상기 제어 모듈(110)의 요청에 의해 NFC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킨다. 특히 상기 NFC 모듈(130)은 공급 전력이 차단되는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할 시, 상기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NFC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상기 NFC 모듈(130)은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NFC 기능을 이용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보조 전력 공급 모듈(140)은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최소 전력을 충전한다. 상기 보고 전력 공급 모듈(140)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 또는 상기 배터리(120)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시,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 내에 전력 공급이 재개되는지를 감시하거나 한계 시간이 초과할 시에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최소 전력은 휴대 단말이 아이들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한 후 NFC 기능의 제어에 관여하는 최소한의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상기 NFC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해 소비가 예상되는 전력 량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은 210단계에서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는 휴대 단말이 NFC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 의해 발생한다.
예컨대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단말의 전원 오프가 요청되거나 공급 전력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상기 공급 전력 레벨은 휴대 단말의 동작을 위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측정되거나 NFC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임계치는 공급 전력 레벨을 어떻게 측정할 지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공급 전력을 휴대 단말의 동작을 위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임계치는 휴대 단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 레벨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공급 전력을 NFC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임계치는 휴대 단말이 NFC 기능을 정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 레벨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212단계에서 사용자에게 NFC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한다. 예컨대 상기 휴대 단말은 NFC 기능을 활성화할 것인지 비활성화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질의 메시지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질의 메시지를 확인할 시, 휴대 단말의 전원 오프 이후에도 NFC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에 의해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해 응답할 것이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NFC 기능을 활성화시킬지 아니면 비활성화시킬지를 선택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214단계에서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는 지를 감시한다. 즉 상기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NFC 기능의 활성화를 지시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었음을 감지하면, 21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인증 절차는 사용자가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적법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인증 절차는 분실한 휴대 단말의 습득자가 휴대 단말의 전원을 오프한 후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써 NFC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는 하기의 절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NFC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의 입력을 UI를 통해 요구한다. 상기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는 NFC 기능의 제어만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즉 휴대 단말에서 보안이 요구되는 기능 또는 설정을 변경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하는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NFC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는 PIN이 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UI를 통해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사전에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때까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 않고 상기 입력된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허락된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은 해당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NFC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한다.
상술한 동작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은 NFC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수행된 후 21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요청된 NFC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인증 성공으로 인해 요청된 NFC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한 경우, 220단계에서 NFC 기능을 활성화한다. 상기 NFC 기능의 활성화는 휴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후에도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이 가지는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의 이용은 이미 제공되고 있는 기능임에 따라,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상기 214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NFC 기능의 비활성화가 요청되거나 상기 218단계에서 NFC 기능의 활성화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222단계에서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NFC 기능의 비활성화는 휴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이 가지는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휴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차단하는 것 또한 이미 제공되고 있는 기능임에 따라,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하거나 공급 전력이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질 시에 사용자가 NFC 기능에 대한 활성화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는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NFC 기능을 이용하는 전자 결제 서비스가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제안하고 있는 제어 흐름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휴대 단말의 NF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에 한해서만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NFC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였다는 것은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더욱 NFC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것임이 충분히 예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 2에 따른 동작은 휴대 단말의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휴대 단말의 NFC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NFC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3에서의 제어 흐름에 따른 동작은 휴대 단말의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작됨을 가정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은 210단계에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보조 전력을 충전한다. 상기 보조 전력은 휴대 단말에서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충전되고, 전력이 비정상적으로 차단될 시에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상기 보조 전력은 휴대 단말의 전체 전력보다는 특정 기능, 즉 NFC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한 전력에 한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휴대 단말은 NFC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를 위해 필요한 최소 전력을 보조 전력으로 충전한다.
여기서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내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충전 단자 등을 통해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전원 소스는 외장 배터리, 전원 콘센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312단계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한다. 여기서 소정의 이벤트는 휴대 단말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됨으로 인해 발생한다.
상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최소한의 전력이 소비될 수 있도록, 최소의 하드웨어만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최소한의 전력이 소비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들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소정의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314단계에서 한계 시간이 설정된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것은 강제로 분리된 배터리가 한계 시간 내에 다시 정상적으로 결합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타이머는 상기 한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분리된 배터리가 다시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다는 것은 휴대 단말의 전력 공급이 재개됨을 의미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316단계에서 전력 공급이 재개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전력 공급의 재개에 대해 앞에서는 강재로 분리되었던 배터리가 다시 장착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배터리가 장착되지 않고, 휴대 단말에 구비된 외부 단자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도 전력 공급 재개로 판단한다.
상기 휴대 단말은 전력 공급이 재개되면, 별 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도 3에 의한 제어 흐름에 따라 동작을 종료한다.
하지만 전력 공급이 재개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 단말은 318단계에서 앞서 구동한 타이머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이 경과, 즉 초과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한계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316단계로 진행하여 전력 공급이 재개되는 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하지만 상기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이 초과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은 320단계로 진행하여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NFC 기능의 비활성화는 휴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이 가지는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휴대 단말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NFC 기능에 의한 전자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차단하는 것 또한 이미 제공되고 있는 기능임에 따라,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인해, 사용자가 배터리를 강제로 분리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장착하여 동작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시에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NFC 기능을 강제로 비활성화시킨다. 이는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NFC 기능을 이용하는 전자 결제 서비스가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현을 위한 최소 전력은 휴대 단말이 아이들 모드에서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한 후 NFC 기능의 제어에 관여하는 최소한의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상기 NFC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해 소비가 예상되는 전력 량을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 발생 시에 보조 전력은 한계 시간 초과를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한계 시간이 초과할 시에 NFC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를 위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서 제안하고 있는 제어 흐름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휴대 단말의 NF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에 한해서만 적용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의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도 NFC 기능을 비활성화하였다는 것은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더욱 NFC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것임이 충분히 예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 3에 따른 동작은 휴대 단말의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휴대 단말의 NFC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 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4)

  1.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는 과정과,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승인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전원 오프 요청이 접수되거나 상기 공급 전력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하는 과정과,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는 개인 식별 번호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최소 전력을 충전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충전된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충전된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 또는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한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전력은 상기 휴대 단말이 아이들 모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한 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에 관여하는 최소한의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해 소비가 예상되는 전력 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8.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공급 전력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에서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은,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할 시 사용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문의하며,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승인될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지 않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전원 오프 요청이 접수되거나 상기 공급 전력의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사전에 설정된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될 시에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를 승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를 위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는 개인 식별 번호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상기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최소 전력을 충전하는 보조 전력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보조 전력 공급 모듈에 충전된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이 초과할 때까지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력 공급이 재개되지 않으면, 상기 보조 전력 공급 모듈에 충전된 최소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 전력에 관한 이벤트와 상기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되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한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전력은 상기 휴대 단말이 아이들 모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한계 시간을 대기한 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의 제어에 관여하는 최소한의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를 설정하기 위해 소비가 예상되는 전력 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KR1020120117489A 2012-10-22 2012-10-22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9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89A KR101395817B1 (ko) 2012-10-22 2012-10-22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89A KR101395817B1 (ko) 2012-10-22 2012-10-22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415A Division KR101462193B1 (ko) 2014-01-16 2014-01-16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89A KR20140050989A (ko) 2014-04-30
KR101395817B1 true KR101395817B1 (ko) 2014-05-16

Family

ID=5065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489A KR101395817B1 (ko) 2012-10-22 2012-10-22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8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712A (ko) * 2008-02-20 2008-03-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KR100980052B1 (ko) 2010-04-29 2010-09-06 (주) 아이씨티케이 Nfc를 이용하는 휴대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분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135388B1 (ko) 2011-09-16 2012-04-1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전자 소매치기 방지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또는 엔에프씨 태그가 내장된 개인정보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712A (ko) * 2008-02-20 2008-03-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KR100980052B1 (ko) 2010-04-29 2010-09-06 (주) 아이씨티케이 Nfc를 이용하는 휴대장치의 전력공급 및 통신분기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135388B1 (ko) 2011-09-16 2012-04-17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전자 소매치기 방지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또는 엔에프씨 태그가 내장된 개인정보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89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5435A1 (en)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a low power express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US8847547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10198726B2 (en) Low power mode for payment transactions
US10139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apparatus
US80692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USB peripheral device in extented power mode or standard power mode wherein permission from host must be granted before extended power is provided
JP5634608B2 (ja) 充電ポート
US88809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judging method
US20150004959A1 (en) Mobile device activation
JP407864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1331242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消費電力制御方法
WO2009082126A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erminal related information in power-off state
JP2008243001A (ja) 携帯型電子機器
US9235249B2 (en) Power control for serial bus peripheral device
US11556915B2 (en) Low power mode for payment transactions
KR101462193B1 (ko)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95817B1 (ko)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US854385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figuration
EP2022176B1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detachable car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20130044135A (ko) 전자 기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426324B (zh) 上电控制方法、ap芯片及移动终端
EP2957984A1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and corresponding apparatus
JP2022002053A (ja) 受電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1215681B1 (ko)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장치 및 그의 저전력 동작 방법
JP2019047627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19830A (ko) 스마트 카드용 동글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2

Year of fee payment: 6